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477B1 -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477B1
KR101491477B1 KR20130002918A KR20130002918A KR101491477B1 KR 101491477 B1 KR101491477 B1 KR 101491477B1 KR 20130002918 A KR20130002918 A KR 20130002918A KR 20130002918 A KR20130002918 A KR 20130002918A KR 101491477 B1 KR101491477 B1 KR 10149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mponent
warning
unit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829A (ko
Inventor
장재식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주)일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일지테크
Priority to KR2013000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4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를 부품에 공급하는 너트 공급 장치; 부품에 너트를 용접하는 용접기; 부품의 이동을 감지하는 부품 이동 감지부;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경고부; 및 너트 공급 장치로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공급하고, 용접기에 의해 용접된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부품이 부품 이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여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OMISSION OF NUT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에 너트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부품에 용접되는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해당 부품에 대해 설정된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부품 이동이 감지되면 너트 누락을 경고하는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과 같은 대량생산라인에서 각종 부품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부품에 너트를 용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볼트를 체결하고자 하는 부품의 작업위치에 너트를 위치시키고, 용접기를 이용하여 너트를 용접한다.
한편, 부품은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되는 바, 그 결과 1개의 부품에 복수 개의 너트가 용접될 필요가 있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부품의 작업위치에 너트를 위치시킨 후, 일일이 너트를 용접하여야 하는 바, 장시간 업무에 따른 피로도 증가 등으로 인한 작업자의 실수로 부품에 용접되는 너트가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완성품에 불량이 발생하고, 완성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0862396호(2008.10.01)의 '너트 자동공급체결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부품에 너트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부품에 용접되는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해당 부품에 대해 설정된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부품 이동이 감지되면 너트 누락을 경고하는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장치는 너트를 부품에 공급하는 너트 공급 장치; 상기 부품에 너트를 용접하는 용접기; 상기 부품의 이동을 감지하는 부품 이동 감지부;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너트 공급 장치로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공급하고, 상기 용접기에 의해 용접된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부품이 상기 부품 이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여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너트 공급 장치는 상기 너트를 담는 너트 보울; 상기 너트 보울에 담겨진 상기 너트를 송출하는 너트 공급 로봇; 상기 너트 공급 로봇에 의해 송출된 상기 너트를 이송시키는 너트 공급 노즐; 및 상기 너트 공급 노즐에 의해 이송된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안착시키는 너트 공급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부를 통해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한 후, 상기 너트 공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설정수량은 상기 부품 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너트를 감지하는 너트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너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너트의 개수가 상기 설정 수량 보다 적으면, 상기 너트 공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너트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작업장치는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용접하는 용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방법은 부품에 너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품에 공급된 상기 너트에 대한 너트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된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상기 부품에 설정된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부품의 이동이 감지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부품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단계 후, 상기 부품에 상기 너트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부품에 너트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에 공급되는 상기 너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너트의 개수가 설정 수량 보다 적으면,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시에 너트의 누락을 실시간으로 경고하여 작업자에게 너트 누락을 인지시킴으로써, 완성품의 불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 누락에 따른 작업시간 및 생산비 증가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공급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공급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부(10), 부품 이동 감지부(20), 부품 카운터(30), 너트 공급 장치(40), 너트 감지부(50), 용접기(60), 경고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부품 카운터(30)는 생산 라인에서 용접 작업을 위해 작업대로 투입되는 부품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는 용접 작업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너트(1)를 공급하는 다양한 작업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너트 공급 장치(40)는 작업대에 안착된 부품(2)에 너트(1)를 공급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너트 공급 장치(40)는 너트 보울(41), 너트 공급 로봇(42), 너트 공급 노즐(43) 및 너트 공급 실린더(44)를 포함한다.
너트 보울(41)은 복수 개의 너트(1)를 담는다.
너트 공급 로봇(42)은 너트 보울(41)의 하부에 설치되어 너트 보울(41)을 회전시켜 너트(1)를 정렬시킨다. 또한, 너트 공급 로봇(42)은 너트 보울(41)에 정렬된 너트(1)를 너트 보울(41)로부터 배출시킨 후, 내부에 구비된 공압 시스템(미도시)을 이용하여 너트 공급 노즐(43)을 통해 송출한다.
