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210B1 - 온돌용 벽난로 - Google Patents

온돌용 벽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210B1
KR101494210B1 KR20130136305A KR20130136305A KR101494210B1 KR 101494210 B1 KR101494210 B1 KR 101494210B1 KR 20130136305 A KR20130136305 A KR 20130136305A KR 20130136305 A KR20130136305 A KR 20130136305A KR 101494210 B1 KR101494210 B1 KR 10149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heat
combustion cham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2013013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돌용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를 연소하여 구들장 하단의 유동통로로 열기를 공급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투입부와 상기 연료투입부로 투입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의 열기가 유입되도록 열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턱부가 마련된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입되도록 상기 턱부에 설치되는 로켓관부와 상기 로켓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보온재가 마련되는 보온내통와 상기 로켓관부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유동통로에 공급하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보온내통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부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발열외통으로 이루어져, 연료를 발화 및 연소 시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돌용 벽난로 { A Fireplace }
본 발명은 온돌용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켓관부의 하부와 상부를 원뿔형태로 구성시키고 로켓관부의 하부에 원뿔관 구조의 가속부재가 더 마련되어, 열기를 빠르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도어부를 상부도어, 하부도어 및 조절도어로 구성시켜 연료를 발화 및 연소 시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온돌용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거실 등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장작, 석탄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켜 연소열에 의해 실내 난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온돌 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서구에서 개발되어져 왔으며, 근래에 들어 실내에서 장작을 연소시키는 정취를 느끼기 위해 국내에서의 설치 수량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벽난로는 내부에서 타는 목재에서 발생되는 복사열과, 특히 나무가 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쬐이며 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난방기구이다.
또한 우리 선조 들의 난방방식인 구들장에서, 그 구들을 데우기 위하여 또는 취사를 위하여 아궁이를 통해 나무 등의 장작을 태우는 방식으로 사용을 하였다.
그런데 서양의 벽난로와 동양의 구들은 함께 공존하며 설치된 적이 없었으며, 서로 각자의 독립된 장소에서 별도의 목적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즉, 서양의 벽난로는 거실의 벽면 일측에 설치되어 그 복사열을 분출하며 거실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열기를 제공하고 있고, 동양의 구들은 아궁이에서 불을 지피면 그에 따라 발생되는 열기가 구들을 통과하며 구들장을 데우고 그 따뜻한 열기에 의해 사람들이 편히 쉴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벽난로는 단순히 실내 공기만을 가열함에 따라 온돌에 비해 난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벽난로와 구들장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난방기구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22646호로 등록되어 있으나, 벽난로에 도어가 마련되지 않아 연소과정에서 연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소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발생되는 열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연소효율을 상승시키는 부가적인 기능이 없어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켓관부의 하부와 상부를 원뿔형태로 구성시키고 로켓관부의 하부에 원뿔관 구조의 가속부재가 더 마련되어, 열기를 빠르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도어부를 상부도어, 하부도어 및 조절도어로 구성시켜 연료를 발화 및 연소 시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온돌용 벽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료를 연소하여 구들장 하단의 유동통로로 열기를 공급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투입부와 상기 연료투입부로 투입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의 열기가 유입되도록 열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턱부가 마련된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입되도록 상기 턱부에 설치되는 로켓관부와 상기 로켓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보온재가 마련되는 보온내통와 상기 로켓관부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유동통로에 공급하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보온내통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부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발열외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투입부는 연료투입구가 형성된 연료투입틀과,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연료투입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도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연료투입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투시창을 갖는 상부도어와, 상기 상부도어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부투시창가 마련된 하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의 하측에 설치되고 공기조절부가 마련된 조절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의 내측면 하부에는 곡선의 상부 유도날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도어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상부 유도날개보다 더 돌출되게 곡선의 하부 유도날개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유도날개와 상기 하부 유도날개의 단부에는 유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의 저면에는 이송펜이 설치되며 상기 연료투입틀에는 상기 이송펜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에는 