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103B1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103B1
KR101496103B1 KR20140158422A KR20140158422A KR101496103B1 KR 101496103 B1 KR101496103 B1 KR 101496103B1 KR 20140158422 A KR20140158422 A KR 20140158422A KR 20140158422 A KR20140158422 A KR 20140158422A KR 101496103 B1 KR101496103 B1 KR 10149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ncrete
sheet
sealant
mask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장현영
Original Assignee
장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영 filed Critical 장현영
Priority to KR2014015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내측부를 따라 호스(20)를 설치하는 호스 설치 단계(S10); 상기 호스(20) 외측에 실런트(40)를 시공하는 실런트 시공 단계(S20); 상기 실런트(40) 상부와 상기 양측 콘크리트(1) 표면에 마스킹테이프(50)를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S30); 상기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를 도포하는 제1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40); 상기 실런트(40) 상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는 제1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50); 상기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폭과 같은 폭의 마스킹테이프(50)가 중앙부에 부착된 시트(70)를 상기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의 상측에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S60); 상기 시트(70) 상측의 마스킹테이프(50)와 상기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도포하는 제2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70); 및 상기 양측 콘크리트(1) 표면과 상기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는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8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호스, 실런트, 시트를 사용하여 3중으로 누수, 침식, 부식 등을 방지하는 방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A waterproof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설 당시의 이음부나, 사용 도중에 물리화학작용, 기상작용, 기계작용 등에 의해 생기는 균열부를 통해 빗물이나 지하수 등이 침투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 강도 또는 수명이 저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콘크리트 이음부 또는 균열부에 백업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표면까지 실런트를 충진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의 실런트는 일반적으로 건축과 토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높은 신축율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나 자외선에 약하고, 화학저항성이 없어 쉽게 부식되며, 콘크리트 면이 젖어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변색이 있어 미관상에 문제가 있다.
또한, 시트 형태의 방수제를 부착하는 공법도 사용하지만 종래의 시트 방수 공법은 시공과정이 복잡하며, 시트의 특성상 외부로 노출되는 시트가 날카로운 물질에 의해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610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호스, 실런트, 시트를 사용하여 3중으로 누수, 침식, 부식 등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형상과 성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여 직선부 뿐만 아니라 곡선부, 굴곡부 등의 시공에도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구를 설치하여 작업중 호스가 이탈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가 신축성이 크고, 이음부 또는 균열부에 완전 일체화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수평이나 수직 거동에도 안전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층을 시공하여 시트 또는 방수부를 보호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이 간편하여 시공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마스킹테이프를 사용하여 마무리가 깨끗하고 미관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의 내측부를 따라 호스를 설치하는 호스 설치 단계; 상기 호스 외측에 실런트를 시공하는 실런트 시공 단계; 상기 실런트 상부와 상기 양측 콘크리트 표면에 마스킹테이프를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 상기 마스킹테이프들 사이에 제1차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실런트 상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를 제거하는 제1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 상기 이음부 또는 균열부의 폭과 같은 폭의 마스킹테이프가 중앙부에 부착된 시트를 상기 제1차 에폭시 접착제의 상측에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 상기 시트 상측의 마스킹테이프와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들 사이에 제2차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 및 상기 양측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시트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를 제거하는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 설치 단계 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를 따라 커팅부를 형성하는 커팅부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마스킹테이프의 폭은 상기 커팅부의 폭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 설치 단계는 호스 고정구로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호스 고정구는, 탄성력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일부가 제거된 원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의 제거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표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거나, 상기 커팅부의 안쪽에 삽입되는 핀, 및 상기 핀에 결합된 반원 형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런트 시공 단계 전에 백업재를 시공하는 백업재 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업재는 폴리머시멘트, 급결시멘트,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는 물은 잘 투과하나 이물질은 잘 투과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의 네트 호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호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는 상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골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런트는 그 재질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콘크리트 표면보다 조금 적게 충진하여 상기 시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하이팔론 재질의 시트이며, 상기 시트의 양측 각각이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는 폭은 3㎝ 이상이며, 상기 제2차 에폭시 접착제는 상기 시트의 측단보다 2㎝ 이상 넓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 후 상기 시트와 제2차 에폭시 접착제를 보호하는 보호층을 시공하는 보호층 시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양측에 볼트구멍들이 다수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상기 양측의 볼트구멍에 삽입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볼트,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너트 또는 링을 포함하며, 상기 너트 또는 링의 높이는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서 상기 제2차 에폭시 접착제 표면까지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측의 볼트구멍들은 장홈이며, 상기 장홈에 삽입되는 볼트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호스, 실런트, 시트를 사용하여 3중으로 누수, 침식, 부식 등을 방지하는 방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형상과 성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여 직선부 뿐만 아니라 곡선부, 굴곡부 등의 시공에도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구를 설치하여 작업중 호스가 이탈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트가 신축성이 크고, 이음부 또는 균열부에 완전 일체화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수평이나 수직 거동에도 안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을 시공하여 시트나 방수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간편하여 시공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마스킹테이프를 사용하여 마무리가 깨끗하고 미관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의 시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호스 고정구와 보호층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호스 고정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보호층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의 시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호스 고정구와 보호층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호스 고정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보호층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은, 호스 설치 단계(S10), 실런트 시공 단계(S20),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S30), 제1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40), 제1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50), 시트 부착 단계(S60), 제2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70),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80)를 포함한다.
