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8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8287B1 KR101498287B1 KR1020080057395A KR20080057395A KR101498287B1 KR 101498287 B1 KR101498287 B1 KR 101498287B1 KR 1020080057395 A KR1020080057395 A KR 1020080057395A KR 20080057395 A KR20080057395 A KR 20080057395A KR 101498287 B1 KR101498287 B1 KR 1014982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ocket housing
- pair
- terminal group
- locking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베이스 하우징(3)은 2개의 제1 단자(2)를 지지한다. 소켓 하우징(5)은 2개의 제2 단자(4)를 지지하여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다. 걸어멈춤요소(6)는 관통하도록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삽입된다. 2개의 제2 단자(4)는 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을 가지고, 이들은, 통전시에 있어서, 그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다.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6)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6)와 베이스 하우징(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된다. 또, 걸어멈춤요소(6)는 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과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걸어멈춤요소를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의 예가, 일본국 특개평10-172649호 공보(문헌 1) 및 일본국 특개2002-3243638호 공보(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의 수컷 커넥터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에 수용된 2개의 핀 컨택트의 각각이 접촉핀부와 리드부를 가진다. 여기서, 접촉핀부는 하우징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하우징의 개구부로 향하여 돌출한다. 또, 리드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된다.
또, 문헌 1의 수컷 커넥터의 개구부에는 암컷 커넥터가 삽입된다. 수컷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또, 2개의 리드부의 각각은 가로방향으로, 또한, 서로 외측의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하고 있고, 그 2개의 납땜부분의 간격은 2개의 접촉핀부의 간격보다 크다. 격벽은 양접촉핀부의 중간에 배치되고, 또한, 양접촉핀부의 선단보다 길게 돌출해 있다.
한편, 문헌 1에 있어서, 암컷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은 양다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컷 커넥터의 격벽에 결합하는 노치(notch)부를 가진다. 또, 절연 하우징은 수컷 커넥터의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된 걸림부에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수단 을 가지고 있다. 절연 하우징은 2개의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는 2개의 소켓 컨택트를 수용한다. 이와 같은 수컷 커넥터 및 암컷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컨택트 사이의 연면(沿面)거리(creepage distance) 및 공간거리(clearance)가 커지므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문헌 2의 커넥터는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와, 단락(短絡)요소와, 제2 구성요소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는 걸어멈춤요소를 구비한다. 제1 구성요소는 제1 전기커넥터요소를 지지한다. 제2 구성요소는 제1 전기커넥터요소에 접속되는 제2 전기커넥터요소를 지지한다. 단락요소는 제1 구성요소에 장착되어 제1 전기커넥터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킨다. 걸어멈춤요소는 제2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에 삽입되면, 단락요소를 비단락위치까지 퇴피시키고, 또한, 제1 구성요소에 대해서 결합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걸어멈춤요소가 제1 구성요소에 대해서 결합하면,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의 분리가 저지된다.
문헌 1의 커넥터에는 걸어멈충돌기와 걸어멈춤홈이 형성되고, 결합시의 클릭감(感)(접속시의 감촉, 소리 등)에 의해서 끼워맞춤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커넥터에 있어서는, 보다 용이하게, 또, 보다 확실하게 끼워맞춤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액정패널의 인버터 기판에 있어서는 최근의 액정패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그 인가전압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 액정패널의 인버터 기판 등에 사용되는 전원접속용의 커넥터는 2극형(2極型)(또는, 실질적으로 2극형)이다. 그리고, 한쪽의 전극이 전원용 전선(핫 라인)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전극은 접지전위(接地電位)로 하기 위해서 그라운드용 전선(콜드 라인)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전원접속용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전극 사이에 큰 전위차가 생기는 일이 있어,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100v의 (최대)전위차마다 간격 1㎜"라고 하는 것과 같이, 최대가 되는 전위차의 크기에 따라 전극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의 최대의 전위차가 커지는 만큼 전극 사이의 거리는 길어지기 때문에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가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문헌 2의 커넥터는 2극형이고, 걸어멈춤요소는 2개의 전기단자 및 2개의 핀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2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가 이용되고 있을 리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입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복수의 제1 단자를 지지하여 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2 단자를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삽입되는 걸어멈춤요소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상기 소켓 하우징이 끼워 들어가면,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 단자를 포함한 제1 단자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단자를 포함한 제2 단자그룹을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제1 단자그룹 및 상기 제2 단자그룹의 각각은 통전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그룹 및 상기 제2 단자그룹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高)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고, 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며,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걸어멈춤요소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 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동 가능해지며, 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제1 단자그룹과 상기 제2 단자그룹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 하우징이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와 베이스 하우징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걸어멈춤요소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걸어멈춤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인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멈춤요소는 복수의 제2 단자에 있어서의 제1 단자그룹과 제2 단자그룹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2극형의 커넥터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가 전극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전압의 인가가 필요한 기판에 이용되는 전원접속용의 커넥터에 있어서, 넓어진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2극 사이의 최대 전위차가 큰 경우에는 전극 사이는 절연되고 있을 필요가 있고, 그것에 관하여 2극 사이에 있어서의 전류의 전달거리는 긴 것이 좋다. 그래서, 이 구성에 의하면, 우선, 걸어멈춤요소를 절연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그 걸어멈춤요소를 전극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걸어멈춤요소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절연성능은 확보된다. 또한, 걸어멈춤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삽 입구멍을 하우징에 형성하고, 거기에 걸어멈춤요소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적어도 전극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적당한 연면거리가 확보되기 위해서, 걸어멈춤요소 및 삽입구멍이 없는 균일한 상태에 비하여, 2극 사이에 있어서의 전류의 전달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제1 단자그룹과 제2 단자그룹과의 사이)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2극간의 최대 전위차가 큰 경우에 있어서도 전극 사이가 보다 확실히 절연된다. 