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737B1 - 압력 측정용 재료 - Google Patents

압력 측정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737B1
KR101497737B1 KR1020107002794A KR20107002794A KR101497737B1 KR 101497737 B1 KR101497737 B1 KR 101497737B1 KR 1020107002794 A KR1020107002794 A KR 1020107002794A KR 20107002794 A KR20107002794 A KR 20107002794A KR 101497737 B1 KR101497737 B1 KR 10149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pressure
colorless dye
dye precurso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796A (ko
Inventor
마사노부 다카시마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e.g. microcaps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Print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플라스틱제 기재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발색제층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갖고,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및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을 이용하여 발색시키고,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에 내포되어 있고,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이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이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δ/D = 1.0 × 10-3 ∼ 2.0 × 10-2 〔δ :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 D :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압력 측정용 재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측정용 재료{MATERIAL FOR PRESSURE MEASUREMENT}
본 발명은 면압 등의 압력 또는 압력 분포를 측정하는 압력 측정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압력 측정용 재료는 액정 유리의 부착 공정, 프린트 기판에 대한 땜납 인쇄, 롤러간 압력 조정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압력 측정용 재료에는 예를 들어 후지 필름 (주) 에서 제공하는 프리스케일 (상품명) 로 대표되는 압력 측정 필름이 있다. 압력 측정 필름은 측정 부위에 맞추어 필름을 임의의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압력 측정 필름은 필압 (筆壓) 에 의한 높은 선압에 의해 발색 반응을 일으키는 이른바 감압 복사지와는 달리 면압을 측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압력 측정 필름의 예로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을 이용한 압력 측정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0.1 ㎫ ∼ 20 ㎫ 정도의 압력 범위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압력 측정 필름의 기재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스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제품의 고기능화, 고정세화로 인하여 미소한 압력의 분포를 측정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가압 방식을 이용하는 패널의 부착에서는, 대면적이고 또한 3 ㎫ 이하의 압력 영역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아, 3 ㎫ 이하의 압력 분포의 측정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현색제로서 치환 살리실산 금속염을 사용하고, 염료를 폴리우레아 수지/폴리우레탄 수지벽막 캡슐에 내포한 감압 복사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 아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한 감압 기록지는 종래부터 공지되었으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 5 참조), 아미드계 화합물로서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술폰아미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소57-248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96662호 일본 특허 제2786510호 일본 특허 제3019163호 일본 특허 제3074891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감압 복사 시트는, 그 캡슐의 직경이나 벽두께로는, 사용하는 전동 타이프라이터의 임팩트 강도를 강압으로 했을 경우에서밖에 발색시킬 수 없는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압력 (면압) 을 측정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한 감압 기록지는, 필압에 의한 높은 선압에 의해 국부적으로 강한 착색 (발색 반응) 을 발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3 ㎫ 에 미치지 않는 미소한 국부압이나 약한 면압을 부여하여 압력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분야에서는, 압력 상태를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착색 (발색) 은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약간의 압력 변화가 제품의 품질 편차에 영향을 주는 분야에서는 미약한 압력 변화를 파악할 수 없거나, 혹은 착색이 얻어져도 그것을 스캔 등에 의해 판독할 수 없거나, 농도 데이터로서 판독할 때의 판독 정밀도가 나빠져 자세한 농도 분석이나 제어를 할 수 없다는 등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황 하에서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영역에서 양호하게 발색시킬 수 있어, 농도 판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압력 측정용 재료가 필요로 되고 있다. 또,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영역에서 발색시켰을 때에 넓은 발색 면적이 얻어져, 스캔 등으로 발색 농도를 판독할 때의 반복 판독 정밀도를 높인 압력 측정용 재료가 필요로 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은, 플라스틱제 기재 상에 형성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을 이용한 발색 기록계에 있어서, 특정 살리실산 금속염을 현색제로 하고, 발색제를 내포하는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막두께와 입경의 비를 특정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저압 영역에서 압력을 부여하여 발색시켰을 때의 착색도를 높이는 데에 유효하다는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미드 화합물이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은 현색제와 함께 사용하면, 발색부의 면적이 증가하여, 농도를 스캔하거나 할 때의 농도 판독 정밀도의 향상에 유효하다는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플라스틱제 기재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발색제층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갖고,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을 이용한 압력 측정용 재료로서,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에 내포되어 있고,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이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이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δ/D = 1.0 × 10-3 ∼ 2.0 × 10-2 〔δ :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 D :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2> 3 ㎫ 이하의 압력으로 발색시키는 상기 <1> 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3>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이 10 ㎛ 이상인 상기 <1> 또는 상기 <2> 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4> 상기 현색제층은, 추가로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5> 상기 아미드 화합물이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또는 술폰아미드 화합물이고,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인 상기 <4> 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6> 상기 현색제층은,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과,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수분산액을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7> 기재 상에 그 기재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과,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내포된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갖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8> 기재 상에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갖는 재료 A 와, 기재 상에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내포된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갖는 재료 B 를 포함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9>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몰 흡광 계수 (ε) 가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0>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몰 흡광 계수 (ε) 가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비율이 30 ∼ 100 질량% 의 범위인 상기 <9> 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1>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의 벽두께가 0.005 ∼ 2.0 ㎛ 의 범위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2>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이 10 ∼ 40 ㎛ 로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의 벽두께가 0.01 ∼ 1 ㎛ 