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726B1 -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726B1
KR102484726B1 KR1020200150145A KR20200150145A KR102484726B1 KR 102484726 B1 KR102484726 B1 KR 102484726B1 KR 1020200150145 A KR1020200150145 A KR 1020200150145A KR 20200150145 A KR20200150145 A KR 20200150145A KR 102484726 B1 KR102484726 B1 KR 10248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uppression
unit
rise building
fi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454A (ko
Inventor
시 명 김
김종한
Original Assignee
시 명 김
김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 명 김, 김종한 filed Critical 시 명 김
Priority to KR102020015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3Structural associations of sli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빌딩(1) 옥상에 구비된 완강기(2); 상기 완강기(2)에 연결된 케이블(7)에 연결되어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이동을 하는 화재진압유닛(3);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구비되는 탑승장치(3); 상기 완강기(2) 및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5); 및 상기 완강기(2), 상기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진압 및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탈출장치를 빌딩에 고정시켜 화재발생 지점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시킴과 동시에 안전한 탑승 유도 및 안전한 탈출장치 하강을 원격으로 조절하는 효과 및 택배물을 안정적으로 고층빌딩 원하는 위치로 배송할 수 있는 택배 배송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Fire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진압 및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탈출장치를 빌딩에 고정시켜 화재발생 지점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시킴과 동시에 안전한 탑승 유도 및 안전한 탈출장치 하강을 원격으로 조절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빌딩 내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이 지상으로 대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들이 당황하게 되므로, 빌딩 내에 구비된 비상탈출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생각을 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조작하는 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최근에는 건축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초고층 빌딩 또는 고층 아파트를 건설하는 일이 빈번해졌으나, 고층빌딩에 대한 비상탈출장치는 아직 미온한 수준이다. 이에 초고층 빌딩의 탈출통로에 화재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람들은 화재 및 연기를 피하기 위하여 빌딩의 옥상 또는 외부창으로 탈출을 시도할 수밖에 없다.
종래의 고층빌딩 인명구조는 소방차에 장착된 고가사다리를 이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고층빌딩 상층부까지 사다리가 미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다리차가 사고현장으로 출동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신속한 인명구조가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가사다리도 일정 위치까지 밖에 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층에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6571호에는 와이어와 연결된 드론을 이용하고, 와이어에 탑승장치를 매달아서 제어가 가능한 차량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차량 또는 장치가 사고현장에 도착하는 데에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초고층빌딩에 적용할 경우, 바람에 의하여 흔들리는 탑승장치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가 없으므로,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없다. 더욱이, 드론이 고정된 부분에서만 인명구조가 가능하므로, 여러 층에 남아 있는 사람들을 한번에 탈출시키기 위해서는 드론이 비행하여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탑승장치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므로, 먼저 탑승한 탑승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은 한 번에 여러 층에 남아있는 사람들을 탈출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신속한 인명구조에 한계가 있다.
또한,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탈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당황한 사람들 및 안전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조작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탈출장치 이용시에 안전사고에 미흡한 부분이 있다. 특히 초고층빌딩의 경우, 빌딩의 상층부에는 바람이 많이 불게 되는데, 탈출장치 및 탈출장치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거센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어, 탈출장치가 빌딩외부에 온전하게 고정되기 어렵다. 이는 탈출장치에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빌딩에 구비된 탈출장치 또한 하강 시에 바람에 의하여 흔들리게 되므로, 탑승자가 불안함을 느끼게 되고 안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65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빌딩에 화재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인명구조가 가능하고, 화재발생 지점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시킬 수 있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제어가능하므로, 조작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탈출장치의 위치로 안전한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 및 도움을 주고, 탈출장치의 흔들림을 적게 하여 탑승자가 위치한 장소에 탈출장치를 제공하고, 탑승자가 탑승한 탈출장치를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고층빌딩의 원하는 장소에 택배 등의 물품 배달이 가능한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빌딩(1) 옥상에 구비된 완강기(2); 상기 완강기(2)에 연결된 하나의 케이블(7)에 의하여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이동을 하는 화재진압유닛(3);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구비되는 탑승장치(3); 상기 완강기(2) 및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5); 및 상기 완강기(2), 상기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완강기(2)는, 하나의 케이블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수평방향을 제어하는 수평제어유닛(12)과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상하방향을 제어하는 상하제어모터(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상하제어모터(13)는 상기 케이블(7)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상하제어모터(13)는, 회전축(14)에 고정된 두 개의 슬립링(15)에 상기 전력장치(5)와 연결된 브러쉬(16)를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완강기(2)는 빌딩의 옥상에 설치된 레일(8)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레일(8)의 하부에는 상기 완강기(2)와 연결된 체인(9)이 구비되며, 상기 체인(9)은 스테디모터(11)에 의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상기 케이블(7)에 고정연결되며,