이상과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상기 제1 단자그룹 및 상기 제2 단자그룹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진다"란, 예를 들면,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교류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순간)이 있으면 좋다는 의미이고, 이 경우의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의 전위의 높낮이의 관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바뀌는 것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인 상태가 유지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상기 제1 단자그룹 및 상기 제2 단자그룹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진다"란 이와 같은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에 대해서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한 끼워넣음방향과, 상기 소켓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전선의 인출방향과는 직교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선의 인출방향과 끼워넣음방향이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이 인장된 경우에 있어서도 소켓 하우징과 베이스 하우징이 분리하기 어렵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상기 평면부에 인접하여 상기 평면부에 대해서 움푹 파인 웅덩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요소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상(板狀)의 가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상기 웅덩이부에 대해서 상기 가압부가 끼워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압부가 웅덩이부에 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끼워맞춤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웅덩이부에 대해서 가압부가 끼워진다"란 가압부가 웅덩이부에 떨어져 들어가 가압부의 바닥면이 평면부보다 낮은 상태가 되는 것이고, 가압면이 평면부에 대해서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및 동일 평면 위에 있는 경우의 3가지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가압되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여, 상기 웅덩이부에 대해서 상기 가압부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가압면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평면부 및 가압면에 손 대고, 이러한 높이를 비교하는 것 등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맞춤확인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 하우징은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걸어 멈춰지는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걸어멈춤요소와의 분리를 억제하는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에는 제1 걸어멈춤 해제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는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걸어멈춤요소의 한 쌍의 상기 제1 걸어멈춤 해제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여도 좋 다. 이것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커넥터의 접속동작과 걸어멈춤요소의 밀어넣음동작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 걸어멈춤요소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 및 베이스 하우징의 분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한쪽은 돌출 형성된 하우징 돌출부를 가지고, 다른 쪽은 상기 하우징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분리를 억제하는 하우징 돌출 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돌출 받이부에 걸린 상태가 되며, 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 돌출 받이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한 하우징 돌출부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과 베이스 하우징과의 분리가 억제되고, 또한, 걸어멈춤요소에 의해서, 하우징 돌출부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소켓 하우징 및 베이스 하우징의 분리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 하우징이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와 베이스 하우징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걸어멈춤요소가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걸어멈춤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인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요소는 2개의 제2 단자에 있어서의 제1 단자그룹과 제2 단자그룹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2극형의 커넥터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가 전극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전압의 인가가 필요한 기판에 이용되는, 전원접속용의 커넥터에 있어서, 넓어진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예만을 나타내지만,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 구성에 대해)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 하우징의 개략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상면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소켓 하우징의 개략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상면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걸어멈춤요소의 개략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을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로서, (a)는 접속완료전 상태, (b)는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파선부 및 일점쇄선부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2, 3에 있어서, (a), (c) 및 (d)는 각각, (b)의 A-A', B-B' 및 C-C'화살표에서 본 도에 상당한다. 또, 도 4에 있어서, (b) 및 (c)는 (a)의 D-D' 및 E-E'화살표에서 본 도에 상당한다. 또, 도 11은 도 10의 단면을 정면에서 본 단면도에 해당하고, 도 7에 있어서의 F-F'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한다. 또, 도 12(a)는 도 6에 있어서의 G-G'단면에 상당하며, 도 12(b)는 도 7에 있어서의 H-H'단면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는 액정패널의 인버터 기판(10)과 전원(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 걸어멈춤요소(6)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 시 형태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 베이스 하우징(3) 및 걸어멈춤요소(6)의 재료는 도선 및 단자를 제외하고 플라스틱(절연재료)이다.
베이스 하우징(3)은 인버터 기판(기판)(10)에 장착되고, 기판 위의 각 전자부품(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5)은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서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소켓 하우징(5)에는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전선(7)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지면, 양자의 전기적 접속을 달성되고, 인버터 기판(10)에 대해서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걸어멈춤요소(6)가 걸어멈춤위치(제1 위치)에서부터 안쪽의 위치(제2 위치)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의 분리가 확실히 억제되고,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의 접속이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즉,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의 접속이 완료한다). 또, 걸어멈춤요소(6)의 삽입상태로부터 양자의 끼워 넣음 및 접속이 완료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소켓 하우징(5)의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한 끼워넣음방향(도 1의 화살표 참조)과, 소켓 하우징(5)으로부터의 전선(7)의 인출방향(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은 직교하고 있다. 즉, 커넥터(1)는 L자 접속형 커넥터로 되어 있다.
이하, 커넥터(1)의 각 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걸어멈춰진 상태는 삽입방향에 대해 앞쪽 및 안쪽의 양쪽에 관하여, 걸어멈춤요소(6)의 이동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좌우는 도면에 대응한 상하좌우인 것으로 한다.
(베이스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3)은 기판(10)에 장착되는 것이고, 본체부(3b)를 가지고, 2개의 제1 단자(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b), (c), 도 8 내지 11 참조). 그리고, 2개의 제1 단자(2)는 기판(10) 위의 전자부품(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하우징(3)은 2개의 제1 단자(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베이스 하우징은 복수의 제1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3개 이상의 제1 단자를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
베이스 하우징(3)은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3c)를 가지고 있다(도 8 내지 11 참조). 커넥터(1)의 접속완료시에는 이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3c)에 후술하는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 하우징(3)과 걸어멈춤요소(6)의 분리가 억제된다.
