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774B1 - 루프 랙용 홀 가공기 - Google Patents

루프 랙용 홀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74B1
KR101488774B1 KR20140121918A KR20140121918A KR101488774B1 KR 101488774 B1 KR101488774 B1 KR 101488774B1 KR 20140121918 A KR20140121918 A KR 20140121918A KR 20140121918 A KR20140121918 A KR 20140121918A KR 101488774 B1 KR101488774 B1 KR 10148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housing
holes
drills
work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
박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 박정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
Priority to KR2014012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랙의 사이드 바로 가공될 모재가 투입되기 위한 모재 투입구를 앞면에 갖는 하우징; 상기 사이드 바의 측면 홀들로 될 홀들을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상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1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스텐션 홀들로 될 홀들을 상기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2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마운팅 홀들 및 패드 홀들로 될 홀들을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3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작업 홀들로 될 홀들을 제3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앞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4드릴; 및 상기 모재를 지지한 채 상기 제1작업위치, 제2작업위치 및 제3작업위치를 모두 거치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모재 이송 테이블;을 포함하는 루프 랙용 홀 가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 랙용 홀 가공기{HOLE DRILLING APPARATUS FOR ROOF RACK}
본 발명은 홀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 랙(roof rack)의 사이드 바(side bar)로 형성될 모재의 하면, 상면 및 일측면에 복수의 홀들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는 루프 랙용 홀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나 RV 차량에서는 일반적으로 트렁크에 화물이 실린다. 그러나 최근 레저 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차량에 실을 화물의 양이 많아지고 그 크기 또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루프패널에 루프 랙(roof rack)이 설치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루프 랙은 차량 루프패널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루프 랙은 전후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하는 한 쌍의 스텐션(stanchion) 및 이 스텐션들 사이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side bar)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루프 랙의 사이드 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기둥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사이드 바(10)는 하면(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을 갖는데, 이 하면에는 복수의 패드 홀(11)과 복수의 마운팅 홀(12)과 복수의 스텐션 홀(13)이 위치한다. 상기 패드 홀(11)은 사이드 바(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드(미도시)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운팅 홀(12)은 루프패널에 고정된 볼트(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텐션 홀(13)은 한 쌍의 스텐션이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이드 바(10)는 상면을 갖는데, 이 상면에는 복수의 작업 홀(14)이 위치한다. 상기 작업 홀(14)은 마운팅 홀(12)로 삽입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또한, 사이드 바(10)는 측면을 갖는데, 이 측면에는 복수의 측면 홀(15)이 위치한다. 상기 측면 홀(15)은 크로스 바(미도시)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위와 같은 사이드 바(10)는 사각기둥 형태의 모재에 상기 홀들(11, 12, 13, 14, 15)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때 사용될 수 있는 홀 가공기가 한국등록특허 제10-1418085호(3축 홀 가공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홀 가공기는 모재 공급부와, 제1 홀가공장치와, 제2 홀가공장치와, 제3 홀가공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재 공급부는 사이드 바(10)로 가공될 모재를 탑재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전진시키거나 이와 반대로 후진시킨다. 상기 제1 홀가공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복수의 드릴 유니트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에 놓인 모재에 패드 홀(11)과 마운팅 홀(12)을 가공한다. 상기 제2 홀가공장치는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복수의 드릴 유니트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에 놓인 모재에 스텐션 홀(13) 및 작업 홀(14)을 가공한다. 상기 제3 홀가공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복수의 드릴 유니트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에 있는 모재에 측면 홀(15)을 가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8085호(3축 홀 가공장치)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1418085호에 개시된 홀 가공기에 따르면, 모재는 작업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제1 홀가공장치의 드릴 유니트 및 제2 홀가공장치의 드릴 유니트가 전후진하면서 홀들(11, 12, 13, 14)을 가공한다. 따라서 상기 홀 가공기에 따르면, 제1 홀가공장치의 드릴 유니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모터) 및 제2 홀가공장치의 드릴 유니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모터)이 별개로 마련되어야만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홀 가공기에서는 사이드 바(10)의 하면에 위치할 스텐션 홀(13)이 사이드 바(10)의 상면에 위치할 작업 홀(14)을 가공하는 제2 홀가공장치의 드릴 유니트에 의해 가공되는데, 이러한 경우 스텐션 홀(13)의 가공시 사이드 바(10)의 상면에 홀이 불필요하게 가공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루프 랙용 홀 가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루프 랙의 사이드 바로 가공될 모재가 투입되기 위한 모재 투입구를 앞면에 갖는 하우징; 상기 사이드 바의 측면 홀들로 될 홀들을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상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1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스텐션 홀들로 될 홀들을 상기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2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마운팅 