소화기(F)가 내장되는 유닛본체(31);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 상기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35); 상기 유닛본체(31) 또는 팬(35)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36); 및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37)와 고정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유닛본체(31)는 벽면과 마주보는 상부 정면에는 소정위치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소화기 연결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유닛본체(31)의 하부 정면에는 자성체를 구비하거나, 유닛본체 자체가 금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은 상기 유닛본체와 시간차를 두고 상기 자성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흔들림방지유닛(32)을 구비한 화재진압유닛(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은 중심에 하나의 케이블(7)이 통과하도록 원형 홀을 구비하고 외곽테두리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의 하부에 완충기능을 갖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은 빌딩건물의 상하층부 소정위치에 구비된 자성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은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유닛본체와 탑승장치가 하층으로 내려갈 때는 상층부의 자성체에 고정되고,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유닛본체와 탑승장치가 하층부의 자성체에 고정되면 상층부의 자성체에서 이탈되어 하층부로 내려오며,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유닛본체와 탑승장치가 다시 하층부를 이탈하면 시간차를 두고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이 하층부의 자성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빌딩 옥상에 구비된 완강기(2); 상기 완강기(2)에 연결된 하나의 케이블(7)에 연결되어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이동을 하는 화재진압유닛(3);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구비되는 탑승장치(3); 상기 완강기(2) 및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5); 및 상기 완강기(2), 상기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소화기(F)가 내장되는 유닛본체(31);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 상기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35); 상기 유닛본체(31) 또는 팬(35)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36); 및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37)와 고정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의 스토퍼 기능과 함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일단은 내장된 소화기(F)와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설치된 중공의 결합부(31c)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중공의 토출보조대(31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결합부(31c)의 전면에는 분사각도 조절부(31d)가 더 구비되어, 화재지점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는 건물 실내에 구비된 공기정화기의 분진감지수치와 연동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상기 제어장치(6)와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6)는 재난관리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택배배송장치의 통신부는 빌딩건물 현관에 구비된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택배배송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탑승장치(4)는 택배물을 이동시키는 택배지지부재(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케이블(7)에 연결되며, 소화기(F)가 내장되는 유닛본체(31);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되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 상기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35); 상기 유닛본체(31) 또는 팬(35)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36); 및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37)와 고정위치센서;를 구비한 화재진압유닛(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와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의 스토퍼 기능과 함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결합부(31c)의 전면에는 분사각도 조절부(31d)가 더 구비되어, 화재지점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하나의 케이블(7)에 고정되어 수평이동 및 상하이동하며, 소화기(F)가 내장되고 다수개의 팬(35)을 구비한 유닛본체(31); 및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되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을 구비한 화재진압유닛(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서,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와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의 스토퍼 기능과 함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층빌딩에 화재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인명구조가 가능하고, 화재발생 지점의 화재를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진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제어가능하므로, 조작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탈출장치의 위치로 안전한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탈출장치의 흔들림을 적게 하여 탑승자가 위치한 장소에 탈출장치를 제공하고, 탑승자가 탑승한 탈출장치를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고층빌딩 장소에 택배 등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배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층빌딩에 설치된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화재진압유닛 및 탑승장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빌딩에 적용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택배배송장치로의 활용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과 레일톱니바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제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1은 