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447B1 -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8447B1 KR101488447B1 KR20120078323A KR20120078323A KR101488447B1 KR 101488447 B1 KR101488447 B1 KR 101488447B1 KR 20120078323 A KR20120078323 A KR 20120078323A KR 20120078323 A KR20120078323 A KR 20120078323A KR 101488447 B1 KR101488447 B1 KR 101488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 pad
- base
- peeling roll
- peeling
-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플로트 유리를 놓아두는 캐리어에 부착되어 있는 백패드를 박리할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캐리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백패드의 박리를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박리롤; 및 상기 백패드의 선단을 상기 박리롤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백패드의 선단이 상기 박리롤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박리롤의 상대 이동과 상기 박리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백패드를 박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트 유리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플로트 유리를 놓아두는 캐리어에 부착되어 있는 백패드를 박리할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유리판은 화상을 정확히 구현하기 위하여 표면의 평탄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플로트 챔버를 통해 성형된 플로트 유리판(이하, '유리판'이라 함)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 또는 기복은 연마 공정에 의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유리판은 표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연마를 위해서는 유리판을 평면상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유리판용 캐리어를 마련하여, 이 유리판용 캐리어(이하, '캐리어'라 함) 위에 유리판이 적재된 상태에서 유리판이 연마된다. 그리고, 유리판이 연마되는 중에 유리판과 캐리어와의 사이에 슬립이 일어나서 유리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상면에는 통상적으로 고무재질의 백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백패드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캐리어에 비하여 수명이 짧다. 따라서 수명이 다한 백패드를 캐리어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새로운 백패드를 캐리어에 부착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할 발명 방법을 이용하여 수명이 다한 백패드를 캐리어로부터 떼어내게 된다. 먼저 캐리어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후에, 상기 백패드의 끝단을 두께가 얇은 판상 부재, 칼, 끌 등을 이용하여 약간만 떼어내고, 그 다음으로 두 사람이 약간 떼어진 백패드의 양단에 서게 된다. 이 다음 단계로, 두 사람이 각각 상기 백패드의 약간 떼어진 변의 양쪽 꼭지점 중 한쪽씩을 잡고 동시에 당기면서 백패드를 벗겨내면서 떼어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두 사람이 서로 협동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캐리어로부터 백패드를 떼어낼 수 있고, 혼자서는 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두 사람이 백패드를 떼어낼 때도 떼어내는 속도가 동일하거나 비슷해야만 백패드를 쉽게 떼어낼 수 있고, 한쪽만 빨리 떼어내는 경우에는 한쪽부분만 찢어질 수 있어서, 도구를 이용하여 백패드의 끝단을 캐리어로부터 떼어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재차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두 사람이 속도를 맞춰 백패드를 떼어낸다고 하더라도 백패드의 양쪽 꼭지점 부위만을 잡고 떼어내게 되므로 그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꼭지점 부위가 찢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캐리어로부터 백패드를 떼어내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백패드를 떼어내고난 후에도 백패드의 조각이나 찌꺼기 등이 캐리어 위에 상당히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새로운 백패드를 캐리어에 붙이기 위해 캐리어의 상면을 깨끗하게 닦아내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백패드를 캐리어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패드가 찢어지지 않고 캐리어로부터 한번에 박리될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패드가 캐리어로부터 깨끗하게 박리될 수 있어서, 새로운 백패드를 캐리어에 부착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상면을 닦아내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캐리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백패드의 박리를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박리롤; 및 상기 백패드의 선단을 상기 박리롤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백패드의 선단이 상기 박리롤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박리롤의 상대 이동과 상기 박리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백패드를 박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박리롤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가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이 위치할 수 있는 상기 박리롤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입공들; 및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을 상기 박리롤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공들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흡입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상기 박리롤을 상기 백패드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박리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리롤은 커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박리롤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커터홈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상기 캐리어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박리롤의 표면에 감긴 상기 백패드를 상기 박리롤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커터홈에 삽입되어 상기 백패드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를 갖는 커터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홈의 길이 방향 양끝단 사이를 왕복할 수 있는 양날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베이스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박리롤이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박리롤의 길이 방향 외면에 마련된 부착부; 및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부에 마련된 접착제, 접착 테이프, 점착제, 점착 테이프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공들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박리롤의 회전축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공기 흡입기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상기 공기 흡입기와 상기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부압관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상기 베이스를 상기 