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79B1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79B1
KR101498979B1 KR1020120076559A KR20120076559A KR101498979B1 KR 101498979 B1 KR101498979 B1 KR 101498979B1 KR 1020120076559 A KR1020120076559 A KR 1020120076559A KR 20120076559 A KR20120076559 A KR 20120076559A KR 101498979 B1 KR101498979 B1 KR 101498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atch
module
smart device
server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706A (ko
Inventor
박백윤
Original Assignee
박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백윤 filed Critical 박백윤
Priority to KR102012007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사들의 개별 스마트기기에 배차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로드하고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배차시간표 등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므로 기사들이 배차시간표 확인을 위해 버스운수업체의 공지사항 게시장소에 일일이 갈 필요가 없고, 기사들이 배차내역과 공지사항을 확인할 때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통해 개별 승인 여부를 체크하기 때문에 운행상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으며, 개별 기사들의 운행실적이 상세하게 조회되므로, 버스운수업체에서는 기사들의 임금 책정시 명확한 근거자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금 수령을 위해 운행확인자료를 제출해야 할 경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보고서 형식의 자료를 제출하면 되므로 번거로움을 피하고 객관성과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배차(공배차) 발생시 일일이 보조기사에게 연락하지 않고도 스마트기기의 긴급공지 메뉴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경쟁배차를 채울 수 있어 버스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등록모듈의 사용자 등록요청에 따라 서버의 등록요청 처리모듈이 수정사항 확인 후 등록처리 또는 삭제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을 포함하는 배차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조회모듈이 금일, 익일, 특정일을 포함한 일자별로 노선, 순번, 차량번호, 출발시간, 승인여부 체크부를 포함한 항목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승인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항목에 대한 승인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Service for managing allocation of cars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사들의 개별 스마트기기에 배차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로드하고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배차시간표 등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므로 기사들이 배차시간표 확인을 위해 버스운수업체의 공지사항 게시장소에 일일이 갈 필요가 없고, 기사들이 배차내역과 공지사항을 확인할 때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통해 개별 승인 여부를 체크하기 때문에 운행상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으며, 개별 기사들의 운행실적이 상세하게 조회되므로, 버스운수업체에서는 기사들의 임금 책정시 명확한 근거자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금 수령을 위해 운행확인자료를 제출해야 할 경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보고서 형식의 자료를 제출하면 되므로 번거로움을 피하고 객관성과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배차(공배차) 발생시 일일이 보조기사에게 연락하지 않고도 스마트기기의 긴급공지 메뉴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경쟁배차를 채울 수 있어 버스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와 지하철은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지하철의 경우 상대적으로 정확한 운행간격과 정시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철은 운행되는 구간이 제한적이고 외부 경치를 볼 수 없다는 특징이 있어 버스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버스운수업체에서는 각 노선별 배차시간표를 작성하고 해당 노선에 기사들을 배치시키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작업은 워드프로세스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버스운수업체의 관리부 등에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배차시간표의 작성이 끝나면 이를 버스운수업체 내의 특정 장소에 공지사항으로 붙여 놓고 기사들이 일일이 확인하는 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기사들은 배차시간표 확인을 위해 반드시 버스운수업체의 특정 장소에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사들이 공지사항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거나 착오를 일으킨 경우, 운행상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책임소재가 분명치 않아 사소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한편, 버스운수업체에서 기사들에게 임금을 제공할 때 기사들의 운행실적에 따라 차등화된 임금이 제공된다. 따라서, 버스운수업체에서는 주기적으로 기사들의 운행실적을 확인하여 집계하여야 하며, 이는 여간 복잡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버스운수업체의 노선별 운행실적에 따라 보조금 등을 지급하고 있고, 정책상 버스운수업체에게 운행확인자료를 주기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현재까지 버스운수업계에서는 임의의 양식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운행실적을 입력하여 집계한 자료를 지방자치단체에 제출하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서류상의 숫자와 실제 운행내역을 일일이 대조하는 작업이 어려워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버스운수업체에서 배차시간표를 공지한 후 배차시간표대로 운행을 하다보면 특정 노선에 배당된 기사에게 피치 못할 사정 등으로 유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버스운수업체에서는 보조기사를 확보하고 있다. 담당기사에게 유고발생시 보조기사에게 긴급하게 연락하여 일정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일정을 변경하는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적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득이 버스운행에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
