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108B1 -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108B1
KR101489108B1 KR1020137014959A KR20137014959A KR101489108B1 KR 101489108 B1 KR101489108 B1 KR 101489108B1 KR 1020137014959 A KR1020137014959 A KR 1020137014959A KR 20137014959 A KR20137014959 A KR 20137014959A KR 101489108 B1 KR101489108 B1 KR 10148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identifier
entity
service
service request
requesting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135A (ko
Inventor
앤느미에케 킵스
조안느 마리아 반 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네덜란제 오르가니자티에 포오르 토에게파스트-나투우르베텐샤펠리즈크 온데르조에크 테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네덜란제 오르가니자티에 포오르 토에게파스트-나투우르베텐샤펠리즈크 온데르조에크 테엔오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3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5Broad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1측면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다.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1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로부터 수신된다. 시퀀스 식별자가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할당된다. 제1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에 대해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거절되고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가 또한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통신된다. 어떠한 나중의 시간에서, 시퀀스 식별자는 차례차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예컨대, 방송)된다. 이어,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2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로부터 수신되고 바로 서빙 엔티티가 서비스를 위해 요청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service request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억세스를 제공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예컨대, GSM, UMTS, WiMax, LTE)는 지난 몇 년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는 높은 이동성을 갖춘 통신 장치에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통신 장치는 반드시 특정 위치에 있지 않고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된 영역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는 또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IP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의 하나의 특정 예는, 또한 MTC(machine-type communications)로서 불리워지는, 소위 M2M(machine-to-machine) 통신과 관련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M2M은 3GPP에서 현재 표준화되어 있다(예컨대, TS 22.368 참조). MTC 어플리케이션은 전형적으로 각각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수백, 수천 또는 수백만의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고정 또는 비고정일 수 있다. 예들은 또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큰 고객 기반의 집에서 예컨대 "스마트" 전기 계량기의 전자적 판독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은,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데이터 처리 센터와 같은, 다른 장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센서(sensors), 계측기(meters), 자동판매기 또는 커피 머신(vending or coffee machines), 경로 경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차량 계측기(car meters for route pricing applications), 네비게이션 장비(navigation equipment)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또한 데이터 처리 센터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센터는 예컨대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머신, 계측기 또는 센서를 수리 또는 보충하도록 유지보수 요원을 위한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장치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센터는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예컨대 도로 경비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로부터 네트워크까지 잠재적으로 많은 일치 요청(coincident requests)의 경우, 네트워크 리소스의 이용을 제어하는 몇몇 형태가 요구된다. 예로서, 많은 모바일 장치가 오늘날 네트워크로부터 이메일 메시지를 검색(retrieve)할 수 있다. 많은 장치가 하루에도 여러 차례, 같은 시점에서 정확하게 이메일 메시지를 검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사실상 대부분 그들 요청이 즉시 처리되도록 이들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은 없다. 이는 시간의 동일 시점에서 서비스 요청을 발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이다.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즉시 처리가 가능하지 않을 때 데이터는 보통 잠정적으로 버퍼링된다. 그러나, 혼잡(congestion)에 기인하면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소정 시간 프레임 내에 서비스 요청을 처리(허락 또는 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보류 중인 이들 요청을 유지하는 것은 옵션이 아니다. 대부분 이들 형태의 절차(procedures)는 타임-아웃 메카니즘(time-out mechanisms)을 이용 중에 있어, 수신되는 응답이 없으면 요청 절차는 중지되게 되고 아마도 대부분 새로운 요청이 발생되게 된다. 이는 다시 이미 과부하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요청을 처리 중에 관여된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해 추가 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M2M 어플리케이션의 예에 있어서, EP 2 096 884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네트워크 리소스의 이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정 통신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의 그룹이 네트워크를 억세스하도록 허용되는 동안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시간 간격을 특정화하는 것을 개시한다. 특정 시간 간격 범위 밖의 네트워크에 대한 억세스 요청이 부정된다.
