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457B1 - 광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457B1
KR101491457B1 KR20130089243A KR20130089243A KR101491457B1 KR 101491457 B1 KR101491457 B1 KR 101491457B1 KR 20130089243 A KR20130089243 A KR 20130089243A KR 20130089243 A KR20130089243 A KR 20130089243A KR 101491457 B1 KR101491457 B1 KR 10149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return
camera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186A (ko
Inventor
켄타로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본비디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본비디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본비디오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4001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2Adaptations for optical transmis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별한 뷰파인더를 채용하지 않고도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리턴 영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광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카메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어댑터와,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서 광신호를 광전송하는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1전기신호를 제1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제1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하며, 또한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2전기신호를 제2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카메라 어댑터에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제2광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및 리턴 영상신호는, 모두 디지털 영상신호이며,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상기 리턴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1전기신호의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상기 리턴 영상신호를 외부출력하는 영상 선택부와,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상기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분리부를 구비하는, 광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전송 시스템{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어댑터와,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서 광신호를 광전송하는 광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영상신호는, 전송 케이블을 통해 스위처(switcher)에 보내지는데, 이들 기기가 먼 곳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전기신호를 감쇠시키지 않고 전송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비디오카메라측에 배치된 카메라 어댑터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광신호를 광전송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고, 먼 곳의 기기측에 배치된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장거리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장거리 전송은, 통상적으로 쌍방향이며, 베이스 스테이션측으로부터는, 스위처가 채용하고 있는 영상 (이하,「 리턴 영상」이라 칭함)의 신호가 카메라 어댑터에 광전송된다.
하지만, 방송용 비디오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비디오카메라에 장착된 렌즈의 리턴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비디오카메라에 접속된 렌즈에 줌 리모콘을 장착하여, 상기 리모콘의 리턴 버튼을 눌러서 뷰파인더의 영상표시를, 현재 촬영하고 있는 영상 (이하, 「비디오카메라 영상」이라 칭함)과,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 사이에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최근, 비디오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되어, 방송 용도로 설계된 매우 고가인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보다 저렴한 비디오카메라로 방송에 사용 가능한 품질을 갖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카메라는 영상의 품질은 좋아도, 방송 용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리턴 영상을 카메라 본체에 입력할 수 없다. 때문에, 영상품질 면에서는 충분하더라도, 저렴한 비디오카메라를 방송용으로 이용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렴한 비디오카메라를 방송용으로 전용할 수 있게 하는 뷰파인더로서, 특허문헌 1에는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리턴 영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뷰파인더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223541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뷰파인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별한 뷰파인더를 비디오카메라와는 따로 구입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행해진 것이며, 특별한 뷰파인더를 이용하지 않고,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리턴 영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광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카메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어댑터와,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서 광신호를 광전송하는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1전기신호를 제1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제1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하며, 또한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2전기신호를 제2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카메라 어댑터에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제2광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및 리턴 영상신호는 모두 디지털 영상신호이며,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상기 리턴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1전기신호의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상기 리턴 영상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영상 선택부와,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상기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분리부를 구비하는, 광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전송 시스템이 주로 대상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는,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몇초전에 촬영되어 카메라 본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이하, 「직전 녹화 영상」이라 칭함)을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환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비디오카메라이다. 