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872B1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872B1
KR101496872B1 KR20130044657A KR20130044657A KR101496872B1 KR 101496872 B1 KR101496872 B1 KR 101496872B1 KR 20130044657 A KR20130044657 A KR 20130044657A KR 20130044657 A KR20130044657 A KR 20130044657A KR 101496872 B1 KR101496872 B1 KR 10149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ut
cylinder
piston rod
ballas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225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브룬
아드리안 노보이스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3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2Adjustment of buoyancy by water ballasting; Emptying equipment for ballast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 F16K1/12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잠수함은 적어도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한다. 이 밸러스트 탱크는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한 차단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수함{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특정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관련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잠수함들은 그들의 내압선각 밖에 배치되고 그리고 이들 잠수함들에게 수면 위의 수상위치로부터 수중위치로 가라앉힐 수 있는 또는 그 반대로 수중위치로부터 수상위치로 올라오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포함한다. 이들 밸러스트 탱크들은 잠수항해를 시작하기 위하여 물로 충수(flooding)되고, 그리고 수면으로 다시 상승하기 위하여 공기와 같은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로 불어넣어진다.
각 경우에 있어서 용골측 (keel-side)영역 내의 밸러스트 탱크들은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데, 이 개구를 통해 이것들이 충수될 때 물이 밸러스트 탱크 속으로 흘러들어갈 수가 있고, 가스가 불어 넣어질 때 물이 밸러스트 탱크 밖으로 흘러나올 수가 있다. 밸러스트 탱크들이 충수될 때 밸러스트 탱크들 내에 위치한 가스 또는 공기가 탈출할 수 있는 또 다른 개구들이 밸러스트 탱크들을 위한 방출장치의 일부로서 상부영역 내의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다. 후자의 개구들은 밸러스트 탱크가 충수될 때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로부터 그것의 바깥 환경으로 흐름통로를 개방하고 그리고 밸러스트 탱크에 가스를 주입할 때 그리고 잠수함의 수상조건에서 이 흐름통로를 폐쇄하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밸브들에 의해 폐쇄된다. 이 밸러스트 탱크들이 내압선각의 밖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위에 배치된 밸브들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작동될 수가 없고, 기계적 기어들 및 카아던 축(Cardan shaft)을 통해 내압선각의 내부에 배치된 작동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은 밸러스트 탱크들을 위한 방출장치들을 설계, 제조 및 기술적 조립 등에 있어서 비교적 복잡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위와 같은 결점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러스트 탱크들을 위한 방출장치들의 설계, 제조 및 기술적 조립 등에 있어서 주목할 만큼 단순화된 잠수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에 특정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잠수함의 이점 있는 더 향상 점들은 각 종속항들, 도면은 물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속항들에 특정된 구성들은 그 자체 또는 적절한 조합으로 본 발명 및 청구항 1에 따른 해결책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
알려져 있는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잠수함의 내압선각의 밖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한다. 이 밸러스트 탱크는 차단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이 개구는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로부터 밸러스트 탱크의 바깥 환경으로의 흐름통로를 형성한다. 밸러스트 탱크를 침수할 때, 밸러스트 탱크 내에 위치된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이 이 개방 개구를 통해 밸러스트 탱크의 밖으로 탈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된 차단밸브를 적용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유압에 의해 작동가능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작동기를 갖는 차단밸브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고, 공기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에 의해 적절한 영향이 주어진 이 작동기는 이 차단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식으로 작동한다. 이것을 위하여, 차단밸브 또는 그것의 작동기는 단지 적절한 유압공급기에 전도적으로 접속될 필요가 있고, 그리고 작동기의 유압공급기의 제어를 위한 적절한 수단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잠수함에 존재하는 압축공기 공급기 또는 잠수함의 존재하는 송수본관이 유압공급기로서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 있어서, 압력탱크를 방출하기 위한 수단은,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한 차단밸브의 사용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차단밸브, 유압공급기에 차단밸브의 도관연결 및 유압공급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장치에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방출장치는 지금까지 알려져 왔던 잠수함들에 있어서의 것들보다 의미 있게 더욱 간단하게 구성되고, 이것은 그들의 제조 및 조립에 있어서 특히 이점 있는 효과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잠수함의 밸러스트 탱크들에는 각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구들이 제공되어 져야만 하는데, 그 중 밸러스트 탱크의 침수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밸러스트 탱크의 용골측 영역에 배치되고, 그리고 밸러스트 탱크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개구는 유용하게 밸러스트 탱크의 상측 상에 형성된다. 밸러스트 탱크의 방출을 위한 역할을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모든 개구들은 각각 차단밸브에 의해 폐쇄된다. 이들 차단밸브들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모든 차단밸브들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한 식으로 설계된다.