먼저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내측부를 따라 호스(20)를 설치하는 호스 설치 단계(S10)를 시행한다. 호스 설치 단계(S10)는 호스 고정구(24)로 호스(20)를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호스(20)를 설치한 후에, 호스(20) 외측에 실런트(40)를 시공하는 실런트 시공 단계(S20), 실런트(40) 상부와 양측 콘크리트(1) 표면에 마스킹테이프(50)를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S30)를 시행한다.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S30)를 시행한 후에는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를 도포하는 제1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40)를 시행하고, 실런트(40) 상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는 제1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50)를 시행한다. 실런트(40) 상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한 후에는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의 상측에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폭과 같은 폭의 마스킹테이프(50)가 중앙부에 부착된 시트(70)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S60)를 시행하고, 시트(70) 상측의 마스킹테이프(50)와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도포하는 제2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70), 마지막으로 양측 콘크리트(1) 표면과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는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80)를 시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들을 시행하는 도중에 커팅부 형성 단계(S90), 백업재 시공 단계(S100), 보호층 시공 단계(S110)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커팅부 형성 단계(S90)는 호스 설치 단계(S10) 전에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를 따라 커팅부(10)를 형성하는 단계이며, 커팅부(10)를 형성할 경우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마스킹테이프(50)의 폭은 커팅부(10)의 폭과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업재 시공 단계(S100)는 실런트 시공 단계(S20) 전에 백업재(30)를 시공하는 단계로서 실런트(40)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보호층 시공 단계(S110)는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80) 후에 시트(70)와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보호하는 보호층(9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은, 호스(20), 실런트(40), 시트(70)를 사용하여 3중으로 방수를 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1) 이음부 또는 균열부(3)를 통해 스며든 물을 1차로 호스(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실런트(40)에 의해 콘크리트(1)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실런트(40)의 노화나 시공불량에 의해 실런트(40) 외측으로 누출되는 물은 시트(70)에 의해 누출이 방지된다.
콘크리트(1) 구조물은 콘크리트(1)의 신축유동으로 이음부(3)가 벌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경우, 먼저 샌드 블라스팅, 그라인더 등으로 레이턴스, 이물질, 불순물 등을 제거하고 콘크리트(1) 표면을 다듬어 정리하거나,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1) 표면과 이음부 또는 균열부(3)에 커팅부(10)를 형성하고 정리를 하여 시공 준비를 한다.
이때 커팅부(10)는 V자, 사다리꼴, 반원 등으로 형성하며, 이음부 또는 균열부(3)가 다수일 경우 그 간격에 따라 커팅부(10)의 폭과 깊이가 다르다.
시공 준비 후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 내부에 호스(20)를 설치하고, 실런트(40)를 충진한 후에 마스킹테이프(50)를 부착하고,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를 도포한다.
