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646Y1 - 구들장 벽난로 - Google Patents

구들장 벽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646Y1
KR200422646Y1 KR2020060006050U KR20060006050U KR200422646Y1 KR 200422646 Y1 KR200422646 Y1 KR 200422646Y1 KR 2020060006050 U KR2020060006050 U KR 2020060006050U KR 20060006050 U KR20060006050 U KR 20060006050U KR 200422646 Y1 KR200422646 Y1 KR 200422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place
hot water
chamber
heat
chim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홍
Original Assignee
최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홍 filed Critical 최상홍
Priority to KR2020060006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6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7Hear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8Surrounds-fro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양의 난방도구인 벽난로와 동양의 난방수단인 구들장을 혼합하여 벽난로를 통한 복사열로 거실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벽난로의 화덕실에서 배후로 빠져나가는 열기를 구들장으로 통과시키게 하여 구들을 데우는 구들장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벽난로로 사용되면서 거실에 원적외선이 방사하는 열복사열을 뿜어내여 거실을 따뜻하게 하고, 그 열기를 다시 구들로 보내어 방안도 따뜻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벽난로를 이용하여 온수를 데울 수가 있어서 열효율이 높고 별도의 온수보일러가 필요없다.
벽난로, 구들장, 굴뚝, 구획판, 역풍완화챔버 등

Description

구들장 벽난로{a fireplace}
도 1은 본 고안의 구들장 벽난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벽난로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벽난로를 전체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벽난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벽난로에 방열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벽난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벽난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 구들장 30; 굴뚝
31; 연도가열선 40; 도어
41; 청소공 50; 벽난로
51; 열기배출공 60; 제1온수가열기
61; 개구부 63; 역풍완화챔버
64; 화덕실 65; 수직판
66; 빗각판 67; 구획판
70; 머릿돌부위 71; 경사면
72; 화덕턱 73; 밑판
74; 숯배출공 76; 숯받이공간
77; 수평통 78; 수직통
79; 제2온수가열기 90; 밸브
본 고안은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양의 난방도구인 벽난로와 동양의 난방수단인 구들장을 혼합하여 벽난로를 통한 복사열로 거실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벽난로의 화덕실에서 배후로 빠져나가는 열기를 구들장으로 통과시키게 하여 구들을 데우는 구들장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그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서 타는 목재에서 발생되는 복사열과, 특히 나무가 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쬐이며 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난방기구이다.
또한 우리 선조 들의 난방방식인 구들장에서, 그 구들을 데우기 위하여 또는 취사를 위하여 아궁이를 통해 나무 등의 장작을 태우는 방식으로 사용을 하였다.
따라서 우리 선조의 아낙들은 항상 아궁이에 불을 지피며 생활하였기에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쐬이며 살아왔던 것이다.
물론 그러한 이유로 아낙네들은 힘든 노역을 하면서도 심한 부인병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사실 서양의 벽난로와 동양의 구들은 함께 공존하며 설치된 적이 없다.
서로 각자의 독립된 장소에서 별도의 목적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즉, 서양의 벽난로는 거실의 벽면 일측에 설치되어 그 복사열을 분출하며 거실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열기를 제공하고 있고, 동양의 구들은 아궁이에서 불을 지피면 그에 따라 발생되는 열기가 구들을 통과하며 구들장을 데우고 그 따뜻한 열기에 의해 사람들이 편히 쉴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벽난로의 역할과 구들장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난방기구는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양의 난방도구인 벽난로와 동양의 난방수단인 구들장을 혼합하여 벽난로를 통한 복사열로 거실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벽난로의 화덕실에서 배후로 빠져나가는 열기를 구들장으로 통과시키게 하여 구들을 데우는 구들장 벽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들장 벽난로는, 생활수를 데울 수 있도록 구성된 벽난로와; 