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536B1 -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536B1
KR101494536B1 KR20130080750A KR20130080750A KR101494536B1 KR 101494536 B1 KR101494536 B1 KR 101494536B1 KR 20130080750 A KR20130080750 A KR 20130080750A KR 20130080750 A KR20130080750 A KR 20130080750A KR 101494536 B1 KR101494536 B1 KR 10149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wiper
wire
link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005A (ko
Inventor
강남철
배종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8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5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1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wiper-blade pressure on windshield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9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차량 유리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차량 유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와이퍼 암 및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을 동작시키는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에는 능동 제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능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 유리의 곡률에 맞추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굽힘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WIPER DEVICE}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 유리의 곡률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장치란, 차량의 앞 유리창에 흘러내리는 빗방울이나 눈을 닦아내는 기구로서, 원래는 닦는 사람이나 물건, 닦는 데 쓰이는 수건이나 걸레의 뜻이다.
그러나 자동차에서는 전면 유리에 비, 눈 또는 이물질이 존재할 때 이를 닦아냄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장치는 앞 유리창에만 장착하지만, 일부 차량에서는 뒷유리창과 헤드램프에도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와이퍼 장치는 크게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데, 와이퍼 암 끝에 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유리창에 대로 좌우로 움직이면, 고무로 제작된 블레이드날이 유리면을 닦아 빗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윈드워셔는 차량의 앞 유리창에 워셔액을 분사하여 와이퍼가 유리에 붙은 먼지나 벌레 따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와이퍼 장치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10년 3월 23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KR2010-0025925호에서는 자동차용 와이퍼 프레임과 고무의 분리방식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 유리의 곡률에 맞추어 굽힘 변형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차량 유리 사이의 밀접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여 차량 유리를 효율적으로 세정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차량 유리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차량 유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와이퍼 암 및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을 동작시키는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에는 능동 제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능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 유리의 곡률에 맞추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굽힘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능동 제어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일단이 장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리게 할 수 있는 와이어 권선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굽힘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와이퍼 암은, 두 단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 일단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를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의 중앙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링크 상에서 상기 제1 링크의 중앙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링크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권선 모터에 장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가 감겨질 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 유리에 대하여 굽힘 변형될 수 있고, 감겨진 와이어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탄성에 의해 풀려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능동 제어부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셔너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능동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 모터는 상기 와이퍼 암의 조인트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 유리에 대하여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능동 제어부는 스마트 재료로 마련된 굽힘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요소가 상기 와이퍼 암에 장착 또는 삽입됨으로써, 상기 굽힘요소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퍼 암이 차량 유리에 대하여 휘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와이퍼 암은, 두 단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 일단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를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의 중앙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요소는 상기 제1 링크, 제2 링크 또는 제3 링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 재료는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IPMC), 폴리불화비닐라덴(PVDF) 또는 형상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 유리의 곡률에 맞추어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와 차량 유리 사이의 밀접한 접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여 차량 유리를 효율적으로 세정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에에 따른 와이퍼 장치(10)는 와이퍼 암(100), 와이퍼 블레이드(110), 피봇부(120), 능동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암(100)은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연결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암(100)은 메인 암(102) 및 서브 암(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암(102)은 일단이 피봇부(120)에 연결되어 서브 암(104)과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함께 차량 유리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암(102)은 후술하게 될 서브 암(104)의 제3 링크(1046)의 중앙 부분과 피봇부(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암(104)은 제1 링크(1042), 제2 링크(1044) 및 제3 링크(10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1042)는 와이퍼 블레이드(110) 상에 두 단부가 장착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링크(1042)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1044)는 