호스(20)는 침투된 물을 유도하여 배출시켜 제거하는 역할로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내측부를 따라 설치하며, 물은 잘 투과하나 이물질은 투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20)를 고정하기 위해서 호스 고정구(24)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런트(40)는 호스(20)의 외측에 시공하며, 재질은 영구적인 탄성을 유지하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이다. 폴리우레탄 실런트(40) 중 씨카플렉스 컨스트럭션(Sikaflex Construction)은 콘크리트, 석재, 모르타르 등에 탁월한 접착력을 발휘하고, 시공하는 부분 주위에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고탄성이며, 내구성이 높고, 신율이 약 400%인 장점이 있다. 또한 씨카플렉스 15엘엠(Sikaflex 15LM)은 장기간에 걸쳐 모듈러스의 변화가 없고 반영구적으로 고무탄성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실런트(40)는 이음부 또는 균열부(3)를 통해 침투된 물이 콘크리트(1) 구조물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고, 또한 시트(70)가 압력을 받아 이음부 또는 균열부(3) 내부로 쳐지는 경우 시트(70)를 지지해준다.
실런트(40)를 시공할 때에는 수동 건 또는 압축 공기용 건을 사용해서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충진한다. 충진된 실런트(40)는 건조함에 따라 내측으로 수축하여 요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실런트(40)를 콘크리트(1) 표면보다 조금 적게 충진하여 시트(70)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음부 또는 균열부(3)를 통해 침투된 물은 호스(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런트(40)가 노후되거나 또는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실런트(40)가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에 침투된 물은 상기 실런트(40) 상측의 요부나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결국 콘크리트(1)와 실런트(40)의 틈 사이로 누수가 된다 하더라도 시트(70)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1)와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실런트(40)를 충진하기 전에 이음부 또는 균열부(3) 내부 면에 프라이머를 먼저 도포하고 실런트(40)를 충진할 수 있으며, 고가인 실런트(40)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백업재(30)(도면 3a 참조)를 시공할 수도 있다. 백업재(30)는 폴리머시멘트, 급결시멘트,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의 경우 이음부 또는 균열부(3)보다 10~30% 정도 큰 사이즈를 사용하여 쉽게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실런트(40)를 시공한 후에는 실런트(40) 상부와 양측 콘크리트(1) 표면에 마스킹테이프(50)를 부착한다. 실런트(40) 상부에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50)의 폭은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폭과 동일해야 하는데, 이는 방수부 시공이 완료된 후에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신축에 따른 시트(70)의 신축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측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50)는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도포할 위치를 고려하여 각각 이음부 또는 균열부(3)에서 이격하여 부착하며, 후에 부착할 시트(70)의 측면에서 2cm 이상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는 부착한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도포한다.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와 후술할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는 고탄성, 고강도의 구조물 접착용 에폭시로서, 씨카듀어 31 하이-모드 겔(Sikadur 31 Hi-Mod Gel)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 석재, 세라믹, 철재, 알루미늄, 목재, 폴리에스터 등에 접착력이 우수하며, 표면이 습윤한 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내구성과 저항성이 높으며, 경화가 빠르고, 음용수 사용에도 적합하다.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는 강솔 붓 등을 사용하여 4~5회 도포하며, 도포 두께는 3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를 도포한 후 경화되기 전에 실런트(40) 상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 상측에 시트(70)를 부착하고, 시트(70) 상측에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도포한다.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가 경화되기 전에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의 상측에 부착한 시트(70)는 하이팔론 재질이며, 신율이 약 400%에 이르러 신축성이 탁월하고, 제1, 2차 에폭시 접착제(60, 80)에 의해 콘크리트(1) 표면에 완전 일체화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수평, 수직 거동에도 안전하다. 시트(70)는 높은 내구성, 화학적 저항성, 식생 저항성, 자외선 저항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수중에서는 -30도~+40도, 기중에서는 -30도~+60도의 광범위한 온도에서도 신축성이 뛰어나며, 건조한 표면은 물론 습윤한 표면에도 사용할 수 있어 터널 등의 토목 구조물 뿐만 아니라 음용수 구조물, 폐수처리 시설, 수영장, 건축 구조물 등 적용성이 크다.