작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슬릿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로 이루어진 안내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에는 상기 작동슬릿을 폐쇄하도록 폐쇄캡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켓관부의 하부에는 하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역 원뿔관 구조의 하부가속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원뿔관 구조의 상부가속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로켓관부의 하부에는 가속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가속부재는 원뿔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에는 곡선의 와류날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온돌용 벽난로는 로켓관부의 하부와 상부를 원뿔형태로 구성시키고 로켓관부의 하부에 원뿔관 구조의 가속부재가 더 마련되어, 열기를 빠르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도어부를 상부도어, 하부도어 및 조절도어로 구성시켜 연료를 발화 및 연소 시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벽난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온돌용 벽난로(10)는 연료를 연소하여 구들장 하단의 유동통로로 열기를 공급하는 벽난로로서, 이에 이와같은 온돌용 벽난로(10)는 연소부(20)와 로켓관부(30)와 보온내통(40)과 발열외통(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부(20)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소부(20)는 연료가 투입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연료투입부(21)와, 상기 연료투입부(21)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연료투입부(21)로 투입된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실(22)과 상기 연소실(22)의 단부에 용접고정되며 상기 연소실(22)의 열기가 유입되도록 열기유입구(231)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턱부(232)가 마련된 지지관(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실(22)은 상기 사각의 관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기유입구(231)에 단부가 끼움되어 용접고정된다. 상기 연소실(22)에는 하부에 연장되게 베이스 패널이 더 형성되어 상기 발열외통(5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관이 배치되어 용접되며, 상기 베이스패널(221)의 하부에는 지지다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료투입부(21)는 연료투입구(211a)가 형성된 연료투입틀(211)과, 상기 연료투입구(211a)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연료투입틀(211)에 일측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도어부(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212)는 상기 연료투입틀(211)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를 투시하도록 상부투시창(212a')을 갖는 상부도어(212a)와, 상기 상부도어(212a)의 하측에 배치되게 상기 연료투입틀(211)에 설치되고 내부를 투시하도록 하부투시창(212b')가 마련된 하부도어(212b)와, 상기 하부도어(212b)의 하측에 배치되게 상기 연료투입틀(211)에 설치되고 공기조절부(212c')가 마련된 조절도어(21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도어(212a), 하부도어(212b) 및 조절도어(212c)의 일측은 회동되게 상기 연료투입틀에(211) 힌지결합된다. 상기 공기조절부(212c')는 다수의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을 회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차폐날개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으로서, 사용자가 차폐날개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통기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도어부(212)는 연소부(2)에서 연료를 연소시 공기의 공급과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차단하도록 상기 연료투입구(211a)를 순차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시키게 되며, 도어부(212) 전체를 개방하여 연료를 발화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상부도어(212a), 하부도어(212b) 및 조절도서(212c) 순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떠오르는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도어(212c)는 공기량의 조절을 위해 상기 상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도어(212a)의 내측면 하부에는 연료를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로켓관부(30)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곡선의 상부 유도날개(6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유도날개(6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도어(212a)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유도날개(60)는 일면이 곡선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도어(6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상부 유도날개(60)보다 더 돌출되게 곡선의 하부 유도날개(70)가 더 형성되되, 상기 하부 유도날개(7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도어(212b)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도날개(70)는 일면이 곡선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유도날개(60)와 상기 하부 유도날개(70)의 단부에는 유도홈(61,7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61,71)의 저면에는 이송펜(62,72)이 설치되며 상기 연료투입틀(211)에는 상기 이송펜(62,72)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이송펜(62,7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이송펜(62,72)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이송펜(62,7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펜(62,72)의 바람에 의해 연기가 상기 상부,하부 유도날개(60,70)에 안내됨과 아울러 로켓관부(30)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연소 과정중 연기가 상기 도어부(21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도어(212a)와 상기 하부도어(212b)에는 작동슬릿(212a",212b")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슬릿(212a",212b")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날개(91)와 상기 회전날개(91)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92)로 이루어진 안내장치(9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212a)와 상기 하부도어(212b)에는 상기 작동슬릿(212a",212b")을 폐쇄하도록 폐쇄캡(C)이 더 설치된다.