이 차단밸브는 공기압식으로는 물론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고, 여기서 그러나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한 설계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차단밸브를 작동하기 위하여 더 높은 작동력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 맥락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움직이도록 결합 되는 차단밸브의 밀폐체를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차단밸브와 관련하여, 그것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형성되는 작동기를 갖는 포핏(poppet)밸브의 경우이다. 유압액체에 의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의 적절한 압력의 행사에 의해, 피스톤 및 그 위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 그리고 그 위에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인 방식으로 묶여져 있는 차단밸브의 밀폐체는 마치, 밀폐체가 밸러스트 탱크의 개구에 의해 그리고 차단밸브에 의해 형성된 흐름통로를 해제하는 것, 같은 식으로 움직이고, 그리고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의 반대방향 움직임으로 그것을 폐쇄한다.
이점 있게, 차단밸브는 폐쇄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소자가 제공되는데, 이 스프링소자는 차단밸브의 폐쇄위치로는 물론 폐쇄체의 개방위치로 차단밸브의 밀폐체 상에 스프링력을 가하고, 이 스프링력은 밀폐체의 폐쇄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만약 차단밸브를 폐쇄하기 위하여 및/또는 밀폐체를 폐쇄위치로 보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유체압력이 차단밸브의 작동기를 위하여 제공될 수 없을 때 이점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이어스된 데 기인한 스프링소자는 폐쇄체를 그것의 폐쇄위치로 움직이고 유지한다. 다른 이점으로서는, 적합한 설계에 있어서, 바이어스된 스프링소자가 또한, 차단밸브의 밀폐체를 그것의 폐쇄위치로 보지하는 부가적 보지력을 제공함에 의해, 잠수함 상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주어질 때 부적절하게 개방되는 것으로부터 차단밸브를 방지하는 도움을 줄 수가 있다.
차단밸브의 작동기를 형성하는 유압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로드의 여행이라 말하여 지는 확장 스트로크에 의해 주어지는 압력에 영향받는 제1 실린더챔버와 피스톤 로드의 후퇴 스트로크에 의해 주어지는 압력에 영향받는 제2 실린더챔버를 갖는 이중-작용 실린더로 설계된다. 이것은 유압실린더를 고려할 때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후퇴 스트로크는 물론 확장 스트로크가 각 실린더챔버 내로 유압유체의 도입에 의해 활동적으로 제어될 수가 있다.
이 유압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확장 스트로크일 때 개방위치로 밀폐체를 움직이고 후퇴 스트로크일 때 폐쇄위치로 그것을 움직이는 식으로 설계 및/또는 배치된다. 이것은 유압실린더의 제1 실린더챔버에 유압이 주어질 때 차단밸브가 개방식으로 작동되고 제2 실린더챔버에 유압이 주어질 때 차단밸브가 폐쇄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의 제2 실린더챔버 내에 복원스프링을 배치하는 것이 이점이 있다. 만약 유압이 없거나 부족할 때, 이 복원스프링은, 밀폐체와 함께 피스톤 로드가 확장될 때 그리고 개방위치에 위치될 때, 밀폐체의 폐쇄위치로 복원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되움직이게 되고 복원스프링에 의해 거기에 보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복원스프링과 관련하여,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로드를 둘러싸고 배치될 수 있는 나선스프링의 경우이다. 이로써, 복원스프링은 피스톤 및 피스톤과 반대 측에 놓여 있고 그것을 통해 피스톤 로드가 안내되는 유압실린더의 단부부분 상에 지지될 수가 있다.