너트 공급 노즐(43)은 너트 공급 로봇(42)에서 송출된 너트(1)를 이송시켜 너트 공급 실린더(44)에 안착시킨다.
너트 공급 실린더(44)는 너트 공급 노즐(43)에 의해 안착된 너트(1)를 배출시켜 부품(2)의 작업위치(21)에 안착시킨다.
너트 감지부(50)는 상기한 너트 공급 장치(40)에 의해 부품(2)에 실제로 공급된 너트(1)를 감지한다. 여기서, 너트 감지부(50)는 너트 공급 실린더(44)나 너트 공급 로봇(42)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용접기(60)는 부품(2)의 작업위치(21)에 안착된 너트(1)를 용접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이 용접기(60)를 이용하여 부품(2)에 안착된 너트(1)를 용접한다. 이러한 용접기(6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부품 이동 감지부(20)는 용접기(60)를 통해 용접 작업을 마친 부품(2)이 다음 작업을 위해 작업대에서 이송되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용접 작업을 마친 부품(2)이라 함은 작업대에 안착된 후, 용접기(60)에 의해 해당 부품(2)에 너트(1)가 용접된 부품(2)이다.
통상, 생산 라인은 각 공정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되므로, 용접 작업을 마친 부품(2)은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송된다. 따라서, 부품 이동 감지부(20)가 용접 작업을 마친 부품(2)이 작업대에서 이송되는 지를 감지함으로써, 제어부(90)는 용접 작업을 마친 부품(2)이 다음 공정을 위해 이송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설정수량은 각 부품(2)에 대해 용접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너트(10)의 작업수량이며, 각 부품(2) 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된다. 참고로, 부품(2)은 크기와 모양, 부품(2)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므로, 설정수량은 상기한 부품(2)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경고부(80)는 부품(2)에 공급되는 너트(1)의 누락을 경고하여 작업자는 부품(2)에 공급된 너트(1)가 설정수량 만큼 용접되지 않음을 인식할 수 있다.
경고부(80)는 너트(1)의 누락을 음성으로 경고하는 경고음 출력부(84)와, 누락 여부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등(82)을 포함한다.
경고부(80)는 작업자의 작업 패널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경고등(82)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주변의 다른 작업자도 너트 누락이 발생된 작업지점을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입출력부(10)는 작업자의 각종 작업명령을 입력하고 현재의 작업상황을 표시한다. 이러한 입출력부(10)는 통상 작업자의 제어패널(미도시)에 설치되며, 이를 통해 각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량 등에 따라 작업명령을 입력하고 작업상황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입출력부(10)는 작업명령을 입력하는 버튼부(11)와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12)를 포함한다.
버튼부(11)는 차종을 선택하여 해당 차종의 부품(2)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차종 선택 버튼(111)과, 해당 부품(2)에 너트(1)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도록 하는 너트 공급 버튼(112)을 포함한다.
표시부(12)는 현재까지 작업된 부품(2)의 실제 작업부품 수량을 표시하는 실제 작업부품수량 표시부(121), 부품(2)에 용접된 너트(1)의 실제 작업수량을 표시하는 실제 작업수량 표시부(122) 및 해당 부품(2)에 설정된 설정수량을 표시하는 설정수량 표시부(123)를 포함한다.
제어부(90)는 차종 선택 버튼(111)이 입력되면, 해당 부품(2)의 개수와 각 부품(2)에 용접되어야 할 너트(1)의 개수를 설정한다.
이 후, 제어부(90)는 너트 공급 장치(40)를 제어하여 부품(2)에 너트(1)를 공급한다. 이때, 너트 감지부(50)는 부품(2)에 공급되는 너트(1)를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90)는 너트(1)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너트 공급 버튼(112)의 입력 여부에 따라 너트 공급 장치(40)를 제어하여 너트(1)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너트(1)가 모두 공급되면, 제어부(90)는 용접기(60)를 제어하여 너트(1)를 용접한다.