고층빌딩에 설치된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화재진압유닛 및 탑승장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빌딩에 적용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유닛의 택배배송장치로의 활용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과 레일톱니바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제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빌딩(1) 옥상에 구비된 완강기(2); 완강기(2)에 연결된 케이블(7)에 의하여 승하강이동을 하는 화재진압유닛(3); 화재진압유닛(3)에 구비되는 탑승장치(4); 완강기(2) 및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5); 및 완강기(2),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케이블(7)은 단순히 완강기(2)와 화재진압유닛(3)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선과 같은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나의 케이블인 외줄로만 이루어진 케이블(7)의 사용에도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구조가 간편하고 작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외줄의 케이블(7) 사용이 가능한 이유는 구비된 흔들림방지유닛(32)이 유닛본체(31)와는 시간차를 두고 건물 소정위치에 구비된 자성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유닛본체가 케이블과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시 상부에서 케이블의 전후좌우 수평이동이 방지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유닛본체(31)의 흔들림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줄의 케이블 사용시 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하중에 따라 감지되는 센서가 이를 바로 파악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반면에, 종래의 2줄 이상의 케이블의 사용은 하방향으로 이동시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 문제는 여전히 가지게 되며, 각 연결 케이블들을 동시에 회전구동시켜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를 하여야 하는 단점 및 연결된 어느 하나의 케이블 줄에 문제가 발생시 하중에 따라 감지되는 센서가 다중연결에 따라 이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문제발생 여부 파악이 늦어져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단점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강기(2)는 케이블(7)을 통해 연결된 화재진압유닛(3)의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평제어유닛(12) 및 상하제어모터(13)를 포함하고 이들은 제어장치(6)의 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제어유닛(12)은, 케이블(7)을 완강기(2)의 브릿지(17)의 길이방향에서 빌딩(1)의 상하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수평제어유닛(12)은 완강기(2)의 브릿지(17)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므로, 빌딩(1)의 일면을 기준으로 화재진압유닛(3)의 수평 제어가 가능하며, 평상시에는 미사용되는 화재진압유닛(3)을 완강기(2) 쪽으로 당겨 고정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제어모터(13)는 케이블(7)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재진압유닛(3)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7)로 전선을 이용하므로, 단순히 전력장치(5)로부터 연결된 전선을 상하제어모터(13)에 감은 후, 이를 화재진압유닛(3)과 연결하여 작동하게 되면, 상하제어모터(13)의 회전에 의하여 전선이 회전하여 꼬이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제어모터(13)의 일측면에는 회전축(14)이 형성되고, 회전축(14)에 두 개의 슬립링(15)을 고정시키고, 전력장치(5)와 연결되되, 고정설치된 브러쉬(16)를 슬립링(15)에 접촉시킴으로써, 완강기(2) 및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슬립링(15), 브러쉬(16), 및 회전축(14)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므로, 전력장치(5)와 연결된 브러쉬(16)로부터 상하제어모터(13)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완강기의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예시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2)는 빌딩(1)의 옥상에 설치된 레일(8)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하므로, 화재 발생지점 또는 탑승자가 위치한 곳의 라인으로 완강기(2)를 이동시킨 후, 상하제어모터(13)를 통하여 화재진압유닛(3)을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화재지점엔 소화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는 탑승장치(4)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8)을 따라 완강기(2)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레일(8)의 하부에는 완강기(2)와 연결된 체인(9)이 구비되며, 체인(9)은 스테디모터(11)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도 9에는 스테디모터(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톱니바퀴(10)를 구비하고, 체인톱니바퀴(10)의 톱니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홈이 형성된 체인(9)을 이용함으로써 순환이동이 가능한 방식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식에 한정하지 않고, 스테디모터(11)에 의하여 체인(9)을 순환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관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강기(2), 레일(8), 체인(9)의 순서로 상하 배치를 하고, 체인(9)을 순환시키는 스테디모터(11)를 체인(9) 후면에 배치하는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완강기(2)에 의해서만 화재진압유닛(3)의 수평이동 및 수직 상하이동을 수행하게 되면, 이동시의 관성 및 빌딩풍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화재진압유닛(3)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 및 탑승자가 위치한 곳으로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장치(4)에 탑승자가 탑승하더라도 위와 같은 외력에 의하여 탑승자를 지상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에 제약이 있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화재진압유닛(3)은 완강기(2)에 연결된 외줄로 된 케이블(7)에 의해 수평이동 및 승하강 이동을 하도록, 케이블(7)의 하단에 고정연결되며 소화기(F)가 내장되는 유닛본체(31), 유닛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되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35), 유닛본체나 팬, 또는 팬 지지판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36), 빌딩 벽면(W)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37)와 고정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닛본체(31)는 소화기가 내장되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단턱을 갖도록 절곡되어 하부가 상부에 비해 내부공간이 넓어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벽면과 마주보는 유닛본체의 상부 정면에는 소정위치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소화기 연결홈(31a)이 형성된다.