더 이점 있는 설계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의 확장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슬리브(sleeve)가 피스톤 로드의 둘레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설계에 있어서, 이 슬리브는 그것의 일측 단부에 칼라(collar)-같은 방사상 확대부를 포함하고, 이것과 함께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상에 지탱된다. 이점 있게, 이 슬리브는 피스톤 로드와 슬리브의 주위에 배치되고 피스톤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확대부의 측 상에 지지되어 있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이 위치에 보지될 수가 있다. 피스톤 로드와 같이 피스톤의 확장움직임과 함께, 피스톤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단부가 피스톤 반대 측에 놓여 있는 유압실린더의 단부부분상에 지탱되게 되고 따라서 피스톤 로드와 함께 피스톤의 더 확장움직임을 차단한다. 이것에 기인하여, 피스톤 로드의 이 확장이동은 슬리브가 존재하지 않았을 때보다 더 작다. 확장이동의 이 단축의 목적은 과하중으로부터 복원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유용하게, 차단밸브는 밸러스트 탱크의 바깥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밸러스트 탱크 상에 이 차단밸브를 묶기 위하여, 이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밸러스트 탱크의 개구의 가장자리 상에 놓이는 식으로 묶여 지는 플랜지 링을 포함한다. 이로써,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 개구와 함께 플랜지 링에 의해 둘러싸인 자유공간이라 말하여 지는 플랜지 링의 개구가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로부터 바깥환경으로 그리고 그 역으로 흐름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링 상에 형성된 개구의 직경은 차단밸브에 의해 폐쇄되어지는 개구의 직경보다 더 작고, 따라서 플랜지 링의 개구에 인접하는 가장자리 영역이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 개구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한다. 더 이점 있는 이 설계는 차단밸브의 밸브시트를 형성하도록 개구의 가장자리 상에 놓여 있는 플랜지 링의 끝면을 허용한다. 이것은 밸러스트 탱크와 마주하고 밸러스트 탱크의 개구의 가장자리에서 개구의 내부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링의 표면의 환형영역이 그것의 폐쇄위치에서 차단밸브의 밀폐체를 위한 접촉표면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밀폐체와 함께,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밸브 디스크의 경우이고 따라서 차단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밸브이다.
밸러스트 탱크와 마주하는 플랜지 링의 측상에 지탱되는 이 밀폐체는, 플랜지 링에 의해 형성되는 차단밸브의 흐름통로를 해방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의 방향으로 플랜지 링으로부터 멀어지는, 그것의 폐쇄위치로부터 제거되어 지는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사용된 유압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밸러스트 탱크의 밖에 배치된다. 유압실린더의 보지체가 유압실린더를 묶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떨어져 있는 플랜지 링의 측 상에 형성된다. 이 유압실린더는 유용하게, 그 위에 차단밸브의 밀폐체가 배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그것의 개방방향에 있어서는 플랜지의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의 확장된 조건에서는 플랜지 링의 개구를 통해 접촉하는 식으로, 이 보지체 상에 보지된다. 이 유압실린더용 보지체는 이점 있게, 차단밸브의 간단한 구조형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방사방향으로 플랜지 링의 바깥 가장자리를 넘어서 확장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잠수함은 밸러스트 탱크들을 위한 방출장치들의 설계, 제조 및 기술적 조립 등을 단순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잠수함의 밸러스트 탱크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차단밸브의 부분적으로 절개되고, 단순화하여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단밸브의 평면도, 및
도 3은 도 2의 선 II-II에 따라 절개된 도 1에 따른 차단밸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차단밸브는 내부개구(4)를 갖는 플랜지 링(2)을 포함한다. 이 차단밸브는,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 개구의 영역 내에서,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잠수함의 밸러스트 탱크 상에 이 플랜지 링(2)과 함께 체결되고, 여기서 플랜지 링(2)의 표면(6)(도 3)은 밸러스트 탱크의 바깥면 상에 지탱된다. 이 플랜지 링(2) 상에 형성된 개구(4)의 직경은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 개구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따라서 이 플랜지 링(2)이 개구에 인접하는 링 부분으로 밸러스트 탱크 상에 형성된 개구를 가장자리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덮고, 플랜지 링(2)의 바깥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링 부분이 밸러스트 탱크의 바깥면 상에 놓이게 된다.