버스승객의 입장에서는 버스의 특성상 배차간격이 일정치 않고, 본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승강장에 어느 시각에 어떤 간격으로 버스가 도착할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물론,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버스승강장에 노선별 남은 도착시간 등을 알려주는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남은 시간만 알려줄 뿐 더 이상의 정보는 얻을 수 없으며, 버스운수업체에서 배차하는 실제 상황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는 버스의 배차가 배차시간표 확인 등 수동으로 이루어져 특정 노선버스가 운행을 쉬고 있는 대기시간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데 일정 정도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버스의 경우에도 승객들이 지하철과 같이 배차간격과 도착시간 전체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도록 배차정보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기사들이 배차시간표 확인을 위해 버스운수업체의 공지사항 게시장소에 일일이 갈 필요가 없고, 운행상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으며, 버스운수업체에서는 기사들의 임금 책정시 명확한 근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금 수령을 위해 운행확인자료를 제출해야 할 경우 객관적이고 신뢰도높은 자료를 제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배차(공배차) 발생시 버스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a)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등록모듈의 사용자 등록요청에 따라 서버의 등록요청 처리모듈이 수정사항 확인 후 등록처리 또는 삭제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을 포함하는 배차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조회모듈이 금일, 익일, 특정일을 포함한 일자별로 노선, 순번, 차량번호, 출발시간, 승인여부 체크부를 포함한 항목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승인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항목에 대한 승인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누락되거나 형식에 맞지 않거나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의 자동 오류검사모듈이 오류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운행실적 조회모듈이 지정된 기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운행실적을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을 포함한 항목으로 조회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운행실적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서브모듈이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서브모듈이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배차현황 조회 및 수정모듈이 상기 (b)단계의 배차리스트 중 기 지정된 기사 대신 다른 기사를 지정해야 할 경우 해당 배차를 경쟁배차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경쟁배차 조회모듈이 경쟁배차로 설정된 리스트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할당요청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 할당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선착순에 의해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 할당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사들의 개별 스마트기기에 배차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로드함으로써, 배차시간표 등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므로 기사들이 배차시간표 확인을 위해 버스운수업체의 공지사항 게시장소에 일일이 갈 필요가 없고, 기사들이 배차내역과 공지사항을 확인할 때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통해 개별 승인 여부를 체크하기 때문에 운행상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기사들의 운행실적이 상세하게 조회되므로, 버스운수업체에서는 기사들의 임금 책정시 명확한 근거자료로 쉽게 활용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금 수령을 위해 운행확인자료를 제출해야 할 경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보고서 형식의 자료를 제출하면 되므로 번거로움을 피하고 객관성과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쟁배차(공배차) 발생시 일일이 보조기사에게 연락하지 않고도 스마트기기의 긴급공지 메뉴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경쟁배차를 채울 수 있어 버스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3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와 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마트기기로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배차관리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에는 배차관리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로드된다.
스마트기기(100)는 사용자 등록모듈(102), 배차내역 조회모듈(104), 배차내역 승인모듈(106), 운행실적 조회모듈(108), 운행실적 디스플레이모듈(110), 경쟁배차 조회모듈(112), 할당요청모듈(114), 공지사항 검색모듈(116), 공지내용 확인모듈(118), 및 긴급공지 확인모듈(120)을 포함한다.
사용자 등록모듈(102)은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 또는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 고유 ID인 경우 사용자등록을 수행한다.
배차내역 조회모듈(104)은 금일, 익일, 특정일을 포함한 일자별로 노선, 순번, 차량번호, 출발시간, 승인여부 체크부를 포함한 항목을 조회하여 스마트기기(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배차내역 승인모듈(106)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차내역 조회 항목에 대한 승인여부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운행실적 조회모듈(108)은 지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운행실적을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을 포함한 항목으로 조회한다.
운행실적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조회된 운행실적을 스마트기기(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표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모듈과,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경쟁배차 조회모듈(112)은 경쟁배차(공배차)로 설정된 리스트를 조회하여 스마트기기(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할당요청모듈(114)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할당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
공지사항 검색모듈(116)은 서버(200)에 등록된 일반 공지내역을 검색하여 리스트를 보여주고, 공지내용 확인모듈(118)은 해당 리스트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사가 소속된 운수업체에서 경쟁배차가 발생하거나, 지정된 배차의 변경 등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사의 스마트기기(100)로 SMS 문자 등의 형태로 긴급공지가 발송되며, 긴급공지 확인모듈(120)은 이를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200)는 등록요청 처리모듈(202), 배차등록모듈(204), 배차현황 조회모듈(206), 배차현황 저장모듈(208), 보고서 작성모듈(210), 공지관리모듈(212), 및 직원관리모듈(214)을 포함한다.
