KR101499528B1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Google Patents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9528B1 KR101499528B1 KR1020130068524A KR20130068524A KR101499528B1 KR 101499528 B1 KR101499528 B1 KR 101499528B1 KR 1020130068524 A KR1020130068524 A KR 1020130068524A KR 20130068524 A KR20130068524 A KR 20130068524A KR 101499528 B1 KR101499528 B1 KR 101499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shutter
- substrate
- opening
- shutter
- mov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9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착공정이 수행되는 챔버 내부로 파티클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기판으로 향하는 증착물질이 불필요하게 챔버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착장치는 반입된 기판이 이송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소스부, 상기 소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으로 향하는 상기 증착물질의 경로가 확보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차폐커버,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 1가동셔터 및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 2가동셔터를 포함하여, 챔버 내부의 청정도가 유지되어 양질의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비 유지관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화된 증착물질을 기판으로 분사하여 기판에 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다른 평면 표시소자에 비해 발열 등이 제한적인 이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자체 냉발광형이라는 장점으로 인하여 산업계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물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유기물이 기판에 박막의 형태로 증착되도록 하는 증착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한편, 최근에는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기판을 인라인 방식으로 이송하고, 이송되는 기판으로 증착물질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인라인 방식의 증착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인라인 방식의 증착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19630;인라인형 유기박막 제조장치"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선형 증발원이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기판이 챔버의 상부에서 인라인 방식으로 이송되면서 기판에 유기박막이 제조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특허와 같이 기판이 챔버의 상부에서 이송되면서 증착공정이 수행되면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첫째, 기판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기구,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 가이드롤러의 물리적인 마찰에 따른 파티클이 발생되고 이 파티클은 기판에 형성되는 막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기판을 향해 공급되는 증착물질이 기판 이외에 챔버 내부로 확산되고,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확산된 증착물질은 증착공정 중에 파티클로 작용하여 기판에 형성되는 막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챔버 내벽 등에 증착되어 장비의 유지관리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점차 기판이 대형화됨에 따라, 기판의 처짐 등의 이유로 기판을 챔버의 상부에서 이송하는 데에는 한계에 도달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을 안정적으로 이송하며, 증착공정이 수행되는 챔버 내부로 파티클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기판으로 향하는 증착물질이 불필요하게 챔버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장치는 내부로 반입된 기판이 이송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소스부, 상기 소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으로 향하는 상기 증착물질의 경로가 확보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차폐커버,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 1가동셔터 및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 2가동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가동셔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 1가동셔터 또는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기판의 말단이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 이송경로 상의 상기 개구부가 시작되는 개방시점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가 종료되는 폐쇄시점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과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이 상기 개방시점과 상기 폐쇄시점에서 도달함에 따라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이송이 중단되며, 상기 기판의 말단이 상기 폐쇄시점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말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를 이송하는 셔터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이송부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를 각각 개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셔터이송부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를 함께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상기 기판에 대한 증착공정이 수행되는 증착챔버, 상기 증착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기판이송 가이드와 상기 가동셔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셔터이송 가이드가 수용되는 가이드 수용챔버 및 상기 증착챔버와 상기 가이드 수용챔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증착챔버와 상기 가이드 수용챔버는 개별 진공배기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이송 가이드는 상기 증착챔버 내부에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트레이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소스부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증착물질을 선형 분사하며, 상기 차폐커버는 상기 기판에 대면되고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커버 및 상기 제 1커버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커버의 측방으로 분산되는 상기 증착물질을 차폐하는 제 