또, 베이스 하우징(3)에는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가 형성되어 있다(도 8 내지 11 참조).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는 바닥부로부터 일어서도록 설치된 중심벽부(6m)의 상부(끼워넣음방향 앞쪽의 부분)에 있어서, 도 1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이다. 각각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의 상부(끼워넣음방향 앞쪽의 부분)에는 경사면(3x)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경사면(3x)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요소(6)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를 받아 멈추고, 끼워 넣음 동작에 따라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힘을 일으키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3c)는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의 도 11에 있어서의 하면(끼워넣음방향 안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의 경사면(3x)은 끼워넣음방향에 수직인 방향(도 11의 “수직방향" 참조. 본 실시 형태 있어서는 도 1의 인출방향과 도일)에 따라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돌출 받이부(3c)는 경사면(3x)보다 끼워넣음방향 안쪽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에 따라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와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는 독립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전선의 인출방향과 도 11의 수직방향은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 베이스 하우징(3)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이 하우징 돌출 받이부(3p)에 후술하는 소켓 하우징(5)의 하우징 돌출부(5p)가 걸리는 것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의 분리가 억제된다.
또, 베이스 하우징(3)의 상부(끼워넣음방향 앞쪽의 부분)에는 2개의 삽입구멍(3h), 2개의 각환상(角環狀)의 홈부(3m), 2개의 각환상의 벽부(3n), 2개의 삽입구멍(3z)이 형성되어 있다(도 2, 11 등 참조). 삽입구멍(3h)은 벽부(3n)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홈부(3m)는 벽부(3n)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다른 쪽의 삽입구멍(3h), 홈부(3m)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각각의 삽입구멍(3h)의 내부에는 제1 단자(2)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삽입구멍(3h)에는 제2 단자(4)가 삽입되고, 각각의 홈부(3m)에는 후술하는 삽입부(5w)가 삽입되며, 각각의 삽입구멍(3z)에는 후술하는 걸어멈춤요소(6)의 제1 다리부(6b)가 삽입된다.
(제1 단자에 대해서)
2개의 제1 단자(2)의 각각은 도 8 내지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단자(4)의 판상(板狀) 선단부(4r)를 사이에 두고 받아들이도록, 변형 C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c), 도 8 내지 11 참조). 또, 2개의 제1 단자(2)의 각각은 도 8 내지 11의 단면에 있어서 끼워넣음방향 앞쪽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2개의 제1 단자(2)의 각각은 탄성변형을 하면서, 제2 단자(4)를 사이에 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단면의 C자형 모양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폭은 당초(當初)에는 좁아져 있고, 제2 단자(4)의 판상 선단부(4r)의 삽입에 수반하여 넓어진다.
(소켓 하우징)
소켓 하우징(5)은 본체부(5d)를 가지고, 2개의 제1 단자(2)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제2 단자(4)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소켓 하우징(5)은, 상기와 같이, 커넥터(1)의 접속시에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켓 하우징(5)은 2개의 제2 단자(4)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소켓 하우징은 복수의 제2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3개 이상의 제2 단자를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
소켓 하우징(5)은 본체부(5d)와, 2개의 삽입부(5w)와, 지지부(5g)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커넥터(1)의 접속시에는 2개의 삽입부(5w)가 베이스 하우징(3)에 삽입된다(도 8 내지 11 참조). 또, 소켓 하우징(5)은 한 쌍의 제2 단자(4)끼리를 절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소켓 하우징(5)에는 평면부(5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5) 에는 평면부(5s)에 대해서 움푹 파여 있는 웅덩이부(5t)가 평면부(5s)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5 내지 12 참조). 평면부(5s) 및 웅덩이부(5t)는 소켓 하우징(5)의 끼워넣음방향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 소켓 하우징(5)에는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가 형성되어 있다(도 8 내지 11 참조).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에 후술하는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걸리는 것에 의해,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멈춤요소(6)가 걸어 멈춰진다(도 8 참조).
또, 소켓 하우징(5)은 돌출 형성된 하우징 돌출부(5p)를 가지고 있다(도 1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하우징(5)에는 판상의 지지부(5g)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 돌출부(5p)는 그 끼워넣음방향 안쪽의 단부에 있어서, 끼워넣음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출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 소켓 하우징(5)은 지지부(5g)와 본체부(5d)가 끼워넣음방향에 관한 지지부(5g)의 중앙부분(결합부(5y))에 있어서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그 끼워넣음방향 앞쪽의 단부에는, 가압면(5v), 가압면(5z)이 형성되어 있다(도 3(b), (d) 등 참조). 그리고, 이 가압면(5v)이 전선(7)의 인출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가압되면, 본체부(5d)와 지지부(5g)의 결합부(5y)를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 돌출부(5p)가 인출방향에 이동하도록(즉, 도 12에 있어서,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기 어엷게 되도록) 지지부(5g)가 변형한다. 한편, 가압면(5z)이 인출방향으로 가압되면, 하우징 돌출부(5p)가 인출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즉, 도 12에 있어서,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기 수비게 되도록) 지지부(5g)가 변형한다. 또한, 지지부(5g)와 본체부(5d)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별체로 형성된 것을 결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켓 하우징(5)이 하우징 돌출부(5p)를 가지고, 베이스 하우징(3)이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소켓 하우징(5) 및 베이스 하우징(3)의 한쪽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고, 또한, 다른 쪽이 돌출 받이부를 가지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소켓 하우징이 돌출 받이부를 가지고, 베이스 하우징이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 소켓 하우징(5)에는 2개의 삽입구멍(5j)이 형성되어 있다(도 3등 참조). 2개의 삽입구멍(5j)에는 후술하는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삽입된다.