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3> 상기 살리실산 금속염의 치환기가 탄소수 1 ∼ 15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인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4> 상기 살리실산 금속염이 살리실산의 아연염, 니켈염, 알루미늄염 또는 칼슘염인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5>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이 폴리우레탄ㆍ우레아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6> 상기 δ/D 가 2.0 × 10-3 ∼ 1.5 × 10-2 인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7> 상기 살리실산 금속염의 현색제층 중에서의 양이 0.1 ∼ 30 g/㎡ 인 상기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18> 상기 아미드 화합물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현색제층 중에서의 총 함유량이, 전자 수용성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 ∼ 20 질량부인 상기 <4>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력 측정용 재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영역에서 양호하게 발색시킬 수 있어, 농도 판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압력 측정용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영역에서 발색시켰을 때, 넓은 발색 면적이 얻어져, 스캔 등으로 발색 농도를 판독할 때의 반복 판독 정밀도를 높인 압력 측정용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는, 플라스틱제 기재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발색제층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형성함과 함께,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에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고,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을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으로 하고,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이 δ/D = 1.0 × 10-3 ∼ 2.0 × 10-2 〔δ :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 D :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 (㎛)〕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는, 가압시의 발색제층 중에 함유되는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현색제층 중에 함유되는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에 의해 착색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 측정용 재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는,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바람직하게는 용매와 함께) 내포한, 우레탄 결합을 캡슐벽에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과,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반응시켜 발색시키는 전자 수용성 화합물 (이하, 「현색제」라고도 한다.) 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플라스틱제의 단일의 기재 혹은 별개의 기재에 형성 (바람직하게는 도공) 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가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단일의 기재에 도공하거나 하여 형성된 이른바 모노 시트 타입인 경우, 압력 측정용 재료는 시트나 필름 등의 기재와, 기재 상에 그 기재측에서부터 순서대로 형성된 현색제를 함유하는 현색제층 및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 압력 측정용 재료에서는 단독으로 압력 혹은 압력 분포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끼워 가압한다.
또,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가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별개의 기재에 도공하거나 하여 형성된 이른바 2 시트 타입인 경우, 압력 측정용 재료는 시트나 필름 등의 기재 상에 현색제를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갖는 재료 A 와, 시트나 필름 등의 기재 상에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갖는 재료 B 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 압력 측정용 재료에서는, 재료 B 의 마이크로캡슐이 존재하는 면 (발색제층 표면) 과, 재료 A 의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존재하는 면 (현색제층 표면) 이 서로 마주보도록 양 재료를 중첩시키고, 중첩시킨 상태에서 압력 혹은 압력 분포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끼워 가압한다.
가압은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점, 선 또는 면에서 압력 (점압, 선압 또는 면압 등) 을 부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3 ㎫ 이하의 저압 영역에서 미소한 압력차를 식별하기 위한 발색부의 농도차가 적어 차압이 파악되기 어려운 면압이 부여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와 같이 가압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이 파괴되어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내포물이 방출되어,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착색이 관찰되는 것이다. 이 때, 가압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내포물이 보다 많이 방출되게 되어 전자 수용성 화합물과의 반응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반응량에 따라 진한 발색 (착색) 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제 기재 상에 형성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계에 있어서, 특정 살리실산 금속염을 현색제로 하고, 발색제를 내포하는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막두께와 입경의 비를 이하에 나타내는 특정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저압 영역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영역) 에서 가압되었을 경우에 양호한 발색 (착색) 이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아미드 화합물 및/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을 병용했을 때에는 넓은 발색 (착색) 면적이 얻어져, 스캔 등으로 발색 농도를 판독할 때에 반복 판독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 재료를 적용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한 압력 영역은 2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1 ㎫ 이하이다.
상기 중에서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로서는, 그 보존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별개의 기재에 도공하거나 하여 형성된 2 시트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는 플라스틱제 기재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플라스틱제 기재로는 시트 형상, 필름 형상, 판 형상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압력 측정용 재료가 모노 시트 타입 및 2 시트 타입 중 어느 형태여도 마찬가지이다.
플라스틱제 기재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의 필름 혹은 시트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2 축 연신하여 미크로 보이드를 다수 형성한 것 (유포 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 그리고 이들을 종이의 일부, 일면, 양면에 적층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종이의 구체예로는 상질지, 중질지, 갱지, 중성지, 산성지, 재생지, 코트지, 머신 코트지, 아트지, 캐스트 코트지, 미(微)도공지, 트레이싱 페이퍼, 재생지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 재료를 구성하는 발색제층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적어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
본 발명에서의 발색제층은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고, 이 마이크로캡슐에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및 바람직하게는 용매) 를 내포한다. 본 발명에서는, 발색제인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기 위한 마이크로캡슐로서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캡슐을 선택하기 때문에, 저압 영역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영역) 에서의 가압으로도 발색시키기 쉬운 발색계를 형성할 수 있다.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은 우레탄ㆍ우레아 수지 (폴리우레탄ㆍ우레아) 를 벽재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저압 영역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영역) 에서 양호한 발색이 얻어진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은, 하기 식 1 에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킨다. 이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마이크로캡슐로 구성함으로써, 저압 영역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영역) 에서의 가압으로도 발색시키기 쉬운 발색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하기 식 1 에 있어서, δ 는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 를 나타내고, D 는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 (㎛) 을 나타낸다.
1.0 × 10-3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1
δ/D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2
2.0 × 10-2 …식 1
여기에서, 벽두께란 마이크로캡슐의 캡슐 입자를 형성하는 수지막 (이른바 캡슐벽) 의 두께를 말하고, 수평균 벽두께 (㎛) 란 5 개의 마이크로캡슐 개개의 캡슐벽의 두께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구하여 평균한 평균값을 말한다.