이런 비디오카메라에서는, 리모콘으로부터의 리턴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직전 녹화 영상이 전환된다. 리모콘으로부터의 출력은, 리턴신호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줌 조정을 행하는 신호나, 녹화의 스타트/스톱을 조작하는 신호 등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신호들을 「제어신호」라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콘이 출력한,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비디오카메라에 입력하는 대신에, 상기 제어신호를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에 입력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는, 영상 선택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영상 선택부에는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와 리턴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리모콘으로부터의 리턴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또는 리턴 영상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리모콘을 이용하여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리턴 영상을 전환할 수 있으며, 리턴 영상을 카메라 본체에 입력할 수 없는 저렴한 비디오카메라를 텔레비전 방송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특별한 구성으로 형성된 뷰파인더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디오카메라 영상과 리턴 영상을 전환시킬 수는 있지만, 하나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것은, 리모콘이 출력한 제어신호를 비디오카메라에 입력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의 영상장치에 입력하기 때문에,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도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에 입력되고, 그 결과, 줌 조정이나 녹화의 스타트/스톱을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로부터 출력하고, 이 출력을 비디오카메라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하여,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비디오카메라에 입력되기에, 상기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로부터의 제어 출력으로부터 리턴신호를 제외하는 것은, 리턴신호가 비디오카메라에 입력되면, 리턴 영상을 확인할 때에, 비디오카메라가 비디오카메라 영상 녹화를 중지하고 직전 녹화 영상을 출력해 버리는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어댑터를 가지는 광전송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에는 방송 용도로 사용될 수 없었던 저렴한 비디오카메라를 방송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카메라측으로부터의 제1광신호와, 스위처측으로부터의 제2광신호는, 다른 전송 파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일한 광전송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을 행하여도 양자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펜형 리턴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서의 제어신호 분리부 및 영상 선택부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1. 제1실시 형태
1-1. 광전송 시스템의 구성
이하 도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광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시스템은, 비디오카메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어댑터(1)와,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3) 사이에서 광신호를 광전송하는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어댑터(1)는,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1전기신호를 제1광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 스테이션(3)에 전송하고, 베이스 스테이션(3)은, 제1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에 출력하며, 또한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2전기신호를 제2광신호로 변환하여 카메라 어댑터(1)에 전송하고, 카메라 어댑터(1)는, 제2광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기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및 리턴 영상신호는, 모두 디지털 영상신호이며, 카메라 어댑터(1)는,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며, 또한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상기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분리부(17)와, 상기 제어신호중의 리턴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1전기신호의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상기 리턴 영상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영상 선택부(15)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1-2. 카메라 어댑터(1)
카메라 어댑터(1)에는,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입력 단자(19), 선택 영상신호 출력 단자(21), 제어신호 입력 단자(23), 제어신호 출력 단자(25), 및 광전송 케이블(5)의 접속 단자(27)가 설치되어 있다.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입력 단자(19)에는, 비디오카메라의 영상신호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접속된다. 선택 영상신호 출력 단자(21)에는, 비디오카메라용 뷰파인더 등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접속된다. 제어신호 입력 단자(23)에는,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이 접속된다. 상기 리모콘으로서는, 리턴신호에 부가하여 줌 조정을 행하는 신호나, 녹화의 스타트/스톱을 조작하는 신호도 출력하는 리모콘이어도 좋고, 리턴신호만을 출력하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펜형 스위치 리모콘(80)이어도 좋다. 제어신호 출력 단자(25)에는, 비디오카메라 또는 렌즈에 설치된 리모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접속된다. 광전송 케이블(5)의 접속 단자에는, 카메라 어댑터(1)와 베이스 스테이션(3)을 접속하는 광전송 케이블(5)이 접속된다.
1-3. 베이스 스테이션(3)
베이스 스테이션(3)에는,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출력 단자(29), 리턴 영상신호 입력 단자(31), 광전송 케이블(5)의 접속 단자(33)가 설치되어 있다.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출력 단자(29)에는, 스위처나 중계 기기 등 외부기기의 영상신호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접속된다. 리턴 영상신호 입력 단자(31)에는, 스위처의 리턴 영상신호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접속된다. 광전송 케이블(5)의 접속 단자(33)에는, 카메라 어댑터(1)와 베이스 스테이션(3)을 접속하는 광전송 케이블(5)이 접속된다.
1-4. 광전송 시스템의 동작
먼저, 카메라 어댑터(1)에는,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는, 그대로 제1전기신호로 되고, 카메라 어댑터(1)내의 EO변환부(7)에 의해 제1광신호로 변환되며, 제1광신호는 광전송 케이블(5)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3)에 전송된다.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며, 예를 들면, SDI신호(예:HD-SDI신호, SD-SDI, 3G-SDI신호), HDMI신호, 3D등이다.