상기 벽난로의 열기배출공에 연통된 구들장과; 상기 구들장의 끝단에 형성하되, 외주면 일측에 연도가열선을 배열한 관형상의 굴뚝과; 상기 굴뚝의 밑부분 일측에 형성된 청소공과, 그 청소공을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된 도어가; 결합하되 벽난로의 열기배출공이 구들장의 하단 유동통로와 관통되고, 그 유동통로의 끝단에는 그을름과 연기가 배출되는 굴뚝이 형성되어 있는 구들장 벽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벽난로는, 최상단에 온수를 저장하는 제1온수가열기가 비치되고, 전면이 개구된 상태도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벽난로몸체와; 상기 벽난로몸체를 역풍완화챔버와 화덕실로 구분하는 수직판과 빗각판으로 형성된 구획판과; 상기 벽난로몸체의 화덕실 상부를 가로로 덮으며, 배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 머릿돌부위와; 상기 벽난로몸체의 화덕실 하부를 가로로 가르는 화덕턱과; 상기 화덕실의 밑판의 전면에 형성된 숯배출공과; 상기 화덕실의 숯배출공의 하단에 형성된 숯받이공간과; 상기 화덕실의 밑판에 올려지는 수평통과 수직통으로 형성된 제2온수가열기와; 상기 벽난로몸체의 역풍완화챔버의 하단으로 내려와 벽난로몸체의 배면 하단에 형성된 열기배출공이; 결합하여 상기 화덕실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구획판의 상부로 상승하고, 역풍완화챔버를 지나 열기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구들장 벽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벽난로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벽난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구들장을 데우는 아궁이의 역할도 한다는 점, 그에 따라 열효율을 극대화시켜 발생되는 난방비의 절감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 내지 6에서 보이듯, 생활수를 데울 수 있도록 구성된 벽난로(50)가 있고, 상기 벽난로(50)의 열기배출공(51)에 연통된 구들장(20)이 형 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들장(20)의 끝단에 형성하되, 외주면 일측에 연도가열선(31)을 배열한 관형상의 굴뚝(30)이 있고, 상기 굴뚝(30)의 밑부분 일측에 형성된 청소공(41)과, 그 청소공(41)을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된 도어(4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벽난로(50)의 열기배출공(51)이 구들장(20)의 하단 유동통로(21)와 관통되고, 그 유동통로(21)의 끝단에는 그을름과 연기가 배출되는 굴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구들장 벽난로는 그 화덕실(64)에 나무 등을 이용하여 불을 지피기 전에 먼저 도 1에 도시된 굴뚝(30)의 하단부위를 가열하게 된다.
그 가열의 방식으로는 굴뚝(3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연도가열선(31)에 전류를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 굴뚝(30)의 내주면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뜨거운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오기에, 상기 굴뚝(30) 내부의 공기는 도시된 도면의 화살표에서처럼 굴뚝(30)의 아래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공기의 흐름이 있다.
따라서 이 흐름은 상기 벽난로(50)에도 전달되어 벽난로의 전면 개방부(61)에 존재하는 공기도 상기 역풍완화챔버(63)를 지나 구들장의 열기배출공(51)을 통과하여 굴뚝으로 빠져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난로몸체(55)의 내부인 화덕실(64)에서 나무 등의 장작을 이용하여 불을 지피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장작이 타면서 발생되는 열기는 상부로 올라가다가, 역풍완화챔버(63)에서 빨아드리는 공기의 흐름을 만나 역풍완화챔버(63)를 통과하며, 구들장의 유동통로(2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물론 이렇게 빠져나가는 뜨거운 열기는 구들을 달구게 되어 방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난로(50)의 화덕실(64)에서 타고 있는 장작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은 상기 벽난로의 전면으로 방사되어 거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물론 이렇게 방사되는 복사열은 원적외선도 방사를 하기에 이를 쬐는 사람들의 건강에도 유리하다.
또한 벽난로(50)에 불을 놓아 많은 시간의 사용이 있게 되면, 상기 굴뚝(30)의 역풍완화공간(K)과 구들장(20)의 유동통로(21) 내부에 많은 그을음이 달라붙을 소지가 많다.
이때 도시된 도 1에서처럼, 도어(40)의 개폐가 가능한 청소공(41)에 기구를 집어 넣어 역풍완화공간(K)과 구들장(20)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벽난로의 구조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상기 벽난로(50)는, 최상단에 온수를 저장하는 제1온수가열기(60)가 비치되고, 전면이 개구(61)된 상태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벽난로몸체(55)이 있고, 상기 벽난로몸체(55)를 역풍완화챔버(63)와 화덕실(64)로 구분하는 수직판(65)과 빗각판(66)으로 형성된 구획판(6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벽난로몸체(55)의 화덕실(64) 상부를 가로로 덮으며, 배면이 경사진 경사면(71)을 가진 머릿돌부위(70)가 있고, 상기 벽난로몸체(55)의 화덕실(64) 하부를 가로로 가르는 화덕턱(72)이 있다.