또,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은, 마이크로캡슐 전체를 체적 누계가 50 % 가 되는 입자경을 임계값으로 2 개로 나누었을 때, 대직경측과 소직경측에서의 입자 체적의 합계가 등량이 되는 직경 D50 이다. 이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은, 마이크로캡슐액을 지지체에 도포하고, 그 표면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150 배로 촬영하여 2 ㎝ × 2 ㎝ 의 범위에 있는 모든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를 계측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상기 δ/D 값은 1.0 × 10-3 미만이면, 캡슐 사이즈는 크지만 캡슐벽이 지나치게 얇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캡슐의 내용물이 새어나온다. 반대로, δ/D 값이 2.0 × 10-2 를 초과하면, 캡슐 사이즈가 작거나 혹은 캡슐벽이 지나치게 두꺼워 저압 영역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영역) 에서는 양호한 발색이 얻어지지 않는다.
상기 δ/D 값의 범위 중 저압 영역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영역) 에서 양호한 발색 (착색) 을 얻는다는 점에서, δ/D 값은 2.0 × 10-3 ∼ 1.5 × 10-2 가 바람직하고, 3.0 × 10-3 ∼ 1.3 × 10-2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및 바람직하게는 용매) 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은 그 자체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계면 중합법, 내부 중합법, 상 분리법, 외부 중합법, 코아세르베이션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폴리우레탄ㆍ우레아벽의 마이크로캡슐 분산액의 조제는 감압 복사지 용도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유상) 을 수용성 고분자 (폴리올, 폴리아민 등의 캡슐벽 형성용 물질) 를 함유하는 친수성 용액 (예를 들어, 물 등;수상) 에 유화 분산시키고, 얻어진 유화 분산액 중의 유적 (油滴) 을 폴리우레탄ㆍ우레아로 피복하여 마이크로캡슐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가온함으로써 유적 계면에서 고분자 형성 반응이 진행되어 마이크로캡슐벽을 형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하는 공정 도중에는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과 다가 아민 등의 반응 조정제를 첨가해도 된다.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다가 알코올, 히드록시폴리에스테르, 히드록시폴리알킬렌에테르, 다가 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다가 알코올, 다가 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가 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다.
다가 아민으로는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NH 기 또는 -NH2 기를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1,3-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다가 아민;지방족 다가 아민의 에폭시 화합물 부가물;피페라진 등의 지환식 다가 아민;3,9-비스-아미노프로필-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복소 고리형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이나 다가 아민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다가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 및 양, 나아가서는 원하는 캡슐막 경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이나 다가 아민을 첨가하는 경우,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다가 아민의 총량 : 다가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의 비 (질량비) 는 0.1 : 99.9 ∼ 30 : 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99 ∼ 25 : 7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의 첨가량으로는,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이 질량비로 99.9 : 0.1 ∼ 70 : 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99 : 1 ∼ 75 : 2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 : 2 ∼ 80 : 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이나 다가 아민의 첨가 시기는,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용해시키는 용매나 보조 용매 중에 미리 첨가해 두어도 되고, 유화 분산 전 혹은 유화 분산 후에 첨가해도 된다.
친수성 용액 중에는 유화제로서 여러 가지 양성 고분자, 이온계 고분자, 비이온계 고분자, 예를 들어 젤라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폴리옥시알킬에테르나 그 변성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첨가해도 된다.
상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로는 감압 복사지 용도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첨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일반적으로 수첨 XDI 라고 한다) 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일반적으로 IPDI 라고 한다) 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에 우레탄 결합에 의해 지방족 디올 (예, 알킬렌디올) 이 결합된 화합물,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물,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수첨 자일릴렌디이소시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체, 이소포론디이소시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체,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및 트리스-(p-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파이트를 들 수 있다.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캡슐에는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용매 및 보조 용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내포시켜도 된다. 첨가제로는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왁스, 악취 억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에 내포되는 용매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질량비 (용매 : 전구체) 로는, 발색성 면에서 98 : 2 ∼ 30 : 7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97 : 3 ∼ 40 : 6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95 : 5 ∼ 50 : 50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으로는, 저압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면압)) 에서의 발색 농도를 높여 시인성, 스캐닝시의 판독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 4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13 ∼ 30 ㎛ 가 더욱 바람직하며, 16 ∼ 25 ㎛ 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의 벽두께에 대해서는 캡슐벽재의 종류나 캡슐 직경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저압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에서의 가압으로 파괴할 수 있는 범위라면 제한없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3 ㎫ 이하의 저압에서 양호한 발색성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벽두께는 0.005 ∼ 2.0 ㎛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캡슐의 메디안 직경 A 를 10 ∼ 40 ㎛ 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0.01 ∼ 1 ㎛ 이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의 발색제층에 함유되는 마이크로캡슐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적어도 1 종을 내포한다.