캐리어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구동부는 컨베이어 벨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각부의 하중을 지지하며 지면에 놓이는 구조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가 상기 캐리어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롤링현상을 일으키며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구동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이송 레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구동부와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와 상기 구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레일;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레일에 올려진 채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백패드를 캐리어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백패드가 찢어지지 않고 캐리어로부터 한번에 박리될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백패드가 캐리어로부터 깨끗하게 박리될 수 있어서, 새로운 백패드를 캐리어에 부착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상면을 닦아내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가 설치되는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주요 구성도로서, 베이스와 커터부재 브라켓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박리롤 부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바라본 배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박리롤 부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구비된 커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구비된 베이스와 베이스 구동부의 측면도로서, 이송 레일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로서, 베이스가 정방향(F)쪽 이송 한계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2의 Ⅹ-Ⅹ'선을 따라 바라본 배면 구성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의하여 백패드가 캐리어로부터 박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가 설치되는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주요 구성도로서, 베이스와 커터부재 브라켓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박리롤 부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바라본 배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박리롤 부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구비된 커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구비된 베이스와 베이스 구동부의 측면도로서, 이송 레일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로서, 베이스가 정방향(F)쪽 이송 한계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2의 Ⅹ-Ⅹ'선을 따라 바라본 배면 구성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의하여 백패드가 캐리어로부터 박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이하, '박리 장치'라 한다)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는 캐리어(4)에 부착된 백패드(6)를 박리하기 위한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로서, 캐리어(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백패드(6)의 박리를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박리롤(210)과, 상기 백패드(6)의 선단을 상기 박리롤(210)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230)를 구비한다.
박리해야 할 백패드(6)가 부착되어 있는 캐리어(4)는 상기 베이스(10)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되며, 백패드(6)의 선단이 박리롤(2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10)와 박리롤(210)이 상대 이동하는 것과 박리롤(21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캐리어(4)로부터 백패드(6)가 박리될 수 있다.
부착부재(230)는, 박리롤(210)의 길이 방향 외면을 따라 백패드(6)의 시작단(도 1을 기준으로 백패드(6)의 오른쪽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부착부(231)와, 백패드(6)의 시작단이 부착부(231)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부(231)에 마련된 접착제, 접착 테이프, 점착제, 점착 테이프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하, '접착제 등(232)'이라 한다)를 구비한다.
부착부(231)의 표면으로부터 캐리어(4)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접착제 등(232)의 두께와 백패드(6)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백패드(6)는 상기 부착부재(230)에 가압 접촉되거나 비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재(230)에 부착되며, 이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0) 및 캐리어(4)가 고정된 상태에서 박리롤(210)의 회전축에 연결된 평행 이송기(11)가, 상기 캐리어(4)의 상면을 따라 상기 박리롤(210)을 평행하게 이송하면, 박리롤(210)이 도 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백패드(6)는 접착제 등(232)에 부착된 채로 박리롤(210)의 표면에 감기면서 박리된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백패드(6)를 박리하기 위하여 베이스(10)는 고정된 상태에서 박리롤(210)에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가 설치되는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주요 구성도로서, 베이스와 커터부재 브라켓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박리롤 부위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바라본 배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는, 백패드(6)를 캐리어(4)로부터 박리하기 위하여 베이스(10)와 박리롤(210)이 상대 이동한다는 것과 박리롤(210)이 회전한다는 것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공통점이 있으며, 제1 실시예는 베이스(10)의 위치가 고정되고 박리롤(210)이 이동하지만 제2 실시예는 박리롤(210)의 위치가 고정되고 베이스(10)가 이동한다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은 제2 실시예와 함께 일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박리 장치는 캐리어(4)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백패드(6)를 캐리어(4)로부터 박리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는, 백패드(6)가 부착된 캐리어(4)가 안착되어 있으며 상기 백패드(6)와 상기 캐리어(4)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10)와, 백패드(6)의 박리를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박리롤(210)과, 박리롤(210)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입공들(238)과 상기 흡입공들(238)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흡입기(236)를 구비하는 부착부재(230)와, 상기 박리롤(210)을 상기 백패드(6)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10)에 대하여 박리롤(210)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220)와, 상기 캐리어(4)에서 박리되어 상기 박리롤(210)의 표면에 감긴 백패드(6)를 상기 박리롤(21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커터부재와(240), 베이스(10)를 상기 캐리어(4)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40)를 구비한다.