또한, 유닛본체의 하부 정면에는 자성체를 구비하거나, 유닛본체 자체를 금속부재로 구성하여 자성체에 인가되는 자력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중공의 토출보조대(31b)는 후단은 소화기 연결홈(31a)을 통해 소화기(F)에 연결되고, 전단은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설치된 중공의 결합부(31c)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중공의 토출보조대(31b)와 결합부(31c)는 소화물질 이동로를 형성하여, 화재 지점에 소화물질이 분사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빌딩 벽면내에 위치되는 결합부(31c)의 전면에는 분사각도 조절부(31d)가 더 구비되어, 화재지점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될 수 있도록 조절되며, 화재지점 파악이 어려울때는 싱크대의 가스레인지쪽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여기서, 소화기(F)에 연결된 토출보조대(31b)의 전단이 결합부(31c)에 결합하고, 분사각도 조절부(31d)가 화재지점으로 위치제어가 이루어지면, 소화기의 밸브가 열림동작되도록 조절되고, 소화액 분사가 끝나면 소화기 밸브가 닫힘동작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유닛본체의 상부는 케이블(7)에 고정결합되며, 유닛본체(31)의 상부와 흔들림방지유닛(32) 사이에는 완충기능을 갖도록 스프링(S)과 같은 완충부재가 구비된다. 완충부재는 후술하는 흔들림방지유닛(32)이 케이블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시 스토퍼 기능과 함께 유닛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재는 유닛본체의 상부에 고정구비되거나 흔들림방지유닛의 하부에 고정구비되거나 또는 별개로 구성되어 유닛본체 상부와 흔들림방지유닛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흔들림방지유닛(32)은 유닛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되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것으로, 중심에 하나의 케이블(7)이 통과하도록 원형 홀을 구비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환형의 외곽테두리는 자성체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빌딩벽에 구비된 자성체에 착탈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흔들림방지유닛(32)은 유닛본체(31)와는 동시에 또는 상대적인 시간차를 두고 별개로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화재진압유닛(3)의 유닛본체(31)와 탑승장치(4)가 하층으로 내려갈 때는 흔들림방지유닛(32)은 바로 위 상층부 벽면의 자성체에 고정되어 케이블(7)과 유닛본체(31)가 전후좌우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유닛본체(31)가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동된 유닛본체(31)와 탑승장치가 하층부의 자성체에 고정되면 상층부의 자성체는 제어에 의해 전력이 제거되어 자력이 없어지므로 흔들림방지유닛(32)은 상층부의 자성체에서 이탈되어 케이블(7)을 따라 하층부로 내려오며, 유닛본체 상부에서 멈추게 된다. 또한, 화재진압유닛(3)의 유닛본체(31)와 탑승장치가 다시 하층부를 이탈하면 시간차를 두고 흔들림방지유닛(32)이 하층부의 자성체에 고정되는 것이다.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팬(35)이 프로펠러 팬이 벽면을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다.
팬은 화재진압유닛(3)과 탑승장치(4)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4개의 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양측면에 하나씩도 가능하며, 다수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팬구조는, 외력에 의해 부정확하게 위치되는 화재진압유닛(3)과 탑승장치(4)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진압유닛(3)이 빌딩 벽면과 일정거리 유지한 채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탑승자가 탑승한 탑승장치(4)를 하강시킬 때도 빌딩 풍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탑승자의 안전 및 탑승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재진압유닛(3)의 팬(35)은 계속해서 작동한다.