마이크로캡슐에 내포되는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는, 감압 복사지 혹은 감열 기록지의 용도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페닐메탄프탈리드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페노티아진계 화합물, 인돌릴프탈리드계 화합물, 류코아우라민계 화합물, 로다민락탐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디페닐메탄계 화합물, 트리아젠계 화합물,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화합물 등 각종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01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572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58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064호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는 저압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면압)) 에서의 발색성을 높여 저압에서 높은 농도를 얻는 (압력 변화에 대한 농도 변화 (농도 구배) 를 높이는) 관점에서 몰 흡광 계수 (ε) 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몰 흡광 계수 (ε) 는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 mol-1ㆍ㎝-1ㆍℓ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5000 mol-1ㆍ㎝-1ㆍℓ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ε 이 상기 범위인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페닐메탄프탈리드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인돌릴프탈리드계 화합물, 류코아우라민계 화합물, 로다민락탐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몰 흡광 계수 (ε) 가 상기 범위인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1 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몰 흡광 계수 (ε) 가 상기 범위인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2 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몰 흡광 계수 (ε) 가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비율은, 저압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면압)) 에서의 발색성을 높여 저압에서 높은 농도를 얻는 (압력 변화에 대한 농도 변화 (농도 구배) 를 높이는) 관점에서 10 ∼ 100 질량%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 100 질량%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30 ∼ 100 질량%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2 종 이상의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사용하는 경우, ε 이 각각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것을 2 종 이상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 흡광 계수 (ε) 는,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95 % 아세트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켰을 때의 흡광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광도가 1.0 이하가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95 % 아세트산 수용액에 있어서, 측정용 셀의 길이를 A ㎝,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농도를 B mol/ℓ, 흡광도를 C 로 했을 때,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몰 흡광 계수 (ε) = C/(A × B)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양 (예를 들어, 도포량) 은, 저압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에서의 발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건조 후의 질량으로 0.1 ∼ 5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4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 3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매)
본 발명에서의 마이크로캡슐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와 함께 용매의 적어도 1 종을 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캡슐에 내포되는 용매로서는 감압 복사지 용도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나프탈렌 등의 알킬나프탈렌류, 1-페닐-1-자일릴에탄 등의 디아릴알칸류, 이소프로필비페닐 등의 알킬비페닐류, 그 밖에 트리아릴메탄류, 알킬벤젠류, 벤질나프탈렌류, 디아릴알킬렌류, 아릴인단류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프탈산디부틸, 이소파라핀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대두유, 콘유, 면실유, 채종유, 올리브유, 야자유, 피마자유, 어유 등의 천연 동식물유 등, 광물유 등의 천연물 고비점 유분 (留分)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보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등 비점이 130 ℃ 이하인 용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발색제층 형성용 조제액의 조제)
마이크로캡슐은 상기와 같이 분산액으로서 얻을 수 있는데, 이 마이크로캡슐 분산액은 그대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제액 (특히 도포액) 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의 분산액에 추가로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의 미분말, 셀룰로오스 섬유 분말 등의 완충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고분자 결착제, 아세트산비닐계, 아크릴계, 스티렌ㆍ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의 소수성 고분자 결착제, 형광 증백제, 소포제, 침투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를 첨가하여 조제액 (특히 도포액) 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조제액 (특히 도포액) 을 기재 상에 도공하거나 하여 부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압력 측정용 재료를 구성하는 발색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색제층 형성용 조제액을 도포액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포액의 도공 방법은 통상의 도공기를 사용하여 도포, 건조시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도공기의 예로는, 에어 나이프 코터, 로드 코터, 바 코터, 커튼 코터, 그라비아 코터, 익스트루전 코터, 다이 코터, 슬라이드 비드 코터, 블레이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각각 별개의 기재에 도공되거나 하여 구성되는 2 시트 타입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도포액을 원하는 시트 형상의 기재 상에 직접 혹은 다른 층을 개재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적어도 발색제층이 형성된 시트재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단일의 시트 형상의 기재에 도공되거나 하여 구성되는 모노 시트 타입인 경우, 예를 들어 원하는 기재 상에 형성된 후술하는 현색제층 상에 상기 도포액을 중첩시켜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압력 측정용 재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를 구성하는 현색제층은 전자 수용성 화합물 (현색제) 을 적어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화합물 및/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자 수용성 화합물)
본 발명에서의 현색제층은, 전자 수용성 화합물 (현색제) 로서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발색 농도와 저압 영역에서의 면압 판독 정밀도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의 상기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15 의 알킬기 (예 :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 (tert)아밀기, (tert)옥틸기, (이소)노닐기, (이소)도데실기, (이소)펜타데실기 등), 탄소수 5 ∼ 12 의 시클로알킬기 (예 :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 등),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 (예 : 벤질기,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3
-메틸벤질기,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4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5
-디메틸벤질기 등), 탄소수 6 ∼ 18 의 아릴기 (예 : 페닐기, 나프틸기, tert-옥틸페닐기 등), 탄소수 1 ∼ 15 의 알콕시기 (예 : 메톡시기, 에톡시기, 옥틸옥시기, 도데실옥시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발색성 면에서는 알킬기, 아르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 살리실산 금속염으로는 살리실산의 아연염, 니켈염, 알루미늄염, 칼슘염 등을 들 수 있으며, 분산 안정화 면에서 아연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3,5-디-t-부틸살리실산, 3,5-디-t-옥틸살리실산, 3,5-디-이소-노닐살리실산, 3,5-디-이소-도데실살리실산, 3-이소노닐-5-메톡시살리실산, 3-이소-도데실살리실산, 5-이소-도데실살리실산, 5-시클로헥실살리실산, 3,5-비스(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6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7
-디메틸벤질)살리실산, 3,5-비스(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8
-메틸벤질)살리실산, 3-메틸-5-(
Figure 112010008379619-pct00009
-메틸벤질)살리실산, 3-(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0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1
-디메틸벤질)-5-메틸살리실산, 3-(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2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3
-디메틸벤질)-6-메틸살리실산, 3-(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4
-메틸벤질)-5-(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5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6
-디메틸벤질)살리실산, 3-(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7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8
-디메틸벤질)-6-에틸살리실산, 3-페닐-5-(
Figure 112010008379619-pct00019
,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0
-디메틸벤질)살리실산, 카르복시 변성 테르펜 페놀 수지, 3,5-비스(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1
-메틸벤질)살리실산과 벤질클로라이드의 반응 생성물인 살리실산 수지 등의 아연염, 니켈염, 알루미늄염,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색제층에서는,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과 함께 다른 현색제 (전자 수용성 화합물) 를 병용해도 된다. 병용할 수 있는 현색제로는 무기 화합물 및 유기 화합물 모두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산성 백토, 활성 점토, 애터풀자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카올린과 같은 점토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로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카르복실화 템퍼 페놀 수지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성 백토, 활성 점토, 카올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의 현색제층 중에서의 양 (도포에 의한 경우에는 도포량) 은, 건조 후의 질량으로 0.1 ∼ 30 g/㎡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5 g/㎡ 이다. 그 살리실산 금속염의 양은, 0.1 g/㎡ 이상이면 저압에서 높은 발색 농도가 얻어지고, 30 g/㎡ 이하이면 롤 형상의 형태로 했을 경우에 가루 떨어짐이 없는 압력 측정용 재료 (예를 들어, 현색제 시트) 가 얻어진다.