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착방법은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커버의 개구부가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챔버 내부로 반입된 기판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이송되는 기판 이송단계, 상기 챔버 내부로 증착물질이 분사되며, 상기 제 1가동셔터가 상기 기판의 위치에 따라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셔터 개방단계 및 상기 기판이 상기 개구부를 이탈함에 따라 제 2가동셔터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셔터 폐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은 기판 이송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증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기판으로 향하는 증착물질이 불필요하게 챔버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챔버 내부의 청정도가 유지되어 양질의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비 유지관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Ⅰ-Ⅰ'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의 일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Ⅰ-Ⅰ'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의 일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Ⅰ-Ⅰ'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공정챔버(100)를 포함한다. 공정챔버(100)의 내부에는 격벽(110)이 설치된다. 공정챔버(100)는 격벽(110)에 의해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로 분리될 수 있다. 증착챔버(130)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착챔버(130) 내부의 청정도 유지를 위해,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는 각각 개별 진공배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는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는 않고, 후술될 가이드들의 설치를 위해 격벽(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미도시)에 의하여 실질적으로는 연통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슬릿(미도시)은 최소 폭으로 형성되어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상호간의 이물질 교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슬릿(미도시)의 폭은 가이드 수용챔버(150) 내부에서 발생하는 입자의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자유행로는 파티클이 다른 입자 또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벽에 부딪쳐서 다음 충돌이 일어날 때까지 움직이는 거리를 말하고, 평균자유행로는 입자 전체에 대하여 평균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이드 수용챔버(150) 내부의 파티클의 크기가 지름 "d"일 때 단위부피 속에 존재하는 "nv"개의 파티클을 포함하는 경우 평균자유행로 "λ"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 파티클의 평균자유행로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진공도와 가이드 수용챔버(150) 내부에 존재하는 파티클의 크기와 숫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략 1 ~ 3cm 정도로 슬릿(미도시)의 폭을 형성하면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 사이의 파티클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증착챔버(130)의 외측에는 로드락챔버(200)가 배치될 수 있다. 증착챔버(130)와 로드락챔버(200)의 사이에는 기판(10)의 출입을 위한 게이트밸브(170)가 설치될 수 있다. 기판(10)은 로드락챔버(200)에서 기판트레이(11)에 지지되며, 기판트레이(11)에 지지된 기판(10)은 증착챔버(130) 내부로 반입될 수 있다. 증착챔버(130) 내부로 반입된 기판(10)은 기판이송부(300)에 의해 증착챔버(130)의 내부에서 이송될 수 있다.
기판이송부(300)는 기판트레이(11)에 지지되는 기판이송 영구자석(310)과, 격벽(110)에 지지되는 기판이송 전자석(3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이송 전자석(330)은 게이트밸브(170)에 접하는 증착챔버(130)의 내측벽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레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판이송 영구자석(310)은 기판트레이(11)에 결합되고 기판이송 전자석(330)에 레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트레이(11)는 기판이송 전자석(330)을 따라 직선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부에는 기판트레이(11)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기판이송 가이드(35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이송 가이드(350)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이송레일(351) 및 기판트레이(11)로부터 가이드 수용챔버(150)로 연장되는 기판트레이 레그(Leg;301)에 지지되는 기판이송롤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가이드 수용챔버(150)가 격벽(110)에 의해 증착챔버(130)와 분리되고, 기판이송 가이드(350)가 가이드 수용챔버(15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기판이송레일(351)과 기판이송롤러(353)의 구동, 기판이송레일(351)과 기판이송롤러(353)의 마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증착챔버(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기판이송레일(351)의 좌, 우 측면에는 '<' 형태와 '>' 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기판이송롤러(353)는 기판이송레일(351)의 각 돌기에 상, 하롤러가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이송레일(351)과 기판이송롤러(353)의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기판이송레일(351)과 기판이송롤러(353)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레일과 롤러간 마찰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감소되며, 기판(10)의 이송에 따른 진동이 감소되면서 기판(10)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증착챔버(130)의 상부에는 소스부(400)가 배치된다. 소스부(400)는 증착물질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증착물질을 증착챔버(130) 내부로 분사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스부(400)는 내부에 증착물질이 수용된 도가니, 내부에 도가니가 수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어 도가니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스부(400)는 복수의 분사노즐(410)을 포함한다. 복수의 분사노즐(410)은 도가니에 연통되어 기화된 증착물질이 소정의 토출압력을 가지고 증착챔버(13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복수의 분사노즐(410)은 기판(10)이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부(400)로부터 분사되는 증착물질은 기판(10)이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선형 분사될 수 있다.
