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62B1 -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62B1
KR101558262B1 KR1020130066423A KR20130066423A KR101558262B1 KR 101558262 B1 KR101558262 B1 KR 101558262B1 KR 1020130066423 A KR1020130066423 A KR 1020130066423A KR 20130066423 A KR20130066423 A KR 20130066423A KR 101558262 B1 KR101558262 B1 KR 101558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image
stereoscopic
vie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461A (ko
Inventor
박광민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26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리모콘을 조작하지 않고도 시청자 음성으로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 영상의 입체 영상을 설정하고 단말장치를 통해 설정된 앵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시스템이 개시된다.
입체 안경에 설치된 입체 안경 유닛은 시청자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마이크와 음성 인식부와 입체 안경 제어부를 포함하며, 입체 안경 유닛과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하여 앵글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안경 유닛이 리모콘에 중계 요청하여 단말장치에 앵글 영상을 설정하거나 휴대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멀티 앵글 입체 영상 중 시청을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SYSTEM FOR VIEWING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OF MULTI-ANGLE STEREOSCOPIC IMAGE BASED ON SPEECH RECOGNI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입체 영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기술의 발전과 고화질 디스플레이 기기에 힘입어 영화관에서 입체 영화를 감상하거나 입체 영상으로 제작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등 3D 입체 영상 산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입체 영상을 보는 방식은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보여지는 영상의 차이로 인해 거리감을 인식하게 된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주는 방법에 따라 적청안경(anaglyph filter) 방식과 편광 방식(polarized filter) 및 시분할(time split) 방식으로 구분된다. 특히 시분할 방식은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주기적으로 출력하고 이 주기에 동기시켜 입체 안경의 셔터글라스(shutter glasses)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종 스포츠 방송 또는 홈 쇼핑 방송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보여주기는 하나 시청자의 선택에 상관없이 방송사에서 임의로 편집한 내용을 전송하는 일방적인 영상이다. 따라서 시청자가 원하는 각도 및 거리에서 특정 사물이나 인물에 대한 영상을 시청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061278호는 다수의 입체 카메라로 촬영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의 촬영 영상들을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전송 스트림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다수의 입체 영상들을 제공받기 원한다는 조작 명령을 시청자가 입력하면 멀티 앵글 영상을 썸네일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고, 그 썸네일 중 하나를 시청자가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073012호는 멀티 앵글 방송의 채널 정보에서 각각의 채널에 대한 촬영 각도 또는 거리를 추출하고 이 촬영 각도 또는 거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리모콘 입력키에 각각의 채널을 매칭시켜두고 리모콘 입력키의 조작에 따라 채널이 전환되는 것을 개시한 바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존 기술들은 멀티 앵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시청 환경의 제공에 주력할뿐 원하는 앵글의 입체 영상을 보려면 시청자가 직접 조작하므로 번거롭다. 특히 입체 영상을 감상하는 동안 시청자가 입체 안경을 착용하고 있어 리모콘 조작을 쉽게 하기 힘들뿐 아니라, 리모콘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안경을 벗고 주위에 놓인 리모콘을 찾아야 하므로 입체 영상을 충실하게 감상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을 보면서 시청자 음성으로 시청하기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콘을 조작하지 않고도 시청자 음성으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은 멀티 앵글 입체 영상 중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 영상을 시청자 음성으로 설정하기 위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입체 안경 유닛; 상기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입체 안경 유닛의 앵글 설정 데이터에 따라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된 정보를 이용하여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전체 화면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으로 구분되는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하는 앵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안경 유닛은 시청자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마이크와 음성 인식부와 입체 안경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 안경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전체 화면은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물 영상은 피사체가 인물 또는 사물로서 근거리 촬영 대상인 영상이고, 상기 복합 영상은 피사체를 포함하되 전체 화면 상에 나타나는 피사체보다 사이즈를 크게 보여주는 영상이며, 상기 배경 영상은 피사체를 특정하지 아니하고 주위를 촬영한 원거리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 설정 정보는 상기 멀티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촬영 각도와 거리가 다른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를 포함하고, 상기 앵글 ID는 시청중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앵글 설정 정보는 상기 멀티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촬영 각도와 거리가 다른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를 포함하고, 상기 앵글 ID는 시청중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화면과 별도로 제공되는 안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은 시청자 음성을 인식하여 멀티 앵글 입체 영상 중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송출하는 입체 안경 유닛; 상기 입체 안경 유닛으로부터 앵글 설정을 위한 중계 요청을 받아 상기 앵글 설정 데이터에 대응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 상기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중계 요청을 받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로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된 정보를 이용하여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전체 화면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으로 