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465B1 - 차량용 범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465B1
KR101498465B1 KR1020080103174A KR20080103174A KR101498465B1 KR 101498465 B1 KR101498465 B1 KR 101498465B1 KR 1020080103174 A KR1020080103174 A KR 1020080103174A KR 20080103174 A KR20080103174 A KR 20080103174A KR 101498465 B1 KR101498465 B1 KR 10149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mper
connecting piece
block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915A (ko
Inventor
나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4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9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mprising a multiplicity of identical adjacent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사고 시에 차량 내부의 탑승자 및 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피해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빔; 상기 블록을 프론트 엔드 모듈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부; 및 상기 블록들을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빔이 소정치 이상 절곡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차량, 자동차, 범퍼, 범퍼커버, 빔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BUMP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사고 시에 차량 내부의 탑승자 및 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피해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빔(7)과, 빔(7)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외면을 이루는 범퍼커버(3)와, 빔(7)과 범퍼커버(3)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5)를 포함한다.
여기서, 완충부재(5)는 발포수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탄성이 부여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범퍼커버(3)에 외력이 가해지면 완충부재(5)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범퍼커버(3)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탄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소정치 이하의 작은 외력이 범퍼커버(3)에 가해졌을 때에는 범퍼커버(3)가 변형되고, 완충 부재(5)가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충격이 흡수된다.
소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범퍼커버(3)가 파손되고, 완충부재(5)가 압축되면서 1차 완충이 이루어지고, 범퍼커버(3)가 파손된 후에도 외력이 작용하면 빔(7)에 의해 외력에 의한 충격이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므로 2차 완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범퍼커버 내부에 금속재질의 빔이 설치되기 때문에 주행 중인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되었을 때에는 보행자에 대해 빔이 강체로 작용되어 보행자의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빔; 상기 블록을 프론트 엔드 모듈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부; 및 상기 블록들을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빔이 소정치 이상 절곡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에 결합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상기 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한부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연결편;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연결편; 상기 제1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연결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구비 되어 상기 제2연결편의 유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다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빔이 구비되어 차량 충돌 시에 블록 사이의 연결부위가 절곡되면서 완충작용을 행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빔을 이루는 블록의 연결부위에 블록이 소정치 이상 절곡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부가 구비됨으로써, 차량 사고 시에 보행자가 아닌 다른 차량이나 구조물에 충돌되어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면 빔의 절곡을 제한하여 충돌 대상물에 빔이 강체로 작용되도록 하므로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차량 내부의 부품 및 탑승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빔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제한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빔 연결부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제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내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다수 개의 블록(52)으로 이루어지는 빔(50)과, 블록(52)을 프론트 엔드 모듈(미도시)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부(70)와, 블록(52)들을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고, 빔(50)이 소정치 이상 절곡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부(80)를 포함한다.
이로써, 차량 충돌 시에 범퍼커버(3 : 도 1 참조)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다수 개의 블록(52)으로 이루어지는 빔(50)이 블록(52)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하면서 차량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므로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빔(50)의 양측 단부와 프론트 엔드 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70)에 의해 빔의 양측 단부가 소정량 회전되므로 빔(50)의 양측 단부는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량 돌출되고, 빔(50)의 중앙부는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완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완충작동에 의해 충돌 대상물로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되므로 차량과 보행자가 충돌되었을 때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구조물에 충돌되어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범퍼에 가해지면 블록(52)들 사이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빔(50)의 중앙부가 차량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다가 빔(50)이 소정치 이상 절곡되면 제한부(80)에 의해 빔(50)의 절곡이 억제되어 빔(50)은 충돌 대상물에 대하여 강체로 작용된다.
이로써, 다수 개의 블록(52) 및 제한부(80)를 포함하는 빔(50)은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지지하는 강체의 역할을 행하게 되므로 차량 내부의 부품 및 탑승자의 피해를 줄 수 있게 된다.
고정부(70)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결합되는 고정편(72)과, 고정편(72)과 블록(52)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편(74)을 포함한다.
고정편(72)은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에 결합되는 편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편(72)의 외측 단부와 빔(50) 사이에 경첩과 같은 회전편(74)이 구비되므로 회전편(74)에 구비되는 회전축(76)을 중심으로 블록(52)은 소정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한부(80)는 블록(5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연결편(82)과, 블록(52)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연결편(84)과, 제1연결편(8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연결편(8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일(86)과, 레일(86)에 구비되어 제2연결편(84)의 유동을 제한하는 스토퍼(88)를 포함한다.
차량 충돌이 발생되어 블록(52)과 블록(52) 사이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빔(50)이 절곡되면 제2연결편(84)이 레일(86)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연결편(82)과 제2연결편(84)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빔(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소정치 이상일 때는 빔(50)의 절곡이 진행되어 제2연결편(84)의 유동이 계속되면 제2연결편(84)과 스토퍼(88)가 충돌되면서 제2연결편(84)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편(82)과 제2연결편(84) 사이의 거리는 더 이상 멀어지지 않고, 빔(50)의 절곡 또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되므로 빔(50)은 충돌 대상물에 대해 강체 역할을 행하게 되므로 차량 내부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억하게 된다.
제한부(80)는 제1연결편(82)과 제2연결편(84)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89)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완충작동이 종료된 후에는 탄성부재(89)의 복원력에 의해 절곡되었던 빔(50)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차량의 범퍼커버(3)나 완충부재(5 : 도 1 참조)가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빔(50)이 절곡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보행자의 피해를 줄임과 동시에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주행 중에 보행자와 충돌될 때에는 빔(50)의 양측 단부가 회전편(74)의 회전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블록(52)과 블록(52) 사이의 연결부위가 절곡되므로 빔(50)이 충돌 대상물에 대하여 강체로 작용되지 않아 보행자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제2연결편(84)은 레일(86)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탄성부재(89)가 인장되면서 블록(52)과 블록(52)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빔(50)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완충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탄성부재(89)의 복원력에 의해 제1연결편(82)과 제2연결편(84) 사이의 거리가 원상태로 가까워지게 되므로 빔(50)을 이루는 블록(52)이 회전축(76)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빔(50)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차량 주행 중에 다른 차량이나 구조물에 충돌되어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범퍼에 가해지면 충돌 초기에 상기한 바와 같은 완충작동이 진행되지만 빔(50)의 절곡이 계속 진행되어 제2연결편(84)이 스토퍼(88)와 충돌되면 제2연결편(84)의 유동이 구속되므로 제1연결편(82)과 제2연결편(84) 사이의 거리는 더 이상 멀어지지 않게 되어 빔(50)의 절곡이 중단된다.
이로써, 절곡이 중단된 빔(50)은 충돌 대상물에 대해 강체로 작용되면서 범퍼를 통해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이 빔(50)에 의해 지지되어 차량 내부의 부품 이나 탑승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 충돌 시에 보행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범퍼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범퍼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빔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제한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빔 연결부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제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빔 52 : 블록
70 : 고정부 72 : 고정편
74 : 회전편 80 : 제한부
82 : 제1연결편 84 : 제2연결편