일단이 제1 링크(1042)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링크(1042)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1046)는 한 쌍의 제2 링크(1044)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 쌍의 제2 링크(1044)의 중앙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제1 링크(1042), 제2 링크(1044) 또는 제3 링크(1046)의 중앙 또는 중앙 부분은 조인트 부분(1048)으로 일컬어질 수 있으며, 서브 암(104)은 복수 개의 조인트 부분(10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암(100)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암(100)의 제1 링크(1042) 및 제2 링크(1044)에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차량 유리 상에서 이동하며 차량 유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암(100)에는 피봇부(1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피봇부(120)에 의해 와이퍼 암(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퍼 암(100)의 메인 암(102)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움직여서 회전하면서 차량 유리 상에서 와이퍼 암(100)과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피봇부(120)에는 피봇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와이퍼 장치(10)에는 능동 제어부(1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능동 제어부(130)는 와이어(132) 및 와이어 권선 모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32)는 와이퍼 암(1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일단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32)는 제1 부분(1322) 및 제2 부분(1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322)은 제2 링크(1044) 상에서 제1 링크(1042)의 중앙, 즉 제1 링크(1042)의 조인트 부분(1048)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암(100)은 한 쌍의 제1 링크(1042)와 제2 링크(104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련되므로, 와이어(132)의 제 1 부분(1322)은 양쪽의 제1 링크(1042)의 조인트 부분(1048)이 당겨질 수 있도록 양쪽의 제2 링크(104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32)의 제1 부분(1322)이 당겨짐에 의해 양쪽의 제1 링크(1042)의 조인트 부분(1048)이 당겨지면서 양쪽의 제1 링크(1042)가 장착된 부분의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함께 당겨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중앙 부분이 위쪽으로, 즉 차량 유리로부터 멀리 향하고,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즉 차량 유리를 향하게 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차량 유리에 대하여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1324)은 제3 링크(1046)의 중앙에서 와이어(132)의 제1 부분(1322)에 연결되어 와이어 권선 모터(134)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분(1324)의 일단은 제3 링크(1046)의 조인트 부분(1048)에서 와이어(132)의 제1 부분(1322)의 중앙 위치에 연결되고 제2 부분(1324)의 타단은 와이어 권선 모터(13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은 와이어 권선 모터(134)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회전하여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이 감겨지는 경우, 제2 부분(1324)이 감겨지면서 제2 부분(1324)에 연결된 제1 부분(1322)이 당겨질 수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부분(1322)의 당겨짐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겨진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은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탄성에 의해 풀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굽힘 변형된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특성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위로 굽혀진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면서 와이어(132)의 제1 부분(1322) 또한 아래쪽으로, 즉 차량 유리로 향해지고, 이에 의해 와이어 권선 모터(134)에 감겨진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이 풀려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것과 같이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은 와이어 권선 모터(134)의 회전 방향에 의해 감기고 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이 감겨질 수 있으며,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이 풀릴 수 있다.
도 1에는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피봇부(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와이어 권선 모터(134)는 미리 측정된 차량 유리의 곡률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차량 유리의 곡률에 맞추어 와이어(132) 및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작동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굽힘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많이 굽혀질 필요가 있는 경우, 와이어 권선 모터(134)가 많이 회전되어 와이어(132)의 제2 부분(1324)이 와이어 권선 모터(134)에 많이 감겨져서 와이어(132)의 제1 부분(1322)이 보다 강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132)의 제1 부분(1322)이 장착된 위치에 인접한 제1 링크(1042)에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110) 부분의 굽힘 변형이 크게 일어날 수 있다.
게다가, 능동 제어부(130)는 텐셔너(tention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텐셔너에 의해 와이어(132)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텐셔너는 자동차에서 타이밍 체인이 헐거운 것을 막는 장치로서 긴 체인을 고회전으로 돌리면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를 스프링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방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텐셔너는 와이어(132)에 긴장감을 줄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10)는 와이어(132) 및 와이어 권선 모터(134)로 구성되는 능동 제어부(130)를 이용하여, 와이어(132)를 당기고 푸는 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차량 유리와 와이퍼 블레이드(110) 사이의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차량 유리의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모터(230)로 구성되는 능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 모터(230)는 와이퍼 장치(20)의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볍고 소형인 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굽힘 모터(230)는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작동되거나, 배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굽힘 모터(230)는 와이퍼 암(200)의 서브 암(202)의 조인트 부분(2048)에 장착될 수 있으며, 와이퍼 암(200)은 복수 개의 조인트 부분(2048)을 포함하므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굽힘 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10)가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굽힘 모터(230)는 필요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쪽의 제2 링크(2044)의 조인트 부분(2048)에 굽힘 모터(230)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경우, 굽힘 모터(230)가 회전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210)의 가장자리는 아래쪽으로 향하고 와이퍼 블레이드(210)의 중앙 부분은 위쪽으로 향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210)가 굽혀질 수 있다.