홀들 및 패드 홀들로 될 홀들을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3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작업 홀들로 될 홀들을 제3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앞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4드릴; 및 상기 모재를 지지한 채 상기 제1작업위치, 제2작업위치 및 제3작업위치를 모두 거치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모재 이송 테이블;을 포함하는 루프 랙용 홀 가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제3드릴은 상기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3드릴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하나의 제3드릴용 모터의 작동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제4드릴은 상기 제3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앞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4드릴들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Z축 방향) 및 상기 Y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제2드릴은 상기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드릴은 상기 X축 방향, 상기 Y축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Z축 방향) 모두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의 앞면에는 상기 모재 투입구로 투입된 모재들을 거치하기 위한 모재 거치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모재를 탑재한 모재 이송 테이블이 제1작업위치, 제2작업위치 및 제3작업위치를 모두 거치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작업위치에서 마운팅 홀 및 패드 홀을 가공하는 제3드릴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불필요하고, 제3작업위치에서 작업 홀을 가공하는 제4드릴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도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드릴들의 회전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작업위치에 있는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제2드릴들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텐션 홀들을 가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텐션 홀들의 가공시 모재의 앞면에 불필요한 홀들이 가공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드릴들이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모재의 양단 각각에 여러 개의 스텐션 홀들이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앞면에 모재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모재를 투입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루프 랙의 사이드 바가 갖는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랙용 홀 가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의 모재 이송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의 제1드릴, 제2드릴 및 제3드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의 제4드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랙용 홀 가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랙용 홀 가공기(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모재 이송 테이블(130)과, 복수의 제1드릴(150)과, 복수의 제2드릴(170)과, 복수의 제3드릴(190)과, 복수의 제4드릴(2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을 갖는데, 이 앞면에는 모재 투입구(1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재 투입구(112)는 루프 랙의 사이드 바(10)(도 1)로 가공될 모재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모재 투입구(112)는 하우징(11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승강하는 셔터(114)에 의해 개방되거나 밀폐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앞면에는 모재 거치대(116)도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재 거치대(116)는 모재 투입구(112)로 투입될 모재의 거치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하우징(110)의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바들(116a) 및 이 지지바들(116a)의 앞단에 형성된 단턱(116b)을 갖는다. 상기 지지바들(116a)은 모재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단턱(116b)은 모재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앞면에는 작동 버튼(232) 및 정지 버튼(234)을 갖는 조작 블록도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작동 버튼(232)을 눌러 홀 가공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정지 버튼(234)을 눌러 홀 가공기(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하우징(110)은 파편 수거함(118)을 하단에 갖고, 제어기(230)를 우측면에 갖는다. 상기 파편 수거함(118)은 모재에 홀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파편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랍 형태로 마련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편 낙하홀(122)을 갖는 플로어(120)가 마련되어 있는데, 홀 가공시 발생한 파편은 상기 파편 낙하홀(122)을 통과하여 파편 수거함(118)으로 떨어진다. 상기 제어기(230)는 홀 가공기(10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 투입구(112)로 투입된 모재를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지지 블록들(132)을 상면에 갖는다. 이 지지 블록들(132)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좌단 지지 블록은 모재의 X축 방향 움직임 및 좌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고, 나머지들은 모재의 X축 방향 움직임만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좌단 지지 블록은 모재의 X축 방향 움직임만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지지 블록들(132)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지지 블록이 모재의 X축 방향 움직임 및 우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 단부 가압부(134)도 상면에 갖는다. 모재 단부 가압부(134)는 지지 블록들(132)에 놓인 모재를 좌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판(134a) 및 공압 실린더(134b)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134a)은 우단 지지 블록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134b)는 가압판(134a)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우측 지지 블록이 모재의 X축 방향 움직임 및 우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경우, 상기 모재 단부 가압부(134)는 모재를 우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것이다.