반면, 이러한 접근은 네트워크에 대해 어느 억세스가 허락될 수 있는 동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고객 장치의 특정 그룹에 대해 예컨대 억세스 허락 시간 간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억세스 요청의 송신은 여전히 고객 또는 장치의 재량에 있고 네트워크로부터 제어될 수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한 네트워크 리소스(network resources)의 개선된 제어를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1측면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다.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1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로부터 수신된다. 시퀀스 식별자가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또는 요청 엔티티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할당된다. 제1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에 대해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거절되고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가 또한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통신된다. 어떠한 나중의 시간에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는 차례차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예컨대, 방송)된다. 이어, 제2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로부터 수신되고 바로 서빙 엔티티가 서비스를 위해 요청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된 서빙 엔티티와 관련된다. 서빙 엔티티는,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빙 엔티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시퀀스 식별자는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또는 요청 엔티티의 요청에 대해 서빙 엔티티에 의해 할당된다. 서빙 엔티티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엔티티는 또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엔티티는, 어떠한 나중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엔티티는 바로 요청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제2 서비스 요청을 허용하기 위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엔티티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1 서비스 요청이 요청 엔티티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제1 서비스 요청이 거절된다. 요청 엔티티 또는 요청 엔티티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가 또한 또한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통신되고 저장된다.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의 전송을 트리거링하는, 요청 엔티티에 의해 수신된다. 바로 원격통신 네트워크가 서비스 요청을 허용하고 요청된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엔티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구성된, 요청 엔티티, 예컨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요청 엔티티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1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다. 요청 엔티티는 제1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더욱이, 요청 엔티티 또는 요청 엔티티의 요청에 대해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가 수신되고 요청 엔티티에 저장된다.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 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요청 엔티티는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고 바로 허용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설명된 측면은 하나 이상의 특정 엔티티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대응하는 요청 엔티티 또는 요청 엔티티의 요청에 대해 미리 할당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예컨대, 방송)하는 것에 의해 허용될 수 있을 때를 원격통신 네트워크가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요청 엔티티의 시퀀스는 요청 엔티티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의 전송을 거쳐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개선된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허용되어질 수 있다. 제1 서비스 요청이 거절되고 제2 서비스 요청이 아직 허용되지 않은 요청 엔티티는 그들 차례를 기다리는 그들 자신을 찾는다. 이들 요청 엔티티는 가상 큐(virtual queue)에서 대기 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시퀀스 식별자(sequence identifier)는 요청 엔티티가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허용되어질 수 있는 시퀀스를 결정하도록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식별자 (특히, 서빙 엔티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동일한 시퀀스 식별자가 다중 요청 엔티티에 대해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요청 엔티티의 다중 요청에 대해 할당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indication)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통신되고 요청 엔티티에 의해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로서 동일하거나 다른 표현(예컨대, 코딩, 표현 등)을 이용해서 하나 이상의 시퀀스 식별자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다. 따라서, 시퀀스 식별자의 특정 표시는, 명시적으로 시퀀스 식별자의 특정 범위에 대해, 암묵적으로 시퀀스 식별자의 특정 범위에 대해, 그리고 모든 시퀀스 식별자에 대해서도, 오직 단일 시퀀스 식별자에 대해서만 대응할 수 있다.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면, 요청 엔티티(예컨대 터미널)가, 비록 요청 엔티티에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가 시퀀스 식별자의 수신된 표시의 범위에 있지만, 허용될 가능성이 있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할 때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시퀀스 식별자는 순서와 관련하여 할당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고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가 또한 제2 서비스 요청을 허용하도록 하는(트리거하도록 하는) 해당 순서로 또한 전송됨을 주지해야만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선착순 접근이 확립된다. 그러나, 예컨대 특정 서비스 요청(예컨대, 응급 요청)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하도록 및/또는 제2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요청 엔티티의 소정 배치(certain batch)를 허용하도록 및/또는 의사-랜덤 구성요소(pseudo-random component)와 함께 시퀀스 식별자를 할당하도록(예컨대, 많은 서비스 요청이 거의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요청 엔티티를 거치는 대기 시간의 더 많은 공평한 분배를 실현하기 위해), 시퀀스 식별자가 또한 할당되어질 수 있고 및/또는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가 또한 다른 기반 상에서 전송되어질 수 있다. 특정 순서로 시퀀스 번호를 할당하는 것은 때때로 및/또는 규칙적으로 순서화된 시퀀스에서 스킵(skip) 또는 더 많은 시퀀스 번호를 방해하지 않음을 또한 주지해야만 한다. 가상 큐의 마지막에서 보다는 가상 큐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요청 엔티티에 제공하기 위해, 비할당된 특정 시퀀스에서 나머지 몇몇 시퀀스 번호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아직 비할당된 번호로서 나중에 할당되도록 허용한다.
요청 엔티티에 의해 전송된 제2 서비스 요청이 제1 서비스 요청에 의해 요청된 것과 동일한 특정 서비스를 위한 요청임이 일반적으로 되도록 기대된다. 그러나, 이는 요청 엔티티의 제2 서비스 요청이 다른 서비스를 위한 것임이 방해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일 서비스 이상을 위한 (예컨대, 모든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제어하도록 요구되는 경우, 거절 메시지는 또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가 단지 제1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함께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서 보다는 더 많은 서비스와 관련됨을 나타낸다.
요청 엔티티가 네트워크 엘리먼트(예컨대, MSC, SGSN, MME 등)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터미널(예컨대, MS, UE 또는 M2M 터미널)일 수 있지만,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예컨대, UMTS 코어(core) 네트워크에서 GGSN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SGSN)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또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1실시예에 있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혼잡이, 예컨대 다수의 수신된 (제1) 요청에서 피크로부터 초래되는, 네트워크에서 검출될 때 단지 상기 방법을 채택한다. 제1 요청은 빠르게 거절될 수 있고, 시퀀스 식별자는 상기 설명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MSC, SGSN, MME, HLR, GGSN 등에서 서비스 요청의 과부하에 기인하는 혼잡을 포함하는, 혼잡의 다양한 방법이 예상된다. 혼잡의 하나의 특정 형태는 예컨대 APN(Access Point Name) 혼잡(congestion)일 수 있다.
1실시예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는 거절 메시지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는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통신하는 효율적이고 빠른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는 방송 채널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 경우, 동일한 방송 채널을 청취하는 다중 요청 엔티티에는 동일한 시퀀스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요청 엔티티는 서빙 엔티티가 허용된(초청된) 요청 엔티티의 시퀀스 식별자(들)의 표시를 방송하는 것에 의해 그들 (제2) 서비스 요청을 허용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방송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을 거쳐 하나 이상의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방송하는 셀 방송 센터(cell broadcast centre)를 이용해서, 또는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방송 제어 채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송 (제어) 채널을 청취하는 것에 의해, 요청 엔티티는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요청 엔티티에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가 시퀀스 식별자의 수신된 표시에 대응하거나 그렇지않으면 수신된 표시의 범위에 있으면,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트리거된다. 저장을 위해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과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트리거하기 위해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 사이의 구별에 대한 요청 엔티티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시퀀스 식별자가 수신되는 어느 채널(예컨대, 시그널링 채널 또는 방송 (제어) 채널 및/또는 어느 방송 (제어) 채널)을 거쳐 검출하는 것에 의한다.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요청 엔티티는 요청 엔티티에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가 시퀀스 식별자의 수신된 표시에 대응하거나 그렇지않으면 시퀀스 식별자의 수신된 표시의 범위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증(verify)하도록 서빙 엔티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를 제2 서비스 요청에 포함할 수 있다. 오직 대응이 결정될 때에만, 제2 서비스 요청이 허용된다.