구조 프레임(2)은 지면에 놓여질 수 있는 통상적인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서, 구조 프레임(2)에 박리 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이 직접 설치되거나, 구조 프레임(2)에 별도의 추가 프레임, 브라켓 등이 설치되고 이러한 추가 프레임, 브라켓에 박리 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에는 백패드(6)가 부착된 캐리어(4)가 안착되어 있다. 캐리어(4)에 부착된 백패드(6)가 후술할 원통형의 박리롤(210)의 표면과 닿게 되면 그 사이에 접선이 형성되고, 베이스는 이 접선 방향(B 방향 또는 F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베이스(10)의 상부는 캐리어 결합부(12)로 이뤄져 있으나, 베이스(10)의 하부에는 베이스(10) 전체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베이스(10)가 경량화될 수 있도록 빔 형상인 복수 개의 베이스 보강부(14)가 격자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4)는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평평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캐리어(4)의 테두리 부위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윗부분인 캐리어 결합부(12)는 상기 캐리어(4) 하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캐리어(4)와 캐리어 결합부(12) 사이의 유격은, 상기 캐리어(4) 베이스(10)가 움직이는 도중에 캐리어(4)가 사방으로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캐리어(4)가 캐리어 결합부(12)에 억지로 끼워져 결합되지는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롤(210)은 유리판을 적재하는 캐리어(4)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백패드(6)를 떼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박리롤(210)은 원통 형상의 박리롤 본체(212)를 구비하며, 박리롤 회전축(2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부착부재(230)는, 백패드(6)의 시작단이 위치할 수 있는 박리롤 본체(212)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입공들(238)과, 백패드(6)의 시작단을 박리롤(2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흡입공들(238)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흡입기(236)를 구비한다(도 5 참조). 예컨대, 흡입공들(238)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박리롤 회전축(216)과 연통되며, 이 박리롤 회전축(216)이 공기 흡입기(236)에서 생성되는 부압의 통로가 되는 경우 흡입공(238)에는 상기 공기 흡입기(236)로부터 생성된 부압이 인가될 수 있다. 한편, 흡입공(238)에 인가되는 부압에 의하여 백패드(6)가 박리롤 본체(212)에 강력하게 밀착되어 백패드(6)가 박리롤(210)과 슬립하지 않도록, 흡입공들(238)은 박리롤 회전축(216) 방향과 나란한 밴드 형상으로 박리롤(210)의 표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흡입공들(238)이 박리롤(210)의 표면에 산재하여 배열되지 않고, 밴드 형상으로 밀집 배열되어 있으므로, 부압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적으로 강하게 백패드(6)의 선단에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백패드(6)가 박리롤 본체(212)에 강력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중공축인 박리롤 회전축(216)과 공기 흡입기(236)는 부압관(234)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연통되어 있으나(도 5 참조), 부압관(234)을 개재하지 않은 채로 서로 직결되어 연통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박리롤 회전축(216)이 래디얼 베어링이 설치된 브라켓(2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브라켓(211)에 연결되고, 공기 흡입기(236)가 브라켓(211)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국, 공기 흡입기(236)와 박리롤 회전축(216) 간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부압관(234)이 안정적으로 공기 흡입기(236)와 박리롤 회전축(216)을 연결할 수 있다.