소스부(400)의 하측에는 차폐커버(500)가 배치된다. 차폐커버(500)는 제 1커버(530)와 제 2커버(550)를 포함한다. 제 1커버(530)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소스부(400)의 하측으로 이송된 기판(10)에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제 1커버(530)에는 개구부(510)가 형성된다. 개구부(510)는 기판(10)으로 향하는 증착물질의 경로가 확보되도록 한다. 제 1커버(530)는 증착물질이 기판(10) 이외의 공정챔버(100)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커버(550)는 제 1커버(530)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다. 제 2커버(550)는 제 1커버(530)의 측방으로 분산되는 증착물질을 차폐한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소스부(400)로부터 분사되는 증착물질 중, 기판(10)으로 향하는 증착물질 이외의 나머지 증착물질이 증착챔버(130)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증착챔버(130)의 청정도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소스부(400)로부터 증착물질이 분사되고 개구부(510)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판(10)이 개구부(510)에 도달하면, 기판(10)이 위치하지 않는 개구부(510)의 나머지 영역으로 분사되는 증착물질은 증착챔버(130) 내부로 확산될 수 있으며, 증착챔버(130) 내부로 확산된 증착물질은 증착 공정 중에 파티클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차폐커버(500)의 하측에 가동셔터(600)가 배치되며, 가동셔터(600)에 의해 개구부(510)의 개방 영역 및 개방 속도가 조절되어 증착챔버(130) 내부로 증착물질이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가동셔터(600)는 기판(10)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제 1가동셔터(610)와, 기판(10)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제 1가동셔터(6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 1가동셔터(610)로부터 이격되는 제 2가동셔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셔터이송부(700)에 의해 기판(10)의 위치에 따라 개구부(5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의 일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구부(510)는 기판(10)의 이송경로 상에서 개구부(510)가 개시되는 지점인 개방시점(P1)으로부터 개구부(510)의 개방이 종료되는 폐쇄시점(P2)까지 개방될 수 있다.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각각 개방시점(P1)으로부터 폐쇄시점(P2)까지의 거리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 1가동셔터(610)는 기판(10)이 개방시점(P1)에 도달하기 이전에 개구부(510)를 폐쇄할 수 있다. 제 1가동셔터(610)는 기판(10)의 선단이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에 도달하면, 기판(10)과 함께 이송되어 개구부(510)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 2가동셔터(620)는 그 선단이 기판(10)의 말단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이송되고, 기판(10)이 폐쇄시점에 도달하면 제 2가동셔터(620)에 의해 개구부는 폐쇄될 수 있다. 특히, 기판(10)과 함께 이송되는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이 이송되는 속도보다 개구부(510)가 더 빠르게 개방되거나, 개구부(510)가 더 빠르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10)과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기판(10)의 이송경로 상에서 기판(10)의 전,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에 의해 증착물질이 기판(10) 이외의 증착챔버(130)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셔터이송부(700)는 제 1가동셔터(610)에 지지되는 제 1셔터이송 영구자석(710)과, 제 2가동셔터(620)에 지지되는 제 2셔터이송 영구자석(7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셔터이송부(700)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셔터이송 전자석(730)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이송 전자석(730)은 게이트밸브(170)에 접하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측벽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레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셔터이송 영구자석(710)과 제 2셔터이송 영구자석(720)은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로부터 가이드 수용챔버(150)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2셔터 레그(601, 602)에 각각 결합되고 셔터이송 전자석(730)에 레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셔터이송 전자석(730)을 따라 