또,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과 함께 다른 현색제를 병용하는 경우, 다른 현색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저압에서의 발색 농도를 높이는 점에서,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현색제의 전체량에 대하여 1 ∼ 50 질량% 이다.
(아미드 화합물ㆍ(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본 발명에서의 현색제층은,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드 화합물 및/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에서 발색 (착색) 되는 발색계로 구성했을 경우에 발색 부분을 적당히 번지게 할 수 있어,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에서의 가압으로도 넓은 발색 면적이 얻어진다. 이로써, 예를 들어 스캐닝하거나 하여 발색부를 판독할 때의 반복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아미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 : 아크릴아미드가 96 ∼ 70 몰 퍼센트와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또는 말레산의 탄소수 4 이하의 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에스테르가 4 ∼ 30 몰 퍼센트의 공중합체 등)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알킬기 및 아릴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적어도 갖는 술폰아미드 화합물 (예 : 톨루엔술폰아미드, N,N-디부틸톨루엔술폰아미드, N,N-디부틸벤젠술폰아미드, N,N-디옥틸메탄술폰아미드, N-부틸벤젠술폰아미드, N-(톨루엔술포닐)모르폴린 등) 등의 술폰아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에서의 가압에 의한 경우에도 넓은 발색 면적이 얻어져, 예를 들어 스캐닝하거나 하여 발색의 농도를 판독할 때의 반복 판독 정밀도를 높이는 점에서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5 ∼ 1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부분에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 (예 : 탄소수 5 ∼ 1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부분에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5 ∼ 95 질량%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메타)아크릴계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에서의 발색시에 넓은 발색 (착색) 면적이 얻어져, 예를 들어 스캐닝하거나 하여 발색 농도를 판독할 때의 반복 판독 정밀도를 보다 높이는 점에서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현색제층 중에서의 총 함유량으로는, 저압 (특히 3 ㎫ 이하의 압력) 에서 발색시켰을 때의 발색 면적이 넓게 얻어져, 스캔 등으로 발색 농도를 판독할 때의 반복 판독 정밀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현색제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 ∼ 2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3 ∼ 1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현색제 분산액의 조제)
현색제 분산액은,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상기 무기 화합물인 경우, 무기 화합물을 기계적으로 수계로 분산 처리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유기 화합물인 경우, 유기 화합물을 기계적으로 수계로 분산 처리하거나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07435호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현색제층 형성용 조제액의 조제)
상기와 같이 하여 조제된 전자 수용성 화합물 분산액은, 그대로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제액 (특히 도포액) 으로 해도 된다. 또, 현색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제액 (특히 도포액) 에는, 바인더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아세트산비닐계 라텍스,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라텍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무수말레산-스티렌-공중합체, 전분, 카세인,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합성 또는 천연 고분자 물질을 첨가해도 된다. 또, 그 조제액 (특히 도포액) 에는, 안료로서 카올린, 소성 카올린, 카올린 응집체, 중질 탄산칼슘, 여러 가지 형태 (쌀알 형상, 각 (角) 형상, 방추 형상, 밤송이 형상, 구 형상, 아라고나이트계 기둥 형상, 무정형 등) 의 경질 탄산칼슘, 탈크, 루틸형 또는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형광 증백제, 소포제, 침투제, 방부제를 그 조제액 (특히 도포액) 에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현색제층으로는, 특히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과,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수분산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플라스틱제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층인 것이 저압 영역에서의 면내 압력 판독 적성이나 저압 영역에서의 압력 면내 균일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현색제층 형성용 조제액을 도포액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포액의 도공 방법으로는, 통상의 도공기를 사용하여 도포, 건조시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도공기의 예로는, 블레이드 코터, 로드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커튼 코터, 그라비아 코터, 바 코터, 롤 코터, 익스트루전 코터, 다이 코터, 슬라이드 비드 코터, 블레이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각각 별개의 기재에 도공되거나 하여 구성되는 2 시트 타입인 경우, 예를 들어 현색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원하는 시트 형상의 기재 상에 직접 혹은 다른 층을 개재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적어도 현색제층이 형성된 시트재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이 단일의 시트 형상의 기재에 도공되거나 하여 구성되는 모노 시트 타입인 경우, 예를 들어 원하는 시트 형상의 기재 상에 직접 혹은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현색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압력 측정용 재료를 구성하는 현색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주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액 (A) 의 조제-
디아릴에탄 70 부에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로서 하기 화합물 (A) 18 부를 용해시켜 용액 A 를 얻었다. 다음으로, 메틸에틸케톤 1 부에 용해시킨 에틸렌디아민의 부틸렌옥사이드 부가물 0.4 부를, 교반하고 있는 용액 A 에 첨가하여 용액 B 를 얻었다. 또한, 메틸에틸케톤 1 부에 용해시킨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2 부를, 교반하고 있는 용액 B 에 첨가하여 용액 C 를 얻었다. 그리고, 물 150 부에 폴리비닐알코올 6 부를 용해시킨 용액 중에 상기에서 얻은 용액 C 를 첨가하여 유화 분산시켰다. 또한, 유화 분산 후의 유화액에 물 250 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80 ℃ 까지 가온하고, 1 시간 동안 교반 후에 냉각시켰다. 물을 첨가하여 농도를 조정하여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폴리우레탄ㆍ우레아벽 마이크로캡슐의 마이크로캡슐액 (A) 를 얻었다.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δ) 는 0.11 ㎛ 이고, 그 체적 표준에서의 메디안 직경 D50 은 20 ㎛ 였다. 수평균 벽두께는 5 개의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 두께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구하여 평균한 평균값으로 하고, 메디안 직경은 마이크로캡슐액을 원하는 지지체에 도포하고, 광학 현미경에 의해 150 배로 촬영하여 2 ㎝ × 2 ㎝ 의 범위에 있는 모든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를 계측하여 산출하였다. δ/D 는 0.006 이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2
화합물 (A)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마이크로캡슐액 (A) 를 두께 7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시트 상에 건조 후의 질량이 5.0 g/㎡ 가 되도록 커튼 도포기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발색제층을 형성하여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를 얻었다.