1실시예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 및 서빙 엔티티는 시퀀스 식별자가 할당된 요청 엔티티에 대해 서빙 엔티티에 의해 수신된 시퀀스 식별자를 링크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시퀀스 식별자의 불법 사용이 검출되어 대부분 회피될 수 있게 된다. 시퀀스 식별자는 예컨대 요청 엔티티의 식별자에 링크될 수 있다. 다른 접근은 어느 값이 시퀀스 번호에 링크되거나 서빙 엔티티 및 요청 엔티티에서 적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동안 시퀀스 식별자 및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암호화하는 것에 의해 요청 엔티티에 대해 토큰(token)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시퀀스가 다른 서비스를 위해 적용될 때 유사한 접근이 적용될 수 있다.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가 서비스-특정(service-specific)일 때, 다른 서비스를 위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한 요청 엔티티에 의해 이용되는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퀀스 식별자가 제1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특정 서비스에 링크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엔티티가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허용(초청)되었어도, 다양한 이유가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지 않는 서빙 엔티티에 대해 존재할 수 있다. 서빙 엔티티가 무한정 기다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1실시예에 있어서 타이머가 시간 간격을 정의하도록 시작될 수 있고 여기서 요청 엔티티로부터의 제2 서비스 요청이 처리되게 된다. 타이머의 만료 후, 또 다른 요청 엔티티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요청 엔티티의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를 방송하는 것에 의해 허용(초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 이어 요청 엔티티의 큐가 하나 더 정의된다. 시퀀스 식별자는 바로 특정 큐 내에서만(다른 큐에서는 아닌) 의미를 갖을 수 있다. 다중 큐는 다른 서비스 요청(예컨대, 비상, 우선권, 장치의 그룹) 간의 구분에 대한 이점 또는 다중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혼잡으로 될 수 있을 때(예컨대, 첨부된 절차의 경우에서 HLR 및/또는 PDP 콘텍스트 셋업 절차(PDP Context setup procedures)의 경우에서 SGSN, GGSN and/or the HLR)를 증명할 수 있다.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반드시 단지 하나의 단일 요청 엔티티만을 허용할 필요는 없다. 이는 특정 시퀀스 번호가 다중 요청 엔티티에 대해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요청 엔티티의 다중 요청에 대해 할당됨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예컨대, 시퀀스 식별자의 리스트 및/또는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정의된 범위 또는 심지어 전체의 표시)는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방송될 수 있고 모든 요청 엔티티는 할당되어 수신되고 대응하는 시퀀스 식별자는 처리된 그들의 제2 서비스 요청을 갖게 된다.
문제로 되는 엔티티가 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빙 엔티티가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이유는 요청 엔티티가 이동되고 바로 다른 서빙 엔티티에 의해 기능되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하나의 예는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하는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다른, 다음의 SGSN으로부터 기능된 셀에 넘겨지게 된다. 해당 경우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는 이전의 서빙 엔티티로부터 다른, 다음의 서빙 엔티티까지의 요청 엔티티와 관련되는 변경을 검출할 수 있고, 이전의 서빙 엔티티로부터 저장된 시퀀스 번호를 무시한다. 다음의 SGSN이 또한 혼잡에 있을 수 있으므로, 이어 요청 엔티티는 다른, 새로운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고, 새로운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가 수신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서빙 엔티티의 변경의 결과는 제2 서비스 요청이 전송될 수 있을 때까지 요청 엔티티가 더 긴 시간 동안 기다려야만 하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그렇지않으면 다음의 서빙 엔티티에 대한 제1 서비스 요청이 허용될 수 있으므로, 물론, 다음의 서빙 엔티티가 또한 혼잡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새로운 큐에 되돌려 놓아지는 요청 엔티티를 회피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시간의 더 빠른 지점에서 다음의 서빙 엔티티에 대해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요청 엔티티를 허용하기 위해 이전의 서빙 엔티티가 다음의 서빙 엔티티에 대해 (예컨대 시간 스탬프를 포함하는) 시퀀스 정보를 통신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요청 엔티티는 예컨대 아직 미사용된 (예컨대, 고의로 자유롭게 나두는) 시퀀스 식별자로서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중 요청 엔티티가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할당하는 어느 경우, 요청 엔티티는 다른 요청 엔티티에 대해 이미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와 동일한 시퀀스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고, 따라서 가상 큐에서 장소를 공유한다.
이하, 발명의 실시예들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위한 보호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음을 인식하여야만 한다.
