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057B1 -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 Google Patents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057B1
KR101497057B1 KR1020120141804A KR20120141804A KR101497057B1 KR 101497057 B1 KR101497057 B1 KR 101497057B1 KR 1020120141804 A KR1020120141804 A KR 1020120141804A KR 20120141804 A KR20120141804 A KR 20120141804A KR 101497057 B1 KR101497057 B1 KR 10149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light emitting
conductive pad
emitting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853A (ko
Inventor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주)팔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팔콘시스템 filed Critical (주)팔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4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0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발광소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에 필요한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받는 패드를 발광모듈의 서로 다른 면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모듈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의 열적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Conductor mounted light emitting module}
본 발명은 조명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다이오드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다이오드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열화에 의한 발광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LED, 즉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텅스텐 전구나 네온램프 등 다른 발광 소자와 비해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그 수명이 긴 장점이 있어 조명장치에서부터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LED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PCB 기판 상에 복수개의 LED칩들을 배치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나, PCB 기판을 이용한 종래 방식의 경우 기판이 불투명하여 단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만이 가능하여 유리창에 장착되는 투명한 LED 광고판이나 여러 개의 장치를 적층시켜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3차원 입체 형상 디스플레이 등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130)과, 발광모듈(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수평전선(110)이 삽입되는 제1 연결홈(141)이 형성되어 수평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드(140)와, 발광모듈(1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수직전선(120)이 삽입되는 제2 연결홈(151)이 형성된 제2 패드(150) 및 제1 패드(140)와 제2 패드(15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투명 절연체(1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다수개의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교차점에 장착함으로써 전선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단순히 전선이 발광모듈(130)의 상면과 저면에 안착된 상태로 접속되면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의 접속위치가 변위되고, 이에 따라 전선과 발광모듈(130)간 접속상태가 해제될 뿐 아니라 발광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지 못하여 열화에 의해 발광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100)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외력이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에 전달되면서 두 전선 모두에 전단응력과, 비틀림응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전단응력과, 비틀림응력에 의해 수평전선(110)과, 수직전선(120)이 변형 또는 손상되어 그 저항값이 변경되면서 발광모듈(1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출량 및 방출각도가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모듈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열화에 의해 발광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도전체를 발광모듈에 접속시킬 수 있으면서도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접속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패드와, 상기 발광모듈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도전패드 및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패드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패드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패드 또는 상기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체와, 도전패드에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그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도전패드 및 상기 제2 도전패드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패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접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아울러, 상기 제1 도전체는 일측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과 대향되고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2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1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면 일측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도전패드 및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면 일측이 상기 제3 도전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 도전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도전체를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발광모듈에 접속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발광체의 열화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도전체를 발광모듈에 접속시킬 수 있으면서도 도전체와 발광모듈간 접속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등록특허 1063928호에 따른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전패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와, 발광체를 포함하는 발광모듈(30)과, 제1 도전패드(40) 및 제2 도전패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도전체(1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를 갖는 선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도전패드(40) 안착홈(42) 내측에 각각 끼움결합 또는 납땜으로 연결되어 발광모듈(30)과 도통된다.
제2 도전체(2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하부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한 쌍의 제2 도전패드(50)에 각각 면접촉되어 발광모듈(30)과 도통된다.
이와 같은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이 조명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발광모듈(30)의 발광체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신호, 선택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발광모듈(30)은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발광모듈(30)은 일반적인 다이오드 패키지와 같이 다이오드 발광체(phosphor)의 일단과 연결되고 반사판(reflector)을 지닌 패드와, 다이오드 발광체의 타단과 본딩와이어(bonding wire)로 접속되는 패드, 즉 두 개의 패드로 전원을 공급받는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전패드(40)는 발광모듈(30)의 상면에 설치되는 패드몸체(41)와, 패드몸체(4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착홈(42)이 형성된 내측면에 제1 도전체(10)가 접속된다.