위치감지센서(36)는 유닛본체(31)나 양측의 팬(35) 또는 팬지지대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위치센서(미도시)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빌딩의 각층 벽면이나 베란다창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정확한 안착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며, 화재진압유닛(3)이 정확하게 지정된 위치에 접속이 되도록 한다.
또한, 화재진압유닛(3)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카메라(미도시)가 장착되어, 빌딩(1) 내부의 상황을 촬영한 데이터를 제어장치(6)로 전송하여, 빌딩(1)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빌딩(1) 내부의 화재지점이 어디인지, 어느 위치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프로토콜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화재진압유닛(3)에는 건물 실내에 구비된 공기정화기 등의 분진감지수치와 연동되어 감지되는 수치변화에 따라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유닛(3)에는 스피커 또는 레이저 포인트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어서, 화재 또는 연기로 인하여 탑승자가 화재진압유닛(3)과 탑승장치(4)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하여 빌딩(1) 내부의 구조자들에게 행동요령을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진압유닛(3)은 제어장치(6)와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하여 제어장치(6)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제어명령에 따라 화재진압유닛(3)의 움직임 또는 작동이 제어되고, 자성체의 전력인가가 제어된다.
자성체(37)는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어, 전력인가에 따라 자력이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자성체(37)는 화재진압유닛(3)이 구동시 빌딩의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서 순차적인 전력인가에 따라 자력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제어장치(6)는 완강기(2),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것으로, 빌딩의 각층에 설치된 수직엔코더 및 수평엔코더의 수치가 저장되어 있고, 각층의 수직엔코더의 수치에 연동하여 상하제어모터(13)의 권취기 모터회전수를 조절하고, 각층의 수평엔코더의 수치에 연동하여 수평제어유닛(12)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치만큼 화재진압유닛(3)이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6)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정보,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파악하여, 화재 감지, 화재발생 위치 및 피난탑승자 위치 등을 감지하여 상하제어모터(13)와 수평제어유닛(12)을 조절하여 화재진압유닛(3)과 탑승장치(4)가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고와 안내방송을 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소화기의 분사장치와 연동되어 솔레노이드 개폐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6)는 빌딩(1)의 옥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재진압유닛(3) 및 탑승장치(4)와의 송수신 및 완강기(2)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빌딩 주변의 어떠한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어장치(6)는 무인시스템으로 자동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나, 송수신상태가 원활하지 않거나 원격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수동 제어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어장치(6)는 재난관리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재난관리본부의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장치(6)가 완강기(2) 및 화재진압유닛(3)과 탑승장치(4)를 제어함으로써, 빌딩(1) 내부의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택배배송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택배배송장치의 통신부는 빌딩 건물 현관에 구비된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의 화재진압유닛(3)의 하단에는 탈출장치(4) 이외에 택배지지부재(40)를 더 구비하여 택배배송이 원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화재 발생시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를 설치하고, 빌딩내 각 층의 수평엔코더 및 수직엔코더의 수치를 제어부에 저장한다.
빌딩 501호에 화재발생시 분사각도 조절장치에 부착된 카메라가 화재발생 위치를 감지하면, 화재 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장치(6)가 상하제어모터(13)와 수평제어유닛(12)을 조절하여 화재진압유닛(3)과 탑승장치(4)를 501호로 이동시킨다.
이때, 501호 및 위층인 601호의 자성체에 전력이 인가되어 601호 자성체에는 흔들림방지유닛(32)이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501호 자성체에는 유닛본체(31)가 고정된다. 601호 자성체에 고정된 흔들림방지유닛(32)에 의해 케이블의 수평방향에서의 흔들림은 방지되고, 유닛본체(31)는 안정적으로 501호로 이동되어 501호의 자성체에 고정된다. 유닛본체(31)가 501호의 자성체에 고정되면, 601호 자성체의 자력이 OFF되어 흔들림방지유닛(32)이 유닛본체(31) 상부로 하방향 이동한다.
이때, 501호 자성체에 유닛본체(31)가 고정과 동시에 소화기(F)에 결합된 중공의 토출보조대(31b)가 501호 외벽면에 위치된 중공의 결합부(31c)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결합후에 소화기의 분사장치가 솔레노이드 동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 화재 지점에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한다.