Claims (4)

  1. 다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빔;
    상기 블록을 프론트 엔드 모듈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부; 및
    상기 블록들을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빔이 소정치 이상 절곡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연결편;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연결편;
    상기 제1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연결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편의 유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에 결합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상기 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KR1020080103174A 2008-10-21 2008-10-21 차량용 범퍼 KR10149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74A KR101498465B1 (ko) 2008-10-21 2008-10-21 차량용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74A KR101498465B1 (ko) 2008-10-21 2008-10-21 차량용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15A KR20100043915A (ko) 2010-04-29
KR101498465B1 true KR101498465B1 (ko) 2015-03-04

Family

ID=4221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74A KR101498465B1 (ko) 2008-10-21 2008-10-21 차량용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4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037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차량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는 범퍼와 충격완화장치
KR100229267B1 (ko) * 1996-12-03 1999-11-01 정몽규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20000037052A (ko) * 2000-04-06 2000-07-05 노수업 자동차용 안전범퍼
KR20020055669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267B1 (ko) * 1996-12-03 1999-11-01 정몽규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19980048037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차량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는 범퍼와 충격완화장치
KR20000037052A (ko) * 2000-04-06 2000-07-05 노수업 자동차용 안전범퍼
KR20020055669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완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15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KR100974748B1 (ko) 자동차의 범퍼 백빔 구조
KR101416387B1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063397B1 (ko) 차량용 에너지 업서버
US10850773B2 (en) Chassis for a motor vehicle
KR20120010500A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장치
KR20100060135A (ko) 저속충돌 대응을 위한 범퍼의 백빔 보강구조
KR101498465B1 (ko) 차량용 범퍼
KR20130136302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20120029947A (ko) 차량용 완충장치
KR100242054B1 (ko) 차량용 범퍼 지지장치
KR102350011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범퍼 스테이
KR102002309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빔
KR20160069853A (ko) 자동차의 범퍼
KR102315841B1 (ko) 다중 차량추돌 완충장치
KR101354097B1 (ko) 범퍼 백빔 보강장치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20090112796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20220087236A (ko) 차량용 범퍼 빔
KR100542103B1 (ko) 차량의 범퍼 지지구조
KR100441448B1 (ko) 자동차의 시간차 충격흡수 장치
KR0136868Y1 (ko) 충격흡수 가능한 리어범퍼의 린포스먼트
KR100189360B1 (ko)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100851846B1 (ko) 범퍼 빔 및 범퍼 빔 어셈블리
KR20100050944A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