플랜지 링(2)의 이 바깥 링 부분 상의 플랜지 링(2)은 그것의 주변을 따라 일정하게 분배되어 있는 18개의 구멍들(8)을 포함한다. 이 구멍들(8)은 스크류들을 수납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이것으로 플랜지 링(2)이 밸러스트 탱크에 스크류결합된다.
표면(6)으로부터 또는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떨어진 표면(10)상에, 세 개의 보지소자들(12)이 플랜지 링(2)의 주변에 걸쳐 120°의 각도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보지소자들(12)은, 표면(10)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우선 표면(10)에 대하여 수직으로 확장하고 있다. 거기에 연결되는 영역에서의 이 보지소자들(12)은 플랜지 링(2)의 중심의 방향으로 아치 식으로 굽어지고, 여기서 플랜지 링(2)의 표면(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되고 플랜지 링(2)에서 떨어져 있는 보지소자들(12)의 끝부분(14)이 플랜지 링(2)의 개구(4)의 구멍 내에 배치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어깨(16)가 보지소자들(12) 상에 보지소자들(12)의 끝부분(14)들과 연결하는 식으로 플랜지 링(2)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지소자들(12)은 유압실린더(20)용 보지체(18)를 형성한다. 이 유압실린더(20)는 실린더(22)를 포함한다. 플랜지 링(2)과 떨어져 있는 실린더(22)의 단부 상에 돌출부(24)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를 통해 단차가 진 보어(26)가 실린더(22)의 내부로 안내된다. 도시되지 않은 유압공급도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28)가 보어(26) 안에서 스크류 결합된다. 이 접속부(28)는 중심보어(30)가 제공되고, 이것을 통해 유압액체가 공급도관으로부터 실린더(22)의 내부로 공급될 수가 있다.
이 실린더(22)는, 플랜지 링(2)과 마주하는 실린더(22)의 단부에서, 그것의 외측 상으로 플랜지같은 방식으로 넓어진다. 단부-부분(32)은 이 실린더(22)의 개방단부 속으로 결합된다. 실린더(22)의 바깥에 위치한 그것의 단부에서 이 단부-부분(32)은 실린더(22)의 플랜지같은 확대부에 일치하는 플랜지같은 확대부를 포함한다. 이 단부-부분(32)은 이 플랜지같은 확대부의 영역 안에서 실린더(22)에 스크류 결합된다.
주변 상의 유압실린더(20)는 그들의 끝부분들(14)의 영역 내에서 보지소자들(12)에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 실린더(22)의 플랜지같은 확대부 및 단부-부분(32)의 플랜지같은 확대부는 보지소자들(12) 상에 형성된 어깨들(16) 상에 지지된다.
실린더(22)의 길이방향으로 전개가능한 피스톤(34)이 실린더(22) 내에 배치된다. 이 피스톤(34)은 이 실린더(22)를 제1 실린더챔버(36) 및 제2 실린더챔버(38)로 나눈다. 이 실린더(22)는 이중-작용 실린더로 설계된다. 이것을 위하여, 실린더챔버는 접속부(28)를 통해 유압에 놓여질 수 있다. 도면에 명백히 나타나지는 않지만 제2 실린더챔버(38)속으로 그것을 통해 유압유체가 안내되는 제2 접속부가 플랜지같은 확대부에 인접하는 부분 내에서 실린더(22) 상에 배치된다. 피스톤 로드(40)는 제2 실린더챔버(38)에 인접하는 피스톤(34)의 측 상에 형성된다. 피스톤(34)과 떨어져 있는 피스톤 로드(40)의 끝-부분은 단부부분(32) 상에 형성된 중앙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실린더(22)의 밖으로 돌출한다.
피스톤 로드(40)를 둘러싸고 있는 피스톤(34) 상에서 지탱되고 그리고 환형적으로 밖으로 돌출하는 확대부를 포함하는 피스톤(34)을 그것의 단부에서 마주하는 슬리브(42)는 제2 실린더챔버(38) 내에 배치된다. 또한, 나선 스프링(44)이 피스톤 로드(40) 및 슬리브(42)를 둘러싸고 이 실린더챔버(38) 내에 배치된다. 나선 스프링(44)은 피스톤(34)과 마주하는 그것의 단부와 함께 슬리브(42)의 밖으로 돌출하는 확대부 상에서 지지되고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것의 단부와 함께는 단부-부분(32) 상에서 지지된다.