시트(70) 중앙부에는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폭과 같은 폭의 마스킹테이프(50)가 부착되며, 커팅부(1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마스킹테이프(50)의 폭이 커팅부(10)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킹테이프(50)의 폭을 이음부나 균열부(3) 또는 커팅부(10)의 폭과 같게 하는 것은 방수부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트(70)의 신축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함이다. 시트(70)는 두께가 1mm 이상, 폭이 15cm 이상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는 두께가 1mm, 폭이 15cm 정도가 바람직하고, 고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두께가 2mm, 폭이 20cm 이상이 바람직하다. 시트(70)의 양측 각각이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되는 폭은 3㎝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70)에는 제1, 2차 에폭시 접착제(60, 80)와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시트(70)가 구멍을 통해 제1, 2차 에폭시 접착제(60, 80)와 더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트(70)는 이음부 또는 균열부(3) 전체에 부착하거나 필요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시트(70)를 연장시키거나 여러 개로 나눠서 부착하는 경우에는 접착 전용 솔벤트나 열풍 용접 건 등을 이용하여 시트(70)가 최소 3cm 정도 겹치게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는 시트(70) 상측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와 양측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강솔 붓 등을 사용하여 3~4회 정도 도포하여 마무리한다.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는 시트(70)의 측단보다 2㎝ 이상 넓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제의 사용량은 현장 조건이나 콘크리트(1)의 상태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제1, 2차 에폭시 접착제(60, 80)는 콘크리트(1) 표면에 시트(70)를 고정, 지지하며,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의 도포가 완료되면, 양측 콘크리트(1) 표면과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은 호스(20), 실런트(40), 시트(70)를 사용하여 3중으로 누수, 침식,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킹테이프(50)를 사용하여 마무리가 깨끗하고 미관이 우수하고, 이음부 또는 균열부(3)가 넓고, 많은 경우에도 간편하게 시공을 할 수가 있다. 또한 구조물의 형상과 성능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여 직선부 뿐만 아니라 곡석부 및 굴곡부에도 시공이 용이하며, 단순한 시공이음이나 균열보수 부분에는 고성능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트(70)만 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이 쉽고, 유지보수가 더욱더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호스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은 잘 투과하나 이물질은 잘 투과하지 않는 그물 모양의 네트 호스(20)일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된 호스(20)일 수도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0)의 길이방향으로 골(21)들이 형성되고 골(21)에 다수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된 호스(20)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관통 구멍(23)이 골(21)이 아닌 산(돌출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호스(20)는 원주 방향으로 골이 형성되어 이 골 또는 산에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골이 형성된 경우에는 굴곡성이 좋아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호스(20)는 누수량에 따라 호스(20)를 하나(도 2 참조) 또는 다수(도 3a 참조)개 사용할 수 있으며, 직경이 큰 호스(20)에 직경이 작은 호스(20)를 다수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호스(20)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호스(20)들 중 다른 종류의 호스(20)를 함께 섞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호스(20)가 가진 장점을 살림으로써 우수한 방수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네트 호스의 경우 유연하나 외력에 대한 저항성이 부족하므로 네트 호스와 다른 호스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출로가 막히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호스(20)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백업재(30)나 실런트(40) 등으로 고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호스(20)는 자유자재로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직선부 뿐만 아니라 곡선부, 굴곡부 등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은, 호스(20)를 고정하기 위한 호스 고정구(24)와 시트(70) 및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보호가기 위한 보호층(9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호스 고정구(24)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 날개(26), 돌기부(27)로 형성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8), 고리(29)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호스(20) 설치 작업중 호스(20)가 이탈하지 않도록 호스(20)를 고정해주므로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특히 터널과 같이 위쪽에 호스(20)를 설치하는 경우 호스(20) 설치 후 백업재(30)나 실런트(40)를 시공하기 전에 호스(20)가 이탈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후속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하게 된다.
몸체(25), 날개(26), 돌기부(27)로 형성된 호스 고정구(24)는 축방향으로 일부가 제거된 원통 형상의 몸체(25)에 한 쌍의 날개(26)가 원통 형상의 몸체(25)의 제거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날개(26)의 표면에 돌기부(27)가 다수 형성된다. 날개(26)를 손으로 잡고 호스(20)를 몸체(25) 내측에 위치시킨 후 커팅부(10)에 삽입함으로써 날개(26)가 콘크리트(1) 구조물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몸체(25)를 크게 하는 경우 크기가 큰 호스 또는 다수개의 호스를 고정할 수 있다.