구분되는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하는 앵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안경 유닛과 상기 리모콘은 서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를 각각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은 입체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는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튜너; 시청자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시청자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의 분석으로 알아낸 앵글 ID를 이용하여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의 입체 영상을 설정하고,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의 영상 출력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입체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글 ID는 전체 화면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으로 구분되는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하는 앵글 정보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입체 안경을 착용하여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시청자 음성으로 원하는 앵글 영상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기존과 같이 리모콘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입체 영상에 더 몰입하여 충실하게 감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하여 디지털 프로그램 방송에 부가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입체 안경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은 입체 안경 유닛(100), 리모콘(200), 및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로서 입력부(301) 또는 리모콘(200)을 이용한 원격 제어를 통하여 채널 변경, 화면 색상 조절, 볼륨 조절 등 일반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의 전형적인 예는 디지털 텔레비전(D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튜너(306)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튜너(306)는 일반적인 고화질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이외에 방송사에서 입체 영상으로 제작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은 단일 앵글 영상뿐 아니라 다수개의 입체 카메라로 촬영하여 만든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은 영상 출력부(307)와 오디오 출력부(309)를 통해 영상과 오디오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리모콘(200)은 키입력부(201), 리모콘 제어부(202) 및 적외선 송신부(203)를 포함한다.
시청자가 키입력부(201)를 조작하여 각 기능에 대응한 키신호를 출력하면 리모콘 제어부(202)는 키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203)로 전달하고, 적외선 송신부(203)가 적외선 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는 메모리(305)에 저장된 설정 정보로 적외선 수신부(303)를 통해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해석하여 시청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시청자는 입체 안경을 착용하여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제공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입체 안경 유닛(100)은 시청자가 착용하는 입체 안경에 장착된다. 입체 안경 유닛(10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지 아니하고 각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충전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전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전기선을 통하여 외부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런 입체 안경은 외관상 안경 프레임, 안경알, 안경 다리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안경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안경알은 시력 조정이 아닌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킬 수 있는 액정으로 채워진 셔터글라스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의 영상 출력부(307)가 주기적으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출력한다고 하면 시분할 방식의 입체 안경에 적용된 입체 안경 유닛(100)이 입체 영상의 교번 출력에 동기를 맞추어 셔터 글라스(107)(108)를 번갈아 구동한다. 셔터 글라스(107)(108)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주파수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로부터 안경 구동부(106)에 제공되며, 이 정보 전달은 입체 안경 유닛(100)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 사이에 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인 블루투스 규격을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입체 안경 유닛(100)의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부(303)를 통해 입체 영상 출력의 동기 정보를 송출하고, 입체 안경 제어부(104)는 블루투스 통신부(109)로 수신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 제어신호를 안경 구동부(106)에 출력한다. 안경 구동부(106)는 좌안용 셔터글라스(107)와 우안용 셔터 글라스(108)를 번갈아 구동시킨다. 번갈아 구동하는 셔터글라스(107)(108)를 통해 영상 출력되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시청자가 봄으로써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다수개의 입체 카메라로 촬영하고 편집 과정을 거쳐 만든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를 통해 시청하는 경우, 시청자가 다른 앵글 영상을 시청하기를 원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시청자가 리모콘(200)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음성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앵글 설정을 처리할 수 있으면 시청자에게 주어지는 원격 조작에 따른 부담을 덜 수 있으면서 시청 중인 입체 영상에 더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는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01)는 입체 영상 모드 또는 앵글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되어 스위치 조작 위치에 따라 해당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단순히 입체 안경을 통해 감상할 때 선택하는 것임에 반해 앵글 설정 모드는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 시청자가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할 때 선택된다.
앵글 설정 모드에서 시청자 음성으로 앵글 설정을 할 수 있다.
마이크(102)는 입체 안경에 장착되어 시청자 음성을 입력하는 것으로, 안경 프레임 또는 안경 다리에 노출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마이크(102)를 통해 입력된 시청자 음성신호를 음성 인식모듈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입체 안경 제어부(104)에 제공한다. 입체 안경 제어부(104)는 분석된 음성신호의 특징과 신호 패턴에 따라 앵글 ID를 인식하는데, 이 때 메모리(105)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결과에 매칭된 앵글 ID를 인식할 수 있다.