등록요청 처리모듈(202)은 스마트기기(100)의 사용자 등록모듈(102)의 사용자 등록요청이 있을 경우, 수정사항 확인 후 등록처리 또는 삭제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배차등록모듈(204)은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을 포함하는 배차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코드는 각 기사의 단말기 고유 ID를 의미하며, 각 기사를 부호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배차현황 조회 및 수정모듈(206)은 배차리스트 중 기 지정된 기사 대신 다른 기사를 지정해야 할 경우 해당 배차를 경쟁배차로 변경한다.
배차현황 저장모듈(208)은 배차현황 조회 및 수정모듈(206)에 의해 수정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보고서 작성모듈(21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분석하여 해당일의 배차이력에 대한 종합내역, 노선별 배차표, 노선별 배차수 등을 그래프와 표를 포함한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저장한다.
공지관리모듈(212)은 공지내역을 조회하고 경쟁배차, 승인배차 수정 등의 긴급상황발생시 이를 종류별로 SMS 문자 등을 이용하여 공지한다.
직원관리모듈(214)은 등록된 직원에 대한 직원구분, 스마트기기의 앱 사용여부, 기타 조건에 따라 조회하고, 직원 관련 각종 사항에 대한 수정과 삭제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S10 단계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등록모듈이 사용자 등록요청에 따라 서버의 등록요청 처리모듈이 수정사항 확인 후 등록처리 또는 삭제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단계이다(도 3 내지 도 8 참조).
도 3은 앱실행 과정으로, 스마트기기의 버스배차관리 시스템 앱을 실행하고,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 또는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 고유ID의 경우 등록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도 4는 사용등록 과정으로, 미등록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기사)의 사용등록화면이다. 도 5는 직원관리 앱 등록요청 처리과정으로, 앱 등록요청 리스트를 조회하여 해당자를 더블클릭하고, 수정사항없이 바로 등록시에는 바로등록, 수정하여 등록시 수정등록을 클릭하고, 신청내역 삭제시에는 삭제를 클릭한다.
도 6은 직원등록에 관한 앱 등록요청 처리시 바로등록에 관한 것으로, 바로등록을 클릭하면 최종 확인창이 뜨고, "예"를 클릭하면 직원로그인 데이터베이스로 이동 저장된다. 도 7은 직원등록에 관한 앱 등록요청 처리시 수정등록에 관한 것으로, 수정등록을 클릭하면 등록요청자의 신청내역이 나오고, 수정하여 확인을 클릭하면 수정된 내용대로 직원로그인 데이터베이스로 이동 저장된다. 도 8은 직원등록에 관한 앱 등록요청 처리시 삭제에 관한 것으로, 삭제를 클릭하면 최종 확인창이 뜨고, "예"를 클릭하면 등록요청자의 신청내역이 삭제된다.
S20 단계는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을 포함하는 배차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배차등록단계이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배차등록단계에서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누락되거나 형식에 맞지 않거나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의 자동 오류검사모듈이 오류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9는 서버관리자의 배차등록 과정으로, 배차리스트 등록을 위한 엑셀 파일 등을 선택 지정하는 화면이다. 도 10은 로드된 엑셀 배차자료 뷰어 과정으로, 대상 엑셀파일 내용뷰어 창을 통해 배차리스트에 이상이 있는지 자동 오류확인과정을 거치고, 이상이 없을 시에는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리스트를 저장한다. 도 11은 로드된 엑셀 배차자료의 오류리스트 확인 과정으로, 뷰어창의 데이터 오류검사 버튼을 누르면 오류부분을 검사하여 오류리스트를 만들어주고, 이를 오류내역 확인 버튼을 눌러 내역창을 통해 확인한다. 이렇게 확인된 내역을 참고로 각 항목을 수정한다.
S30 단계는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조회모듈이 금일, 익일, 특정일을 포함한 일자별로 노선, 순번, 차량번호, 출발시간, 승인여부 체크부를 포함한 항목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배차내역조회 단계이다. S40 단계는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승인모듈이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항목에 대한 승인여부를 서버로 전송하는 배차내역승인 단계이다(도 12 내지 도 14 참조).