(제2 단자에 대해)
2개의 제2 단자(4)에는 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이 포함된다(도 3(a), 도 8 내지 11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각각에는 1개의 제2 단자(4)가 포함된다. 또, 2개의 제2 단자(4)에 대해서 2개의 전선(7)이 접속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그룹(4f)의 제2 단자(4)에는 전선(7f)이, 제2 단자그룹(4s)의 제2 단자(4)에는 전선(7s)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도 8 내지 11 참조). 그리고, 전선(7f)은 전원용 전선(핫 라인)으로 되어 있고, 전선(7s)은 접지전위로 하기 위한 그라운드용 전선(콜드 라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선(7f)을 전원용, 전선(7s)을 그라운드용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반대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각각은, 통전시에 있어서,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에는 그러한 타이밍이 생기도록 전압(교류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각각에는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가 된다고 하는 고저(高低)관계를 서로 바꿔 넣으면서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선(7s)은 접지전위로 유지되고, 전선(7f)의 전위가 고전위 측(정(正) 측) 및 저전위 측(부(負) 측)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이 생긴다(양자의 전위가 동전위가 되는 순간도 있다).
이와 같이, 2극간(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의 사이)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위차가 생긴다. 또,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가 되는 전위차의 크기에 따라 전극 사이의 거리(도 11의 L참조)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00v의(최대) 전위차마다 간격이 1㎜가 되도록 전극 사이의 거리 L을 설정한다. 전극 사이의 최대 전위차가 커지는 만큼, 전극간 거리 L은 길어진다. 예를 들면, 2극 사이의 최대 전위차가 1500V이면, L은 15㎜가 된다. 이 경우에, L은 15㎜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단자(4)의 수가 2개이므로, 2개의 제2 단자(4)에는 2개의 전선(7)이 접속되지만, 복수의 제2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게 된다(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 참조).
제2 단자(4)의 각각은 끼워넣음방향에 따른 부분으로부터 인출방향에 따른 부분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L자 모양으로 방향을 바꾸어 전선(7)에 접속된다(도 1 참조). 전선(7)의 각각은 절연외장(絶緣外裝) 되어 있고, 이 외장부의 단부에 있어서는 제2 단자(4)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 내부의 도체가 노출하고 있다. 그리고, 전선(7)의 각각은 예를 들면 제2 단자(4)의 일부를 전선(7)의 도체 단부의 주위에 압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제2 단자(4)에 대해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제2 단자(4)는 2개의 제1 단자(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각각의 제2 단자(4)는 금속판으로부터 각종 가공을 거쳐 형성되고, 제1 단자(2)에 받아 들여지도록 하는 형상 및 치수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2 단자(4)의 각각은 전선(7)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4x)와, 제1 단자(2)에 대해서 삽입되는 판상 선단부(4r)를 가진다(도 1 참조).
또, 베이스 하우징(3)에 의해서 지지되는 2개의 제1 단자(2)는 2개의 제2 단자(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제2 단자(4)와 마찬가지로 2개의 제1 단자(2)도 제1 단자그룹(2f) 및 제2 단자그룹(2s)를 가진다(도 2(b), (c), 도 8 내지 11 참조). 그리고, 제2 단자(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단자그룹(2f) 및 제2 단자그룹(2s)의 각각은 통전시에 있어서, 제1 단자그룹(2f) 및 제2 단자그룹(2s)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2f) 및 제2 단자그룹(2s)에는 그러한 타이밍이 생기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단자(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은 각각 1개의 제2 단자(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로는 한정되지 않고, 소켓 하우징은 복수의(3개 이상의) 제2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에는, 복수의 제2 단자는 적어도 1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한 제1 단자그룹과 적어도 1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한 제2 단자그룹을 가지고 구성되게 된다(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 참조).
또,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베이스 하우징 및 소켓 하우징이 3개 이상의 제1 단자 및 3개 이상의 제2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단자에 있어서의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은 각각 제2 단자에 있어서의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 대응하도록 나눠진다(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 참조).
(걸어멈춤요소)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고, 또한, 소켓 하우징(5)을 관통하도록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삽입되는 것이다.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켓 하우징(5)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요소(6)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 멈춰진다.
또,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 내지 11 참조). 또, 걸어멈춤요소(6)는 커넥터(1)의 접속완료시에 있어서는 제1 단자그룹(2f)의 제1 단자(2)와 제2 단자그룹(2s)의 제1 단자(2)와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도 8 내지 11 참조).
걸어멈춤요소(6)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상의 가압부(6p)와, 가압부(6p)로부터 판상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6b)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도 4 참조). 가압부(6p)는 평명에서 볼 때에 있어서 장방형(長方形) 형상을 가지는(길이가 짧은 방향과 긴 방향을 가진다) 판상 부재이다. 또, 가압부(6p)에는 가압되는 면인 가압면(6s)이 형성되어 있다(도 4 내지 11 참조).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각각은 소켓 하우징(5)에 형성된 삽입구멍(5j) 및 베이스 하우징(3)에 형성된 삽입구멍(3z)에 삽입되는 치수 및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다리부는 판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봉상(棒狀)이어도 좋다. 또, 제1 다리부의 수는 2개가 아니어도 좋다.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6c)를 가지고 있다(도 4 참조). 또,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각각에는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한 쌍의 제1 다리부(6b)는 한 쌍의 제1 돌출부(6c)끼리 및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걸어멈춤요소(6)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돌출부(6c) 및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는 서로의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걸어멈춤요소(6)가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 멈춰져 있고, 또한,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돌출부(6c) 및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는 끼워넣음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한 쌍의 제1 돌출부(6c) 및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는 이와 같이 끼워넣음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제1 다리부(6b)는 가압부(6p)로부터 끼워넣음 방향에 따라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각각은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그 길이 방향이 끼워넣음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돌출 방향은 끼워넣음방향에 따른 방향이 아니어도 좋다.