차단밸브의 밀폐체(46)는 실린더(22)의 밖으로 돌출하고 있는 피스톤 로드(40)의 단부 상에 묶여 있다. 이 밀폐체(46)와 관련하여, 그것은 차단밸브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플랜지 링(2)의 표면(6) 상에서 지탱되는 밸브 디스크의 경우이다. 플랜지 링(2)의 표면(6)과 마주하는 밀폐체(46)의 면 상에 배치된 밀폐링(48)(도 1)에 의해 플랜지 링(2)에 대하여 밀폐체(46)를 가스밀착 방식으로 밀폐한다.
도 3은 폐쇄위치(A)는 물론 개방위치(B)에 있어서의 밀폐체(46)를 보여준다. 폐쇄위치(A)에 있어서, 실린더(22)의 실린더챔버(38)는 유압유체의 압력에 의해 영향이 주어지고 따라서 밀폐체(46)를 폐쇄위치로 보지한다. 또한, 실린더챔버(38) 내에 배치된 나선 스프링(44)이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그러므로 이 나선 스프링(44)은 피스톤(34) 및 밀폐체(46)에 폐쇄력을 발휘한다. 만약 밀폐체(46)가 개방위치(B)로 움직여지는 것이라면, 유압유체는 실린더챔버(36) 속으로 안내되고 동시에 실린더챔버(38) 내의 유압유체는 실린더챔버(38) 밖으로 안내된다. 실린더챔버(36) 속으로 흐르는 유압유체는 압력으로 압축된 나선 스프링(4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단부-부분(32)의 방향으로 피스톤(34)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로드(40) 상에 배치된 밀폐체(46)는 플랜지 링(2)의 표면(6)에 의해 형성된 밸브 시트를 위하여 해제된다. 단부-부분(32)의 방향으로의 피스톤(34)의 움직임은 단부-부분(32)과 마주하는 슬리브(42)의 단부가 단부-부분(32) 상에서 지탱되어 지는 사실 때문에 제한되고, 이 수단에 의해 나선 스프링(44)의 과부하가 방지된다. 만약 밀폐체(46)가 개방위치(B)로부터 다시 폐쇄위치(A)로 되돌아 움직이는 것이라면, 다시 유압유체가 실린더챔버(38) 속으로 도입되고 이 유압유체는 실린더챔버(36) 밖으로 안내된다. 만약 유압시스템의 결함에 기인하여 유압유체를 실린더챔버(38)로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압력에 의해 압축된 나선 스프링(44)이, 밀폐체(46)가 가스-밀착 식으로 폐쇄위치로 플랜지 링(2)의 표면(6) 상에 지탱될 때까지, 후퇴방향으로 피스톤(34)을 가압한다. 밀폐체(46)는, 나선 스프링(44)이 밀폐체(46)의 폐쇄위치로 압축력을 갖는 사실에 기인하여, 폐쇄위치로 나선 스프링(44)에 의해 보지된다.