즉, 작동모터(92)의 구동에 의해 회전날개(91)가 회전하면서 바람이 송풍되어 도어로 이동되는 연기를 상기 로켓관(30)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작동모터는 연료투입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부(20)와 상기 발열외통(50)의 외면에는 황토가 접착되어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황토 이외에 외장재로 사용되어 내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보온성이 우수한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로켓관부(30)는 상기 연소부(20)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입되도록 상기 턱부(232)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접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로켓관부(232)의 하부에는 하측에 유입구(311)가 형성된 역 원뿔관 구조의 하부가속부(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에 유출구(321)가 형성된 원뿔관 구조의 상부가속부(3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로켓관부(30)의 하부에는 가속부재(33)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가속부재는 원뿔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연결구(33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에는 곡선의 와류날개(34)가 더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가속부(31)와 상기 상부가속부(32)는 상기 로켓관부(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속부재(33)는 상기 로켓관부(30)에 용접고정된다.
즉, 상기 로켓관부(30)의 하부와 상부가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원뿔관 형상의 가속부재(33)에 의한, 병목현상에 의해 열기가 가속되어 빠르게 이동됨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키 수 있게 되고, 로켓관부의 길이를 줄 일 수 있어 공간활용을 위한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곡선의 상기 와류날개(34)에 의해 열기를 상기 로켓관부(30) 내부에 분산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온내통(40)은 상기 로켓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용접되고 상기 로켓관부와 상기 보온내통 사이에는 보온재(41)가 배치된다. 상기 보온재(41)는 내열성을 갖으며 보온기능이 있는 내장재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발열외통(50)은 상기 로켓관부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유동통로에 공급하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보온내통(40)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부(20)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설치공(5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51)에는 상기 연소실의 단부가 인입되어 용접고정된다.
또한, 구들장 하단의 유동통로와 연통되게 배출구(52)가 마련되어, 상기 유동통로로 열기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온돌형 벽난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도어부(2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연료를 투입 후 연소시키게 되고, 도어부(212)의 상부도어(212a)와 하부도어(212b) 및 조절도어(212c)를 순차적으로 폐쇄하여 발화 및 연소과정에서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로켓관부(30)로 이동되고 병목현상에 의해 빠르게 이동됨과 아울러 발열량이 상승해 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로켓관부(30)를 통해 발열외통(50)으로 이동한 열기는 상기 발열외통(50)의 배출구(52)로 이동하게 됨과 아울러 배출구(52)와 연통된 구들장 하단의 유동통로로 이동하여 구들장을 발열시키게 되며, 열기와 함께 이동한 연기를 유동통로의 단부에 설치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10 : 온돌형 벽난로 20 : 연소부
30 : 로켓관부 40 : 보온내통
50 : 발열외통 60 : 상부유도날개
70 : 하부유도날개 80 : 제어부
90 : 안내장치 21 : 연료투입부
211 : 연료투입틀 211a : 연료투입구
212 : 도어부 212a : 상부도어
212a' : 상부투시창 212a" : 작동슬릿
212b : 하부도어 212b' : 하부투시창
212b" : 작동슬릿 212c : 조절도어
212c' : 공기조절부 22 : 연소실
221 : 베이스 패널 23 : 지지관
231 : 열기유입구 232 : 턱부
31 : 하부가속부 311 : 유입구
32 : 상부가속부 321 : 유출구
33 : 가속부재 331 : 연결구
34 : 와류날개 41 : 보온재
51 : 설치공 52 : 배출구
61 : 유도홈 62 : 이송펜
71 : 유도홈 72 : 이송펜
91 : 회전날개 92 : 작동모터
C : 폐쇄캡

Claims (5)

  1. 연료를 연소하여 구들장 하단의 유동통로로 열기를 공급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투입부와 상기 연료투입부로 투입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의 열기가 유입되도록 열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턱부가 마련된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입되도록 상기 턱부에 설치되는 로켓관부;
    상기 로켓관부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보온재가 마련되는 보온내통; 및
    상기 로켓관부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유동통로에 공급하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보온내통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부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발열외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벽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부는 연료투입구가 형성된 연료투입틀과,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연료투입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도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연료투입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투시창을 갖는 상부도어와,
    상기 상부도어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부투시창가 마련된 하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의 하측에 설치되고 공기조절부가 마련된 조절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벽난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의 내측면 하부에는 곡선의 상부 유도날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도어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상부 유도날개보다 더 돌출되게 곡선의 하부 유도날개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유도날개와 상기 하부 유도날개의 단부에는 유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의 저면에는 이송펜이 설치되며 상기 연료투입틀에는 상기 이송펜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벽난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에는 작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슬릿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로 이루어진 안내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에는 상기 작동슬릿을 폐쇄하도록 폐쇄캡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벽난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켓관부의 하부에는 하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역 원뿔관 구조의 하부가속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원뿔관 구조의 상부가속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로켓관부의 하부에는 가속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가속부재는 원뿔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에는 곡선의 와류날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벽난로.