또한 상기 화덕실(64)의 밑판(73)의 전면에 형성된 숯배출공(74)이 있고, 상기 화덕실(64)의 숯배출공(74)의 하단에 형성된 숯받이공간(76)이 있다.
또한 상기 화덕실(64)의 밑판(73)에 올려지는 수평통(77)과 수직통(78)으로 형성된 제2온수가열기(79)가 있고, 상기 벽난로몸체(55)의 역풍완화챔버(63)의 하단으로 내려와 벽난로몸체(55)의 배면(80) 하단에 형성된 열기배출공(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덕실(64)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구획판(67)의 상부로 상승하고, 역풍완화챔버(63)를 지나 열기배출공(51)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벽난로는 상기 화덕실(6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화덕실(64)은 상기 구획판(67)을 통하여 역풍완화챔버(63)와 화덕실(64)로 구획이된 전면부를 뜻함인데, 이 화덕실(64)에서 장작 등을 이용하여 불을 지피면, 그 열기가 상승하여 상기 구획판(67)의 배면에 위치하는 역풍완화챔버(63)의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그런데 이때 상기 화덕실(64)의 밑판 상부 즉, 불을 지피는 장작이 얹히는 밑판(73)에는 도시된 제2온수가열기(79)가 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작의 화력에 의해 그 제2온수가열기(79) 내부의 물은 뜨거운 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 제2온수가열기(79)는 도시된 것처럼, 수평통(77)과 수직통(78)이 결합된 속이 빈 통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온수가열기(79) 내부의 물을 데워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덕실(64)의 하단을 이루는 밑판에는 도시된 것처럼, 숯배출공(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숯배출공(74)을 장작 등이 다 타고 나서 숯이 되면 이를 긁어내기 쉽게 하기 위해 비치하는데, 상기 밑판(73)의 저면에는 도시된 것처럼, 숯받이공간(76)이 있어서 그 공간부에 숯받이통(16)을 끼워 넣어 손쉽게 숯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전술된 상기 제2온수가열기(79)의 저면에는 별도의 밸브(90)가 구성되어 있어, 만일 뜨거운물이 필요로 하다면, 이 밸브(90)를 열어 생활용수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상부에는 별도의 관을 구성하여 물을 채울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제2온수가열기(79)와 같은 또 하나의 제1온수가열기(60)가 비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벽난로몸체(55)의 상단에 비치된 이 제1온수가열기(60)는 대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제작이 된다.
물론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제1온수가열기(60)에도 별도의 밸브(90)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화덕실(64)에서 장작이 타면서 배출되는 뜨거운 열기가 그 상단 에 형성된 제1온수가열기(60) 내부의 물을 데우고, 필요시 상기 밸브(90)를 개방하여 필요한 온수를 얻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제1온수가열기(60)와 제2온수가열기(79)에 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1차적으로 화덕실(64)에서 장작이 타며 불꽃을 밝히고 있다면 그 뜨거운 열기는 벽난로몸체(55)의 상부에 위치한 제1온수가열기(60)에 물을 끓이게 되고, 불꽃이 타고난 알불 만이 남아 있을 때에는 화목의 하단에 위치한 제2온수가열기(79)의 물이 끓게 된다.
이때 이 가열된 상기 제1온수가열기(60)와 제2온수가열기(79)의 물을 그 열기를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화덕실(64)의 화력이 떨어진다 할지라도 그 열기를 거실에 발산시켜 그 온도를 유지시키는 축열기의 역할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 개방부(61)의 상부에 머릿돌부위(7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머릿돌부위(70)는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71)을 가지고 있다.
이는 그 경사면(71)을 타고 열기가 그 내부의 역풍완화챔버(63)로 쉽게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덕실(64)의 밑판(73)에는 하부를 가로로 가르는 화덕턱(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덕턱(72)은 혹시 화덕실(64)의 타버린 재가 흘러내려 거실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이러한 벽난로의 뜨거운 열기를 이용하여 구들을 데운다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열기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측 단면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벽난로몸체(55)의 저면에는 열기배출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열기배출공(51)으로 뜨거운 열기가 빠져나가 바로 구들의 유동통로(21)와 연결되어 구들(20)을 달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만일 상기 열기의 흐름이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역행할 것을 우려하여 역풍완화챔버(63)와 역풍완화공간(K)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역풍완화챔버(63)는 혹시 구들장(20)의 유동통로(21)를 통해 열기가 다시 벽난로의 개방부(61)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이다.