이때, 양쪽의 굽힘 모터(2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굽힘 모터(230)의 회전수 또는 회전 방향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10)의 굽힘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굽힘 모터(230)의 회전수가 클수록 와이퍼 블레이드(210)의 굽힘 변형 또한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굽힘 모터(230)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10)가 굽혀지는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굽힘 모터(230)의 회전은 미리 측정된 차량 유리의 곡률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30)의 굽힘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20)는 굽힘 모터(230)를 장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와이퍼 블레이드(210)의 굽힘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유리의 곡률을 미리 측정하여 입력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와이퍼 블레이드(21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30)는 스마트 재료로 마련된 굽힘요소(330)로 구성되는 능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재료는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IPMC), 폴리불화비닐라덴(PVDF) 또는 형상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은 EAP(Electric Active Polymer)의 한 종류로서 이온 교환 폴리머와 표면 전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 표면에 전기장을 가하게 되면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 내부의 수화된 양이온은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이온의 이동에 의해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 내부에는 밀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양극 방향으로 휘는 굽힘 변형을 가진다.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은 EAP 중에서도 작동 변위가 매우 크며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과의 친화력이 우수하며 특히 소형화에 유리하다.
상기 굽힘요소(330)는 와이퍼 암(300)에 장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암(300)의 서브 암(304)이 복수 개의 링크(3042, 3044, 3046)를 포함하는 경우, 굽힘요소(330)는 와이퍼 암(300)의 제1 링크(3042), 제2 링크(3044) 또는 제3 링크(3046)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링크(3042, 3044, 3046) 상에 분리된 부분이 있는 경우, 그 부분에 굽힘요소(33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굽힘요소(330)가 도 3과 같이 양쪽의 제2 링크(3044) 상에 장착되는 경우, 굽힘요소(33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굽힘요소(330)가 휘어질 수 있다.
이때, 굽힘요소(330)가 차량 유리를 향하여 구부러지면, 제1 링크(3042)와 제1 링크(3042)에 인접한 와이퍼 블레이드(310) 또한 차량 유리를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제1 링크(3042)로부터 멀리 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310), 즉 와이퍼 블레이드(310)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대적으로 차량 유리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요소(330)는 와이퍼 블레이드(31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반면, 굽힘요소(330)가 차량 유리로부터 멀리 향하여 구부러진다면, 제1 링크(3042)와 제1 링크(3042)에 인접한 와이퍼 블레이드(310) 또한 차량 유리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제1 링크(3042)에서 멀리 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310), 즉 와이퍼 블레이드(310)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대적으로 차량 유리를 향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요소(330)는 와이퍼 블레이드(310)를 굽힘 변형시켜 와이퍼 블레이드(310)가 차량 유리에 대하여 다른 접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굽힘요소(330)의 굽힘의 정도는 굽힘요소(33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의해 결정되며, 굽힘요소(33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는 미리 측정된 차량 유리의 곡률에 의해 제어되어 와이퍼 블레이드(310)가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와이퍼 암(300)의 제1 링크(3042), 제2 링크(3044) 또는 제3 링크(3046) 자체가 상기 언급된 스마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경우에, 와이퍼 암(300)의 링크(3042, 3044, 3046)에 별도의 굽힘요소(330)를 장착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와이퍼 블레이드(310)를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30)는 와이퍼 암(300)에 스마트 재료로 마련된 굽힘요소(330)로 장착하여, 용이하게 와이퍼 블레이드(310)를 차량 곡률에 맞추어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310)가 차량 유리를 효율적으로 세정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30: 와이퍼 장치
100, 200, 300: 와이퍼 암
102, 202, 302: 메인 암
104, 204, 304: 서브 암
1042, 2042, 3042: 제1 링크
1044, 2044, 3044: 제2 링크
1046, 3046, 3046: 제3 링크
1048, 2048, 3048: 조인트 부분
110, 210, 310: 와이퍼 블레이드
120, 220, 320: 피봇부
130: 능동 제어부
132: 와이어
1322: 제1 부분
1324: 제2 부분
134: 와이어 권선 모터
230: 굽힘 모터
330: 굽힘요소

Claims (9)

  1. 차량 유리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차량 유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와이퍼 암; 및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을 동작시키는 피봇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에는 능동 제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능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 유리의 곡률에 맞추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굽힘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상기 능동 제어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일단이 장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리게 할 수 있는 와이어 권선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굽힘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와이퍼 암은,