도 1은 서빙 엔티티(serving entity)와 다수의 요청 엔티티(requesting entities)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기본 단계를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3은 M2M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통신 장치를 연결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의 개요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위한 단계를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도 3의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의 다른 예를 위한 단계를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1은 다수의 요청 엔티티(RE; requesting entities)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RE의 예는,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s; MS), 사용장 장비(user equipment; UE) 또는 MTC 통신(machine-to-machine type communications)을 위한 머신형 터미널(machine-type terminals)과 같은, 터미널을 포함한다. RE는 대안적으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BS), (e)NodeB, 원격 네트워크 콘트롤러(remote network controller; RNC),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등과 같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서빙 엔티티(serving entities; SE)를 포함할 수 있다. SE는 전형적으로 요청 엔티티(requesting entities; RE)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 엘리먼트이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이들 네트워크가 서빙 엔티티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할 때 요청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때 서빙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하나의 예는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 서비스 첨부 요청(service attach request)을 수신하고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에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SGSN이다.
요청 엔티티(RE)가 터미널이고, 한편 서빙 엔티티가 네트워크 엘리먼트임이 본 설명의 나머지에서 가정될 것이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요청 엔티티(RE1, RE2, RE3, RE4)(각 요청 엔티티는 그 자체로 다수의 요청 엔티티를 나타냄) 및 각각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네트워크의 다른 적용범위 영역(coverage areas)에 있는 2개의 서비스 엔티티(E1, SE2)를 포함한다. 요청 엔티티(RE)와 서빙 엔티티 간의 연결은 (부분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다.
도 2는 요청 엔티티(RE)와 서빙 엔티티(SE) 간의 데이터 교환의 간단한 시간 도표를 나타낸다. 수직 축이 시간 축이다.
시간 T0의 특정 순간에서, 모든 요청 엔티티(RE 1-4)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빙 엔티티(SE1)에 제1 서비스 요청(first service request; FSR)을 전송한다.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의 하나의 예는, 네트워크에서 "등록(registration)"을 위한 요청으로서 또한 칭해지는, 첨부 요청(attach request)을 포함한다.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의 다른 예는 터미널과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 또는 기업 네트워크에 연결된 또 다른 네트워크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PDP 콘텍스트 셋-업 요청(PDP Context set-up request)으로 불리워진다.
제1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서빙 엔티티(SE1)는 서비스 요청의 과부하(overload)를 검출하고 요청 혼잡 모드(request congestion mode)를 가정할 수 있다. 이 모드에 있어서, 서빙 엔티티(SE1)는, 예컨대 단지 (제1) 서비스 요청의 제한된 수만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단지 RE1의 요청만이 허용된다. 서빙 엔티티(SE1)는 제1 서비스 요청이 즉시 허용되지 않을 수 있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sequence identifiers; SI)를 할당한다. RE2, RE3 및 RE4의 제1 서비스 요청이 거절되고 시퀀스 식별자(SI2, SI3, SI4)가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 RM)에서 전송된다. 요청 엔티티(RE)는 즉시 서비스 요청을 반복하지는 않도록, 그러나 시퀀스 식별자(SI)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거절 메시지 내에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방송 채널 상에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어,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고 방송 채널을 청취하는, 터미널은 따라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대안으로 동일한 시퀀스 식별자가 다중 요청 엔티티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물론, 또한 예컨대 SI3 및 SI4를 위해 동일한 시퀀스 식별자 값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거절 메시지에 시퀀스 식별자를 포함시킬 때 얻어질 수 있다.
거절 메시지(RM)를 송신 한 후 어느 시간 T1에서, 서비스 엔티티(SE1)는 또 다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서빙 엔티티(SEl)는 바로, 예컨대 방송 채널을 매개로 요청 엔티티(RE)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SI2)의 표시(indication)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또 다른 요청 엔티티(RE2)를 허용할 수 있다. 요청 엔티티(RE2)는 미리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SE2)가 매치되거나 시퀀스 식별자(SE2)의 수신된 표시의 범위에 있음을 찾게 된다. 결과적으로, 요청 엔티티(RE2)는, 예컨대 제1 서비스 요청(first service request; FSR)과 함께 원래 요청된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2 서비스 요청(second service request; SSR)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응답하게 된다. 제2 서비스 요청(SSR)은 또한 서빙 엔티티(SEl)가 요청이 T1에서 SI2의 이전 전송에 응답하고 있음을 (그리고 다른 요청 엔티티(RE)로부터 또는 요청 엔티티(RE2)로부터 새로운 요청은 아니지만 바로 다른 서비스를 위한 것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SI2)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엔티티(RE3 및 RE4)는, 예컨대 방송 채널을 매개로, 시퀀스 식별자(SI2)의 동일한 표시를 수신함에도 불구하고, 각각 저장된 시퀀스 식별자(SI3, SI4)와의 매치를 찾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시간 T2의 어떠한 나중의 지점에서, 서빙 엔티티(SEl)는 더 많은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음을 다시 찾을 수 있다. 