상기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 상면 가압부(136)도 상면에 갖는다. 모재 상면 가압부(136)는 지지 블록들(132) 중 일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블록들(132)에 놓인 모재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암(136a) 및 공압 실린더(136b)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암(136a)은 공압 실린더(136b)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공압 실린더(136b)는 가압암(136a)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상기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한 쌍의 가이더(146)에 의해 X축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더(146)는 Y축 방향을 따라 떨어져 있고, 파편 낙하홀(122)을 가로지르면서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이러한 가이더(146)의 전후단은 플로어(1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 이송용 스크류(142)와도 결합하고 있다. 상기 모재 이송용 스크류(142)는 한 쌍의 가이더(146) 사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그리고 모재 이송용 스크류(142)의 전단은 플로어(120)에 고정된 지지편(144)와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후단은 플로어(120)에 고정된 모재 이송용 모터(140)와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 이송용 모터(140)의 작동시 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모재 이송용 모터(140)가 정방향으로 작동하면 모재 이송용 스크류(142)가 정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탑재 위치(30)에 있던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후진(하우징(110)의 뒷면쪽으로의 이동)을 하면서 제3작업위치(33), 제1작업위치(31) 및 제2작업위치(32)를 거치게 된다. 반면, 모재 이송용 모터(14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모재 이송용 스크류(142)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전진(하우징(110)의 앞면 쪽으로의 이동)을 하면서 탑재 위치(30)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1드릴(150)은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상면에 사이드 바의 측면 홀들(15)(도 1)로 될 홀들을 가공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내장된 것이다. 이러한 제1드릴들(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떨어진 두 개의 1축 지그들에 의해 지지되어 Z축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1축 지그들은 각각 Z축 블록(152) 및 고정 블록(154)을 포함한다. 상기 Z축 블록(152)에는 아래로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Y축 방향으로 이격한 두 개의 제1드릴(1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제1드릴(150)은 서로 치합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상기 두 개의 제1드릴(15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나머지 하나는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Z축 블록(152)에는 하나의 제1드릴용 모터(162)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제1드릴용 모터(162)의 구동축은 상기 두 개의 제1드릴(150) 중 하나와만 연결되어 있다.
1축 지그의 고정 블록(154)은 상기 Z축 블록(152)의 Z축 방향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상기 Z축 블록(15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54)에는 공압 실린더(16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공압 실린더(164)가 작동하면 상기 Z축 블록(152)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54)은 지지대(12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24)는 파편 낙하홀(1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플로어(120)에 설치된 것이다.