베이스 스테이션(3)에서는, OE변환부(9)에 있어서 제1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신호를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로 하여, 스위처나 중계 장치 등 외부기기에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3)에는,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리턴 영상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며, 예를 들면, SDI신호(예: HD-SDI신호, SD-SDI, 3G-SDI신호), HDMI신호, 3D등이다. 상기 리턴 영상신호는, 그대로 제2전기신호로 되며, 제2전기신호는 EO변환부(11)에 있어서 제2광신호로 변환되어 카메라 어댑터(1)에 전송된다. 제2광신호는, 제1광신호와 다른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하여도 좋고, 다중화함으로써 제1광신호와 같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하여도 좋다. 다중화방식으로서는, 파장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간 분할 다중화, 부호 분할 다중화 등 각종 다중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카메라 어댑터(1)는, OE변환부(13)에 있어서 제2광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제어신호 분리부(17)는,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며,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상기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선택부(15)는, 상기 제어신호중의 리턴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1전기신호중의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중의 리턴 영상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제어신호 분리부(17) 및 영상 선택부(15)의 회로 구성예를 도3에 나타낸다. 영상 선택부(15)는, 예를 들면, 리턴신호가 H(high)일 때에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리턴신호가 L(low)일 때에 리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는, 줌 조정을 행하는 신호나, 녹화의 스타트/스톱을 조작하는 신호 등이며, 이러한 신호는 비디오카메라에 입력되어, 줌 조정이나 녹화의 스타트/스톱의 제어에 이용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특별한 구성으로 형성된 뷰파인더를 이용하지 않고, 리턴 영상의 입력 단자를 가지지 않는 저렴한 비디오카메라를 방송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 제2실시 형태
이하, 도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광전송 시스템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전송 시스템에서는, 베이스 스테이션(3)에 탈리신호 입력 단자(33)를 설치하며, 이 단자(33)를 통하여 탈리신호를 입력한다. 탈리신호로 이루어지는 제3전기신호는, EO변환부(11)에 의해 제3광신호로 변환되며, 제3광신호는 광전송 케이블(5)을 통하여 카메라 어댑터(1)에 전송된다. 카메라 어댑터(1)는, OE변환부(13)에 있어서, 제3광신호를 제3전기신호로 변환시키며, 탈리 표시 제어부(35)는 탈리신호로 이루어지는 제3전기신호에 근거하여 탈리 표시부(37)에서의 탈리 표시를 제어한다. 탈리 표시 제어부(35)는, 탈리신호의 전압에 근거하여 탈리 표시부(37)에서의 발광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탈리 표시부(37)의 발광색을 바꾸고 싶을 경우에도, 탈리신호의 신호선을 하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리신호의 전압이 2~4V일 경우에 탈리 표시부(37)를 녹색으로 발광시키며, 탈리신호의 전압이 5V이상일 경우에 탈리 표시부(37)를 적색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녹색의 탈리 표시는, 카메라 어댑터(1)가 장착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의 영상을 스위처가 다음에 사용할 예정이라는 것을 전달하기 위한 표시이며, 적색의 탈리 표시는, 카메라 어댑터(1)가 장착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의 영상을 스위처가 현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한 표시이다.
카메라 어댑터(1)는, 통상적으로 비디오카메라의 뒷 쪽에 장착되기 때문에, 카메라 어댑터(1)에 탈리 표시부(37)를 설치함으로써, 카메라맨은 탈리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제3광신호는, 각각 다른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해도 좋고, 다중화함으로써 동일한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해도 좋다. 다중화방식으로서는, 파장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간 분할 다중화, 부호 분할 다중화 등 각종 다중화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제3전기신호를 합성하여 하나의 전기신호로 한 후에, 광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해도 좋다. 상기 전기신호가 ANC영역을 가지는 SDI신호(예:HD-SDI신호, SD-SDI, 3G-SDI신호)일 경우, 탈리신호는, 상기 SDI신호의 ANC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Claims (1)

  1. 비디오카메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어댑터와,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서 광신호를 광전송하는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상기 비디오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1전기신호를 제1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송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제1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하며, 또한 스위처로부터의 리턴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제2전기신호를 제2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카메라 어댑터에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제2광신호를 수신하여 제2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신호 및 상기 리턴 영상신호는, 모두 디지털 영상신호이며,
    상기 카메라 어댑터는, 리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며,
    또한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상기 리턴신호 이외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분리부와, 상기 제어신호중의 리턴신호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1전기신호의 상기 비디오카메라 영상 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상기 리턴 영상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영상 선택부를 구비하는 광전송 시스템.
