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623A -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623A
KR20090073623A KR1020070141610A KR20070141610A KR20090073623A KR 20090073623 A KR20090073623 A KR 20090073623A KR 1020070141610 A KR1020070141610 A KR 1020070141610A KR 20070141610 A KR20070141610 A KR 20070141610A KR 20090073623 A KR20090073623 A KR 2009007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heating
building
ondol
fire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옥용
Original Assignee
배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옥용 filed Critical 배옥용
Priority to KR102007014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623A/ko
Publication of KR2009007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에 구들(4)을 시공하여 온돌난방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바깥에 화목 또는 기름, 가스보일러(1)를 설치하여 상기 보일러(1)에 형성된 연소관(2)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2) 안쪽으로 연결, 삽입한 다음 상기 보일러(1)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폐열로 구들(4)을 데워 온돌난방을 함은 물론 상기 구들(4) 또는 건축물의 2층 바닥에 깔린 난방관(5)으로 상기 보일러(1)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순환시켜 온수난방을 함으로써 이중난방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보일러 가동시 발생하여 연소관을 통해 대기 중에 흩어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구들을 데움으로써 온돌난방을 함은 물론 보일러에서 데워지는 온수로도 난방을 하여 보다 적은 연료 사용으로 난방효율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일러, 연소관, 폐열, 구들, 온돌난방, 온수난방

Description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The combustion pipe internal style ondol heating method of a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 가동시 발생하여 연소관을 통해 대기 중에 흩어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구들을 데움으로써 온돌난방을 함은 물론 보일러에서 데워지는 온수로도 난방을 하여 보다 적은 연료 사용으로 난방효율을 배가시키는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난방은,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구들 방법과 화목 또는 기름, 가스 보일러를 이용하여 연료를 태움으로써 얻어지는 온수를 난방관으로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분류된다.
아궁이에 불을 지펴 구들장을 데우는 구들난방 방법은 우리 민족에게는 주요 난방문화로 자리를 잡아 왔으며,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고 동파 걱정이 없으며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어 생체리듬을 지켜주는 장점이 있다. 반면 실내 공기가 건조되기 쉽고 아궁이로 불이 나오면 화재의 위험이 있다.
보일러에 연료를 연소함으로써 얻어지는 온수를 건축물의 바닥에 깔아놓은 난방관으로 순환시키는 난방 방법은 구들보다는 시공이 쉽고 간단한 장점을 갖지만 온도의 변화가 급속도로 변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각종 성인병, 스트레스 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황토나 옥 등으로 만든 구들 찜질방 및 숯가마를 찾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구들의 장점과 보일러의 장점을 모아 새로운 난방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시급한 현실이다.
위와 같은 새로운 난방 방법을 제시한 대표적인 기술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38199호(2004. 7. 5. 공고)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 구조가 있다.
상기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을 갖는 건축물의 온돌난방 구조는 아궁이를 내, 외장형으로 설치하여 구들을 데우거나 보일러를 가동하여 바닥에 깔아놓은 난방코일에 온수를 순환시키는 두 가지 종류의 난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난방은 아궁이 방식을 선택할 경우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온수를 얻지 못하며 온수를 얻기 위해서는 보일러를 별도로 가동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보일러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전히 유지관리비의 부담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보일러의 연료를 연소 시켜 얻어지는 온수로 난방함은 물론 연소관을 빠져나가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돌난방을 하는 이중 효과로 일상생활에 편의성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난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화목 또는 기름, 가스 보일러(이하, '보일러'라 한다)를 이용, 한 번의 열량으로 온돌난방과 온수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내부에 구들을 설치하고, 상기 구들 위에 난방관을 깔은 다음 보일러의 연소관을 건축물의 내부 아궁이에 연결, 내장하여 폐열로써 구들을 데워 온돌난방을 하고 보일러의 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온수로 이중난방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대기 중에 흩어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구들난방을 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온도 유지로 생체리듬을 지켜주는 한편 온수를 이용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편의성과 경제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을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보일러의 연소관을 건축물의 내부에 삽입하여 온수난방과 함께 폐열로 구들을 데워 온돌난방을 함으로써 보다 적은 연료 사용으로 이중난방 효과가 있고,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건축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구들(4)이 시공되며, 상기 구들(4)은 굄돌로 고래둑을 쌓아 방고래를 형성하고 구들장을 얹어서 만들며 이러한 구들 시공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들(4)이 시공된 건축물의 바깥에 설치된 보일러(1)의 연소관(2)을 외벽(3)의 내부로 삽입시켜 연료를 태울 때 대기 중으로 흩어지는 폐열로 구들(4)을 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건축물의 외벽(3)으로 삽입되는 연소관(2)은 상기 외벽(3)에 직접 구멍을 뚫고 밀폐가 되도록 하거나, 외벽(3)에 개폐할 수 있는 문(7)을 달아 상기 문(7)에 연소관(2)을 설치하여 폐열이 구들(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들(4) 위에는 실시 예에 따라서 난방관(5)을 깔고 바닥마감재(6)를 형성하여 온돌난방과 함께 온수난방을 겸하게 되는데, 상기 난방관(5)은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1층에만 깔거나 1, 2층에 모두 깔아 보일러(1)의 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온수를 상기 난방관(5)으로 순환시킴으로써 한 번의 열량으로 이중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일러(1)가 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온수를 난방관(5)으로 순환시키는 가스 및 기름보일러가 아닌 화목보일러인 경우에는 상기 화목보일러를 연소관(2)이 형성된 화실(8)과; 상기 화실(8)을 감싸고 형성된 수실(9)과; 상기 화실(8)의 아래에 형성되는 재 처리구(10) 및; 상기 화실(8) 입구로 불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불막이(11)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여 건축물의 바깥에 설치한 다음 상기 연소관(2)을 외벽(3)에 삽입하여 폐열로 상기 구들(4)을 데우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 한쪽에 직접 내장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보일러(1)가 화목보일러인 경우에는 화실(8)에 화목을 넣고 태울 때 발생하는 열로 수실(9)의 물을 데워 온수를 얻게 되고, 상기 온수는 기름 및 가스보일러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난방관(5)으로 온수를 순환시켜 온수난방을 함은 물론 수도 등에 배관하여 일상생활에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가 화목보일러인 경우에는 화목보일러 자체를 건축물의 내부 한쪽에 내장하면 연료가 연소할 때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식게 되는 열기의 손실 없이 상기 구들(4)을 한 번 더 데워주게 되며, 이때 화목보일러를 건축물의 지표에 황토 등을 두껍고 고르게 깔아 형성한 방열층(12)에 반 정도 묻히도록 시공하면 상기 화목보일러의 바깥으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방열층(12)에 흡열되었다가 서서히 발산되므로 보다 적은 연료 사용으로 난방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각종 보일러(1)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여 대기 중에 흩어지는 폐열을 건축물의 내부와 연결된 연소관(2)을 통해 유입시켜 구들(4)을 데움으로써 온돌난방을 하게 됨은 물론 상기 보일러(1)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난방관(5)으로 순환시켜 온수난방을 겸하게 되므로 이중난방을 할 수 있 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보다 적은 연료를 사용하면서도 난방효율은 높이게 되는데,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약 66㎡(20평)를 난방할 수 있는 보일러로써 폐열을 이용한 온돌과 온수난방으로 약 132㎡(40평)을 동시에 난방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경제성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을 예시한 건축물 일부 단면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을 예시한 건축물의 단면상태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를 건축물에 내장한 상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 내부 구조와 설치상태를 보인 건축물의 일부 생략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일러 2: 연소관
3 : 외벽 4 : 구들
5 : 난방관 8 : 화실
9 : 수실