모재가 모재 이송 테이블(130)에 의해 제1작업위치(31)에 놓이면 1축 지그의 제1드릴용 모터(162) 및 공압 실린더(164)가 작동한다. 그러면 제1드릴들(150)은 회전하면서 하강을 하고, 이때 모재의 상면에는 사이드 바의 측면 홀들(15)(도 1)로 될 홀들이 가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2드릴(170)은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하우징(110)의 뒷면을 바라보는 면)에 사이드 바의 스텐션 홀들(13)(도 1)로 될 홀들을 가공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내장된 것이다. 이러한 제2드릴들(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떨어진 두 개의 3축 지그들에 의해 지지되어 X축, Y축 및 Z축 방향 모두로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3축 지그들은 각각 X축 블록(172), Y축 블록(174), Z축 블록(176) 및 고정 블록(178)을 포함한다. 상기 X축 블록(172)에는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한 한 개의 제2드릴(170)과, 이 한 개의 제2드릴(1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드릴용 모터(18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3축 지그의 Y축 블록(174)은 상기 X축 블록(172)의 X축 방향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상기 X축 블록(17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Y축 블록(174)에는 공압 실린더(182)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공압 실린더(182)가 작동하면 상기 X축 블록(172)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3축 지그의 Z축 블록(176)은 상기 Y축 블록(174)의 Y축 방향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상기 Y축 블록(174)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Z축 블록(176)에는 공압 실린더(18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공압 실린더(184)가 작동하면 상기 Y축 블록(174)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3축 지그의 고정 블록(178)은 상기 Z축 블록(176)의 Z축 방향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상기 Z축 블록(176)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78)에는 공압 실린더(186)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공압 실린더(186)가 작동하면 상기 Z축 블록(176)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78)은 파편 낙하홀(122)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도록 플로어(1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드릴들(170)은 최초에 모재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다가 모재가 모재 이송 테이블(130)에 의해 제1작업위치(31)로 이동하는 동안 제2드릴들(170)은 실린더(186)에 의해 하강한다. 이후, 제1드릴(150)이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상면에 측면 홀(15)(도 1)을 가공하기 시작하면, 제2드릴들(170)은 실린더(182) 및 제2드릴용 모터(180)에 의해 전진 및 회전하면서 제1작업위치(31)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스텐션 홀(13)(도 1)을 가공한다.
스텐션 홀(13)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1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면 위와 같은 과정만으로도 스텐션 홀(13)의 가공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이드 바(1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의 스텐션 홀(13)이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드릴들(170)을 후진시키는 작업, 제2드릴들(170)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및 제2드릴들(170)을 전진시키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스텐션 홀(13)(도 1)을 모재의 뒷면에 하나 더 가공한다.
상기 복수의 제3드릴(190)은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사이드 바의 마운팅 홀들(12)(도 1) 및 패드 홀들(11)(도 1)로 될 홀들을 가공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내장된 것이다.
이러한 제3드릴들(1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Y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파편 낙하홀(1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플로어(120)에 설치된 지그(19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3드릴들(190) 각각은 후단에 종동 스프로킷(미도시)을 갖는데, 이 종동 스프로킷들은 플로어(120)에 고정된 제3드릴용 모터(200)의 구동 스프로킷(미도시)과 체인(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드릴용 모터(200)가 작동하면, 제3드릴들(190)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3드릴들(190)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두 개는 마운팅 홀(12)(도 1)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는 패드 홀(11)(도 1)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모재가 모재 이송 테이블(130)에 의해 제1작업위치(31)로부터 제2작업위치(32)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3드릴용 모터(200)가 작동한다. 이후, 제2작업위치(32)에 도달한 모재는 모재 이송 테이블(130)에 의해 조금 더 후진하게 되는데, 이때 모재의 뒷면에는 사이드 바의 측면 마운팅 홀들(12) 및 패드 홀들(11)(도 1)로 될 홀들이 가공된다.