앵글 설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는 디지털 방송 수신튜너(306)로 수신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된 앵글 ID, 촬영 대상, 앵글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중인 입체 영상의 화면상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한 앵글 정보로서 메모리(305)에 저장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입체 영상의 전체 화면(10)은 인물 영상1(11), 인물 영상2(12), 복합 영상(13), 배경 영상(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물 영상 1(11)과 인물 영상 2(12)는 피사체가 인물 또는 사물로서 근거리 촬영 대상인 영상이고, 복합 영상(13)은 피사체(11)(12)를 포함하되 전체 화면(10)상에 나타나는 피사체(11)(12)보다 사이즈를 크게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이고, 배경 영상(14)은 피사체를 특정하지 아니하고 주위를 촬영한 원거리 영상이다.
전체 화면(10)은 이들 영상(11)(12))(13)(14)에 대응하는 앵글 설정 안내 정보(21)(22)(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앵글 설정 안내 정보(21)(22)(23)(24)는 전체 화면(10)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입체 카메라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는 글머리 괄호 안에 앵글 ID가 표시된다.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으로,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 화면(30) 안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안내 화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화면(31)의 제공은 OSD 제어부(308)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부(307)에 의해 수행된다.
안내 화면(31)은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원형 라인(32A)(32B)과 함께 앵글 ID(A1)(A2)(A3)(A4)와 대응 좌표점(33)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원형라인(32B) 안에 위치한 앵글 ID (A1)(A2)는 인물 영상1,2(11)(12)에 대응하고 근거리 원형라인(32B) 밖 원거리 원형라인(32A) 안에 위치한 앵글 ID(A3)(A4)는 복합 영상과 배경 영상에 대응한다.
앵글 설정 모드에서 도 2의 전체 화면(10) 또는 도 3의 전체 화면(30)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가 원하는 앵글 ID를 음성으로 말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앵글 설정 모드에서 시청자 음성을 제외한 노이즈 입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앵글 설정 모드를 설정 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시청하고 있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출력을 일시 중단시킨다.
시청자가 앵글 ID를 음성으로 말하면, 시청자 음성신호가 마이크(102)를 통해 음성 인식부(103)에 입력된다. 음성 인식부(103)가 마이크(102)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입체 안경 제어부(104)에 제공한다. 입체 안경 제어부(104)는 분석된 앵글 ID에 대응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부(109)를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로 송출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는 블루투스 통신부(302)를 통해 수신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인식하여 영상 출력부(307)를 통해 시청자가 설정한 앵글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안경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드 선택부(101)를 이용하여 시청자가 입체 영상 모드와 앵글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150).
입체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152의 예), 입체 영상 모드의 설정을 위한 모드 설정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부(109)를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로 송출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그 영상 출력의 동기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부(302)를 통해 송출한다. 입체 안경 제어부(104)는 블루투스 통신부(109)를 통해 전달받은 동기 정보에 따라 셔터글라스(107)(10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경 구동부(106)에 출력한다(154). 안경 구동부(106)에 의해 구동되는 셔터글라스(107)를 투과하는 좌안 영상과 셔터글라스(108)를 투과하는 우안 영상이 번갈아 제공되어 입체 영상을 재현하며 입체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156).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시청 종료 요구가 있으면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오프하는 경우(158의 예) 셔터글라스(107)(108)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모드 선택부(101)를 이용하여 앵글 설정 모드를 선택하면(160의 예), 입체 안경 유닛(100)의 블루투스 통신부(109)가 앵글 설정을 요청하는 모드 설정 데이터를 송출한다(162).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도 2의 전체 화면(10)이나 도 3의 전체 화면(30)을 영상 출력부(307)로 출력함으로써 앵글 설정을 위한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청자는 전체 화면(10)(30)에 제공되는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보고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앵글 ID를 음성으로 말하고(164의 예), 마이크(102)를 통해 입력된 시청자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부(103)에 제공된다. 그러면 음성 인식부(103)가 시청자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시청을 원하는 앵글 ID를 인식하고(166), 그 앵글 ID에 대응하는 앵글 설정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부(109)를 통해 송출한다(168).
앵글 설정을 위한 시청자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164의 아니오) 일정 시간 대기하다가 시작 단계로 돌아간다(170).
도 6을 참고하여, 리모콘(200) 또는 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되는 시청자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 튜너(306)가 해당 채널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350), 수신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입체 영상을 영상 출력부(307)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오디오 출력부(309)를 통해 오디오 출력한다(352).