2: 플랜지 링 4: 개구
6: 표면 8: 보어
10: 표면 12: 보지소자
14: 끝부분 16: 어깨
18: 보지체 20: 유압실린더
22: 실린더 24: 돌출부
26: 보어 28: 접속부
30: 보어 32: 단부-부분
34: 피스톤 36, 38: 실린더챔버
40: 피스톤 로드 42: 슬리브
44: 나선 스프링 46: 밀폐체
48: 밀폐링 A: 폐쇄위치
B: 개방위치

Claims (9)

  1. 차단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를 갖는 잠수함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유압식으로 작동가능한 식으로 설계되고, 상기 차단밸브는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40)에 직접 체결되는 밀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체는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40)에 움직이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차단밸브는 폐쇄방향으로 스프링-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항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0)는, 피스톤 로드(40)의 확장 스트로크로 주어진 압력이 가해지는 제1 실린더챔버(36) 및 피스톤 로드(40)의 후퇴 스트로크로 주어진 압력이 가해지는 제2 실린더챔버(38)를 구비하는 이중-작용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4항에 있어서, 복원스프링이 유압실린더(20)의 제2 실린더챔버(38)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1항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40)의 확장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슬리브(42)가 피스톤 로드(40)를 둘러싸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차단밸브는 밸러스트 탱크의 개구의 가장자리 상에 놓여 체결되는 플랜지 링(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7항에 있어서, 개구의 가장자리 상에 놓여 있는 플랜지 링(2)의 단부면은 밸브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7항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0)용 보지체(18)는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떨어져 있는 플랜지 링(2)의 측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20130044657A 2012-05-23 2013-04-23 잠수함 KR101496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8627.7 2012-05-23
DE102012208627A DE102012208627A1 (de) 2012-05-23 2012-05-23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225A KR20130131225A (ko) 2013-12-03
KR101496872B1 true KR101496872B1 (ko) 2015-02-27

Family

ID=4790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657A KR101496872B1 (ko) 2012-05-23 2013-04-23 잠수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66711B1 (ko)
KR (1) KR101496872B1 (ko)
DE (1) DE102012208627A1 (ko)
ES (1) ES270002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407B1 (ko) * 2020-07-27 2021-12-01 박원창 롤링이 저감된 낚시용 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5501B1 (de) 2004-10-05 2008-08-20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Anblasvorrichtung für ein Unterseeboot
KR20090050973A (ko) * 2007-11-16 2009-05-20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흐름 제어 밸브
KR20090067039A (ko) * 2007-12-20 2009-06-24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가스밸브어레인지먼트
DE102008003982B3 (de) 2008-01-11 2009-07-02 Gabler Maschinenbau Gmbh Unterwasser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08567U1 (de) * 1986-03-29 1986-09-04 Bopp & Reuther AG, 68305 Mannheim Sicherheitsabsperrvent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5501B1 (de) 2004-10-05 2008-08-20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Anblasvorrichtung für ein Unterseeboot
KR20090050973A (ko) * 2007-11-16 2009-05-20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흐름 제어 밸브
KR20090067039A (ko) * 2007-12-20 2009-06-24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가스밸브어레인지먼트
DE102008003982B3 (de) 2008-01-11 2009-07-02 Gabler Maschinenbau Gmbh Unterwasser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225A (ko) 2013-12-03
ES2700023T3 (es) 2019-02-13
DE102012208627A1 (de) 2013-11-28
EP2666711A1 (de) 2013-11-27
EP2666711B1 (de)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789B1 (ko) 고압 대유량 솔레노이드 래치밸브
US20190353263A1 (en) Poppet type pneumatic valve for inflation system
US10969034B2 (en) Inflation electric valve with manual override
TWI505292B (zh)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pressure relief equipment and the main steam release safety valve drive device
US20050005966A1 (en) Shut-off device
JP2015512016A (ja) 一体型加圧ガス貯留室を備えた空気式ゲートバルブ
CN103162003B (zh) 用于火灾和爆炸保护的高速率排放(hrd)阀打开机构
KR102215184B1 (ko) 원자로 내의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CN106461113B (zh) 用于流体线的高完整性压力保护系统(hipps)
AU201127906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losing and reopening a pipe
KR101496872B1 (ko) 잠수함
NO334295B1 (no) Ventil anvendbar som en produksjonsventil
JPWO2015151938A1 (ja) 空気式防舷材および空気式防舷材用口金具
US20140097363A1 (en) Floating seal retainer
US8800585B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rotating lever release mechanism
JP6291968B2 (ja) 空気式防舷材および空気式防舷材用口金具
JP5685426B2 (ja) 苛酷な環境用の緊急時流体供給源
CA1104468A (en) Valve actuator
EP2602522A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collet sleeve release mechanism
US10746132B2 (en) Solenoid-controlled, liquid cryogenic-hydraulically actuated isolation valve assembly
BR112017017174B1 (pt) Atuador de controle de fluxo para compressores recíprocos
RU2700487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гидропривода
RU2527774C1 (ru) Поршневая задвижка
GB1566504A (en) Valve actuator
US20090173902A1 (en) Pressurized fluid control device with a safety closure for a compartment containing the pressurized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