이러한 제1 도전패드(40)는 제1 도전체(10)가 안착홈(42)이 형성된 내측에 안착되면 제1 도전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도전체(10)가 발광모듈(30)의 발광체와 도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패드(40)가 발광모듈(30)의 상면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도전패드(40)의 수량과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소자 모듈(1)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 수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으며, 그 수량이 증대되는 경우 발광모듈(3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도전패드(5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저면에 설치되어 면접촉으로 제2 도전체(20)와 도통되어 제2 도전체(20)가 발광모듈(30)의 발광체와 도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도전패드(5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쌍이 발광모듈(3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도전체(10)와 같이 발광소자 모듈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 수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복수개의 제1 도전체(10) 및 복수개의 제2 도전체(20)가 발광모듈(30) 일측에 지지된 상태에서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에 전달되는 전단응력 및 비틀림응력이 복수개의 제1 도전체(10) 및 복수개의 제2 도전체(20)가 상호 보상함으로써 기계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도전패드(50)와 제2 도전체(20)가 평면접촉됨에 따라 제2 도전패드(50)와 제2 도전체(20)의 도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발광모듈(30)의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복수개의 제1 도전패드(40) 및 복수개의 제2 도전패드(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방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 도전패드(50)의 경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방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방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제1 도전체(10)와 다수의 제2 도전체(20)를 격자형성으로 배치하고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가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에서 상기한 두 도전체와 발광모듈(30)을 연결하여 구성한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발광모듈(30)을 화소 또는 광원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전체는 일반적인 원통형의 전선, 평면접속을 하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전선,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높은 지지력을 갖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휘어질 수 있는 금속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전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기판에 동판을 식각(etching)하여 제작한 도전체 또는 합성수지에 금속막을 코팅한 도전체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전패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간 접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대략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구성외에 절연플레이트(60)와, 상부지지플레이트(70) 및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제1 도전체(10')는 대략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발광모듈(30)이 삽입배치되는 복수개의 설치공(11'a)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1')와, 플레이트부(11')의 저면 중 설치공(11'a)이 형성된 영역의 내주로부터 설치공(11'a)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부(12') 및 탄성부(12')의 하단으로부터 삽입공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촉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체(10')는 접촉부(13')가 탄성부(12')에 의해 제1 도전패드(40)에 탄성접촉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부지지플레이트(70) 및 제2 도전체(20')에 의해 탄성접촉된 상태가 지지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위치가 변위되지 않고 제1 도전패드(40)와의 접촉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13')가 제1 도전패드(40)에 안정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제1 도전패드(40)의 형상 또한 접촉부(13')와 대응되게 중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전체(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발광모듈(30)이 안착되어 발광모듈(30)의 저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광모듈(30)의 저면에 설치된 제2 도전패드(5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발광모듈(30)의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플레이트(60)는 제1 도전체(10') 또는 제2 도전체(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사각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플레이트부(11')의 설치공(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통과공(61)이 형성되며,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를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지지플레이트(7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도전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 도전체(10')의 설치공(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공(7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노출공(71)을 통해 발광모듈(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부재(80)에 의해 제1 도전체(1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제1 도전체(10')가 제1 도전패드(40)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80)는 일반적인 볼트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부지지플레이트(70), 제1 도전체(10'), 절연플레이트(60) 및 제2 도전체(20')에 나사결합되어 발광모듈(3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지지플레이트(70) 및 제2 도전체(2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부지지플레이트(70)에 