화재 진압과 동시에 경고와 안내방송을 하며, 피난탑승자에게 탑승장치(4) 위치를 알린다.
501호의 피난탑승자가 탑승장치(4)에 탑승하면, 501호 자성체는 전력이 OFF되어 유닛본체(31)가 빌딩 벽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토출보조대(31b)를 결합부(31c)로부터 탈착시킨다.
상하제어모터(13)를 작동시켜 유닛본체(31)와 탑승장치(4)를 하층부로 이동시키고 하층부의 자성체에 유닛본체(31)가 고정되면, 501호 자성체의 자력이 OFF되어 흔들림방지유닛(32)이 유닛본체(31) 상부로 하방향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탑승장치(4)를 지면으로 이동시켜 탑승자를 탑승장치(4)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상하제어모터(13)를 작동시켜 유닛본체(31)와 탑승장치(4)를 501호로 이동시키고, 501호 자성체에 전력이 ON되어 유닛본체(31)가 빌딩 벽면에 부착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2 피난탑승자를 탑승시켜 지면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탑승장치(4)는 유닛본체(31) 하부에 구비되되, 유닛본체(31)와 고정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유닛본체(31)가 화재진압을 하는 과정동안 탑승장치(4)에는 피난탑승자가 탑승하여 상하제어모터(13)에 의해 작동하는 케이블(7)에 의해 지면으로 이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가 택배배송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에 탑승장치(4), 또는 택배지지부재(40), 또는 탑승장치(4)와 택배지지부재(40)를 설치하고, 빌딩내 각 층의 수평엔코더 및 수직엔코더의 수치를 제어부에 저장한다.
빌딩 501호에 배달될 택배 도착/대기 알림 스위치가 동작되면, 제어장치(6)가 상하제어모터(13)와 수평제어유닛(12)을 조절하여 택배지지부재(40)가 구비된 유닛본체(31)를 택배 대기장소로 이동시킨다.
택배물이 택배지지부재(40)에 고정되고 도착지로 501호가 입력되면, 상하제어모터(13)가 작동되어 최상층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수평제어유닛(12)을 조절하여 유닛본체(31)를 501호 라인에 맞추고 상하제어모터(13)를 조절하여 유닛본체(31)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우선 최상층과 그 하부 아래층의 자성체에 전력을 인가하여 최상층의 자성체에는 흔들림방지유닛(32)이 자성체에 고정되고 그 하부 아래층의 자성체에는 유닛본체(31)가 고정되도록 하고, 그 하부 아래층 자성체에 유닛본체(31)가 고정되면, 최상층의 자성체에 자력이 OFF되어 흔들림방지유닛(32)이 유닛본체(31) 상부로 하방향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유닛본체(31)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유닛본체에 구비된 택배지지부재(40)와 택배물은 흔들림없이 정확한 위치로 하향 이동된다.
물론, 이때 2개층 단위로 또는 3개층 단위로 유닛본체(31)가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501호에 도착과 동시에 도착알림 안내방송을 하여, 501호에서 택배물을 수거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다시 상하제어모터(13)를 작동시켜 유닛본체(31)와 택배지지부재(40)는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탑승장치와 택배지지부재를 별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빌딩 2 : 완강기
3 : 화재진압유닛
31 : 유닛본체 31a : 소화기 연결홈
31b : 토출보조대 31c : 결합부
31d : 분사각도 조절부 32 : 흔들림방지유닛
35 : 팬 36 : 위치감지센서
37 : 자성체
4 : 탑승장치 5 : 전력장치
6 : 제어장치 7 : 케이블
8 : 레일 9 : 체인
10 : 체인톱니바퀴 11 : 스테디모터
12 : 수평제어유닛 13 : 상하제어모터
14 : 회전축 15 : 슬립링
16 : 브러쉬 17 : 브릿지
40 : 택배지지부재 F : 소화기
S : 스프링

Claims (26)

  1. 빌딩(1) 옥상에 구비된 완강기(2);
    상기 완강기(2)에 연결된 하나의 케이블(7)에 의하여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이동을 하는 화재진압유닛(3);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구비되는 탑승장치(3);
    상기 완강기(2) 및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5); 및
    상기 완강기(2), 상기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상기 케이블(7)에 고정연결되며,
    소화기(F)가 내장되는 유닛본체(31);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
    상기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35);
    상기 유닛본체(31) 또는 팬(35)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36); 및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37)와 고정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2)는,
    하나의 케이블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수평방향을 제어하는 수평제어유닛(12)과 상기 화재진압유닛(3)의 상하방향을 제어하는 상하제어모터(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제어모터(13)는 상기 케이블(7)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제어모터(13)는, 회전축(14)에 고정된 두 개의 슬립링(15)에 상기 전력장치(5)와 연결된 브러쉬(16)를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2)는 빌딩의 옥상에 설치된 레일(8)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8)의 하부에는 상기 완강기(2)와 연결된 체인(9)이 구비되며, 상기 체인(9)은 스테디모터(11)에 의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본체(31)는 벽면과 마주보는 상부 정면에는 소정위치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소화기 연결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유닛본체(31)의 하부 정면에는 자성체를 구비하거나, 유닛본체 자체가 금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은 상기 유닛본체와 시간차를 두고 상기 자성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빌딩 옥상에 구비된 완강기(2); 상기 완강기(2)에 연결된 하나의 케이블(7)에 연결되어 수평이동 또는 승하강이동을 하는 화재진압유닛(3);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구비되는 탑승장치(3); 상기 완강기(2) 및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5); 및 상기 완강기(2), 상기 화재진압유닛(3) 및 전력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소화기(F)가 내장되는 유닛본체(31);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블(7)을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유닛(32);