-현색제 함유액 (A) 의 조제-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3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 (치환 살리실산 금속염;현색제) 100 부 및 톨루엔 80 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이것을 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산부틸의 공중합체〔아미드 화합물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몰비 9 : 1〕의 25 % 수용액 16 부, 탄산나트륨 0.2 부 및 물 200 부와 혼합하고, 호모게나이저로 분산시켰다. 그 후, 이것에 추가로 물 60 부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가열하여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고, 반응기를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분산물의 농도가 40 % 이고, 현색제의 평균 입경이 0.95 ㎛ 인 현색제 분산액 (A) 를 조제하였다. 이 현색제 분산액 (A) 24 부, 탄산칼슘 100 부, 산화아연 6 부 및 물 100 부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이것에 폴리비닐알코올의 10 % 수용액 100 부,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를 고형분 환산으로 10 부 및 물 450 부를 첨가하여 현색제 함유액 (A) 를 조제하였다.
-현색제 시트의 제조-
얻어진 현색제 함유액 (A) 를 두께 7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시트 상에 고형분 도포량이 6 g/㎡ 가 되도록 커튼 도포기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현색제층을 형성하여 현색제 시트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 및 현색제 시트로 이루어지는 2 시트 타입의 본 발명의 압력 측정용 재료를 제조하였다.
-평가ㆍ측정-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액 (A) 및 압력 측정용 재료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 측정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1) 발색 농도
얻어진 압력 측정용 재료를 5 ㎝ × 5 ㎝ 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와 현색제 시트를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의 발색제층 표면과 현색제 시트의 현색제층 표면이 마주보도록 하여 중첩시켰다. 이 중첩시킨 시트를 0.3 ㎫ 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발색시켰다. 그 후, 중첩시킨 양 시트를 박리하고, 농도계 RD-19 (그레택맥베스사 제조) 를 사용하여 현색제 시트에 형성된 발색부의 농도 (DA) 를 측정하였다. 또, 이것과는 별개로 미사용 현색제 시트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 농도 (DB) 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농도 DA 에서 초기 농도 DB 를 감산하여 발색 농도 ΔD 를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또한, 「B」이상이 실사용상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이다.
-평가 기준-
A (ΔD > 0.7) : 발색이 명확하게 관찰되며, 농도는 높았다.
B (0.5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4
ΔD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5
0.7) : 발색이 명확하게 관찰되며, 농도는 약간 높았다.
C (0.3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6
ΔD < 0.5) : 발색이 약간 관찰되지만, 농도는 낮았다.
D (ΔD < 0.3) : 발색이 약간 관찰되었다.
(2) 농도 판독 정밀도
얻어진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 및 현색제 시트를 20 ㎝ × 20 ㎝ 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의 발색제층 표면과 현색제 시트의 현색제층 표면이 마주보도록 하여 중첩시켰다. 이 중첩시킨 시트를 유리판을 개재하여 0.15 ㎫ 로 전체면을 가압하여 전체면을 발색시켰다. 그리고, 압력 화상 해석 시스템 (FPD-9210, 후지 필름 (주) 제조) 에 의해 압력의 면내 분포를 해석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 농도 불균일이 없고, 착색은 일정하였다.
B : 약간 농도 불균일이 관찰되었지만, 실용상 허용할 수 있는 범위였다.
