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378B1 -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 Google Patents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378B1
KR101496378B1 KR20130035060A KR20130035060A KR101496378B1 KR 101496378 B1 KR101496378 B1 KR 101496378B1 KR 20130035060 A KR20130035060 A KR 20130035060A KR 20130035060 A KR20130035060 A KR 20130035060A KR 101496378 B1 KR101496378 B1 KR 10149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wire
driving means
rop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434A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주)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휘텍 filed Critical (주)휘텍
Priority to KR2013003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3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높이에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로프(10)와, 이 로프(1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2)를 수직하강시키거나 감아올리는 복수개의 와이어구동수단(20)과,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며 상단이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의 와이어(22)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복수개의 캐빈(30)과, 외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캐빈(30)에 구비되며 외부인 또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A up-down moving facilities with wire and cabin}
본 발명은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인의 방해를 받지 않고 좀 더 특별한 조망과 스릴을 만끽하면서 자신들만의 특별한 행사나 이벤트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한 날에 특별한 사람과 외부인의 방해를 받지 않고 특별한 시간을 갖고자 한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다양한 장소가 제공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레스토랑에 구비된 룸이나 커피숍에 커텐이나 파티션 등으로 구획된 공간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소는 웨이터 등 외부인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된 공간의 사람들의 말이나 행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을 들어야만 하므로 특별한 사람과의 특별한 시간이 방해를 받게 된다. 또한, 레스토랑이나 커피숍과 같은 장소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별로 특별하지 않고 식상하기만 하다. 이와 같이, 결혼기념일이나 프로포즈 등과 같이 특별한 날 가족이나 연인에게 다른 사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신들만의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을 만한 장소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841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인의 방해를 받지 않고 좀 더 특별한 조망과 스릴을 만끽하면서 자신들만의 특별한 행사나 이벤트 등을 진행할 수 있어 특별한 사람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물할 수 있는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높이에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로프(10)와, 이 로프(1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2)를 수직하강시키거나 감아올리는 복수개의 와이어구동수단(20)과,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며 상단이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의 와이어(22)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복수개의 캐빈(30)과, 외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캐빈(30)에 구비되며 외부인 또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빈(30)에 탑승하여 공중에 매달림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완전히 차단하여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신들만의 특별한 공간에서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으며 더불어 공중에서 자체적으로 유동되거나 바람에 의해 흔들리므로 놀이기구와 같은 스릴도 만끽할 수 있어 프로포즈나 각종 기념일에 연인이나 친구, 가족들이 소중한 추억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캐빈(30)이 상승하여 시야가 확트인 장소나 도심의 야경, 유명관광명소 등이 한눈에 들어오는 장소에 설치하면 더욱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캐빈(30)의 상승높이나 탑승자의 탑승시간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므로, 다른 캐빈(30)과 상승높이, 승하차시간 및 탑승시간 등을 맞출 필요가 없어서 개인의 취향이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각 캐빈(30) 내부에 컨트롤러(40)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돌발상황 등에 보다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처하여 하차하거나 상승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높이면서도 탑승자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일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일부인 캐빈의 내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높이에 설치된 로프(10)과, 이 로프(1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와이어(22)를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수직하강시키거나 감아올리는 복수개의 와이어구동수단(20)과,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며 상단이 상기 와이어(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일정높이까지 승강되는 캐빈(30)과,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프(10)는 다수의 포스트(11)의 상단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결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로프(10)로 이루어져서 와이어구동수단(20)이 로프(10)에 일렬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구동수단(20)이 복수열이나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로프(10)가 복수열이나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구동수단(20)은 로프(10)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2)를 수직하강시키거나 또는 감아올리는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호이스트로 이루어진다. 와이어구동수단(20)에는 상기 컨트롤러(4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21)의 온오프 및 작동타이머 등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21a)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캐빈(30)은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둘레면에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된다. 