KR20130136305A 2013-11-11 2013-11-11 온돌용 벽난로 KR10149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305A KR101494210B1 (ko) 2013-11-11 2013-11-11 온돌용 벽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305A KR101494210B1 (ko) 2013-11-11 2013-11-11 온돌용 벽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210B1 true KR101494210B1 (ko) 2015-02-17

Family

ID=5259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305A KR101494210B1 (ko) 2013-11-11 2013-11-11 온돌용 벽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2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418A (ko) * 2015-06-24 2015-07-14 박진수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1570287B1 (ko) 2014-03-03 2015-11-18 김태경 휴대용 화목버너
KR200480433Y1 (ko) 2014-03-03 2016-06-07 김태경 벽난로가 구비된 컨테이너
KR101774555B1 (ko) * 2015-10-27 2017-09-04 신용선 난로용 도어
KR20190083712A (ko) 2018-01-05 2019-07-15 김익환 연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105A (ko) * 2004-11-19 2006-05-24 정도화 벽난로
KR200422646Y1 (ko) 2006-03-07 2006-07-31 최상홍 구들장 벽난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105A (ko) * 2004-11-19 2006-05-24 정도화 벽난로
KR200422646Y1 (ko) 2006-03-07 2006-07-31 최상홍 구들장 벽난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287B1 (ko) 2014-03-03 2015-11-18 김태경 휴대용 화목버너
KR200480433Y1 (ko) 2014-03-03 2016-06-07 김태경 벽난로가 구비된 컨테이너
KR20150081418A (ko) * 2015-06-24 2015-07-14 박진수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1670334B1 (ko) 2015-06-24 2016-10-28 박진수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1774555B1 (ko) * 2015-10-27 2017-09-04 신용선 난로용 도어
KR20190083712A (ko) 2018-01-05 2019-07-15 김익환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10B1 (ko) 온돌용 벽난로
US9441839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US9441840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CN104791793B (zh) 鼓风燃烧器及燃气灶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CN203771472U (zh) 一种具有高燃烧效率的燃气灶
CN103900118A (zh) 一种具有高燃烧效率的燃气灶
CN204574038U (zh) 鼓风燃烧器及燃气灶
KR101741209B1 (ko) 바이오매스 구들 난방장치
KR101243851B1 (ko)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0394920Y1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KR101694694B1 (ko)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CN203869307U (zh) 燃油热风炉及应用该燃油热风炉的集装箱式烤箱
CN104154537B (zh) 一种前端配氧燃气涡流燃烧装置
KR10143112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150118692A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CN105222165B (zh) 一种炉灶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200477269Y1 (ko) 난방용 난로
CN207094675U (zh) 一种加热均匀的炉灶
CN202562256U (zh) 烧结炉结构
FI129332B (fi) Palamisilmakasetti, tulisija palamisilmakasetilla, menetelmä palamisilman syöttämiseksi ja palamisilmakasetin jälkiasennussarja
CN101957065B (zh) 热风炉燃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