도 12는 개별기사의 앱 로그인 과정으로, 사용승인된 전화번호와 단말기 ID를 통해 로그인하여 주 메뉴 등을 확인한다. 도 13은 개별기사의 배차조회 과정으로, 배차조회 버튼을 누른 후 열리는 화면에서 금일, 익일, 특정일을 지정하여 본인에게 할당된 배차내역을 조회한다. 확인 부분의 미체크리스트는 본인이 배차내역을 미승인한 것을 나타내고, 승인하기 위해서는 확인 부분의 체크항목을 클릭하면 된다. 도 14는 개별기사의 배차승인 과정으로, 배차승인을 위해서는 본인이 지정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배차 승인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한다.
S50 단계는 스마트기기의 운행실적 조회모듈이 지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운행실적을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을 포함한 항목으로 조회하고, 스마트기기의 운행실적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서브모듈이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서브모듈이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는 운행실적조회 단계이다(도 15 내지 도 18 참조).
도 15는 개별기사의 운행실적 조회 과정으로, 메인 메뉴의 운행실적을 누르면 본 기능창이 활성화되며, 기간을 지정하고 조회를 누르면 본인이 승인한 기간내의 운행이력이 조회된다. 도 16은 개별기사의 운행실적 보기방식 선택 과정으로, 운행실적 조회창에서 단말기의 메뉴버튼을 누르면 "표로 보기"와 "그래프로 보기" 메뉴가 나타난다. 도 17은 개별기사의 운행실적 표로 보기 과정으로, 일자별 운행회수를 표로 표시한다. 도 18은 개별기사의 운행실적 그래프로 보기 과정으로, 일자별 운행회수를 그래프로 표시한다.
S60 단계는 서버의 배차현황 조회 및 수정모듈이 배차등록단계(S20)의 배차리스트 중 기 지정된 기사 대신 다른 기사를 지정해야 할 경우 해당 배차를 경쟁배차로 변경하고, 스마트기기의 경쟁배차 조회모듈이 경쟁배차로 설정된 리스트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배차현황 조회 및 배차종류변경 단계이다(도 19 참조).
도 19는 개별기사의 경쟁배차 리스트 확인 과정으로, 해당기사가 소속된 회사의 기존 배차리스트 중, 특별한 사유로 인해 기 지정된 기사 대신 다른 기사를 지정해야 할 경우 해당 배차를 경쟁배차(공배차)로 설정하고, 이를 소속 기사들이 공통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S70 단계 및 S80 단계는 스마트기기의 할당요청모듈이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 할당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선착순에 의해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 할당요청을 승인하는 할당요청 및 할당요청 승인단계이다(도 20 참조).
도 20은 경쟁배차 배차요청 과정으로, 경쟁배차로 뜬 내역을 본인에게 할당 요청을 할 경우 클릭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경쟁배차지정은 선착순에 의해 배정이 되므로, 신청을 해도 배차지정이 안 될 수도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일반공지 확인에 관한 것이다.
도 21은 일반공지 확인과정으로, 메인 메뉴의 공지사항을 선택하면 소속 회사에서 등록한 일반공지 내역을 확인한다. 중요 공지는 적색 등으로 표시하여 기사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일반공지 내용확인 과정으로, 해당 리스트 클릭시 공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스마트기기를 통한 긴급공지 확인과정으로, 메인 메뉴의 긴급공지를 선택하면 소속 회사에서 경쟁배차 발생이나, 지정된 배차의 변경 등 긴급상황 발생시 SMS 문자 등의 형태로 긴급공지가 발송되며, 해당하는 SMS 문자만 리스트로 보여준다.
도 24는 프로그램 정보확인 및 지원센터 전화연결 과정으로, 메인 메뉴의 프로그램정보를 선택하면 프로그램 정보, 기본 도움말이 수록되어 있고, 하단의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지원센터로 전화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25 내지 도 32는 서버관리자의 배차리스트 관리에 관한 것이다.
도 25는 조건별 배차리스트 조회 과정으로, 노선, 차량, 승인여부, 기사명, 전화번호, 코드 등의 검색조건과 기간을 설정하여 배차현황을 조회한다. 도 26은 배차리스트 더블클릭 과정으로, 배차조회 리스트 중 특정 항목을 더블클릭시 수정, 삭제, 경쟁배차 지정가능한 창이 나타난다.
도 27은 배차리스트 항목수정 과정으로, 배차관리 더블클릭 메뉴에서 수정을 선택하면 기존 내용이 팝업차응로 나타나고 각 내용들을 수정가능하다. 노선번호, 차량번호, 코드, 기사명 등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 중 선택 방식으로 수정가능하고, 일자와 시간은 바로 수정가능하다. 승인된 내역이 수정되면, 해당 기사에게 긴급공지 SMS 문자를 전송한다.