디스플레이 제어부(304)는 입체 안경 유닛(100)으로부터 입체 영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달받거나 리모콘(200)으로부터 적외선 신호의 제어명령을 전달받으면 적외선 수신모드로 판단하여(354의 예), 리모콘(200) 조작에 따른 키입력에 대응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정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을 처리한다(356). 시청 종료가 아니면(358의 아니오)이면 시작 단계로 돌아간다.
앵글 설정 모드이면(360의 예)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화면상에 앵글 설정을 요청하는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362) 시청자 음성 이외에 노이즈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의 오디오 출력부(309)를 통한 오디오 출력을 일시 중단한다(364).
입체 안경 유닛(100)으로부터 앵글 설정을 위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366),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가 앵글 설정 데이터에 따라 영상 출력부(307)를 통해 설정된 앵글 영상을 출력함과 함께 오디오 출력부(309)를 통해 설정된 앵글 영상의 오디오를 출력한다(368).
시청자에 의해 앵글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366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304)가 대기 시간을 카운트하고(370), 대기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리모콘(200)을 이용한 원격 제어를 처리할 수 있는 적외선 모드로 변환하는 것으로 인식하고(372의 예) 단계 356로 진행하고 대기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372의 아니오) 화면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계속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로부터 동기 정보를 제공받지 않아도 되는 입체 안경 유닛(100A)을 적용한 경우로서 입체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가 음성으로 앵글 설정을 하면 그 입체 안경 유닛(100A)이 리모콘(200A)으로 앵글 설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이때 입체 안경 유닛(100A)의 블루투스 통신부(109)와 리모콘(200A)의 블루투스 통신부(211)가 통신하여 앵글 설정 데이터를 전달한다. 즉, 리모콘(200A)이 앵글 설정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로 송출하여 시청자에 의해 설정된 앵글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모콘 제어부(212)는 입체 안경 유닛(100A)으로부터 앵글 설정을 요청하는 모드 설정 데이터를 제공받으면 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214)를 통해 송출한다. 그러면 적외선 수신부(303)를 통해 앵글 설정 요청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04)가 도 2의 전체 화면(10) 또는 도 3의 전체 화면(30)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시청자는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보고 앵글 설정하기를 원하는 앵글 ID를 음성으로 말한다. 마이크(102)를 통해 입력된 시청자 음성은 음성 인식부(103)에 의해 분석되고 그 분석 결과가 입체 안경 제어부(104)에 제공된다.
입체 안경 제어부(104)는 음성 인식 결과 따라 설정된 앵글 ID에 대응하는 앵글 설정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부(109)를 통해 리모콘(200A)으로 제공한다.
리모콘 제어부(212)는 블루투스 통신부(211)를 통해 앵글 설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앵글 ID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한다. 이러한 앵글 ID에 대응한 적외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215)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304)는 적외선 수신부(303)로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해석한 결과 앵글 ID에 대응하는 시청하기를 원하는 입체 영상을 영상 출력부(307)로 영상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309)를 통해 오디오 출력시킨다.
도 7에서 입체 안경 유닛(100A)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는 리모콘(200A)을 매개로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리모콘(200)은 입체 안경 유닛(100A)의 앵글 설정 요청을 중계하고 또한 시청자가 음성으로 말하는 앵글 ID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에 적외선 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입체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가 음성으로 앵글 설정하여 원하는 앵글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앵글 설정을 위해 별도로 리모콘(200A)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을 참고하여, 리모콘(200A)을 이용하여 시청자가 음성으로 앵글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리모콘(200A)의 키입력부(213)를 통해 키입력 한 경우(250의 예), 일반적인 원격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리모콘 제어부(212)는 키입력에 따른 키신호를 해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한다(252).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가 리모콘(200A)으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에 따라 채널 변경, 화면 색상 조절, 볼륨 조정 등을 수행한다.
시청자가 입체 안경을 착용하고 모드 선택부(101)를 이용하여 앵글 설정 모드를 설정하면 입체 안경 제어부(104)가 앵글 설정을 요청하는 모드 설정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부(109)를 통해 송출한다.
리모콘 제어부(212)가 블루투스 통신부(211)를 통해 앵글 설정을 위한 중계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고(254의 예), 그 앵글 설정을 요청하는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214)를 통해 송출한다(256).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가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전체 화면(10)(3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부(304)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으면 음성 입력에 방해될 수 있는 오디오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시청자가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보면서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 ID를 음성으로 말한다. 시청자 음성은 마이크(102)를 통해 입력되고 음성 인식부(103)가 시청자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입체 안경 제어부(104)에 제공한다. 그러면 입체 안경 제어부(104)가 블루통신 통신부(109)를 통해 앵글 ID 를 리모콘(200A)으로 송출한다.