박리롤 회전축(216)은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그 중공 부분이 부압이 인가되는 통로 역할을 해야하는 것은 물론이고, 당연히 박리롤(210)의 회전을 위해서 기어 또는 풀리 등 가동 구조를 구비해야 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리롤 회전축(216)의 외주면에는 기어(216a)가 끼워져 있고, 이 기어(216a)가 박리롤 구동기(218)에 연결된 기어(218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박리롤(210)의 표면에는 커터(2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박리롤 회전축(216) 방향을 따라 커터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터홈(213)은 캐리어(4)로부터 박리되어 박리롤 본체(212)의 표면에 감기게 되는 백패드(6)를 용이하게 박리롤 본체(212)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할 커터부재(24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액츄에이터(220)는 상기 박리롤 회전축(216) 부위와 연결되어 박리롤(210)을 소정구간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각부의 하중을 지지하며 지면에 놓이는 구조 프레임(2)에 구비된 브라켓(222)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220)의 하부 부위인 실린더 부위는 브라켓(222)에 고정되어 있고, 액츄에이터(220)의 상부 부위인 피스톤 부위는 상기 실린더 부위로부터 위아래로 신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부위의 윗부분에는 래디얼 베어링이 설치된 브라켓(224)이 결합되고, 이 래디얼 베어링에 박리롤 회전축(216)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220)의 피스톤 부위의 윗부분 및 브라켓(224)의 사이에 브라켓(211)이 개재되어 고정되며, 이 브라켓(211)에 박리롤 구동기(218)가 설치된다(도 5 참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송 액츄에이터(220)의 피스톤 부위가 상하로 신축하여 박리롤(210)이 승강하게 되면, 박리롤 구동기(218)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도 6은 도 2의 박리롤 부위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보다 박리롤(210)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 4과 비교하면 박리롤(210)의 하강에 따라, 박리롤 구동기(218)도 함께 하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박리롤(210)의 승강과는 상관없이 박리롤 구동기(218)에 결합된 기어(218a)의 회전력이 기어(218a)의 상방에 위치하며 브라켓(211)에 설치된 기어(211a)에 전달되고, 이어서, 박리롤 회전축(216)에 설치된 기어(216a)까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들의 개수 및 크기는 박리 장치의 사이즈와 박리롤 구동기(218)의 출력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액츄에이터(220)로서 실린더 기구가 채용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구비된 커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박리롤(21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는 백패드(6)를 박리롤(210)로부터 제거하는 커터부재(240)가 도시되어 있다.
커터부재(240)는 백패드(6)를 커팅하는 커터(242)와, 커터부재 롤러(246)와, 상기 커터부재 롤러(246)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커터(242)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커터부재 벨트(244)와, 상기 커터부재 롤러(246)를 회전시키는 커터부재 구동기(241)와, 상기 커터부재 롤러(246) 및 커터부재 구동기(241)가 설치되는 커터부재 브라켓(243)과, 슬릿이 형성된 커터 가이드(248)를 구비한다.
커터(242)는 박리롤(210)의 커터홈(213)에 삽입되어 박리롤 회전축(216)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며 백패드(6)를 커팅한다. 그리고, 커터홈(213)의 길이 방향 양끝단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커터(242)는 양날을 갖는다. 백패드(6)가 캐리어(4)로부터 박리되면 박리롤(21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는데, 커터(242)는 중앙 부위에 커터(242)가 왕복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커터 가이드(248)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움직인다.
커터부재 벨트(244)는 두 개의 커터부재 롤러(246)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으며, 커터부재 벨트(244)에 형성된 체결공에 커터(242)의 체결부(242a)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체결구(244a)를 삽입하여 커터(242)를 커터부재 벨트(244)에 결합한다.
커터부재 롤러(246)는 커터부재 브라켓(243)에 설치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부재 브라켓(243)과 커터 가이드(248)가 만나는 부위에 설치된다. 커터부재 브라켓(243)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커터부재 롤러(246)를 위치시키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커터부재 롤러(246) 중심에 형성된 구멍을 일렬로 맞춘 후에 결합 부재(246a)를 끼워 넣어, 커터부재 롤러(246)를 커터부재 브라켓(24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커터부재 구동기(241)는 커터부재 브라켓(243)에 고정되어 있으며, 두 개의 커터부재 롤러(246)들 중 하나의 커터부재 롤러(246)에는 커터부재 구동기(241)가 연결되어 커터부재 구동기(241)의 회전력에 의하여 커터부재 롤러(246)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부재 롤러(246)의 회전에 의하여 커터부재 벨트(244)가 움직인다. 다만, 커터(242)가 커터 가이드(248)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슬릿을 벗어나지 않고 슬릿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커터부재 구동기(241)의 구동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패드(6)가 캐리어(4)로부터 박리되어 박리롤(210)의 외주면에 감긴 경우, 액츄에이터(220)는 박리롤(210)을 상승시키며, 박리롤(210)이 상승한 상태는 도 4 및 도 5와 같다. 그리고, 박리롤 회전축(216) 방향을 따라 박리롤 본체(212)의 표면에 형성된 커터홈(213)이 커터(24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갈수 있도록 박리롤(210)이 회전한다. 이 때, 커터(242)의 최하단은 박리롤(210) 외주면의 최상단 보다 낮고, 커터홈(213)의 가장 깊은 곳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커터(242)가 커터홈(213)에 삽입되어 커터 가이드(248)의 슬릿을 지나가게 되면 박리롤(210)의 외주면을 감고 있던 백패드(6)가 박리롤 회전축(216) 방향을 따라 절개되며, 이로 인해 백패드(6)를 박리롤(2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커터(242)가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박리된 백패드(6)를 절개할 수 있고, 다음 번에 박리된 백패드(6)를 절개하려면 커터(242)가 왼쪽으로 움직이면 된다. 이처럼 커터(242)가 양날을 가진 경우에는, 커터(242)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단날을 가진 경우에 비하여 유리하다.