직선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부에는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셔터이송 가이드(75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이송 가이드(750)는 가이드 수용챔버(1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셔터이송레일(751) 및 제 1, 2셔터 레그(601, 602)에 각각 지지되는 제 1, 2셔터이송롤러(753, 7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가이드 수용챔버(150)가 격벽(110)에 의해 증착챔버(130)와 분리되고, 셔터이송 가이드(750)가 가이드 수용챔버(15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셔터이송레일(751)과 제 1, 2셔터이송롤러(753, 754)의 구동, 셔터이송레일(751)과 제 1, 2셔터이송롤러(753, 754)의 마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증착챔버(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기판이송레일(351)과 기판이송롤러(353)와 같이 셔터이송레일(751)의 좌, 우측면에는 '<' 형태와 '>'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고, 제 1, 2셔터이송롤러(753, 754)는 셔터이송레일(751)의 각 돌기에 상, 하롤러가 각각 구름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셔터이송레일(751)과 제 1, 2셔터이송롤러(753, 754)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레일과 롤러간 마찰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감소되며, 가동셔터(600)의 이송에 따른 진동이 감소되면서 가동셔터(600)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h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가동셔터(610)는 개구부(510)의 하측에 위치하며, 게이트밸브(170)가 개방되고 기판(10)은 로드락챔버(200)에서 증착챔버(130)의 내부로 반입될 수 있다. 이때, 기판(10)은 기판트레이(11)에 지지된 상태로 증착챔버(130)로 반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착챔버(130)로 기판(10)이 반입되면, 증착챔버(130)와 가이드 수용챔버(150)는 개별 진공 배기가 시작되어 공정챔버(100) 내부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기판(10)은 기판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고, 기판이송 가이드(350)는 기판(10)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기판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10)의 선단은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 하측에 도달한다. (단계;S11)
도 6c를 참조하면, 기판(10)의 선단이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 하측에 도달함에 따라, 소스부(400)로부터의 증착물질 분사가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가동셔터(610)는 개구부(510)를 개방시키기 위해 기판(10)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물론 이때에도 기판(10)은 계속해서 이송 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가동셔터(610)는 기판(10)과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기 때문에, 기판(10)이 이송되는 속도보다 개구부(510)가 더 빠르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개구부(510)를 통과한 증착물질 중, 기판(10)으로 향하는 증착물질 이외의 나머지 증착물질은 가동셔터(600)에 의해 차폐되어 증착챔버(130)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기판(10)과 제 1가동셔터(610)이 함께 이송됨에 따라 제 1가동셔터(6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에 기판(10)의 말단이 정렬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과 함께 이송된다. 마찬가지로,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기 때문에, 기판(10)이 이송되는 속도보다 개구부(510)가 더 빠르게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이 폐쇄시점(P2)을 이탈하면, 제 1가동셔터(610)의 이송은 중단되어도 좋다.
도 6e를 참조하면, 제 2가동셔터(620)가 기판(10)과 함께 이송되고 기판(10)의 말단이 폐쇄시점(P2)에 도달함에 따라, 증착물질은 기판(10)의 전면적에 증착될 수 있으며, 증착챔버(130) 내부로 불필요한 증착물질이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계;S13)
그리고 기판(10)의 전면적이 개구부(510)의 하측을 완전히 통과하면, 제 2가동셔터(620)에 의해 개구부(510)가 폐쇄된다. (단계;S15)
도 6f를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증착물질을 한번 더 증착하기 위해, 기판(10)은 기판이송부(300)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기판(10)의 말단은 제 1가동셔터(610)의 선단 하측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역방향으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물론 이때에도 기판(10)은 계속해서 이송 중이다.