리모콘(200A)이 앵글 설정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258의 예), 메모리(215)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앵글 ID 에 대응한 적외선 신호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로 송출한다(26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300A)가 시청자 음성으로 설정한 앵글 영상을 영상 출력부(307)로 출력함과 함께 오디오 출력부(309)를 통해 오디오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의 입체 영상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장치(400)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튜너(405)를 이용하여 방송사에서 제작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400)의 전형적인 예로서 핸드폰이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입력부(401)는 주어진 각각의 기능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시청자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휴대 단말 제어부(402)에 제공한다.
휴대 단말 제어부(402)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으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체 영상 제어부(406)에 출력한다. 입체 영상 제어부(406)는 디지털 방송 수신튜너(405)를 통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및 오디오를 영상 출력부(407)와 오디오 출력부(409)를 통해 각각 출력함으로써 시청자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앵글 설정 모드 명령을 입력부(401)를 통해 입력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 제어부(402)가 입체 영상 제어부(406)에 모드 설정 명령을 전달한다. 앵글 설정을 위한 모드 명령을 전달받은 입체 영상 제어부(406)가 도 2의 전체 화면(10)과 같이 글머리 괄호 안에 앵글 ID를 보여줌으로써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거나 도 3의 전체 화면(30)의 일부인 안내 화면(31)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은 OSD 제어부(408)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부(407)를 통해 이루어진다.
휴대 단말 장치(400)는 시청자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403)와 시청자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입체 영상 제어부(406)에 제공하는 음성 인식부(404)와 앵글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10)를 포함한다.
시청자는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보면서 음성으로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한다. 즉 시청자가 앵글 설정을 원하는 앵글 ID를 음성으로 말하면 시청자 음성이 마이크(402)를 통해 입력되어 음성 인식부(404)에서 분석된다. 그러면 입체 영상 제어부(406)는 음성 신호의 분석 결과에 따라 앵글 ID에 대응하는 앵글 영상의 영상과 오디오를 영상 출력부(407)와 오디오 출력부(409)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휴대 단말장치(400)가 앵글 영상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 단말장치(400)의 입력부(401)를 통해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450). 동작 모드는 휴대 단말장치(400)에 주어진 각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 기능 모드와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모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시청 모드가 아닌 경우(452의 아니오) 휴대 단말 장치(400)의 입력부(401)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454).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모드이면(452의 예), 디지털 방송 수신 튜너(405)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456), 영상 출력부(407)와 오디오 출력부(409)를 통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과 오디오를 각각 출력한다(458).
앵글 설정을 요청 받았으면(460의 예), 화면에 앵글 설정을 안내하는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462), 시청자 음성을 제외한 노이즈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을 일시 중단시킨다(464).
그런 다음 앵글 설정을 위한 시청자 음성이 입력되면(466의 예), 마이크(403)를 통해 입력된 시청자 음성신호를 음성 인식부(404)가 분석하여 입체 영상 제어부(406)에 제공한다. 그러면 입체 영상 제어부(406)가 분석 결과에 따라 앵글 설정을 원하는 앵글 ID를 인식하고(468), 그 앵글 ID의 인식에 따라 입체 영상 제어부(406)가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의 영상 및 오디오를 영상 출력부(407)와 오디오 출력부(409)를 통해 각각 출력시킨다(470).