여기서, 너트 감지부(50)가 상기한 바와 같이 너트(1)를 감지할 수 있으나, 작업자의 육안으로 너트(1)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너트 감지부(50)의 에러나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너트(1)가 누락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90)는 용접기(60)를 통해 용접 작업이 이루어진 너트(1)의 실제 작업수량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너트(1)의 누락을 확인하여 경고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부품 이동 감지부(20)에 의해 부품(2)의 이송이 감지되면, 용접기(60)에 의해 용접된 너트(1)의 실제 작업수량과 해당 부품(2)에 설정된 설정수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부(80)를 제어하여 너트 누락을 경고한다.
게다가, 제어부(90)는 상기한 부품 카운터(30) 및 너트 감지부(50) 등으로부터 입력된 부품(2)과 너트(1)의 개수에 따라 실제 작업부품수량 및 실제 작업수량을 표시하고, 기 설정된 전체 부품수량과 설정수량을 표시하여 현재 작업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방법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누락 방지 장치는 먼저,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차종 선택 버튼(111)에 따라 차종을 선택한다(S10).
제어부(90)는 선택된 차종의 부품(2)과 해당 부품(2)에 사용되는 너트 수량 및 너트(1)에 대한 용접 조건을 자동 설정하고(S20), 부품(2)을 투입한다(S30).
부품(2)이 투입되면, 부품 카운터(30)가 부품(2)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제어부(90)는 부품 카운터(30)에 의해 부품(2)의 개수가 카운트되면, 실제 작업부품수량 표시부(121)에 부품 카운터(30)에 의해 카운트된 수량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90)는 부품(2)이 투입되면, 너트 공급 장치(40)를 제어하여 부품(2)에 기 설정된 설정 수량 만큼 너트(1)를 공급한다(S40).
이 경우, 너트 공급 로봇(42)은 너트 공급 노즐(43)을 통해 너트(1)를 이송시키고 너트 공급 실린더(44)는 너트 공급 노즐(43)을 통해 이송된 너트(1)를 부품(2)에 형성된 작업위치(21)로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너트 감지부(50)가 너트 공급 장치(40)를 통해 너트(1)를 감지하거나,작업자가 육안으로 너트(1)를 확인하여 너트(1)가 부품(2)에 설정수량 만큼 정상적으로 공급되었는 지를 확인한다(S50).
확인 결과, 너트(1)가 부품(2)에 설정수량 만큼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았으면, 제어부(90)는 너트 공급 장치(40)를 제어하여 너트(1)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한다(S60). 이 경우, 작업자가 너트 공급 버튼(112)을 입력하여 부품(2)을 추가적으로 더 공급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한 단계(S50)에서 너트(1)가 부품(2)에 설정수량 만큼 정상적으로 공급되었으면, 작업자는 용접 조건에 따라 용접기(60)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90)는 용접기(60)에 의해 용접 작업이 실제 이루어지는 지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용접된 실제 작업수량을 카운트한다(S70).
이후, 제어부(90)는 부품 이동 감지부(50)를 통해 부품(2)의 이동이 감지되는 지를 확인한다(S80). 이러한 과정은 부품(2)에 공급되는 너트(1)에 대해 용접 작업이 모두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90)는 부품 이동이 감지되면, 실제 작업수량과 설정 수량을 비교한다(S90).
실제 작업수량과 설정 수량을 비교한 결과 실제 작업수량과 설정수량이 일치하면, 제어부(90)는 해당 부품(2)에 대한 작업을 종료한다.
반면에, 실제 작업수량과 설정 수량을 비교한 결과 실제 작업수량과 설정수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90)는 경고부(80)를 통해 너트(1)의 누락을 경고한다(S100).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대에서 이탈된 부품(2)에 너트(1)의 누락이 발생된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90)는 너트 공급 장치(40)를 제어하여 너트(1)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S60)하고, 이후의 과정(S50~S90)을 다시 수행한다.