바로 SEl은, 도 2에 [SI3, SI4]로서 도시된, 요청 엔티티에 대해 다수의 시퀀스 식별자(SI)의 표시를 전송한다. 요청 엔티티(RE3)는 다시, 이전의 문단에서 설명된 RE2에 대해, 제2 서비스 요청(SSR)(SI3)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시간 T2에서, 서빙 엔티티(SEl)는 또한 시간 간격(time interval)을 정의하는 타이머를 설정하고, 여기서 초청된 요청 엔티티(RE3, RE4)의 제2 서비스 요청(SSR)은 이들 서비스 요청에 대해 무한정 기다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수신되어져야만 한다. 도 2의 상황에 있어서, SEl의 타이머는, RE4가 더 이상 SE1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지 않다는 사실로부터 초래되는, 요청 엔티티(RE4)에 대해 만료된다. 따라서, RE4는, 점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2에서 시퀀스 식별자 [SI3, SI4]의 표시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또한 RE4가 시간 T2에서 시퀀스 식별자 [SI3, SI4]의 표시를 수신했지만, 너무 오래 기다렸다면, 시간 간격 밖의 제2 서비스 요청이 SE1에 의해 거절되고 (SE1의 서비스 요청 혼잡 상황이 지속되는 것으로 가정함) 새로운 시퀀스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이는 바로 서빙 엔티티(SE2)의 적용범위 영역에 있고 따라서 다시 SE2를 향해 제1 서비스 요청(FSR)을 전송함을 RE4가 검출할 수 있다. SE2가 또한 서비스 요청 혼잡 모드(service request congestion mode)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SE2는 시퀀스 식별자(SI4')를 할당하고, 새로운 시퀀스 식별자(SI4')를 RE4에 대해 통신하는 동안 제1 서비스 요청(FSR)을 거절한다. 다시, 이는 거절 메시지에 그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또는 SE2와 관련된 방송 채널을 매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 어떠한 나중 시간에서, 제2 서빙 엔티티(SE2)는, 시퀀스 식별자(SI4')의 표시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SE2와 관련된 방송 채널을 매개로 수행된다. RE4는 바로 SE2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SE2를 향해 제2 서비스 요청(SSR)(SI4')을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에 부가하여, RE4의 서빙 엔티티가 SE1에서 SE2로 변경될 때, 시퀀스 정보(예컨대,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와 관련된 타임스탬프(timestamps))는, 화살표 SI EXCH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SE1과 SE2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 정보 교환은 또한 예컨대 SE2의 가상 큐(virtual queue)의 마지막에서 보다는 더욱 호의적인 큐 위치(queue position)에 대응하는 시퀀스 식별자(SE4')를 RE4에 대해 할당하는 SE2에서 초래될 수 있다. RE4가 이미 어떠한 시간에 대해 대기 큐(waiting queue)에 있었음을 제2 서빙 엔티티(SE2)가 알려주었기 때문에, 이러한 시퀀스 정보 교환은 또한 예컨대 SE2를 향하는 RE4의 제1 서비스 요청(FSR)이 SE2에 의해 즉시 허용되었음을 초래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요청 엔티티(RE)는 오직 단일 큐(single queue)에 모두 위치되었음이 가정되었음을 인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다중 큐가 형성되고, 각 큐는 예컨대 큐 식별자(queue identifier; QI)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큐가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시퀀스 식별자, 그리고 마찬가지로 시퀀스 식별자의 표시는 오직 특정 큐, 예컨대 SIQ 내에서 의미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큐를 갖는 필요성 또는 이점은 구별(distinction)이 여러 RE, 예컨대 비상 장치, 예컨대 더 지불하고자 하는 특정 억세스 조건에 기인하는 우선권을 갖춘 장치, 또는 장치의 소정 그룹, 예컨대 기계-기계 장치의 그룹에 속하는 장치로부터 도래되는 요청들 사이에서 만들어질 때일 수 있다. 이러한 구별은 예컨대 장치에 대해 할당된 억세스 클래스(Access Class)를 기초로, 및/또는 터미널 식별자(terminal identifier) 또는 가입 식별자(subscription identifier)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큐를 갖기 위한 다른 이유는 구별이 다른 네트워크 위치, 예컨대 HLR 혼잡(HLR congestion), SGSN에서 혼잡, APN(Access Point Name) 혼잡 등에서 혼잡 등의 사이에서 만들어질 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다른 절차로부터 유래되는 요청은 다르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분리 큐(separate queues)가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첨부 요청(attach requests) 및/또는 PDP 콘텍스트 요청(PDP context requests)은 HLR이 혼잡에 있는 경우에 연기되어지는 것이 필요하고, 특정 APN에 대한 PDP 콘텍스트 셋업 요청(PDP Context setup requests)은 APN이 혼잡에 있는 경우에 연기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특정 SGSN에 대한 모든 요청은 특정 SGSN이 혼잡에 있을 때 연기 되어지는 것 등이 필요로 될 수 있다.
도 3은 원격통신 네트워크(1)의 개요도를 나타낸다. 원격통신 네트워크(1)는 데이터 네트워크(4)를 거쳐 어플리케이션 서버(2)와 통신 장치(3) 사이에서 데이터 세션(data sessions)을 가능하고, 여기서 원격통신 네트워크(1)에 대한 통신 장치(3)의 억세스는 무선이다.
도 3의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3세대가 간단화의 목적을 위해 도식적으로 함께 도시된다. 구조 및 개관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 포함되는 3GPP TS 23.002에서 찾을 수 있다.
도 3의 하부 브랜치는 GGSN, SGSN 및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GERAN 또는 UTRAN)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GPRS 또는 UMTS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GSM/EDGE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GERAN)에 대해, 억세스 네트워크는, 양쪽 모두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BTSs(Base Station Transceivers)에 연결된 BSC(Base Station Controller)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UMTS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UTRAN)에 대해, 억세스 네트워크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NodeBs에 연결된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GGSN 및 SGSN은 통상적으로 요청 엔티티(RE)의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연결된다. 도면에 있어서, HLR은 네트워크에서 RE를 인증하기 위한 AuC(authentication centre)와 결합된다. CBC(cell broadcast centre)는 UTRAN의 하나 이상의 셀에서 방송 메시지를 위해 유용하다.