캐빈(30)의 상단은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의 감겨진 와이어(22)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구동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캐빈(30)이 수직하게 승강하게 된다. 한편, 캐빈(30)의 내부는 테이블(31)과 의자(32)가 소정 형태로 세팅되어 식당이나 커피숍 등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또는 여러 명이 함께 앉을 수 있는 긴 의자가 설치되어 같은 곳을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0)는 와이어구동수단(20)의 모터구동부(21a)에 신호를 송출하여 모터(21)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것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아닌 외부 관리인 등이 컨트롤러(40)를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컨트롤러(40)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구동수단(20)이 개별적으로 컨트롤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40)를 조작하여 각 캐빈(30)의 상승높이, 상승속도, 하강속도 뿐 아니라 탑승자의 탑승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캐빈(30)이 상승과 하강을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하여 놀이기구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자가 탑승티켓 구입시 자신이 상승높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보를 탑승티켓에 칩과 같은 형태로 내장하여, 상기 탑승티켓을 컨트롤러(40)에 접촉시킴에 따라 상기 정보가 담겨진 신호가 모터구동부(21a)로 송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캐빈(30)의 승강 등이 무인시스템으로 작동되므로 인건비 등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40)가 각 캐빈(3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가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개인의 취향이나 탑승시 발생하는 돌발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여 상승높이를 조절하거나 하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은 캐빈(30)이 일정높이 상승하면 시야가 확트이거나 또는 도심의 야경이나 유명관광명소가 한눈에 들어올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캐빈(30)은 컨트롤러(40)에 의해 개별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캐빈(30)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다른 캐빈(30) 탑승자의 탑승시간과 무관하게 자신들이 원하는 시간에 승하차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취향이나 사정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캐빈(30)의 상승높이 등을 다른 캐빈(30)과 무관하게 탑승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일정높이에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로프(10);
    상기 로프(1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2)를 수직하강시키거나 감아올리는 복수개의 와이어구동수단(20);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며 상단이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의 와이어(22)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복수개의 캐빈(30); 및
    상기 캐빈(30)의 외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캐빈(30)에 구비되며, 외부인이나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와이어구동수단(20)의 모터(21)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KR20130035060A 2013-04-01 2013-04-01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KR10149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060A KR101496378B1 (ko) 2013-04-01 2013-04-01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060A KR101496378B1 (ko) 2013-04-01 2013-04-01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34A KR20140119434A (ko) 2014-10-10
KR101496378B1 true KR101496378B1 (ko) 2015-02-27

Family

ID=5199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5060A KR101496378B1 (ko) 2013-04-01 2013-04-01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0616B (zh) * 2017-11-25 2023-11-17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娱乐用车辆牵引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973A (ja) * 1993-04-16 1994-11-22 Matherly Andrea ゴンドラ等を位置変化させるための装置
JPH0824366A (ja) * 1994-07-20 1996-01-30 Oriental Sangyo Kk 遊戯装置
JPH0871255A (ja) * 1994-08-31 1996-03-19 Oriental Sangyo Kk 遊戯用乗物装置
JP2009122863A (ja) 2007-11-13 2009-06-04 Nippon Cable Co Ltd ゴンドラリフトの搬器の乗客数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973A (ja) * 1993-04-16 1994-11-22 Matherly Andrea ゴンドラ等を位置変化させるための装置
JPH0824366A (ja) * 1994-07-20 1996-01-30 Oriental Sangyo Kk 遊戯装置
JPH0871255A (ja) * 1994-08-31 1996-03-19 Oriental Sangyo Kk 遊戯用乗物装置
JP2009122863A (ja) 2007-11-13 2009-06-04 Nippon Cable Co Ltd ゴンドラリフトの搬器の乗客数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34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6793T3 (es) Dispositivo volador.
ES2271378T3 (es) Sistema de ascensores.
JP2009502691A (ja) ユーザ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へと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
JP5944151B2 (ja) エレベータ
US10946296B1 (en) Scissor lift construction equipment amusement ride
JP2016169096A (ja) エレベータ
KR101496378B1 (ko) 와이어와 캐빈을 이용한 상하공중 이동용 시설물
US20090017927A1 (en) Amusement Ride With Mechanical Lift, Slides, Sequenced Ejections, And Show Systems
JP6568586B2 (ja) ロープウェイ設備
CN104372972A (zh) 无避让立体停车库
JP3203713U (ja) 乗物遊具
US9133642B2 (en) Platform assembly mobile within a cylindrical structure
JP587773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乗りかご内の情報表示方法
KR101886261B1 (ko) 전망대식 서비스 제공장치
JP2006290478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5712157B (zh) 一种电梯坠地缓冲设备
JP2009240578A (ja) 遊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2467252U (zh) 一种游乐设施用的建筑物
JPH1015249A (ja) 落下遊戯装置
JP2614539B2 (ja) 海外旅行体験施設
US836556A (en) Amusement device.
KR102484726B1 (ko)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US983049A (en) Aerial amusement device.
JP3277459B2 (ja) リフト用救助はしご
JP4856817B2 (ja) 高所観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