즉, 제어부(90)는 너트(1)의 실제 작업수량이 해당 부품(2)에 설정된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부품 이동 감지부(20)에 의해 부품(2)의 이동이 감지되면, 너트 누락을 경고한 후, 너트(1)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여 작업자가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90)는 부품(2)에 설정수량 만큼 너트(1)가 용접되기 전에는 다음 공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족한 개수 만큼 너트(1)를 부품(2)에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여 너트(1)의 누락을 방지한다.
더욱이, 너트 감지부(50)의 에러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너트(1)가 설정 수량 만큼 공급된 것으로 오인되더라도, 실제 용접된 너트(1)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실제 작업수량을 체크하므로, 너트 감지부(50)의 에러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너트(1)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각 부품(2) 별로 너트 누락을 방지함으로써, 완성품 불량을 감소시키고, 너트 누락에 따른 작업시간 및 생산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 너트 2: 부품
21: 작업위치 10: 입출력부
11: 버튼부 111: 차종 선택 버튼
112: 너트 공급 버튼 12: 표시부
121: 실제 작업부품수량 표시부 122: 실제 작업수량 표시부
123: 설정수량 표시부 20: 부품 이동 감지부
30: 부품 카운터 40: 너트 공급 장치
41: 너트 보울 42: 너트 공급 로봇
43: 너트 공급 노즐 44: 너트 공급 실린더
50: 너트 감지부 60: 용접기
80: 경고부 82: 경고등
84: 경고음 출력부 90: 제어부

Claims (9)

  1. 너트를 부품에 공급하는 너트 공급 장치;
    상기 부품에 공급된 너트에 대한 너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
    상기 부품의 이동을 감지하는 부품 이동 감지부;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너트 공급 장치로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공급하고, 상기 작업장치에 의해 작업된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부품이 상기 부품 이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여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작업명령을 입력하고, 현재의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출력부는 차종을 선택하여 해당 차종의 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차종 선택 버튼 및 상기 부품에 설정된 상기 설정수량을 표시하는 설정수량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종 선택 버튼에 의해 상기 차종이 선택되면, 상기 차종에 따라 상기 부품의 개수와 상기 부품에 설정된 상기 설정수량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수량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설정수량을 표시하며,
    상기 경고부는 상기 너트의 누락을 음성으로 경고하는 경고음 출력부, 및 상기 너트의 누락 여부에 따라 점멸되는 경고등을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현재까지 작업된 상기 부품의 실제 작업부품 수량을 표시하는 실제 작업부품수량 표시부, 상기 부품에 용접된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을 표시하는 실제 작업수량 표시부 및 상기 부품에 설정된 설정수량을 표시하는 설정수량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너트 공급 장치는 상기 너트를 담는 너트 보울; 상기 너트 보울에 담겨진 상기 너트를 송출하는 너트 공급 로봇; 상기 너트 공급 로봇에 의해 송출된 상기 너트를 이송시키는 너트 공급 노즐; 및 상기 너트 공급 노즐에 의해 이송된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안착시키는 너트 공급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부를 통해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한 후, 상기 너트 공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며,
    상기 설정수량은 상기 부품 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너트를 감지하는 너트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너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너트의 개수가 상기 설정 수량 보다 적으면, 상기 너트 공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너트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며,
    상기 작업장치는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용접하는 용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누락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부품에 너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품에 공급된 상기 너트에 대한 너트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된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이 상기 부품에 설정된 설정수량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부품의 이동이 감지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부품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차종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차종에 따라 상기 부품의 개수와 상기 부품에 설정된 상기 설정 수량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수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단계 후, 상기 부품에 상기 너트를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품에 너트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에 공급되는 상기 너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너트의 개수가 설정 수량 보다 적으면, 상기 너트를 상기 부품에 추가적으로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너트의 누락을 경고하는 단계는, 상기 너트의 누락을 음성으로 경고하고, 상기 너트의 누락 여부에 따라 경고등을 점멸시키며,
    상기 부품에 공급된 상기 너트에 대한 너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까지 작업된 상기 부품의 실제 작업부품 수량을 표시하고, 상기 부품에 용접된 상기 너트의 실제 작업수량을 표시하며, 상기 부품에 설정된 설정수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누락 방지 방법.