도 3의 상부 브랜치는, 통상적으로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PS(Evolved Packet System)로서 지칭되는, 차세대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PDN 게이트웨이(Gateway)(P-GW)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S-GW)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EPS의 E-UTRAN은 패킷 네트워크(packet network)를 매개로 S-GW에 연결된 통신 장치(3)를 위한 무선 억세스를 제공하는 인볼브드(evolved) NodeBs(eNodeBs 또는 eNBs)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S-GW는 시그널링(signalling) 목적을 위해 HSS(Home Subscriber Server)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연결된다. HSS는 가입 프로파일 저장소(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및 AuC(authentication centre)를 포함한다.
EPS 네트워크의 일반적 구조의 또 다른 정보가 3GPP TS 23.401에서 찾아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3의 시스템에서 방법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시간 도표를 도시한다. 예에 있어서, SGSN 또는 MME가 서빙 엔티티이고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이 요청 엔티티임을 가정한다.
도 4의 단계 1에서 MS는 서비스 요청을 발생시킨다. 서비스는 네트워크에 대한 첨부 요청(attach request)(예컨대, IMSI 첨부 및/또는 GPRS 첨부) 또는 호출 셋 업 요청(call set up request)(예컨대, PDP 콘텍스트 셋 업 (PDP Context set up) 또는 음성 호출 셋 업(voice call set up))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위치 갱신 요청(location update request) 등의 서비스 요청의 다른 형태가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때, 도 2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설명된 요청 큐잉 메카니즘(request queuing mechanism)을 이용하기를 원한다면, SGSN/MME가, 예컨대 유용한 처리력(available processing power)을 기초로, 결정되어야만 한다. 그렇지않다면, SGSN/MME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한다. 그렇지않으면, SGSN/MME는 시퀀스 식별자(SI), 예컨대 SN(Sequence Number)를 발생시키고, AN(Access Network) 상으로 CBS(Cell Broadcast Service)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CBCH(Cell Broadcast Channel)을 결정한다.
단계 3에서, SGSN/MME는 MS에 대해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MS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거절한다. 이 메시지는 할당된 SN과 MS가 CBS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CBCH를 포함한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할 때, CBS 메시지가 그 할당된 SN을 포함하면, MS는 수신된 CBCH에 대해 모니터링을 시작한다(단계 4). 어떠한 나중 시간에 대해, SGSN/MME는 AN 상으로 송신되어지는 CBS 메시지에 대하여 CBC(Cell Broadcast Center)를 명령한다. CBC로 송신되어질 수 있는 정보는, SN, CBS 메시지를 방송하는데 이용되어지는 CBCH, CBS 메시지가 방송되어져야만 하는 셀의 세트, 및 CBS 메시지의 시작 시간 및 중단 시간과 같은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단계 5).
단계 6에서, SGSN/MME는 SGSN/MME가 수행되는 것에 의해 결정된 설정에 따라 CBS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CBC를 요청한다. CBC는 SN을 포함하는 CBS 메시지를 구성하고 SGSN/MME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CBS 메시지의 송신을 시작한다(단계 7 및 8). CBS 메시지는 CBCH를 활성화시키는 모든 MS에 대해 AN을 매개로 방송된다.
단계 9에서, MS는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에서 할당된 CBS 메시지의 SN을 검출하고 단계 10에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재시작한다. MS에 의해 송신된 제2 서비스 요청은 IMSI, 요청 형태 및 할당된 SN을 포함한다.
단계 11에서, 제2 서비스 요청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SGSN/MME는 다른 MS에 의한 SN의 잘못된 이용을 회피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에 대해 점검을 수행한다(IMSI-SN 조합). 또한 점검은 동일한 MS가 다른 요청 형태를 위한 SN을 이용하고 있는 중임을 회피하는데 필요로 될 수 있다(요청 형태-SN 조합).
단계 12에 있어서, 모든 점검이 포지티브(positive)일 때, SGSN/MME는 요청을 실행하고 MS에 대해 억셉트 요청 메시지(Accept Request message)를 송신한다. SGSN/MME는 CBS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CBC를 명령한다(단계 13).
도 5의 시간 도표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통신하는 방식에서 도 4의 도표와 다르다.
단계 1에서, MS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다시 네트워크에 대한 첨부 요청(attach request)(예컨대, IMSI 첨부 및/또는 GPRS 첨부) 또는 호출 셋 업 요청(call set up request)(예컨대, PDP 콘텍스트 셋 업 (PDP Context set up) 또는 음성 호출 셋 업(voice call set up))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위치 갱신 요청(location update request) 등의 요청의 다른 형태가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때, 요청 큐잉 메카니즘(request queuing mechanism)을 이용하기를 원한다면, SGSN/MME가, 예컨대 유용한 처리력(available processing power)을 기초로, 결정되어야만 한다. 그렇지않다면, SGSN/MME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요청(Request)을 처리한다. 그렇지않으면, SGSN/MME는 시퀀스 식별자, 예컨대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 등을 이용해서, AN(Access Network)에 의해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상으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로서 송신되게 되는, 예컨대 SN(Sequence Number)을 발생시킨다.
단계 3에서, SGSN/MME는 MS에 대해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MS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거절한다. 이 메시지는 할당된 SN을 포함한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할 때, 할당된 SN이 BCCH 상의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면 MS는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시간의 어떠한 나중 지점에서, SGSN/MME는 AN의 BCCH 상의 시스템 정보로서 송신되어지도록 SN에 관한 AN을 명령해야만 한다(단계 4 및 5). AN은 AN의 BCCH 상의 시스템 정보의 부분으로서 SN을 송신하는 것을 시작한다(단계 6).