100 : 입체 안경 유닛 101 : 모드 선택부 102 : 마이크
103 : 음성 인식부 104 : 입체 안경 제어부 105 : 메모리
106 : 안경구동부 107, 108 : 셔터글라스 109 : 블루투스통신부
110 : 충전 전원부 200 : 리모콘 201, 213 : 키입력부
300 : 디스플레이단말장치 400 : 휴대 단말장치 401 : 입력부
402 : 휴대단말 제어부 403 : 마이크 404 : 음성 인식부
407 : 영상 출력부 408 : OSD 제어부 409 : 오디오 출력부

Claims (6)

  1. 멀티 앵글 입체 영상 중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 영상을 시청자 음성으로 설정하기 위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입체 안경 유닛;
    상기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입체 안경 유닛의 앵글 설정 데이터에 따라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된 정보를 이용하여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앵글 설정 안내 정보가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될 때 시청자 음성을 제외한 노이즈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가 오디오 출력을 일시 중단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이 일시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전체 화면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으로 구분되는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하는 앵글 정보이고,
    상기 앵글 설정 안내 정보는 전체 화면 안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안내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근거리 원형라인 및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보다 긴 반경을 가지며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 밖에 형성된 원거리 원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 영역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가 표시되고,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원거리 원형라인 영역 내에는 복수의 피사체 영상인 복합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 및 상기 복합 영상과 주위 영상인 배경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안경 유닛은 시청자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마이크와 음성 인식부와 입체 안경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 안경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를 각각 포함하는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은,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인물 영상은, 피사체가 인물 또는 사물로서 근거리 촬영 대상인 영상이고,
    상기 복합 영상은, 피사체를 포함하되 전체 화면 상에 나타나는 피사체보다 사이즈를 크게 보여주는 영상이며,
    상기 배경 영상은, 피사체를 특정하지 아니하고 주위를 촬영한 원거리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설정 정보는 상기 멀티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촬영 각도와 거리가 다른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를 포함하고,
    상기 앵글 ID는 시청중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5. 시청자 음성을 인식하여 멀티 앵글 입체 영상 중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 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앵글 설정 데이터를 송출하는 입체 안경 유닛;
    상기 입체 안경 유닛으로부터 앵글 설정을 위한 중계 요청을 받아 상기 앵글 설정 데이터에 대응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
    상기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중계 요청을 받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로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된 정보를 이용하여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앵글 설정 안내 정보가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될 때 시청자 음성을 제외한 노이즈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가 오디오 출력을 일시 중단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이 일시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전체 화면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앵글 ID;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으로 구분되는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하는 앵글 정보이고,
    상기 앵글 설정 안내 정보는 전체 화면 안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안내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근거리 원형라인 및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보다 긴 반경을 가지며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 밖에 형성된 원거리 원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 영역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가 표시되고,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원거리 원형라인 영역 내에는 복수의 피사체 영상인 복합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 및 상기 복합 영상과 주위 영상인 배경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6. 입체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는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튜너; 시청자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시청자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의 분석으로 알아낸 앵글 ID를 이용하여 시청하기를 원하는 앵글의 입체 영상을 설정하고, 앵글 설정된 입체 영상의 영상 출력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고, 앵글 설정 안내 정보가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될 때 시청자 음성을 제외한 노이즈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을 일시 중단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이 일시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입체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글 ID는,
    전체 화면과 다른 앵글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앵글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물 영상, 복합 영상, 배경 영상으로 구분되는 촬영 대상 및 촬영 범위와 각도를 포함하는 앵글 정보에 따라 구별되고,
    상기 앵글 설정 안내 정보는 전체 화면 안에 앵글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안내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근거리 원형라인 및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보다 긴 반경을 가지며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 밖에 형성된 원거리 원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 영역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가 표시되고, 상기 근거리 원형라인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원거리 원형라인 영역 내에는 복수의 피사체 영상인 복합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 및 상기 복합 영상과 주위 영상인 배경 영상에 대응하는 앵글 ID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KR1020130066423A 2013-06-11 2013-06-11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KR10155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23A KR101558262B1 (ko) 2013-06-11 2013-06-11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23A KR101558262B1 (ko) 2013-06-11 2013-06-11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61A KR20140144461A (ko) 2014-12-19
KR101558262B1 true KR101558262B1 (ko) 2015-10-12

Family

ID=5267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423A KR101558262B1 (ko) 2013-06-11 2013-06-11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6691B2 (en) 2017-07-11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mmand contex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48B1 (ko) * 2007-09-13 2012-03-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 앵글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48B1 (ko) * 2007-09-13 2012-03-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 앵글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6691B2 (en) 2017-07-11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mmand con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61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3954B2 (en) Image display device, view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177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음성신호 출력 방법
US9137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US20130169765A1 (en)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imaging processing thereof
US9179138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12015774A (ja) 立体視映像処理装置および立体視映像処理方法
JP5390016B2 (ja) 映像処理装置
US20130002821A1 (en) Video processing device
JP5156116B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KR2012003499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381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10277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JP5095851B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2012089906A (ja) 表示制御装置
KR101558262B1 (ko)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JP5156117B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KR10183222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20281073A1 (en) Customization of 3DTV User Interface Position
KR20140144463A (ko)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방법
KR101733488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US20130021454A1 (en) 3d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300886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6242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5568116B2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KR20120009897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