또,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의 사이의 최단거리(도 11의 W2)는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대향 방향에 관한)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의 사이의 최대폭(도 11의 W1)보다 짧다.
(접속동작)
다음에, 커넥터(1)의 접속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처음 상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요소(6)가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미리 제1 위치에서 걸어 멈춰져 있다. 도 5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에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걸리는 것에 의해,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멈춤요소(6)가 걸어 멈춰져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서 끼워 넣어진 상태(끼워넣음완료 상태)가 되지 않는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는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걸어멈춤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인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소켓 하우징(5)의 측면을 손으로 들고, 2개의 삽입부(5w) 의 하단을 베이스 하우징(3)의 한 쌍의 홈부(3m) 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가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한 소켓 하우징(5)의 초기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가압부(6p)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더욱 소켓 하우징(5)을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서 삽입하면,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서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도 6 참조). 도 6과 같이,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끼워넣음이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 돌출부(5p)는 하우징 돌출 받이부(3p)에 걸린 상태가 되고,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분리가 억제된다(도 12(a) 참조). 또, 도 6의 상태에서는 2개의 제1 단자(2)와 2개의 제2 단자(4)가 접촉하고, 이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까지의 동작에서는 걸어멈춤요소(6)는 제1 위치에 있다. 제1 위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에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멈춤요소(6)가 걸어 멈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끼워넣음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걸어멈춤요소(6)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요소(6)의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 가능하게 되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기까지의 동작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5)의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한 끼워넣음은 완료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커넥터(1)의 접속을 완료하는 데는 걸어멈춤요소(6)의 삽입을 완료할(걸어멈춤요소(6)를 제2 위치에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이유로서는 (1)걸어멈춤요소(6)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으로부터 분리해 버릴 가능성이 있고, (2)(도 6에서는 소켓 하우징(5)은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해서 끼워넣음하고 있지만) 끼워넣음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이 불완전 끼워맞춤상태인지 어떤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끼워넣음완료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6)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6)와 베이스 하우징(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6)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와 베이스 하우징(3)의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탄성적으로 휘고,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며, 그 결과,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휘어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의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걸어멈춤요소(6)의 가압부(6p)를 누르면,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근원(根元)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선단부가 서로 외측으로 열리는 방향으로의 힘의 모멘트가 작용한다. 도 9는 걸어멈춤요소(6)의 삽입동작에 있어서의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한 쌍 의 제1 다리부(6b)의 선단부의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가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의 입구의 한 쌍의 경사면(3x)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서로 외측으로 휜다(도 9의 화살표 J 참조). 그리고,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이와 같이 탄성적으로 휘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요소(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의 각각에는 내측에 있어서, 또한, 끼워넣음방향 안쪽의 선단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와 한 쌍의 경사면(3x)가 접촉했을 때에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상태로부터 더욱 걸어멈춤요소(6)를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걸어멈춤요소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걸어멈춤요소(6)의 삽입이 완료한다. 그 결과,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과의 접속이 완료한다(도 7, 도 10, 도 11, 도 12(b)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3c)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한다(도 11 참조). 또, 이것에 의해, 커넥터(1)의 접속이 완료한다. 그리고, 커넥터(1)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베이스 하우징(3)에 소켓 하우징(5)이 끼워넣음하고 있으므로, 2개의 제1 단자(2)와 2개의 제2 단자(4)와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웅덩 이부(5t)에 대해서 가압부(6p)를 끼운다.
또,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걸어멈춤요소(6)는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걸어멈춤요소(6)의 가압부(6p)가 웅덩이부(5t)에 대해서 끼워진다. 그것에 의해, 지지부(5g)의 끼워넣음방향 앞쪽의 선단부가 인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부(5g)의 가압면(5v)이 가압부(6p)의 선단부(6v)에 의해서 지지된다(도 12(b) 참조).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가압면(5z)이 인출방향으로 가압된 경우에 있어서도 하우징 돌출부(5p)가 인출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즉,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기 쉽게 되도록 하는) 지지부(5g)의 변형이 걸어멈춤요소(6)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 결과, 걸어멈춤요소(6)는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또,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하여, 웅덩이부(5t)에 대해서 가압부(6p)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평면부(5s)와 가압면(6s)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는(도 7, 도 10, 도 11, 도 12(b) 참조). 또한, 베이스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여, 웅덩이부에 대해서 가압부가 끼워진 상태에 있어서, 평면부와 가압면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지 않고 , 평면부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서, 가압면이 (걸어멈춤요소의 삽입방향에 관해서)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걸어멈춤요소(6)를 누른다고 하는 1회의 동작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과의 접속이 완료한다.