MS는 BCCH 상의 시스템 정보에서 할당된 SN을 검출하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재시작한다(단계 7 및 8). 제2 서비스 요청은 IMSI, 요청 형태 및 할당된 SN을 포함한다.
단계 9에서, 제2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SGSN/MME는 다른 MS에 의한 SN의 잘못된 이용을 회피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에 대한 점검을 수행한다(IMSI-SN 조합). 또한 점검은 동일한 MS가 다른 요청 형태를 위한 SN을 이용하고 있는 중임을 회피하는데 필요로 될 수 있다(요청 형태-SN 조합).
단계 10에 있어서, 모든 점검이 포지티브일 때, SGSN/MME는 제2 서비스 요청을 실행하고 MS에 대해 억셉트 요청 메시지(Accept Request message)를 송신한다. SGSN/MME는 BCCH에서 시스템으로서 SN을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AN을 명령한다(단계 11).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들에 대해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게는 회피되어져야만 한다. 도 4 및 도 5의 예에 있어서, 서빙 엔티티 SGSN/MMS는 서빙 엔티티에 의해 시퀀스 식별자에 링크되는 MS(예컨대, IMSI, MSISDN 또는 IMEI)의 동일성(identity)을 이용한다. 다른 접근이, 토큰(tokens) 및/또는 암호화 기술(encryption techniques)의 이용을 포함하여,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서빙 엔티티가 시퀀스 식별자뿐만 아니라 요청 엔티티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에 링크된 토큰(예컨대, 랜덤하게 발생된 번호)을 할당하고 송신할 수 있다. 토큰은 서빙 엔티티에 저장되고 (또한 시퀀스 번호 토큰을 포함하는) 제2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검증된다. 서빙 엔티티는 또한 RE에 의해 이용된 암호화된 시퀀스 식별자의 유효성(validity)을 점검하도록 서빙 엔티티를 허용하는 적절한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된 시퀀스 식별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예에 대해, 토큰 및/또는 암호화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 거절 메시지(단계 3) 및 제2 서비스 요청(도 4의 단계 10; 도 5의 단계 8)은 파라미터로서 토큰 또는 암호화 S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제품의 프로그램(들)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기능을 정의하고 다양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i) 정보가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비-재기록가능 저장 매체(예컨대, CD-ROM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가능한 CD-ROM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내의 리드-온리 메모리 장치, ROM 칩 또는 소정 형태의 고체-상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와; (ii) 변경 가능 정보가 저장되는 기록 가능 저장 매체(예컨대, 디스켓 드라이브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프로로피 디스크 또는 소정 형태의 고체-상태 랜덤-억세스 반도체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한다.

Claims (16)

  1. 요청 엔티티(requesting entity)로부터, 서빙 엔티티(serving identity)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요청 엔티티에 대해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요청 엔티티를 통지하는 단계;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요청 엔티티를 통지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방송하는 단계;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 엔티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2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특정 서비스를 위한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을 허용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혼잡을 검출하는 단계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혼잡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시퀀스 식별자를 할당하고 제1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거절 메시지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와;
    셀 방송 센터의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방송하는 것에 의해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서비스 요청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퀀스 식별자가 전송된 시퀀스 식별자에 대응하는가의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 및 특정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링크시키는 단계를 더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요청 엔티티를 통지한 후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의 만료 후 또 다른 요청 엔티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이상의 요청 엔티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큐를 정의하는 단계와;
    다수의 큐 중 하나에 대해 요청 엔티티의 시퀀스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시퀀스 식별자인, 시퀀스 식별자의 범위를 방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시퀀스 식별자가 할당된 요청 엔티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2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특정 서비스를 위한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전의 서빙 엔티티로부터 다음의 서빙 엔티티까지 요청 엔티티의 시퀀스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9.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된 서빙 엔티티로서, 서빙 엔티티(serving identity)가,
    요청 엔티티(requesting entity)로부터, 서빙 엔티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요청 엔티티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할당하고;
    요청 엔티티에 대해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고;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요청 엔티티를 통지하고;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요청 엔티티를 통지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방송하고;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 엔티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위한 제2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특정 서비스를 위한 요청 엔티티로부터 제2 서비스 요청을 허용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된 서빙 엔티티.
  10. 제9항에 있어서,
    서빙 엔티티가,
    거절 메시지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셀 방송 센터의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방송하는 것에 의해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고;
    제2 서비스 요청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퀀스 식별자가 전송된 시퀀스 식별자에 대응하는가의 여부를 검증하고;
    요청 엔티티 및 특정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링크시키고;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의 요청 엔티티를 통지한 후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의 만료 후 또 다른 요청 엔티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된 서빙 엔티티.
  11.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엔티티(service entity)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법이,
    특정 서비스를 위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제1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제1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요청 엔티티(requesting entity)에 대해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방송 채널 상의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서비스 요청에 의해 트리거된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거절 메시지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와;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방송 채널 상인, 셀 방송 센터의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제어 채널 상의,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서비스 요청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 및 특정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용이하게 링크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이전의 서빙스 엔티티로부터 다음의 서빙 엔티티까지의 요청 서비스와 관련되는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저장된 시퀀스 번호가 이전의 서빙 엔티티와 관련되는, 단계와:
    저장된 시퀀스 번호를 무시하고 다음의 서빙 엔티티에 대해 제1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다음의 서빙 엔티티에 의해 할당된 새로운 시퀀스 번호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엔티티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방법.