의해 제1 도전체(10')가 제1 도전패드(40)에 탄성접촉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도전체(20')가 제2 도전패드(50)에 견고하게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1)은 제1 도전체(10')의 상부에 상부지지플레이트(70)를 배치하고, 상부지지플레이트(70)를 가압하여 제1 도전체(10')의 탄성부(12')가 제1 도전패드(40)에 탄성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지지플레이트(70)와 제2 도전체(20')를 고정부재(80)로 고정함으로써 제1 도전체(10')의 탄성부(12')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의 접촉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체(10')가 플레이트부(11') 및 탄성부(12')로 이루어지면서 도전체가 도전패드에 탄성접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도전체(20')를 발광모듈(3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몸체(21')와, 결합몸체(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접촉부(22')를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탄성접촉부(22')가 제2 도전패드(50)에 탄성접촉되도록 함으로 도전체와 도전패드가 탄성접촉되도록 구성하거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과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도전체와 도전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체와 도전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별도의 탄성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아울러, 렌즈가 케이스 내부에 함몰된 형상의 발광모듈(30)과, 에폭시와 같이 투명한 상부지지플레이트(70)를 사용하면, 상부지지플레이트(70)에 형성된 노출공(71)을 생략할 수 있고, 도2에 도시된 전선형태의 도전체를 사용함으로써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의 예로 사용된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절연체 및 도전체는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자유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간 접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의 접속면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도전체(10'')와 제2 도전체(20'')는 각각 단면이 대략 "∩"형상의 제1 접촉부(11'') 및 제2 접촉부(21'')와, 제1 접촉부(11'') 및 제2 접촉부(21'')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날개부(12'') 및 제2 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전 실시예의 구성외에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대략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구성외에 지지블럭(70')와, 안착플레이트(90)와, 발광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도전패드(110')와, 제3 도전체(100') 및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지지블럭(70')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복수개의 배치공(71')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공(71')과 연통되는 제1 삽입공(72') 및 제1 삽입공(72')과 대향되고 배치공(71')과 연통되는 제2 삽입공(75')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블럭(70')은 제1 및 제2 삽입공(72',75')이 형성된 내면 일측과, 배치공(71')이 형성된 상부 내면 일측에 각각 제1 걸림턱(73') 및 제2 걸림턱(7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제1 걸림턱(73')은 제1 도전체(10'') 또는 제2 도전체(20'')가 각각 제1 삽입공(72') 또는 제2 삽입공(75')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도전체(10'') 또는 제2 도전체(20'')의 날개부(12'',22'')의 일측에 지지되어 삽입공(72',75'))에 삽입된 도전체(10'',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2 걸림턱(74')은 배치공(71')에 발광모듈(30)이 삽입배치되는 경우 발광모듈(30)의 상면 일측을 지지하여 발광모듈이 배치공(7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플레이트(90)는 대략 직육면체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제3 도전체(10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홈(91)이 형성되어 제3 도전체(1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제3 도전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안착플레이트(90)는 슬라이딩홈(91)이 형성된 상부 내면 일측으로부터 이탈방지턱(9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홈(91)에 삽입된 제3 도전체(100')가 이탈방지턱(92)에 지지되면서 제3 도전체(1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도전체(100')는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와 같이 "∩"형상의 제3 접촉부(101'')와, 제3 접촉부(101'')의 양측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3 날개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은 지지블럭(70')의 제1 삽입공(72') 및 제2 삽입공(75')에 각각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블럭(70')의 설치공에 발광모듈(30)을 삽입하여 제1 도전체(10'') 및 제2 도전체(20'')가 각각 제1 도전패드(40) 및 제2 도전패드(50)에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하되, 발광모듈(30)의 하부에 안착플레이트(90)를 배치하여 안착플레이트(90)의 슬라이딩홈(91)에 삽입결합된 제3 도전체(100')가 발광모듈(30)의 저면에 결합된 제3 도전패드(110')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부재(80')를 지지블럭(70')과, 안착플레이트(90)의 일측에 결합하여 지지블럭(71') 및 안착플레이트(9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전체와 도전패드간 접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제1 도전체(10'')와, 그와 대향되는 제2 도전체(20'')는 필요에 다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광모듈(3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대응되는 발광모듈(30)의 네 개의 측면에 모두 도전패드가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느 한 면에만 도전패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광모듈(30)의 측면 모두에 도전패드가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모듈(30)의 하부에도 추가적으로 도전패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전체의 접속면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도전체가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 10 : 제1 도전체