KR20130089243A 2012-07-30 2013-07-29 광전송 시스템 KR101491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8756A JP5162719B1 (ja) 2012-07-30 2012-07-30 光伝送システム
JPJP-P-2012-168756 2012-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186A KR20140016186A (ko) 2014-02-07
KR101491457B1 true KR101491457B1 (ko) 2015-02-10

Family

ID=4801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9243A KR101491457B1 (ko) 2012-07-30 2013-07-29 광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0953B2 (ko)
JP (1) JP5162719B1 (ko)
KR (1) KR101491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3215A (zh) * 2014-04-15 2014-09-03 上海电控研究所 军用1394数字视频和红外模拟视频光纤融合传输装置
JP7429478B1 (ja) 2023-08-10 2024-02-08 株式会社日本ビデオシステム 光伝送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114A (ja) * 2007-10-01 2009-04-23 Cosmic Engineering:Kk カメラアダプタ
KR20110086511A (ko) * 2010-01-22 2011-07-28 주식회사 일본비디오시스템 뷰파인더 장치 및 뷰파인더 장치 고정용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76U (ja) * 1992-09-21 1994-04-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装置
JP3405609B2 (ja) * 1994-10-27 2003-05-12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US5652849A (en) * 1995-03-16 1997-07-2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using a visual information stream
US6115159A (en) * 1997-03-27 2000-09-05 Telecast Fiber Systems, Inc. Apparatus for fiber optic triaxial camera interface
US6947069B1 (en) * 1998-03-12 2005-09-20 Elbex Vide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fiber optic lines to an information transmission line carrying two way signals
US7327959B2 (en) * 2001-12-17 2008-02-05 Telecast Fiber Systems, Inc. Camera-mountable fiber optic transceiver system
JP4039926B2 (ja) * 2002-09-30 2008-01-3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EP2144443B1 (en) * 2008-07-11 2017-08-23 Axis AB Video over ethernet
DE102011015587A1 (de) * 2011-03-30 2012-10-04 Neutrik Aktiengesellschaft Schalt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114A (ja) * 2007-10-01 2009-04-23 Cosmic Engineering:Kk カメラアダプタ
KR20110086511A (ko) * 2010-01-22 2011-07-28 주식회사 일본비디오시스템 뷰파인더 장치 및 뷰파인더 장치 고정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186A (ko) 2014-02-07
JP5162719B1 (ja) 2013-03-13
US20140049637A1 (en) 2014-02-20
JP2014027617A (ja) 2014-02-06
US9350953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457B1 (ko) 뷰파인더 장치 및 뷰파인더 장치 고정용 어댑터
US865966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8514273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method
US20110267432A1 (en) Camera and camera system
JP4937427B2 (ja) スイッチャーシステム、ビューファインダー
KR101491457B1 (ko) 광전송 시스템
JP2012084968A (ja) デジタルカメラ
US9030605B2 (en) Studio camera adapter and studio camera adapter system
KR101594793B1 (ko) 광전송 시스템
CN102792707B (zh) 视频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视频输出设备及其控制方法
US7796879B2 (en) Autofocus system
CN107847119B (zh) 医疗信号处理装置、医疗显示装置和医疗观察系统
KR101477220B1 (ko) 디지털 방송 중계 시스템의 입출력 신호 복합 스위칭 장치
US20170108763A1 (en) System camera lens adaptor
US8542307B2 (en) Monitor for video camera
US9826168B2 (en) Video switching device
KR20170008470A (ko)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단말기 용도변환 시스템
KR101653587B1 (ko) 영상촬영용 방송기기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방송중계시스템
US20210021762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1558262B1 (ko)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JPH08322065A (ja) 立体画像装置
JP2007101589A (ja) 双眼鏡
JPH06133928A (ja) 画像伝送装置
WO2012133550A1 (ja) 立体カメラ用のレンズシステム、及びレンズ装置
JP2012002953A (ja) レン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