만일 열기가 역행하여 벽난로의 개방부(61)로 나오려 한다면, 그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화덕실(64)의 뜨거운 열기가 밀어주기에 다시 돌아서 구들(20)을 향해 나아갈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수단으로 상기 굴뚝(30)의 저면에는, 구들장(20)과의 연결부위에 굴뚝(30)의 지름보다 넓은 공간의 역풍완화공간(K)을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도 역시, 상기 굴뚝(30)의 상부에서 역행하는 바람이 불어 열기가 하향하게 된다면, 우리 조상들이 구들장(20)에 형성시킨 고래장과 같이 역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는 아주 공지된 것으로 우리 선조들의 구들에서 보면 알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구들의 도입부와 배출부 측에 보다 넓은 공간부를 형성시켜, 공기의 흐름이 바뀌는 것을 방지해오곤 했는데, 정확한 원리는 뭐라 규정하기 힘드나, 그동안 구들을 만들면서 그렇게 제작하여 유체 흐름의 역행을 방지해왔으며, 더욱 정확하게는 반드시 그렇게 제작하여 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제1온수가열기(60)와 제2온수가열기(79)에는, 밸브(90)를 구성하여 필요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앞에 전술한 바 있지만, 본 고안은 하나의 벽난로(50)를 이용하여 벽난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 하나 구들장(20)의 구들을 데우기 위한 아궁이의 역할도 수행하며, 특별한 온열의 수단 없이 온수를 가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데워진 온수는 상기 밸브(9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충진시킬 수 있게 하기에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벽난로몸체(55)의 전면 개구부(61)에는, 슬롯트(101)와 화이버스크린(92)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의 슬롯트(101)는 외부의 공기가 저기압일 경우, 혹시 벽난로몸체(55)의 전면 개구부(61)로 연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는 차단막이다.
이 차단막은 내열성 유리나 철판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렇게 슬롯트(101)를 치면 외부와 벽난로의 개구부(61)와의 차단을 이루어, 벽난로를 떼지 않을 경우 외부로 빠져나가는 거실의 열기를 차단한다.
따라서 이 슬롯트(101)는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역할도 한다.
또한 다음의 구성인 화이버스크린(92)은 망체의 형태로 벽난로에서 화력을 발산하고 있을 때 불똥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치는 차단막이다.
아무튼 이러한 상기 슬롯트(101)와 화이버스크린(92)은 벽난로몸체(55) 전면 개구부(61)에 설치되어 롤에 감기고 풀리는 작동을 통해 개구부(61)를 차단하고 개 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구획판(67)에 형성된 빗각판(66)의 전면에는 벌집 형상의 방열판(95)이 결합되고, 상기 벽난로몸체(55)의 배면(80)과 측면(103)에도 그 전면으로 벌집 형상의 방열판(97)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열판(97)은 그 뜨거운 온도가 빨리 발산하여 실내의 온도를 빨리 상승시키게 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스텐으로 제작되는 상기 벽난로몸체(55)와 대다수의 구성들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벽난로몸체(55)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의 개방구(104)를 가지고 있다.
즉, 이 개방구(104)는 일측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타측방의 측면에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거실 내부의 공기가 낮은 부분의 개방구(104)로 들어가 벽난로몸체(55)의 내부 공간부를 타고 지나며 고온의 열기로 바뀌고, 다시 타측방의 측면에 형성된 높은 위치의 개방구(104)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순환과정을 통해서 거실 내부의 온도는 더욱 빨리 상승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개방구(104)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그릴(110)이 끼워지는데, 이는 미관을 북돋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벽난로로 사용되면서 거실에 원적외선이 방사하는 열복사열을 뿜어 내여 거실을 따뜻하게 하고, 그 열기를 다시 구들로 보내 어 방안도 따뜻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벽난로를 이용하여 온수를 데울 수가 있어서 열효율이 높고 별도의 온수보일러가 필요 없다.
더불어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에 채택되어 설치가 가능하다.