도 28은 배차리스트 삭제 과정으로, 배차관리 더블클릭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선택 항목을 삭제할지 최종 확인한다. 도 29는 배차리스트 경쟁배차 과정으로, 배차관리 더블클릭 메뉴에서 경쟁배차를 선택하면 경쟁배차로 지정할 지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경쟁배차로 변경시 소속기사들에게 SMS 단체문자가 발송되고, 기 지정 기사에게 지정해제 SMS 문자가 발송된다.
도 30은 배차리스트 경쟁배차 결과 과정으로, 경쟁배차로 지정완료되면, 기 지정된 기사정보가 삭제되고 진행상태가 경쟁배차로 변경된다. 공개 배차 진행결과 선착순 배차 승인되면 지정된 기사로 데이터가 수정된다.
도 31은 배차리스트 엑셀저장 과정으로, 리스트된 내역을 엑셀로 저장한다.
도 32는 배차리스트 보고서 저장 과정으로, 리스트된 내역을 분석하여 해당 일의 배차이력에 대한 종합내역, 노선별 배차표, 노선별 배차수를 그래프와 표를 포함한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보고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운행실적 확인요청 또는 해당 기사의 임금책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서버 관리자의 공지관리에 관한 것이다.
도 33은 일반공지 리스트 조회 과정으로, 일반공지 조회시 공지 내역이 리스트되고 일반공지 리스트 우측은 일반공지 등록을 위한 입력구역에 해당한다. 하단의 긴급문자설정은 경쟁배차, 승인배차 수정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종류별 문자내용과 대상을 지정한다. 도 34는 일반공지 내용보기 과정으로, 일반공지 내역 클릭시 해당 건에 대한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다. 삭제 버튼을 클릭시 해당 내역이 삭제된다.
도 35 내지 도 41은 서버 관리자의 직원관리에 관한 것이다.
도 35는 직원관리에서 조회 과정으로, 등록된 직원에 대한 직원구분, 앱 사용여부, 기타 조건에 따른 조회를 수행한다. 도 36은 직원관리에서 리스트 더블클릭 과정으로, 선택 직원 더블클릭시 메뉴 수정,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7은 직원관리에서 직원현황 수정 과정으로, 수정창 팝업이 뜨면 성명, 코드, 전화번호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도 38은 직원관리에서 삭제 과정으로, 선택 직원에 대한 삭제를 확인하며 직원의 퇴사나 기타 사유로 삭제가 필요한 경우에 실행된다. 도 39는 직원관리에서 우클릭 메뉴로 엑셀 형태 저장 과정으로, 등록직원 리스트가 엑셀파일 등의 형태로 저장된다.
도 40은 직원관리에서 앱 등록요청 더블클릭 메뉴 과정으로, 기사들이 앱사용 등록을 요청한 내역이 조회되며, 더블클릭시 바로등록, 수정등록, 삭제 등의 팝업 메뉴가 나타난다. 도 41은 직원관리에서 앱 미사용 직원 수동등록 과정으로, 직원관리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다. 앱 미사용 직원의 수동등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기기 200 - 서버

Claims (5)

  1. (a)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등록모듈의 사용자 등록요청에 따라 서버의 등록요청 처리모듈이 수정사항 확인 후 등록처리 또는 삭제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을 포함하는 배차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조회모듈이 금일, 익일, 특정일을 포함한 일자별로 노선, 순번, 차량번호, 출발시간, 승인여부 체크부를 포함한 항목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차내역 승인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항목에 대한 승인여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배차등록모듈이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 코드, 배차기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누락되거나 형식에 맞지 않거나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의 자동 오류검사모듈이 오류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운행실적 조회모듈이 지정된 기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운행실적을 노선, 순번, 차량번호, 일자, 출발시간을 포함한 항목으로 조회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운행실적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서브모듈이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서브모듈이 운행일자별 운행회수를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의 배차현황 조회 및 수정모듈이 상기 (b)단계의 배차리스트 중 기 지정된 기사 대신 다른 기사를 지정해야 할 경우 해당 배차를 경쟁배차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경쟁배차 조회모듈이 경쟁배차로 설정된 리스트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할당요청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 할당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선착순에 의해 경쟁배차에 대한 배차 할당요청을 승인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공지사항 검색모듈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일반 공지내역을 검색하여 리스트를 보여주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공지내용 확인모듈이 해당 리스트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기사가 소속된 운수업체에서 경쟁배차가 발생하거나 지정된 배차의 변경을 포함한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사의 스마트기기로 긴급공지가 발송되고, 긴급공지 확인모듈이 상기 긴급공지를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버의 보고서 작성모듈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분석하여 해당일의 배차이력에 대한 종합내역, 노선별 배차표, 노선별 배차수 등의 정보를 그래프와 표를 포함한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서버의 공지관리모듈이 공지내역을 조회하고 경쟁배차, 승인배차 수정을 포함한 긴급상황 발생시 종류별로 공지하되, 