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1)는 2개의 제1 단자(2)를 지지하여 기판(10)에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3)과, 2개의 제1 단자(2)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제2 단자(4)를 지지하여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는 소켓 하우징(5)과,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고, 또한, 소켓 하우징(5)을 관통하도록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삽입되는 걸어멈춤요소(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3)에 소켓 하우징(5)이 끼워넣으면, 2개의 제1 단자(2)와 2개의 제2 단자(4)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고, 2개의 제2 단자(4)는 적어도 1개의 제2 단자(4)를 포함한 제1 단자그룹(4f)과, 적어도 1개의 제2 단자(4)를 포함한 제2 단자그룹(4s)을 가지고 구성되며,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각각은, 통전시에 있어서,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고,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제1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 멈춰져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6)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6)와 베이스 하우징(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이동 가능해지고, 걸어멈춤요소(6)는 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6)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6)와 베이스 하우징(3)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걸어멈춤요소(6)가 제1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인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멈춤요소(6)는 2개의 제2 단자(4, 4)에 있어서의 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2극형의 커넥터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전극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전압의 인가가 필요한 기판에 이용되는, 전원접속용의 커넥터에 있어서, 넓어진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2극간의 최대 전위차가 큰 경우에는 전극 사이는 절연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그것에 관하여, 2극 사이에 있어서의 전류의 전달거리는 긴 것이 좋다. 그래서, 이 구성에 의하면, 우선, 걸어멈춤요소(6)를 절연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그 걸어멈춤요소(6)를 전극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걸어멈춤요소(6)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절연성능은 확보된다. 또한, 걸어멈춤요소(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5j, 3z)을 하우징(소켓 하우징(5), 베이스 하우징(3))에 형성하 고, 거기에 걸어멈춤요소(6)를 삽입하는 구성과 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적어도 전극 사이 부분에 있어서, 적당한 연면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걸어멈춤요소(6) 및 삽입구멍(5j, 3z)이 없는 균일한 상태에 비해 2극 사이에 있어서의 전류의 전달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극 사이(제1 단자그룹(4f)과 제2 단자그룹(4s)과의 사이)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2극 사이의 최대 전위차가 큰 경우에 있어서도 전극 사이가 보다 확실히 절연된다. 이상과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는"이란,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각각에 대해서 교류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순간)이 있으면 좋다는 의미이고, 이 경우의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전위의 고저의 관계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바뀌는 것이어도 좋다. 또, 이외에도 예를 들면,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인 상태가(고저 관계가 바뀌지 않고) 유지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1 단자그룹(4f) 및 제2 단자그룹(4s)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는"이란, 이와 같은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커넥터(1)에 있어서는 2개의 제2 단자(4)에 대해서 2개의 전선(7)이 접 속되어 있고, 소켓 하우징(5)의 베이스 하우징(3)에 대한 끼워넣음방향과 소켓 하우징(5)으로부터의 전선(7)의 인출방향과는 직교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전선(7)의 인출방향과 끼워넣음방향이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전선(7)이 인장된 경우에 있어서도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이 분리하기 어렵다.
또, 액정패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액정패널용의 인버터 기판에 있어서의 전원접속용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작업자로부터 접속구가 보이기 어렵거나, 접속하기 어려운 위치에 베이스 하우징이 있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끼워넣음방향과 전선 인출방향이 일치하고 있는 사이드 타입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의 접속이 곤란하여 접속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불완전 상태가 되기 쉽다. 한편, 이와 같이 커넥터를 L자 접속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접속시의 작업성이 향상하여 커넥터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에는 평면부(5s)가 형성되고, 또한, 소켓 하우징(5)에는 평면부(5s)에 인접하여 평면부(5s)에 대해서 움푹 파인 웅덩이부(5t)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멈춤요소(6)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상의 가압부(6p)를 가지고 있고,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하며,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웅덩이부(5t)에 대해서 가압부(6p)가 끼워진다. 이 때문에, 가압부(6p)가 웅덩이부(5t)에 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끼워맞춤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5s) 및 웅덩이부(5t)는 없어도 좋다.
또, 커넥터(1)에 있어서, 가압부(6p)에는 가압되는 가압면(6s)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하여 웅덩이부(5t)에 대해서 가압부(6p)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평면부(5s)와 가압면(6s)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평면부(5s) 및 가압면(6s)에 접촉하여, 이러한 높이를 비교하는 것 등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맞춤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속완료시에 있어서, 평면부(5s)와 가압면(6s)은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커넥터(1)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는 가압부(6p)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6b)를 가지고 있고,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6c)를 가지며, 소켓 하우징(5)은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걸리는 것에 의해, 소켓 하우징(5)에 대해서 걸어멈춤요소(6)가 걸어 멈춰지는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를 가지고, 베이스 하우징(3)은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걸리는 것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3)과 걸어멈춤요소(6)와의 분리를 억제하는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3c)를 가지며, 한 쌍의 제1 다리부(6b)의 각각에는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가 형성되고, 또한, 베이스 하우징(3)에는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있는 걸어멈춤요소(6)가 가압되면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걸어멈춤 해제부(6k)와 베이스 하우징(3)의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3k)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5b)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 서,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제1 돌출부(6c)가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3c)에 걸리는 것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접속이 완료한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커넥터(1)의 접속동작과 걸어멈춤요소(6)의 밀어넣음동작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 걸어멈춤요소(6)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5) 및 베이스 하우징(3)의 분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5)은 돌출 형성된 하우징 돌출부(5p)를 가지고, 베이스 하우징(3)은 하우징 돌출부(5p)가 걸리는 것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5)과의 분리를 억제하는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를 가지며,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 돌출부(5p)는 하우징 돌출 받이부(3p)에 걸린 상태가 되고,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과의 분리가 억제되며, 또한, 걸어멈춤요소(6)에 의해서, 하우징 돌출부(5p)가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소켓 하우징(5) 및 베이스 하우징(3)의 분리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5p) 및 하우징 돌출 받이부(3p)는 없어도 좋다.
또, 걸어멈춤요소(6)는 소켓 하우징(5)의 베이스 하우징(3)으로의 끼워넣음이 완료하지 않으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걸어멈춤요소(6)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소켓 하우징(5)의 끼워넣음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소켓 하우징(5)의 베이스 하우징(3)으로의 끼워넣음이 완료한 후에 있어서,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로 이동했는지 어떤지, 즉, 커넥터(1)의 접속이 완료했는지 어떤지는 평면부(5s)와 가압면(6s)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 걸어멈춤요소(6)가 제2 위치에 이동하는 것에 의해, 소켓 하우징(5)이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커넥터(1)의 접속이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커넥터(1)의 구성에 의하면,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소켓 하우징(5)과 베이스 하우징(3)과의 분리가 억제된다.