    상기 유닛본체(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35);
    상기 유닛본체(31) 또는 팬(35)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36); 및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37)와 고정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닛본체(31)의 상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흔들림방지유닛(32)의 스토퍼 기능과 함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일단은 내장된 소화기(F)와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빌딩 벽면이나 베란다창 일측에 설치된 중공의 결합부(31c)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중공의 토출보조대(31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c)의 전면에는 분사각도 조절부(31d)가 더 구비되어, 화재지점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에는 건물 실내에 구비된 공기정화기의 분진감지수치와 연동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유닛(3)은 상기 제어장치(6)와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6)는 재난관리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6항, 제 8항 내지 제 9항,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는 택배배송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배송장치의 통신부는 빌딩건물 현관에 구비된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3)는 택배물을 이동시키는 택배지지부재(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200150145A 2020-11-11 2020-11-11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KR102484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45A KR102484726B1 (ko) 2020-11-11 2020-11-11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45A KR102484726B1 (ko) 2020-11-11 2020-11-11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454A KR20220064454A (ko) 2022-05-19
KR102484726B1 true KR102484726B1 (ko) 2023-01-05

Family

ID=8180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145A KR102484726B1 (ko) 2020-11-11 2020-11-11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40B1 (ko) * 2019-04-02 2020-10-07 시 명 김 드론을 이용한 고층빌딩 탈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571A (ko) 2016-05-10 2017-11-20 이하늘 드론을 이용한 초고층 빌딩의 인명 구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40B1 (ko) * 2019-04-02 2020-10-07 시 명 김 드론을 이용한 고층빌딩 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454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840B1 (ko) 드론을 이용한 고층빌딩 탈출장치
CA3014470C (en) Fireproof escape system
US6000505A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US20100163339A1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2002509850A (ja) 火災時に緊急脱出退避手段として作動可能な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有する多層階ビルディング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US20080314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Evacuating an Individual During an Emergency From a Tall Structure
KR20130123224A (ko)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100522151B1 (ko) 비상 탈출장치
KR102484726B1 (ko)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탈출장치
JP45931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US2019032554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people detection and evacuation systems
KR1018974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9111068A1 (en) Emergency device for rescuing people from suspended structures
CN209933869U (zh) 一种消防快速逃生滑到系统设备及门窗开起设备
JP2005305076A (j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WO2003043699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ermettant l'evacuation d'un batiment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20170089692A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102629044B1 (ko)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재난탈출장치
JP2020111409A (ja)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KR101527125B1 (ko) 대피용 승하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