도 6g를 참조하면, 기판(10)과 제 2가동셔터(620)가 함께 이송됨에 따라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에 기판(10)의 선단이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가동셔터(610)는 기판과 함께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가 기판(10)과 함께 이송되고 기판(10)의 선단이 개방시점(P1)에 도달함에 따라, 증착물질은 기판(10)의 전면적에 한번 더 증착될 수 있으며, 증착챔버(130) 내부로 불필요한 증착물질이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h를 참조하면, 기판(10)의 전면적이 개구부(510)의 하측을 완전히 통과하면, 제 1가동셔터(610)에 의해 개구부(510)가 폐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증착방법에 의해, 기판(10) 상에는 원하는 두께의 증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에서는, 기판(10)이 증착챔버(130) 내부를 1회 왕복 이송되는 실시예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증착막의 두께, 증착물질의 공급량 등에 따라 기판(10)의 이송방향, 왕복횟수 등은 얼마든지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또한, 증착막이 형성된 기판(10)은 로드락챔버(200)로 반출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증착챔버(130)에 연결된 미도시의 다른 증착챔버로 반입되어 다른 증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제 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7a 내지 도 7g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물론,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셔터이송부(700)를 제어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동작될 수 있으며,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단일 평판에 홀을 가공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평판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부재(630)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의 간격은 개방시점(P1)으로부터 폐쇄시점(P2)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에 의한 증착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개구부(510)는 상기 제 1가동셔터(6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이 개구부(510)를 향해 이송됨에 따라 기판(10)의 선단이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에 도달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이송되어 개구부(5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과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은 개방시점(P1)과 폐쇄시점(P2)에 정렬되고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일시 정지될 수 있다. 물론, 기판(10)은 계속해서 이송 중이다. 따라서 기판(10)의 말단은 폐쇄시점(P2) 및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 하측에 도달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기판(10)의 말단이 개방시점(P1)에 도달하면,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이송되며, 개구부(510)는 제 2가동셔터(6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반대로, 기판(10) 상에 증착물질을 한번 더 증착하기 위해, 기판(10)은 역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기판(10)의 말단은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에 도달할 수 있다.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이송되고, 개구부(51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과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이 개방시점(P1)과 폐쇄시점(P2)에 정렬되고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일시 정지될 수 있다. 물론, 기판(10)은 계속해서 이송 중이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일시 정지되고, 기판(10)은 계속 이송됨에 따라, 기판(10)의 선단은 폐쇄시점(P2) 및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 하측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의 이송이 재개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가 기판(10)과 함께 역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기판(10) 상에는 한번 더 증착물질이 증착되고 개구부(510)는 제 1가동셔터(6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8a 내지 도 8d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에 의한 증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3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의 간격은 기판(10)의 선단으로부터 기판(10)의 말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에 의한 증착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개구부(510)는 상기 제 1가동셔터(6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은 개구부(510)를 향해 이송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기판(10)이 개구부(510)를 향해 이송됨에 따라, 기판(10)의 선단이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의 선단은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에 정렬되고, 기판(10)의 말단은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에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이송되며, 개구부(510)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기판(10)과 함께 이송됨에 따라 기판(10)은 폐쇄시점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제 2가동셔터(620)는 개구부(510)를 폐쇄한다.
반대로, 기판(10) 상에 증착물질을 한번 더 증착하기 위해, 기판(10)은 역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기판(10)은 역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과 함께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 또한 역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기판(10)의 선단은 제 1가동셔터(610)의 말단에 정렬되고, 기판(10)의 말단은 제 2가동셔터(620)의 선단에 정렬된 상태이므로, 기판(10)의 선단이 개방시점에 도달하면, 제 1가동셔터(610)는 개구부(510)를 폐쇄한다.