  8. 삭제
  9. 삭제
KR20130002918A 2013-01-10 2013-01-10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49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918A KR101491477B1 (ko) 2013-01-10 2013-01-10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918A KR101491477B1 (ko) 2013-01-10 2013-01-10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29A KR20140090829A (ko) 2014-07-18
KR101491477B1 true KR101491477B1 (ko) 2015-02-10

Family

ID=5173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2918A KR101491477B1 (ko) 2013-01-10 2013-01-10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743A (ko) * 2016-11-21 2018-05-31 주식회사 스템테크 프로젝션 용접물의 누락방지 장치
KR20220093932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진 전지제조 공정의 수량 감지 이상을 교정하는 전지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수량 감지 이상을 교정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8219A1 (zh) * 2015-08-18 2017-02-23 常平 螺丝松动报警时的信息提醒方法以及报警装置
WO2017028220A1 (zh) * 2015-08-18 2017-02-23 常平 螺丝松动报警方法以及报警装置
KR101635532B1 (ko) * 2016-03-03 2016-07-04 (주)연암테크 환형소재 가공용 cnc 선반
KR102127476B1 (ko) * 2018-11-30 2020-06-29 조일공업주식회사 고장력강용 너트 용접 시스템
CN111605512A (zh) * 2020-05-27 2020-09-0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设备及其检测方法、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854A (ja) * 1992-03-30 1993-10-26 Sony Corp ビス止め作業管理装置
JP2005034914A (ja) * 2003-07-15 2005-02-10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作業未完了報知装置
JP2011140394A (ja) * 2010-01-08 2011-07-21 Yoshitaka Aoyama 枠状の基部材に支持された軽量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854A (ja) * 1992-03-30 1993-10-26 Sony Corp ビス止め作業管理装置
JP2005034914A (ja) * 2003-07-15 2005-02-10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作業未完了報知装置
JP2011140394A (ja) * 2010-01-08 2011-07-21 Yoshitaka Aoyama 枠状の基部材に支持された軽量部品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743A (ko) * 2016-11-21 2018-05-31 주식회사 스템테크 프로젝션 용접물의 누락방지 장치
KR20220093932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진 전지제조 공정의 수량 감지 이상을 교정하는 전지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수량 감지 이상을 교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29A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477B1 (ko) 너트 누락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483047B1 (ko) 스폿 용접기의 타점 누락 방지 시스템
US10814420B2 (en) Automatic tip changer for burnback in an arc welding robot
KR20150031706A (ko) 용접 품질관리 시스템
US20140284311A1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having function for discriminating state in work tank
US10197989B2 (en) Robot controller of robot used with machine tool, and processing system
KR101496682B1 (ko) 브라켓용 너트 나사산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327542B (zh) 一种焊接引弧及粘丝处理的控制方法和装置
US7030334B1 (en) Method of diagnosing degradation of a welding system
CN110412942A (zh) 一种用于白车身柔性工装切换自动防错系统
KR102127476B1 (ko) 고장력강용 너트 용접 시스템
CN204725039U (zh) 一种自动防错监控装置
JP7349130B2 (ja) 棒材取り扱い機の自動運転準備方法
CN1778512A (zh) 机器人加工钣金件上凸焊的方法
KR20170100387A (ko) 공작물 가공장치
CN104483901A (zh) 防漏焊防漏螺母检测装置和检测方法
JP2002045976A (ja) スポット溶接装置
KR102564215B1 (ko) 갠트리 로더를 제어하는 공작기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18595B1 (ko)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JP2005246270A (ja) 塗布装置
KR100804404B1 (ko) 자동선반의 공작물 절단검출방법
KR20210108613A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절단 확인장치 및 확인방법
JP4503774B2 (ja) 多段式ナット溶接不良検出装置
KR100271080B1 (ko) 아크전류 검출에 의한 수동 용접기의 용접불량 방지장치
CN103722450A (zh) 一种机床工装防错位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