C : 농도 불균일이 현저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의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액 (A) 의 조제에 있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2 부를 3 부로 하고, 유화의 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의 δ/D 를 0.017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현색제로서 사용한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7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을 3-이소도데실살리실산아연 (치환 살리실산 금속염) 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현색제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아미드 화합물 (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산부틸의 공중합체 (몰비 9 : 1) 의 25 % 수용액 16 부를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몰비 1 : 4〕25 % 수용액 16 부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현색제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현색제 함유액 (A) 를 하기 현색제 함유액 (C) 로 변경하고, 현색제의 도포량을 동일하게 하여 도포, 건조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현색제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현색제 함유액 (C)-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8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 (치환 살리실산 금속염;현색제) 10 부, 탄산칼슘 100 부, 헥사메타인산나트륨 1 부 및 물 200 부를 샌드 글라인더를 사용하여 평균 입경 3 ㎛ 가 되도록 분산시켜 분산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분산액에 폴리비닐알코올의 10 % 수용액 100 부,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를 고형분 환산으로 10 부 및 물 450 부를 첨가하여 현색제 함유액 (C;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무첨가) 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액 (A) 를 하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액 (B) 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액 (B;멜라민 수지벽 캡슐) 의 조제-
에틸렌 무수말레산 공중합체의 3 % 수용액 150 부를 준비하고, 이것을 디아릴에탄 70 부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인 상기 화합물 (A) 18 부의 용해액에 혼합하고, 유화 분산시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유화 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포르말린 30 부에 멜라민 10 부를 첨가하고, 60 ℃ 로 가온하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프레폴리머액을 조제하였다. 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프레폴리머액을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유화 분산액에 첨가하고, 70 ℃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시켜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내포하는 멜라민 수지벽 마이크로캡슐의 마이크로캡슐액 (B) 를 얻었다.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δ) 는 0.23 ㎛ 이고, 그 체적 표준에서의 메디안 직경 D50 은 15 ㎛ 였다. 수평균 벽두께 및 메디안 직경은,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구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의 마이크로캡슐액 (A) 의 조제에 있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2 부를 0.2 부로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의 δ/D 를 0.0006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 의 마이크로캡슐액 (A) 의 조제에 있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2 부를 4 부로 하고, 유화의 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의 δ/D 를 0.024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서 현색제로서 사용한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29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을 페놀 레진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현색제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 계측을 실시하였다. 평가, 계측의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캡슐벽 현색제 함유액 δ/D 벽두께 δ[㎛] 메디안 직경
D [㎛]
발색 농도 농도
판독
정밀도
실시예
1
우레탄ㆍ
우레아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0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과 아미드 화합물
0.006 0.11 20 A A
실시예
2
우레탄ㆍ
우레아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1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과 아미드 화합물
0.017 0.25 15 A A
실시예
3
우레탄ㆍ
우레아
3-이소도데실살리실산아연과 아미드 화합물 0.006 0.11 20 A A
실시예
4
우레탄ㆍ
우레아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2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0.006 0.11 20 A A
실시예
5
우레탄ㆍ
우레아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3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
0.006 0.11 20 B A
비교예
1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4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과 아미드 화합물
0.015 0.23 15 C C
비교예
2
우레탄ㆍ
우레아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5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과 아미드 화합물
0.0006 0.011 20 현색제 시트와 중첩시키기만 해도 발색. 캡슐로부터 염료 전구체의 누출이 있었다. 평가
불가
비교예
3
우레탄ㆍ
우레아
3,5-디(
Figure 112010008379619-pct00036
-메틸벤질)살리실산아연과 아미드 화합물
0.024 0.36 15 C B
비교예
4
우레탄ㆍ
우레아
페놀 레진 화합물 0.006 0.11 20 C C
상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면압을 부여하여 가압이 3 ㎫ 이하의 저압이 되는 경우에서도 양호한 발색 (착색) 농도가 얻어졌다. 또, 발색부에서의 농도 판독성 및 그 반복 판독 정밀도도 양호하여, 저압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의 국부압이나 면압을 부여하여 압력 상태를 관찰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에서는 부여된 면압이 지나치게 낮아 발색이 적어 농도 판독성에 떨어졌으며, 반복 판독했을 때의 정밀도도 낮았다.
일본 출원 2007-179969의 개시는 그 전체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을 참조하여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하여 도입된다.

Claims (18)

  1. 플라스틱제 기재와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를 함유하는 발색제층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갖고,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 및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발색 반응을 이용하여 발색시키고,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에 내포되어 있고,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이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이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δ/D = 1.0 × 10-3 ∼ 2.0 × 10-2 〔δ : 마이크로캡슐의 수평균 벽두께 (㎛), D :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압력 측정용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3 ㎫ 이하의 압력으로 발색시키는, 압력 측정용 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이 10 ㎛ 이상인, 압력 측정용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색제층은, 추가로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압력 측정용 재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 화합물이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또는 술폰아미드 화합물이고,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인, 압력 측정용 재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색제층은 치환기를 갖는 살리실산 금속염과, 아미드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수분산액을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압력 측정용 재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상에 상기 기재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과,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내포된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갖는, 압력 측정용 재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상에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색제층을 갖는 재료 A 와, 상기 기재 상에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가 내포된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발색제층을 갖는 재료 B 를 포함하는, 압력 측정용 재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몰 흡광 계수 (ε) 가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압력 측정용 재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몰 흡광 계수 (ε) 가 10000 mol-1ㆍ㎝-1ㆍℓ 이상인 상기 전자 공여성 무색 염료 전구체의 비율이, 30 ∼ 100 질량% 의 범위인, 압력 측정용 재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의 벽두께가 0.005 ∼ 2.0 ㎛ 의 범위인, 압력 측정용 재료.
  12. 제 1 항에 있어서,
    체적 표준의 메디안 직경이 10 ∼ 40 ㎛ 로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의 벽두께가 0.01 ∼ 1 ㎛ 인, 압력 측정용 재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리실산 금속염의 치환기가 탄소수 1 ∼ 15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인, 압력 측정용 재료.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리실산 금속염이 살리실산의 아연염, 니켈염, 알루미늄염 또는 칼슘염인, 압력 측정용 재료.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벽이 폴리우레탄ㆍ우레아로 형성되어 있는, 압력 측정용 재료.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δ/D 가 2.0 × 10-3 ∼ 1.5 × 10- 2 인, 압력 측정용 재료.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리실산 금속염의 상기 현색제층 중에서의 양이 0.1 ∼ 30 g/㎡ 인, 압력 측정용 재료.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 화합물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상기 현색제층 중에서의 총 함유량이, 상기 전자 수용성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 ∼ 20 질량부인, 압력 측정용 재료.