한편, 상술된 설명에서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는 차폐커버(5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 또는 제 1가동셔터(610)와 제 2가동셔터(620) 중 어느 하나가 소스부(400)와 차폐커버(500)의 사이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그 작용 및 효과는 대동소이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
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기판 11 : 기판트레이
100 : 공정챔버 110 : 격벽
130 : 증착챔버 150 : 가이드 수용챔버
170 : 게이트밸브 200 : 로드락챔버
300 : 기판이송부 301 : 기판트레이 레그
310 : 기판이송 영구자석 330 : 기판이송 전자석
350 : 기판이송 가이드 351 : 기판이송레일
353 : 기판이송롤러 400 : 소스부
410 : 분사노즐 500 : 차폐커버
510 : 개구부 530 : 제 1커버
550 : 제 2커버 600 : 가동셔터
601 : 제 1셔터 레그 602 : 제 2셔터 레그
610 : 제 1가동셔터 620 : 제 2가동셔터
630 : 연결부재 700 : 셔터이송부
710 : 제 1셔터이송 영구자석 720 : 제 2셔터이송 영구자석
730 : 셔터이송 전자석 750 : 셔터이송 가이드
751 : 셔터이송레일 753 : 제 1셔터이송롤러
754 : 제 2셔터이송롤러
100 : 공정챔버 110 : 격벽
130 : 증착챔버 150 : 가이드 수용챔버
170 : 게이트밸브 200 : 로드락챔버
300 : 기판이송부 301 : 기판트레이 레그
310 : 기판이송 영구자석 330 : 기판이송 전자석
350 : 기판이송 가이드 351 : 기판이송레일
353 : 기판이송롤러 400 : 소스부
410 : 분사노즐 500 : 차폐커버
510 : 개구부 530 : 제 1커버
550 : 제 2커버 600 : 가동셔터
601 : 제 1셔터 레그 602 : 제 2셔터 레그
610 : 제 1가동셔터 620 : 제 2가동셔터
630 : 연결부재 700 : 셔터이송부
710 : 제 1셔터이송 영구자석 720 : 제 2셔터이송 영구자석
730 : 셔터이송 전자석 750 : 셔터이송 가이드
751 : 셔터이송레일 753 : 제 1셔터이송롤러
754 : 제 2셔터이송롤러
Claims (18)
- 내부로 반입된 기판이 이송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소스부;
상기 소스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착물질이 상기 기판으로향하는 상기 증착물질의 경로가 확보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차폐커버;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 1가동셔터;및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 2가동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증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가동셔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 1가동셔터 또는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기판의 말단이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 이송경로 상의 상기 개구부가 시작되는 개방시점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가 종료되는 폐쇄시점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과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이 상기 개방시점과 상기 폐쇄시점에서 도달함에 따라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이송이 중단되며,
상기 기판의 말단이 상기 폐쇄시점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말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를 이송하는 셔터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이송부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를 각각 개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이송부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를 함께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기판에 대한 증착공정이 수행되는 증착챔버;
상기 증착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기판이송 가이드와 상기 제 1, 2가동셔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셔터이송 가이드가 수용되는 가이드 수용챔버;및
상기 증착챔버와 상기 가이드 수용챔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증착챔버와 상기 가이드 수용챔버는 개별 진공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송 가이드는 상기 증착챔버 내부에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트레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부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증착물질을 선형 분사하며,
상기 차폐커버는
상기 기판에 대면되고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커버;및
상기 제 1커버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커버의 측방으로 분산되는 상기 증착물질을 차폐하는 제 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장치. -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커버의 개구부가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챔버 내부로 반입된 기판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이송되는 기판 이송단계;
상기 챔버 내부로 증착물질이 분사되며, 상기 제 1가동셔터가 상기 기판의 위치에 따라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셔터 개방단계;및
상기 기판이 상기 개구부를 이탈함에 따라 제 2가동셔터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셔터 폐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증착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이송단계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셔터 개방단계는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이 상기 기판의 말단의 상측에 정렬되며,
상기 셔터 폐쇄단계는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 이송경로 상의 상기 개구부가 시작되는 개방시점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가 종료되는 폐쇄시점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기판 이송단계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셔터 개방단계는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과 상기 제 2가동셔터의 선단이 상기 개방시점과 상기 폐쇄시점에 정렬되며,