Claims (7)

  1. 벽난로에 있어서,
    생활수를 데울 수 있도록 구성된 벽난로(50)와;
    상기 벽난로(50)의 열기배출공(51)에 연통된 구들장(20)과;
    상기 구들장(20)의 끝단에 형성하되, 외주면 일측에 연도가열선(31)을 배열한 관형상의 굴뚝(30)과;
    상기 굴뚝(30)의 밑부분 일측에 형성된 청소공(41)과, 그 청소공(41)을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된 도어(40)가; 결합하되 벽난로(50)의 열기배출공(51)이 구들장(20)의 하단 유동통로(21)와 관통되고, 그 유동통로(21)의 끝단에는 그을름과 연기가 배출되는 굴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난로(50)는,
    최상단에 온수를 저장하는 제1온수가열기(60)가 비치되고, 전면이 개구(61)된 상태도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벽난로몸체(55)와;
    상기 벽난로몸체(55)를 역풍완화챔버(63)와 화덕실(64)로 구분하는 수직판(65)과 빗각판(66)으로 형성된 구획판(67)과;
    상기 벽난로몸체(55)의 화덕실(64) 상부를 가로로 덮으며, 배면이 경사진 경사면(71)을 가진 머릿돌부위(70)와;
    상기 벽난로몸체(55)의 화덕실(64) 하부를 가로로 가르는 화덕턱(72)과;
    상기 화덕실(64)의 밑판(73)의 전면에 형성된 숯배출공(74)과;
    상기 화덕실(72)의 숯배출공(74)의 하단에 형성된 숯받이공간(76)과;
    상기 화덕실(64)의 밑판(73)에 올려지는 수평통(77)과 수직통(78)으로 형성된 제2온수가열기(79)와;
    상기 벽난로몸체(55)의 역풍완화챔버(63)의 하단으로 내려와 벽난로몸체(55)의 배면(80) 하단에 형성된 열기배출공(51)이; 결합하여 상기 화덕실(64)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구획판(67)의 상부로 상승하고, 역풍완화챔버(63)를 지나 열기배출공(51)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30)의 저면에는,
    구들장(20)과의 연결부위에 굴뚝(30)의 지름보다 넓은 공간의 역풍완화공간(K)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수가열기(60)와 제2온수가열기(79)에는,
    밸브(90)를 구성하여 필요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5. 제 2항에 있어서,
    벽난로몸체(55)의 전면 개구부(61)에는,
    화이버스크린(9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67)에 형성된 빗각판(66)의 전면에는,
    벌집 형상의 방열판(95)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난로몸체(55)의 배면(80)과 측면(103)에는,
    그 전면으로 벌집 형상의 방열판(97)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장 벽난로.
KR2020060006050U 2006-03-07 2006-03-07 구들장 벽난로 KR200422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50U KR200422646Y1 (ko) 2006-03-07 2006-03-07 구들장 벽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50U KR200422646Y1 (ko) 2006-03-07 2006-03-07 구들장 벽난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072A Division KR100746973B1 (ko) 2006-03-06 2006-03-06 구들장 벽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646Y1 true KR200422646Y1 (ko) 2006-07-31

Family

ID=4177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50U KR200422646Y1 (ko) 2006-03-07 2006-03-07 구들장 벽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6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10B1 (ko) 2013-11-11 2015-02-17 김태경 온돌용 벽난로
KR20160029326A (ko) * 2014-09-05 2016-03-15 최희태 구들장 난방 겸용 가마솥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10B1 (ko) 2013-11-11 2015-02-17 김태경 온돌용 벽난로
KR20160029326A (ko) * 2014-09-05 2016-03-15 최희태 구들장 난방 겸용 가마솥 보일러
KR101654981B1 (ko) 2014-09-05 2016-09-06 최희태 구들장 난방 겸용 가마솥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973B1 (ko) 구들장 벽난로
RU2448305C1 (ru) Русская парная баня е.в. бусыгина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200422646Y1 (ko) 구들장 벽난로
RU56183U1 (ru) Печь-каменка
CN211650425U (zh) 天然石电子远红外线壁炉
RU2490553C2 (ru) Печь-каменка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JP6148282B2 (ja) ストーブ
KR101434902B1 (ko) 벽난로가 결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후면이 개방된 보일러
RU99598U1 (ru) Парообразователь для бани
KR101103417B1 (ko) 벽난로 점화장치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RU17837U1 (ru) Самовар
KR101958087B1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20130015543A (ko)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KR101554638B1 (ko) 난로
CN2171064Y (zh) 采暖炉
SU1474390A1 (ru) Нагре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324933B1 (ko) 실내외 분리형 화목보일러 시스템
KR200325395Y1 (ko) 보일러
KR20090073623A (ko)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RU2485414C2 (ru) Котел отопления, работающий на дровах
CN209130995U (zh) 一种节能暖气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