    두 단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
    일단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를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의 중앙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링크 상에서 상기 제1 링크의 중앙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링크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권선 모터에 장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감겨질 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 유리에 대하여 굽힘 변형될 수 있고, 감겨진 와이어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탄성에 의해 풀려질 수 있는 와이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제어부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셔너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조정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 모터는 상기 와이퍼 암의 조인트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 유리에 대하여 굽힘 변형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제어부는 스마트 재료로 마련된 굽힘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요소가 상기 와이퍼 암에 장착 또는 삽입됨으로써, 상기 굽힘요소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퍼 암이 차량 유리에 대하여 휘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암은,
    두 단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
    일단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를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의 중앙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요소는 상기 제1 링크, 제2 링크 또는 제3 링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구부러지게 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재료는 이온 폴리머 금속 합금(IPMC), 폴리불화비닐라덴(PVDF) 또는 형상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
KR20130080750A 2013-07-10 2013-07-10 와이퍼 장치 KR10149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50A KR101494536B1 (ko) 2013-07-10 2013-07-10 와이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50A KR101494536B1 (ko) 2013-07-10 2013-07-10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005A KR20150007005A (ko) 2015-01-20
KR101494536B1 true KR101494536B1 (ko) 2015-02-23

Family

ID=5257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750A KR101494536B1 (ko) 2013-07-10 2013-07-10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184B1 (ko) 2015-01-14 2016-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크랭크 포지션 센서 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3849A2 (de) * 1987-03-23 1988-09-2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H11278218A (ja) * 1998-01-16 1999-10-12 Daimler Benz Ag 圧電セラミツク操作器装置を持つ窓ふき装置
KR20040003565A (ko) * 2002-07-03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US20120324671A1 (en) 2011-06-23 2012-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vehicle wiper blade using active materi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3849A2 (de) * 1987-03-23 1988-09-2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H11278218A (ja) * 1998-01-16 1999-10-12 Daimler Benz Ag 圧電セラミツク操作器装置を持つ窓ふき装置
KR20040003565A (ko) * 2002-07-03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US20120324671A1 (en) 2011-06-23 2012-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vehicle wiper blade using activ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005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8948B2 (en) Wiper device
US7574769B1 (en) Rearview mirror wiper system
KR101254582B1 (ko) 와이퍼 장치
KR100536012B1 (ko) 차량용 창유리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94536B1 (ko) 와이퍼 장치
ITPR20100028A1 (it) Dispositivo tergivetro
KR101501832B1 (ko) 와이퍼 장치
CN108437935B (zh) 用于驱动特别是全景风挡的擦拭器臂旋转的驱动装置
CN105270325A (zh) 用于车辆的雨刮器电机设备
KR0146165B1 (ko) 자동차용 와이퍼
US7549189B1 (en) Self-cleaning wiper blade system for vehicles
CN110641420B (zh) 雨刮器刮片提升系统
US20140101882A1 (en) Rear windshield wiper arm assembly with service up detent position
JP3178077U (ja) ワイパー装置
JP7245147B2 (ja) ワイパ装置
CN111301345B (zh) 一种汽车雨刮器
US11628808B1 (en) Wiper arm head dual knuckle
KR100506677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이격상태 유지용 와이퍼장치
CN201446940U (zh) 倒后镜雨刮
CN208801963U (zh) 一种冲压拉伸的雨刮器结构
JP2010505685A (ja) ウインドガラスを洗浄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101769141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13438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232952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20210115561A (ko) 대면적 차량용 길이 가변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