한편, 사이드 바(10)의 스텐션 홀(13)을 가공하기 위해 제3드릴(190)의 개수를 늘리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에 따르면 스텐션 홀(13)의 위치가 차종마다 약간씩 다르게 되는 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사이드 바(10)가 양단에 각각 두 개씩의 스텐션 홀(13)을 가질 경우에는 대부분 두 스텐션 홀(13) 간 간격이 제3드릴들(190)이 가질 수 있는 최소 이격 간격보다 작게 되는데, 위 방안은 이러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없다. 따라서 사이드 바(10)의 스텐션 홀(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3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제2드릴들(170)을 통해 가공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제4드릴(210)은 제3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앞면(하우징(110)의 앞면을 바라보는 면)에 사이드 바의 작업 홀들(14)(도 1)로 될 홀들을 가공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내장된 것이다. 이러한 제4드릴들(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떨어진 두 개의 2축 지그들에 의해 지지되어 Y축 및 Z축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2축 지그들은 각각 Z축 블록(212), Y축 블록(214) 및 고정 블록(216)을 포함한다. 상기 Z축 블록(212)에는 모재의 앞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한 한 개의 제4드릴(210)과, 이 제4드릴(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4드릴용 모터(22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2축 지그의 Y축 블록(214)은 상기 Z축 블록(212)의 Z축 방향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상기 Z축 블록(21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Y축 블록(214)에는 모터(224a)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모터(224a)가 작동하면 스크류(224b)가 회전하면서 상기 Z축 블록(212)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2축 지그의 고정 블록(216)은 상기 Y축 블록(214)의 Y축 방향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상기 Y축 블록(214)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216)에는 모터(226a)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모터(226a)가 작동하면 스크류(226b)가 회전하면서 상기 Y축 블록(214)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216)은 파편 낙하홀(122)을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플로어(120)에 설치된 지지대(12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4드릴들(210)은 최초에 모재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다가 모재가 모재 이송 테이블(130)에 의해 제2작업위치(32)에서 제3작업위치(33)로 이동하는 동안 제4드릴들(210)은 하강하면서 회전한다. 이후, 제3작업위치(33)에 도달한 모재는 모재 이송 테이블(130)에 의해 조금 더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모재의 앞면에 측면 홀들(14)(도 1)이 가공되기 시작한다. 측면 홀들(14)의 가공이 시작된 이후 제4드릴들(210)은 Z축 및 Y축으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측면 홀들(14)의 크기를 키운다.
이하, 상기 루프 랙용 홀 가공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에 작업자는 모재 거치대(116)에 놓인 모재를 모재 이송 테이블(130)의 지지 블록(132)에 놓고, 작동 버튼(232)을 누른다. 그러면 모재 가압부들(134, 136)은 모재를 가압하고, 셔터(114)는 하강하여 모재 투입구(112)를 가리고,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를 제1작업위치(31)로 후진시키고, 제2드릴들(170)은 하강한다.
모재가 제1작업위치(31)에 놓이면 제1드릴들(150)이 회전 및 하강하여 모재의 상면에 측면 홀들(15)(도 1)을 가공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모재가 제1작업위치(31)에 놓이면 제2드릴들(170)이 회전 및 전진하여 모재의 뒷면에 스텐션 홀들(13)(도 1)을 가공한다. 이때, 스텐션 홀들(13)이 모재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되어야 한다면, 제2드릴들(170)은 후진과, Y축 방향 이동과, 전진을 순차적으로 더 수행하며 스텐션 홀들(13)을 하나 더 가공한다. 스텐션 홀들(13)을 모두 가공한 제2드릴들(17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를 제2작업위치(32)로 후진시키고, 이때 제3드릴들(190)이 회전한다. 이후,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를 제2작업위치(32)로부터 조금 더 후진시키는데, 이때 모재의 뒷면에 마운팅 홀들(12) 및 패드 홀들(11)(도 1)이 가공된다.
마운팅 홀들(12) 및 패드 홀들(11)의 가공이 완료되면,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를 제3작업위치(33)로 전진시키고, 제4드릴들(210)은 회전 및 하강한다. 이후, 모재 이송 테이블(130)을 제3작업위치(33)로부터 조금 더 전진시키는데, 그러면 제4드릴들(210)이 모재의 앞면을 뚫고 들어간다. 모재의 앞면을 뚫고 들어간 제4드릴들(210)은 Z축 및 Y축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작업 홀(14)(도 1)을 가공한다.