Claims (4)

  1. 건축물의 바닥에 구들(4)을 시공하여 온돌난방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바깥에 화목 또는 기름, 가스보일러(1)를 설치하여 상기 보일러(1)에 형성된 연소관(2)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3) 안쪽으로 연결, 삽입한 다음 상기 보일러(1)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폐열로 구들(4)을 데워 온돌난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폐열로 구들(4)을 데워 온돌난방을 함과 동시에 상기 구들(4) 또는 건축물의 2층 바닥에 깔린 난방관(5)으로 상기 보일러(1)에서 데워지는 온수를 순환시켜 온수난방을 겸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는 연소관(2)이 형성된 화실(8)과; 상기 화실(8)을 감싸고 형성된 수실(9)과; 상기 화실(8)의 아래에 형성되는 재 처리구(10) 및; 상기 화실(8) 입구로 불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불막이(11)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화목보일러를 이용하며, 상기 화목보일러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연소관(2)을 통해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시켜 구들(4)을 데움으로써 온돌난방을 하고 상기 화목보일러의 수실(9)에서 얻어지는 온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 사용하거나 난방관(5)으로 순환시켜 온수난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는 화목보일러이고, 상기 화목보일러 자체를 건축물의 내부 한쪽에 내장하여 연료를 연소시킬 때 연소관(2)을 통해 빠져나오는 폐열로 구들(4)을 데워 온돌난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KR1020070141610A 2007-12-31 2007-12-31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KR20090073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610A KR20090073623A (ko) 2007-12-31 2007-12-31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610A KR20090073623A (ko) 2007-12-31 2007-12-31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623A true KR20090073623A (ko) 2009-07-03

Family

ID=4133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610A KR20090073623A (ko) 2007-12-31 2007-12-31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6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23B1 (ko) * 2010-09-14 2013-03-04 임형택 화목 보일러
KR101338317B1 (ko) * 2011-09-16 2013-12-06 주식회사 구들택 온수 순환용 철판 구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23B1 (ko) * 2010-09-14 2013-03-04 임형택 화목 보일러
KR101338317B1 (ko) * 2011-09-16 2013-12-06 주식회사 구들택 온수 순환용 철판 구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239B1 (ko)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RU165769U1 (ru) Банно-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KR101741209B1 (ko) 바이오매스 구들 난방장치
KR100746973B1 (ko) 구들장 벽난로
KR20090073623A (ko) 보일러의 연소관 내장형 온돌난방 방법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20100038804A (ko) 2중구들 황토방 및 보일러 겸용 벽난로
RU126433U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стальной
RU131855U1 (ru) Печь для обогрева помещений
JP2010223539A (ja)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KR20150081418A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1713083B1 (ko) 펠렛스팀보일러
US3244164A (en) Space heater
RU2610411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98008B1 (ko)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KR101625984B1 (ko) 복합 난방 시스템
KR200480907Y1 (ko) 한증막
KR20030061169A (ko) 다층 보일러
KR101512968B1 (ko) 화목 보일러
KR101654981B1 (ko) 구들장 난방 겸용 가마솥 보일러
KR900003246Y1 (ko) 가스 온수 난방기
RU163402U1 (ru) Ко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220002824A (ko) 덕트 온돌 난방장치
KR200273995Y1 (ko) 다층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22

Effective date: 201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