KR1020107002794A 2007-07-09 2008-06-27 압력 측정용 재료 KR101497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9969 2007-07-09
JP2007179969A JP4986749B2 (ja) 2007-07-09 2007-07-09 圧力測定用材料
PCT/JP2008/061737 WO2009008269A1 (ja) 2007-07-09 2008-06-27 圧力測定用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96A KR20100054796A (ko) 2010-05-25
KR101497737B1 true KR101497737B1 (ko) 2015-03-02

Family

ID=4022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794A KR101497737B1 (ko) 2007-07-09 2008-06-27 압력 측정용 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4050B2 (ko)
JP (1) JP4986749B2 (ko)
KR (1) KR101497737B1 (ko)
CN (1) CN101688812B (ko)
TW (1) TWI370772B (ko)
WO (1) WO2009008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998A2 (en) * 2010-03-17 2011-09-22 Taivex Therapeutics Inc. Modulators of hec1 activity and methods therefor
CN102147371B (zh) * 2010-12-31 2012-09-26 东莞市天盛特种纸制品有限公司 一种无碳复写纸微胶囊质量的检测试剂和检测方法
GB2566894B (en) * 2016-08-17 2021-10-06 Jiangsu Rotam Chemistry Co Ltd Herbicide composition comprising clomazone and use thereof
CN110383022A (zh) * 2017-03-10 2019-10-25 富士胶片株式会社 压力测定用材料、压力测定用材料组、压力测定方法及压力测定用液体组
CN106840538B (zh) * 2017-04-11 2019-03-01 东华大学 一种利用压力敏感型物质检测真空袋膜漏气点的方法
EP3617681A4 (en) * 2017-04-27 2020-05-13 FUJIFILM Corporation STIMULI-SENSITIVE MAGNETIC P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JP6830531B2 (ja) * 2017-05-31 2021-0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力測定用材料
WO2019003838A1 (ja) * 2017-06-30 2019-01-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力測定用材料
CN109813479A (zh) * 2019-01-04 2019-05-28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膨胀力分布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WO2020262148A1 (ja) * 2019-06-28 2020-12-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力測定用シートセット、圧力測定用シート
WO2020262329A1 (ja) * 2019-06-28 2020-12-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力測定用シートセット、圧力測定用シート、分散液
CN115053115A (zh) * 2020-02-12 2022-09-13 富士胶片株式会社 压力测量用片材组、压力测量用片材、压力测量用片材组的制造方法、压力测量用片材的制造方法、片材、分散液、分散液组、微胶囊
KR200495385Y1 (ko) * 2022-03-19 2022-05-12 정기열 감압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060A (en) * 1974-10-29 1977-01-11 Fuji Photo Film Co., Ltd. Pressure measurement she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796662A (ja) * 1993-09-29 1995-04-11 New Oji Paper Co Ltd 感圧複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510B2 (ja) 1989-11-22 1998-08-13 株式会社三光開発科学研究所 顕色剤水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記録紙
GB0324755D0 (en) * 2003-10-23 2003-11-26 Arjo Wiggins Ltd Pressure sensitive record material
JP5724852B2 (ja) 2011-11-30 2015-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060A (en) * 1974-10-29 1977-01-11 Fuji Photo Film Co., Ltd. Pressure measurement she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796662A (ja) * 1993-09-29 1995-04-11 New Oji Paper Co Ltd 感圧複写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14674A (ja) 2009-01-22
CN101688812B (zh) 2011-11-09
KR20100054796A (ko) 2010-05-25
US8314050B2 (en) 2012-11-20
TWI370772B (en) 2012-08-21
CN101688812A (zh) 2010-03-31
WO2009008269A1 (ja) 2009-01-15
US20100323188A1 (en) 2010-12-23
JP4986749B2 (ja) 2012-07-25
TW200906642A (en) 200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737B1 (ko) 압력 측정용 재료
KR101504376B1 (ko) 압력 측정용 재료
KR101450026B1 (ko) 압력 측정용 재료
JP5142640B2 (ja) 圧力測定用材料
KR20190039604A (ko) 압력 측정용 재료 조성물, 압력 측정용 재료, 및 압력 측정용 재료 세트
JP7438139B2 (ja) 圧力測定用材料及び圧力測定用材料の製造方法
KR20200120697A (ko) 요철구조를 갖는 발색성 필름, 압력 시험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6830531B2 (ja) 圧力測定用材料
WO2018221169A1 (ja) 圧力測定用材料
CN110383022A (zh) 压力测定用材料、压力测定用材料组、压力测定方法及压力测定用液体组
JP5020037B2 (ja) 圧力分布測定方法
JP5258236B2 (ja) 圧力測定用材料
JP5258238B2 (ja) 凹凸シート及び圧力測定方法
JP5142646B2 (ja) 圧力測定方法
JP5334393B2 (ja) 膜塗設材料の製造方法
JP7231732B2 (ja) 圧力測定用シートセット、圧力測定用シート
WO2022137893A1 (ja) 圧力測定用シートセット、圧力測定方法
TWI842080B (zh) 壓力測定用材料及壓力測定用材料組
JP2009014493A (ja) 圧力測定用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