상기 셔터 폐쇄단계는 상기 기판의 말단이 상기 폐쇄시점에 도달할 때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이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는 상기 기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말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기판 이송단계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셔터 개방단계는 상기 기판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셔터의 말단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며,
상기 셔터 폐쇄단계는 상기 제 1가동셔터와 상기 제 2가동셔터가 상기 기판과 함께 이송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가동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524A KR101499528B1 (ko) | 2013-06-14 | 2013-06-14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524A KR101499528B1 (ko) | 2013-06-14 | 2013-06-14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281A KR20140146281A (ko) | 2014-12-26 |
KR101499528B1 true KR101499528B1 (ko) | 2015-03-10 |
Family
ID=5267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8524A KR101499528B1 (ko) | 2013-06-14 | 2013-06-14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95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124336B4 (de) * | 2016-12-14 | 2022-09-22 | VON ARDENNE Asset GmbH & Co. K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von Substrat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13112A (ja) * | 2005-10-21 | 2007-05-10 | Samsung Sdi Co Ltd | 薄膜蒸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薄膜蒸着方法 |
KR20080102081A (ko) * | 2007-05-18 | 2008-11-24 | 윤종만 | 하향식 선형증발원 |
KR20110016379A (ko) * | 2009-08-10 | 2011-02-17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증착 가림막을 가지는 박막 증착 장치 |
KR20110033664A (ko) * | 2009-09-25 | 2011-03-31 |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 증발챔버의 보호장치 |
-
2013
- 2013-06-14 KR KR1020130068524A patent/KR1014995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13112A (ja) * | 2005-10-21 | 2007-05-10 | Samsung Sdi Co Ltd | 薄膜蒸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薄膜蒸着方法 |
KR20080102081A (ko) * | 2007-05-18 | 2008-11-24 | 윤종만 | 하향식 선형증발원 |
KR20110016379A (ko) * | 2009-08-10 | 2011-02-17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증착 가림막을 가지는 박막 증착 장치 |
KR20110033664A (ko) * | 2009-09-25 | 2011-03-31 |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 증발챔버의 보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281A (ko) | 2014-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1750B1 (ko) | 2 이상의 증발원을 이용한 박막증착장치 | |
KR101213991B1 (ko) | 기판 이송 장치 및 방법 | |
KR20120039944A (ko) | 기판 증착 시스템 및 증착 방법 | |
KR101499528B1 (ko)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
KR101025517B1 (ko) | 기판 이송 스피드 버퍼 챔버를 적용한 선형 증착시스템 | |
KR101499527B1 (ko)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
KR20180051205A (ko) | 증착 장비의 노즐 셔터 겸 클리닝 장치 | |
KR101499525B1 (ko)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
KR101240945B1 (ko) | 박막증착용 도가니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박막증착장비 | |
KR101499526B1 (ko) | 이송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증착장치 | |
TW200952112A (en) | Backside coating prevention device, coating chamber comprising a backside coating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coating | |
KR20120124617A (ko) | 진공증착장치 용 원료가스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진공증착장치 | |
KR101325481B1 (ko) | 패턴 형성이 가능한 증착장치 | |
JP2015137390A (ja) | 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 |
KR101472306B1 (ko) | 박막증착장치 | |
KR20140137963A (ko) |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 |
KR101820016B1 (ko) | 닙롤을 활용한 비접촉 롤투롤 원자 증착 시스템 | |
KR20140145843A (ko) | 증착장치 | |
KR20170057646A (ko) | 각도제한판을 갖는 증착장치 | |
JP5226809B2 (ja) | 成膜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の製造方法 | |
KR200451730Y1 (ko) | 세정장치의 오토셔터 | |
KR101403424B1 (ko) | 압력 보조챔버 및 이를 포함한 증착장비 | |
KR102697790B1 (ko) | 인라인 이송시스템 | |
KR102003310B1 (ko) | 소스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증착장비 | |
KR101502863B1 (ko) | 기판 증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