핀(28), 고리(29)로 형성된 호스 고정구(24)는 핀(28)에 반원 형상의 고리(29)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핀(28)은 커팅부(10)의 안쪽에 삽입되어 호스 고정구(24)를 콘크리트(1) 구조물에 고정하며, 일단이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을 이루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측면에 뾰족한 돌기가 형성되어 핀(28)이 쉽게 빠지지 않고 콘크리트(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리(29)의 내측에는 호스(20)가 위치하며, 고리(29)를 크게 하는 경우 큰 호스(20) 또는 다수개의 호스(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90)은 금속 플레이트(91), 금속 플레이트(91) 상의 볼트구멍(93), 볼트(95), 너트(97) 또는 링으로 이루어진다. 보호층(90)은 마지막으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한 후에 시공되어 시트(70)와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보호하며, 이음부 또는 균열부(3) 전체에 시공할 수도 있고, 필요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금속 플레이트(91)의 양측에는 볼트구멍(93)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구멍(93)에 볼트(95)가 삽입되어 콘크리트(1) 구조물에 고정되며, 너트(97) 또는 링은 콘크리트(1) 구조물과 금속 플레이트(91) 사이에 구비된다.
금속 플레이트(91)에 형성된 볼트구멍(93)들의 일측은 볼트(95)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여 금속 플레이트(91)를 콘크리트(1)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하며, 타측은 장홈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1)의 신축유동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91)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측의 볼트구멍(93)들 모두 볼트(95)가 삽입될 수 있을 크기이거나 장홈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볼트구멍(93)과 볼트(95)의 상호 작용은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과도한 벌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너트(97) 또는 링의 높이는 콘크리트(1) 표면에서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 표면까지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90)은 새로이 시공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미 시공이 완료된 후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방수부분 전체에 적용하거나 또는 보호가 필요한 특정 부분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3 : 이음부 또는 균열부
10 : 커팅부
20 : 호스
21 : 골
23 : 관통 구멍
24 : 호스 고정구
25 : 몸체
26 : 날개
27 : 돌기부
28 : 핀
29 : 고리
30 : 백업재
40 : 실런트
50 : 마스킹테이프
60 : 제1차 에폭시 접착제
70 : 시트
80 : 제2차 에폭시 접착제
90 : 보호층
91 : 금속 플레이트
93 : 볼트구멍
95 : 볼트
97 : 너트
S10 : 호스 설치 단계
S20 : 실런트 시공 단계
S30 :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
S40 : 제1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
S50 : 제1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
S60 : 시트 부착 단계
S70 : 제2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
S80 :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
S90 : 커팅부 형성 단계
S100 : 백업재 시공 단계
S110 : 보호층 시공 단계

Claims (11)

  1.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내측부를 따라 호스(20)를 설치하는 호스 설치 단계(S10);
    상기 호스(20) 외측에 실런트(40)를 시공하는 실런트 시공 단계(S20);
    상기 실런트(40) 상부와 상기 양측 콘크리트(1) 표면에 마스킹테이프(50)를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 부착 단계(S30);
    상기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를 도포하는 제1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40);
    상기 실런트(40) 상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는 제1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50);
    상기 이음부 또는 균열부(3)의 폭과 같은 폭의 마스킹테이프(50)가 중앙부에 부착된 시트(70)를 상기 제1차 에폭시 접착제(60)의 상측에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S60);
    상기 시트(70) 상측의 마스킹테이프(50)와 상기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들 사이에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도포하는 제2차 에폭시 접착제 도포 단계(S70); 및
    상기 양측 콘크리트(1) 표면과 상기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된 마스킹테이프(50)를 제거하는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8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 설치 단계(S10) 전에 상기 콘크리트(1) 구조물의 이음부 또는 균열부(3)를 따라 커팅부(10)를 형성하는 커팅부 형성 단계(S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70)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마스킹테이프(50)의 폭은 상기 커팅부(10)의 폭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스 설치 단계(S10)는 호스 고정구(24)로 상기 호스(20)를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호스 고정구(24)는,
    탄성력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일부가 제거된 원통 형상의 몸체(25), 및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25)의 제거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날개(26)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26)의 표면에는 돌기부(27)가 형성된 것이거나,