20: 제2 도전체 30 : 발광모듈
40 : 제1 도전패드 41 : 패드몸체
42 : 안착홈 50 : 제2 도전패드
10' : 제1 도전체 11' : 플레이트부
11'a : 설치공 12' : 탄성부
13' : 접촉부 20' : 제2 도전체
21' : 결합몸체 22' : 탄성접촉부
60 : 절연플레이트 61 : 통과공
70 : 상부지지플레이트 71 : 노출공
80 : 고정부재 10'' : 제1 도전체
11'' : 제1 접촉부 12'' : 제1 날개부
20 '' : 제2 도전체 21'' : 제2 접촉부
22'' : 제2 접촉부 70' : 지지블럭
71' : 배치공 72' : 삽입공
73' : 제1 걸림턱 74' : 제2 걸림턱
90 : 안착플레이트 91 : 슬라이딩홈
92 : 이탈방지턱 100' : 제3 도전체
110' : 제3 도전패드

Claims (7)

  1.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접속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패드와;
    상기 발광모듈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도전패드; 및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패드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패드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패드 또는 상기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체와, 도전패드에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그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도전패드 및 상기 제2 도전패드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패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탄성접촉되는 탄성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3. 삭제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는 일측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발광모듈이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과 대향되고 상기 배치공과 연통되는 제2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1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배치공과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제2 도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발광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도전패드; 및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면 일측이 상기 제3 도전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 도전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모듈.
KR1020120141804A 2012-12-07 2012-12-07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KR10149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804A KR101497057B1 (ko) 2012-12-07 2012-12-07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804A KR101497057B1 (ko) 2012-12-07 2012-12-07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53A KR20140073853A (ko) 2014-06-17
KR101497057B1 true KR101497057B1 (ko) 2015-03-03

Family

ID=5112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804A KR101497057B1 (ko) 2012-12-07 2012-12-07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7683B (zh) * 2014-07-22 2017-03-01 龙门县佳茂聚氨酯橡胶有限公司 高透光的发光积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375A (ja) * 1995-03-30 1996-10-18 Sharp Corp 多孔質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96212A (ko) * 2006-03-21 2007-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ed 칩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9513003A (ja) * 2005-10-07 2009-03-26 オスラム シルヴェニ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透光性のヒートシンクを有するled
KR101063928B1 (ko) * 2010-11-11 2011-09-08 (주)팔콘시스템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375A (ja) * 1995-03-30 1996-10-18 Sharp Corp 多孔質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13003A (ja) * 2005-10-07 2009-03-26 オスラム シルヴェニ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透光性のヒートシンクを有するled
KR20070096212A (ko) * 2006-03-21 2007-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ed 칩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063928B1 (ko) * 2010-11-11 2011-09-08 (주)팔콘시스템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853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8015B2 (en) LEDs mounted on curved lead frame
US7408370B2 (en) Lighting device
US9599289B2 (en) Light sourc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49930B2 (en) LED module and lighting assembly
US20160025319A1 (en) Holder, holder assembly and led assembly using holder assembly
JP2014007154A (ja) 照明装置
KR20170101137A (ko) 발광 다이오드 광원 및 램프
KR100729825B1 (ko) 발광 유니트
US9046252B2 (en) LED lamp
KR101001595B1 (ko) 엘이디 조명 모듈
JP2012221900A (ja) 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14022267A (ja) Ledモジュール、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7445355B2 (en) Matrix display using cassette light units
JP2012204187A (ja) Led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20130062631A1 (en) Light emitting structure,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9307589B2 (en) Illuminant device and lighting module thereof
KR101497057B1 (ko) 도전체 장착형 발광소자 모듈
KR101133649B1 (ko) 고효율의 열방출이 가능한 전기전자 장치 및 led 발광 장치
US11158777B2 (en) LED light source
KR20110097212A (ko) Led 모듈 및 조립케이스로 구성된 led 램프
JP2016058244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811217B1 (ko) 조명장치
TWI523271B (zh) 插件式發光單元及發光裝置
JP2006012884A (ja) 発光デバイス
KR101879215B1 (ko) 광원 분리형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