또,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에 걸어멈춤요소(6)의 한 쌍의 제1 다리부(6b)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한 특허 문헌 2의 기술(걸어멈춤요소가 2개의 전기단자를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과는 달리, 걸어멈춤요소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이 없다. 그 때문에, 이 구성에 의해, 커넥터를 대형화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끼워넣음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의 실시 형 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斜視) 개략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01)는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라, 소켓 하우징(105)에 지지부가 없다. 즉, 걸어멈춤요소(106)에 의해서만 소켓 하우징(105)과 베이스 하우징(103)과의 분리가 억제되게 된다. 커넥터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부호 105s 및 105t를 부여한 부분은 각각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5s 및 5t를 부여한 부분에 상당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의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4에 있어서의 단면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2(b)에 대응하는 것이고,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2(b)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201)는 걸어멈춤요소(206) 및 그것을 받아 들이는 베이스 하우징(203)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 돌출부(5p)가 돌출 받이부(203p)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걸어멈춤요소(206)의 선단부(206v)로 가압면(5v)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걸어멈춤요소(6)의 지지부(5g)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판상의 지지부(206g)가 설치되어 있고, 또, 베이스 하우징(203)에도 지지부(206g)를 받아들이는 웅덩이부(203q)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5g)의 끼워넣음방향 안쪽의 단부가 휘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하우징 돌출부(5p)가 돌출 받이부(203p)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이 걸어멈춤요소(206)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커넥터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의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의 상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15는 상면에서 본 개략도이지만, 설명을 위해서, 도 15에는 외측으로부터 안보이는 내부구조도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커넥터 전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소켓 하우징(305)이 4개의 제2 단자(304)를 지지하고, 또한, 이것에 4개의 전선(307)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제2 단자는 2개이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단자는 4개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4개의 제2 단자(304)의 각각은 제2 단자(304a), 제2 단자(304b), 제2 단자(304c) 및 제2 단자(304d)이고, 4개의 전선(307)의 각각은 전선(307a), 전선(307b), 전선(307c) 및 전선(307d)으로 되어 있다(도 15 참조). 그리고, 제2 단자(304a), 제2 단자(304b), 제2 단자(304c) 및 제2 단자(304d)에 대해 서, 순서대로, 전선(307a), 전선(307b), 전선(307c), 전선(307d)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선(307a) 및 전선(307b)으로부터 구성되는 전선그룹(307f)은 전원용 전선(핫 라인)으로 되어 있고, 전선(307c) 및 전선(307d)으로부터 구성되는 전선그룹(307s)은 접지전위로 하기 위한 그라운드용 전선(콜드 라인)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단자그룹(304f)은 제2 단자(304a) 및 제2 단자(304b)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2 단자그룹(304s)은 제2 단자(304c) 및 제2 단자(304d)에 의해서 구성된다. 즉, 제1 단자그룹(304f), 제2 단자그룹(304s)은 각각 적어도 1개의 제2 단자(304),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제2 단자(30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의 각각은 통전시에 있어서, 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고, 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에는 그러한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의 각각에는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가 된다고 하는 높낮이 관계를 서로 바꿔 넣으면서,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선(307c) 및 전선(307d)은 접지전위로 유지되고, 전선(307a) 및 전선(307b)의 전위가 고전위 측(정 측) 및 저전위 측(부 측)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전위가 되는 타이밍이 생긴다(양자의 전위가 동전위가 되는 순간도 있다). 이와 같이, 2극 사이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위차가 생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해서, "2극"이란 고전위의 제1 단자그룹(304f) 및 저전위의 제2 단자그룹(304s)의 2극인 것으로, 각각의 단자그룹이 1개의 전극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굵은 전선을 사용할 수 없는 것 같은 경우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원용 전선(그라운드용 전선)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커넥터에 사용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2 단자(304)가 수로서는 4개이며, 외관상은 4극 같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2극이다. 그리고, 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의 사이에 걸어멈춤요소(306)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전극 사이의 최대 전위차가 큰 경우에는 전극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전극간(제1 단자그룹(304f) 및 제2 단자그룹(304s)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당연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베이스 하우징도 4개의 제1 단자를 지지하여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는 액정패널용의 인버터 기판에 있어서의 전원접속용 커넥터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용도는 이와 같은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도, 예를 들면, 냉장고나 에어콘 등이 일반적인 가전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는 L자 접속형의 커넥터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L자 접속형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은 사이드 타입의 커넥터에 적용되어 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 각각 접속되는 전선 중 한쪽은 전원용 전선(핫 라인)으로 되고, 다른 쪽은 접지전위로 하기 위한 그라운드용 전선(콜드 라인)으로 되도록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 대해서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쪽의 전선에는 교류전압이 흐르게 하고, 다른 쪽의 전선에는 이 한쪽의 전선의 전압을 완전하게 정부(正負) 반전시킨 전압이 흐르게 하도록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 대해서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한쪽의 전선에는 교류전압이 흐르게 하고, 다른 쪽의 전압에는 이 한쪽의 전압보다 전압의 절대치가 작은 전압이 흐르게 하도록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 대해서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는 직류전압이 인가되어도 좋다. 또, 제1 단자그룹 및 제2 단자그룹에 대해서, 서로 최대 전위가 동일하고, 또한, 서로 위상이 다른 교류전압이 인가되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에 대해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기판으로부터의 전력을 외부에 대해서 송출하기 위해서 이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명시되어 있지만, 여러가지 대안, 변형 및 변경은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예시를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가적인 목적, 형상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술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 하우징의 개략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상면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소켓 하우징의 개략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상면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걸어멈춤요소의 개략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동작을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로서, (a)는 접속완료전 상태, (b)는 접속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의 상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Claims (6)