    상기 커팅부(10)의 안쪽에 삽입되는 핀(28), 및 상기 핀(28)에 결합된 반원 형상의 고리(29)를 포함하는 것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시공 단계(S20) 전에 백업재(30)를 시공하는 백업재 시공 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백업재(30)는 폴리머시멘트, 급결시멘트,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20)는 물은 잘 투과하나 이물질은 잘 투과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의 네트 호스(20)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20)는 다수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호스(20)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호스(20)는 상기 호스(20)의 길이방향으로 골(21)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 구멍(23)은 상기 골(21)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40)는 그 재질이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콘크리트(1) 표면보다 조금 적게 충진하여 상기 시트(70)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70)는 하이팔론 재질이며, 상기 시트(70)의 양측 각각이 상기 콘크리트(1) 표면에 부착되는 폭은 3㎝ 이상이며, 상기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는 상기 시트(70)의 측단보다 2㎝ 이상 넓게 도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차 마스킹테이프 제거 단계(S80) 후 상기 시트(70)와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를 보호하는 보호층(90)을 시공하는 보호층 시공 단계(S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90)은 양측에 볼트구멍(93)들이 다수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91), 상기 양측의 볼트구멍(93)에 삽입된 후 상기 콘크리트(1) 구조물에 고정되는 볼트(95), 및 상기 콘크리트(1) 구조물과 상기 금속 플레이트(91) 사이에 구비되는 너트(97) 또는 링을 포함하며,
    상기 너트(97) 또는 링의 높이는 상기 콘크리트(1) 표면에서 상기 제2차 에폭시 접착제(80) 표면까지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91)의 일측의 볼트구멍(93)들은 장홈이며, 상기 장홈에 삽입되는 볼트(95)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91)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1) 구조물에 고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KR20140158422A 2014-11-14 2014-11-14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KR10149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8422A KR101496103B1 (ko) 2014-11-14 2014-11-14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8422A KR101496103B1 (ko) 2014-11-14 2014-11-14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103B1 true KR101496103B1 (ko) 2015-02-25

Family

ID=5259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8422A KR101496103B1 (ko) 2014-11-14 2014-11-14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841A (zh) * 2018-12-07 2019-04-16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防治建筑墙体渗漏水的方法
KR102052012B1 (ko) 2018-12-10 2019-12-04 주식회사 유니텍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 이음부의 누수방지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37B1 (ko) 2006-10-02 2007-05-04 (주)덕산알엔알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KR101455586B1 (ko) 2014-08-01 2014-10-31 (주)리뉴시스템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공법 및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37B1 (ko) 2006-10-02 2007-05-04 (주)덕산알엔알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KR101455586B1 (ko) 2014-08-01 2014-10-31 (주)리뉴시스템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공법 및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841A (zh) * 2018-12-07 2019-04-16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防治建筑墙体渗漏水的方法
KR102052012B1 (ko) 2018-12-10 2019-12-04 주식회사 유니텍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 이음부의 누수방지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JP5882586B2 (ja) 床面の防水方法
KR20080086805A (ko) 신축이음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1186104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KR10149610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KR101455586B1 (ko)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공법 및 수처리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방수시스템
KR101525825B1 (ko) 고강도 외단열 방수복합공법
KR101479531B1 (ko)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KR101472524B1 (ko) 부틸고무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외벽방수공법
CN105735579A (zh) 阳角条及包含其的阳角结构
JP5756831B2 (ja) 屋外タンク設備の防水構造
KR101245351B1 (ko)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라이닝된 물탱크 패널
JP200519314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被覆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被覆構造
JP2012202048A (ja) 改修用二重ドレン及びそれを用いたルーフドレンの改修方法
JP6120732B2 (ja) 粘着防水シート材及びu字溝水路の継目水漏れ防止構造
KR20060118302A (ko) 수로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20120077760A (ko) 건축물의 방수 시공 방법
CN209854946U (zh) 止水修复结构
JP7061931B2 (ja) トンネル接続部の止水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JPH1037114A (ja) 目地処理方法
JP6095842B1 (ja) 橋梁の床版遊間止水・床版防水構造
EP3246484B1 (en) Collapsible element pocket former
KR201600806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를 여러 층으로 보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