일반공지 조회시 공지 내역이 리스트되고 일반공지 리스트 우측은 일반공지 등록을 위한 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서버의 직원관리모듈이 등록된 직원에 대한 직원구분,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 사용여부를 포함한 조건에 따라 조회하고, 리스트 더블클릭 과정에서 선택 직원 더블클릭시 메뉴수정과 삭제가 가능하며, 앱 등록요청 더블클릭 메뉴 과정에 따라 기사들이 앱사용 등록을 요청한 내역이 조회되고 더블클릭시 바로등록, 수정등록, 삭제를 포함한 팝업 메뉴가 나타나며, 앱 미사용 직원 수동등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76559A 2012-07-13 2012-07-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1498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559A KR101498979B1 (ko) 2012-07-13 2012-07-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559A KR101498979B1 (ko) 2012-07-13 2012-07-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06A KR20140015706A (ko) 2014-02-07
KR101498979B1 true KR101498979B1 (ko) 2015-03-06

Family

ID=5026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559A KR101498979B1 (ko) 2012-07-13 2012-07-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230B1 (ko) * 2015-05-04 2017-01-09 (주)델타온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102500445B1 (ko) * 2015-06-04 2023-02-17 (주)이아이랩 운행 일지 자동 생성 기능을 갖는 운행 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890A (ko) * 1999-12-08 2001-07-02 이계철 실시간 운행상태정보와 배차정보에 기반한 운행일지자동생성 방법
JP2005138951A (ja) * 2003-11-06 2005-06-02 Wakio Kiryu 集配送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集配送スケジュール管理用サーバー、実行プログラム
KR20060094398A (ko) * 2005-02-24 2006-08-29 청주 상공회의소 모바일을 이용한 공차 또는 화물 등록 시스템 및 그 등록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890A (ko) * 1999-12-08 2001-07-02 이계철 실시간 운행상태정보와 배차정보에 기반한 운행일지자동생성 방법
JP2005138951A (ja) * 2003-11-06 2005-06-02 Wakio Kiryu 集配送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集配送スケジュール管理用サーバー、実行プログラム
KR20060094398A (ko) * 2005-02-24 2006-08-29 청주 상공회의소 모바일을 이용한 공차 또는 화물 등록 시스템 및 그 등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06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3656B2 (en) Informed mobility platform for an item processing supervisor or user within a distribution facility
US20190188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job assignment information to a user
US8990101B2 (en) Customizable situational awareness dashboard and aler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10040595A1 (en) Real-time service management and dispatch system
JP4396212B2 (ja) 作業担当者支援方法
US201200894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opulating job assignment submissions
US201202716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y Management and Maintenance Tracking
US11836772B2 (en) Equipment staging application and platform
AU2008200156A1 (en) Common carrier system
US20230178228A1 (e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Generating Work Assignments
US20220101235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KR101723767B1 (ko)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기반의 통합 전자결재 시스템 및 방법
JP2007102433A (ja) 車両修理作業管理装置、車両修理作業管理方法、車両修理作業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JP5443647B2 (ja) 住宅情報グローバル・システム
KR101498979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US8878686B2 (en) Maintainer spotlighting
JP2012128593A (ja) 車両運行計画作成装置
KR20210147784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배차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2117348B1 (ko) 렌트카 직원 스케줄 관리 시스템
JP2014178833A (ja) 情報処理装置、サポートシステム、サポー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Vorakulpipat et al. TANDOORI: A Passive Customer-Centric and Truly End-to-End Approach using e-KYC and Location-based Positioning for Logistics Services
JP4595723B2 (ja) 警備管制システム
US11842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teractive roadmap portal
CA3101135A1 (en) A system for requesting a service and obtaining customers
JP2023155809A (ja) 配送業務受託サービス用サーバ及び配送業務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