작업 홀(14)의 가공이 완료되면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제3작업위치(33)로 후진하고, 제4드릴(210)은 상승한다. 이후, 모재 이송 테이블(130)은 모재를 탑재 위치(30)로 전진시키고, 셔터(114)는 상승하면서 모재 투입구(112)를 개방하며, 모재 가압부들(134, 136)은 모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러한 과정이 마치면, 작업자는 가공된 모재를 인출하고, 새 모재를 투입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루프 랙용 홀 가공기 110 : 하우징
112 : 모재 투입구 114 : 셔터
116 : 모재 거치대 120 : 플로어
122 : 파편 낙하홀 130 : 모재 이송 테이블
150 : 제1드릴 170 : 제2드릴
190 : 제3드릴 200 : 제3드릴용 모터
210 ; 제4드릴 30 : 탑재위치
31 : 제1작업위치 32 : 제2작업위치
33 : 제3작업위치

Claims (6)

  1. 루프 랙의 사이드 바로 가공될 모재가 투입되기 위한 모재 투입구를 앞면에 갖는 하우징;
    상기 사이드 바의 측면 홀들로 될 홀들을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상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1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스텐션 홀들로 될 홀들을 상기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2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마운팅 홀들 및 패드 홀들로 될 홀들을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3드릴;
    상기 사이드 바의 작업 홀들로 될 홀들을 제3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앞면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제4드릴; 및
    상기 모재를 지지한 채 상기 제1작업위치, 제2작업위치 및 제3작업위치를 모두 거치면서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모재 이송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드릴은 상기 제2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루프 랙용 홀 가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드릴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하나의 제3드릴용 모터의 작동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드릴은 상기 제3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앞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되,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Z축 방향) 및 상기 Y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드릴은 상기 제1작업위치에 놓인 모재의 뒷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상기 X축 방향, 상기 Y축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Z축 방향) 모두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앞면에는 상기 모재 투입구로 투입된 모재들을 거치하기 위한 모재 거치대가 마련된 루프 랙용 홀 가공기.
KR20140121918A 2014-09-15 2014-09-15 루프 랙용 홀 가공기 KR10148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1918A KR101488774B1 (ko) 2014-09-15 2014-09-15 루프 랙용 홀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1918A KR101488774B1 (ko) 2014-09-15 2014-09-15 루프 랙용 홀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774B1 true KR101488774B1 (ko) 2015-02-11

Family

ID=5259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1918A KR101488774B1 (ko) 2014-09-15 2014-09-15 루프 랙용 홀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7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85B1 (ko) * 2014-04-07 2014-07-10 (주)신한테크닉스 3축 홀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85B1 (ko) * 2014-04-07 2014-07-10 (주)신한테크닉스 3축 홀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2554T3 (es) Máquina herramienta.
US7226403B2 (en) Machine tool, in particular a drilling and milling machine
JP5562446B2 (ja) 工作機械
CN106660186B (zh) 机械工作系统
JP2007021629A (ja) パレット搬送方法及び装置
KR200393854Y1 (ko) 시앤씨선반의 공작물 공급 및 인출장치
JPS63278738A (ja) パレット交換装置
US11504820B2 (en) Gantry type conveying device and processing line
JP6618544B2 (ja) 多機能ワーク置き台モジュール
JP5029223B2 (ja) 仕切り板を備えた工作機械
KR101488774B1 (ko) 루프 랙용 홀 가공기
JP5372513B2 (ja) ワーク授受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20120126566A (ko) 캐터필러 트랙의 링크가공 복합장치
JP5332153B2 (ja) ローダ付き工作機械
JP3978223B1 (ja) 両端加工機のローダ装置、アンローダ装置およびそのワーク投入方法、ワーク排出方法
JP4692444B2 (ja) 旋盤
JPH09225777A (ja) 工作機のスライドカバー装置
JP3919804B2 (ja) 自走型作業機械の組立て用治具装置
JP6637989B2 (ja) 機械加工システム
JP4396609B2 (ja) 主軸ピックアップ旋盤
JP3388697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6656262B2 (ja) 機械加工システム
JPS6029322B2 (ja) 木工用多軸ボ−リング機の板材押え装置
KR20190095975A (ko) Cnc 숫돌 형상 복합가공기용 자동공구교환장치
JPH0659003U (ja) 被孔あけ部材固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