  15.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엔티티(serving entity)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구성된, 터미널인, 요청 엔티티(requesting entity)로서, 요청 엔티티가,
    특정 서비스를 위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제1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제1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고;
    요청 엔티티에 대해 할당된 제2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 및 저장하고;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방송 채널 상의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제2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제2 서비스 요청에 의해 트리거된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엔티티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구성된 요청 엔티티.
  16. 제15항에 있어서,
    요청 엔티티가,
    거절 메시지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시퀀스 식별자를 저장한 후 어떠한 시간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방송 채널 상인, 셀 방송 센터의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제어 채널 상의, 시퀀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제2 서비스 요청에서 할당된 시퀀스 식별자를 전송하고;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요청 엔티티 및 특정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시퀀스 식별자를 용이하게 링크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엔티티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구성된 요청 엔티티.
KR1020137014959A 2010-12-21 2011-12-21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489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6128 2010-12-21
EP10196128.2 2010-12-21
PCT/EP2011/073694 WO2012085158A1 (en) 2010-12-21 2011-12-21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service request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135A KR20140039135A (ko) 2014-04-01
KR101489108B1 true KR101489108B1 (ko) 2015-02-02

Family

ID=4539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959A KR101489108B1 (ko) 2010-12-21 2011-12-21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9880B2 (ko)
EP (1) EP2656600B1 (ko)
JP (1) JP5646771B2 (ko)
KR (1) KR101489108B1 (ko)
CN (1) CN103262515B (ko)
WO (1) WO2012085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3832B2 (en) 2016-06-22 2020-11-10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full duplex schedu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9070B2 (en) * 2012-07-02 2015-03-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WO2014024002A1 (en) * 2012-08-08 2014-02-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ssisted data transfer scheduling
US10728870B2 (en) 2012-10-08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voiding transitions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when packet data networks are inaccessible
CN106063205B (zh) * 2013-11-06 2018-06-29 卡尔加里科技股份有限公司 远程访问环境中客户端流量控制的装置和方法
EP2879417B1 (en) * 2013-11-29 2018-10-31 Comptel Corporation Service provisioning and activation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653761B1 (ko) * 2015-04-22 2016-09-05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가스 감시 분석 시스템의 모듈 파라미터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CN111931011B (zh) * 2020-07-04 2023-12-08 华电联合(北京)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事故信息收集方法、收集装置、收集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603A (en) * 1997-09-24 2000-04-11 Call-A-Guide, Inc. Method for eliminating telephone hold time
GB2460630A (en) * 2008-05-28 2009-12-09 Symbian Software Ltd Informing a calling terminal when a called mobile terminal is back i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6562A (ja) 1992-05-14 1993-11-26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JPH1028284A (ja) 1996-07-11 1998-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接続制御方法
JP3361707B2 (ja) 1996-12-27 2003-0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トラヒック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JP3647638B2 (ja) 1998-02-27 2005-05-18 富士通株式会社 輻輳回線接続装置
JPH11282650A (ja) *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foメモリのハザード防止回路
EP1006705A1 (en) * 1998-12-04 2000-06-07 Alcatel Private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JP3487425B2 (ja) * 2000-05-08 200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輻輳制御方法及び方式
BR0317944A (pt) 2003-01-23 2005-11-29 Research In Motion Ltd Método e aparato para restabelecimento de comunicação em um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sem fios após perda de comunicação em rede de comunicação sem fios
US8280948B1 (en) * 2004-06-08 2012-10-02 Person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online collaboration amongst a plurality of terminals using a web server
US8549588B2 (en) * 2006-09-06 2013-10-01 Devicescape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network access
US20080082761A1 (en) * 2006-09-29 2008-04-03 Eric Nels Herness Generic locking service for business integration
EP2096884A1 (en) 2008-02-29 2009-09-02 Koninklijke KPN N.V.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time-based network access
US20110231478A1 (en) * 2009-09-10 2011-09-22 Motorola, Inc. System, Server, and Mobile Device for Content Provider Website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603A (en) * 1997-09-24 2000-04-11 Call-A-Guide, Inc. Method for eliminating telephone hold time
GB2460630A (en) * 2008-05-28 2009-12-09 Symbian Software Ltd Informing a calling terminal when a called mobile terminal is back in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3832B2 (en) 2016-06-22 2020-11-10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full duplex schedu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46771B2 (ja) 2014-12-24
EP2656600B1 (en) 2021-02-17
KR20140039135A (ko) 2014-04-01
CN103262515A (zh) 2013-08-21
US20130268665A1 (en) 2013-10-10
US9419880B2 (en) 2016-08-16
CN103262515B (zh) 2017-04-12
EP2656600A1 (en) 2013-10-30
JP2014505407A (ja) 2014-02-27
WO2012085158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108B1 (ko)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25661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mall data packets
EP2553979B1 (en) Post access polic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1192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equipment to access network
US9077723B2 (en) Method, mobile management unit and gateway for restricting MTC device to access and communicate
ES2962490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para establecer una conexión entre un equipo de usuario y una entidad de gestión de movilidad del mismo
EP27851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ccessibility of terminal group
EP2811767B1 (en) Control method for the connec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and mobile management equipment
US2013027385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e to machine device triggering
JP5718484B2 (ja) 共有ネットワークのアクセス制御方法、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
EP2815622A1 (en) Method of controlling machine-type communications (mtc)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491687B2 (e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enabling localized time controlled access for a device
JP5871733B2 (ja) 時間インジケータを用いたトリガリング
US201300052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0104639B2 (en) Method and nodes for pag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WO2011023097A1 (zh) 一种接入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