- 복수의 제1 단자를 지지하여 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2 단자를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넣는 소켓 하우징과,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삽입되는 걸어멈춤요소를 가지며,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상기 소켓 하우징이 끼워 넣어지면,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고,상기 복수의 제2 단자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 단자를 포함한 제1 단자그룹과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 단자를 포함한 제2 단자그룹을 가지고 구성되며,상기 제1 단자그룹 및 상기 제2 단자그룹의 각각은, 통전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그룹 및 상기 제2 단자그룹의 한쪽보다 다른 쪽이 고전위(高電位)가 되는 타이밍을 가지도록 전압의 인가가 가능한 것이고,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 멈춰지며,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걸어멈춤요소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제1 단자그룹과 상기 제2 단자그룹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상기 걸어멈춤요소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상(板狀)의 가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를 가지고 있고,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가지며,상기 소켓 하우징은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소켓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걸어 멈춰지는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를 가지고,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걸어멈춤요소와의 분리를 억제하는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를 가지며,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에는 제1 걸어멈춤 해제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는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걸어멈춤요소의 한 쌍의 상기 제1 걸어멈춤 해제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기 한 쌍의 제2 걸어멈춤 해제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져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 받이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한 쌍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 받이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제2 단자에 대해서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어 있고,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한 끼워넣음방향과 상기 소켓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전선의 인출방향과는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상기 평면부에 인접하여 상기 평면부에 대해서 움푹 파인 웅덩이부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고,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상기 웅덩이부에 대해서 상기 가압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에는 가압되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접속이 완료하여, 상기 웅덩이부에 대해서 상기 가압부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가압면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소켓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한쪽은 돌출 형성된 하우징 돌출부를 가지고, 다른 쪽은 상기 하우징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과의 분리를 억제하는 하우징 돌출 받이부를 가지고,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돌출 받이부에 걸린 상태가 되며,상기 걸어멈춤요소는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요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하우징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 돌출 받이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164772A JP2009004247A (ja) | 2007-06-22 | 2007-06-22 | コネクタ |
JPJP-P-2007-00164772 | 2007-06-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958A KR20080112958A (ko) | 2008-12-26 |
KR101498287B1 true KR101498287B1 (ko) | 2015-03-03 |
Family
ID=4020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7395A KR101498287B1 (ko) | 2007-06-22 | 2008-06-18 |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9004247A (ko) |
KR (1) | KR101498287B1 (ko) |
CN (1) | CN101330185A (ko) |
TW (1) | TW20091340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3125A (ja) * | 2010-01-16 | 2011-07-28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放射線画像検出システム及びカセッテ用ケーブル |
JP6278860B2 (ja) | 2014-07-29 | 2018-02-1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94248B2 (ja) | 2016-04-04 | 2019-10-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源コネクタ装置 |
KR102713996B1 (ko) | 2019-08-20 | 2024-10-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커넥터 |
CN112018565A (zh) * | 2020-08-31 | 2020-12-01 | 李顺清 | 一种曲料机用防脱落电力插头及插座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2649A (ja) * | 1996-12-16 | 1998-06-26 |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 コネクタ |
JP2000164297A (ja) * | 1998-11-27 | 2000-06-16 | Tyco Electronics Amp Kk | 電気コネクタ |
JP2003007393A (ja) * | 2001-06-22 | 2003-01-10 | Jst Mfg Co Ltd |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
JP2005326041A (ja) * | 2004-05-12 | 2005-11-24 | Nippon Kayaku Co Ltd | 点火装置 |
-
2007
- 2007-06-22 JP JP2007164772A patent/JP2009004247A/ja active Pending
-
2008
- 2008-06-18 KR KR1020080057395A patent/KR1014982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6-19 CN CNA2008101271429A patent/CN101330185A/zh active Pending
- 2008-06-20 TW TW097122979A patent/TW200913403A/zh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2649A (ja) * | 1996-12-16 | 1998-06-26 |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 コネクタ |
JP2000164297A (ja) * | 1998-11-27 | 2000-06-16 | Tyco Electronics Amp Kk | 電気コネクタ |
JP2003007393A (ja) * | 2001-06-22 | 2003-01-10 | Jst Mfg Co Ltd |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
JP2005326041A (ja) * | 2004-05-12 | 2005-11-24 | Nippon Kayaku Co Ltd | 点火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958A (ko) | 2008-12-26 |
CN101330185A (zh) | 2008-12-24 |
TW200913403A (en) | 2009-03-16 |
JP2009004247A (ja) | 2009-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34581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224179B2 (ja) | ばね力接続装置 | |
JP2019153593A (ja) |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 |
US7938694B2 (en) |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with the connector terminal | |
KR101498287B1 (ko) | 커넥터 | |
EP2690713A1 (en) | Wire-to-board connector | |
US20240170881A1 (en) |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 |
JP2009164105A (ja) |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 |
KR100689236B1 (ko) |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 |
CN112787127A (zh) | 电连接器 | |
EP2433341B1 (en) | Connector for low profile fuse | |
US20220224046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KR200445633Y1 (ko) | 커넥터용 스페이서 | |
CN112350092A (zh) | 连接器及端子 | |
JP2015118918A (ja) |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 |
JP4963650B2 (ja) | ベー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
KR200467964Y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CN112803187A (zh) | 连接器 | |
CN217788300U (zh) | 一种断路器的外壳及断路器 | |
JP2019192347A (ja) | コネクタ | |
CN220086442U (zh) | 一种连接器母端端子结构 | |
CN217062695U (zh) | Btb连接器及显示装置 | |
KR200432944Y1 (ko) | 버스바 | |
KR20220019482A (ko) |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 |
JP4908349B2 (ja) | コネク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