커터부재(24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벨트 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커터홈(213)의 길이만큼 긴 날을 갖고 박리롤 본체(212)의 표면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터(242)가 설치되어, 박리롤(210)에 감긴 백패드(6)를 한번에 절개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커터부재(240)는 박리롤(210)에 감긴 백패드(6)를 절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채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구비된 베이스와 베이스 구동부의 측면도로서, 이송 레일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용 백패드 탈부착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로서, 베이스가 정방향(F)쪽 이송 한계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2의 Ⅹ-Ⅹ'선을 따라 바라본 배면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베이스 구동부(4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 구동부(40)는 상기 베이스(10)를 미리 정해진 정방향(F) 또는 미리 정해진 역방향(B)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베이스(10)의 하부와 구조 프레임(2) 사이에 위치하며, 구조 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 벨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F), 역방향(B)는 상술한 백패드(6)와 박리롤(210)의 표면이 맞닿았을 때 둘 사이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이 방향은 백패드(6)와 캐리어(4)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 구동부(40)는 회전축을 갖는 컨베이어 구동기(46)와, 컨베이어 롤러(44)와, 컨베이어 롤러(44)의 외주면을 감싸는 이송 벨트(42)를 구비한다.
이송 벨트(42)는 컨베이어 롤러(44)들의 외주면과 접촉한 채로 컨베이어 롤러(44)들을 둘러싸고 있어서, 컨베이어 롤러(44)들이 회전하면 이송 벨트(42)가 가동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롤러(44)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롤러(44)에는 컨베이어 구동기(46)의 동력이 전달되어 이 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가동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10)의 중앙 부위에는 S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베이스 보강부(14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 보강부(14C)와 이송 벨트(42)는 둘 사이에 갭부재(45)를 개재한 채로 고정 부재(16)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만약, 베이스 보강부(14C)와 이송 벨트(42) 사이의 간격이 넓지 않은 경우라면 갭부재(45)는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 벨트(42)가 정방향(F) 또는 역방향(B)으로 움직이면, 베이스(10)도 이송 벨트(42)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다만, 베이스(10)가 정방향(F) 또는 역방향(B)을 따라 정확히 추종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담보하고, 이와 동시에 베이스(10)가 롤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0)와 구조 프레임(2) 사이에는 베이스 구동부(40)의 이송 벨트(42)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이송 레일(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롤링 현상이란 사물이 진행할 때 진행방향을 축으로 하여 흔들리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예컨대,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앞을 향하여 진행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롤링 현상에 해당한다.
이송 레일(50)은 베이스 레일(54)과, 슬라이더(52)를 구비하며, 베이스(10)의 하부와 구조 프레임(2) 사이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레일(54)은 구조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52)는 베이스(10)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보강부(14M)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레일(54)에 올려진 채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더(52)는 단면이 오메가 또는'ㄷ'자 등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레일(54)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더(52)는 베이스 레일(54)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정방향(F) 또는 역방향(B)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0)는 이송 레일(50)에 의하여 롤링 현상이 방지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베이스 구동부(40)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의하여 백패드가 캐리어로부터 박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베이스(10)는 베이스 구동부(40)에 의하여 이송되며, 베이스 구동부(4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백패드(6)가 캐리어(4)로부터 박리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베이스(10)와, 박리롤(210)과, 흡입공들(238)과, 커터(242)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박리롤(210)은 백패드(6)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해 있으며, 박리롤(210)에 형성된 흡입공들(238)은 아래를 향한 수직방향으로부터 정방향(F)으로 θ만큼 회전한 방향을 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백패드(6)의 정방향(F)쪽 끝단이 정방향(F)을 향하여 박리롤(210)의 직하방을 약간 지나친 채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10)는 움직이지 않고, 박리롤(210)만 하강하게 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박리롤(210)이 하강하여 백패드(6)에 접하여 있다. 여기서, 얇은 칼날 또는 플레이트를 백패드(6)의 정방향(F)쪽 끝단과 캐리어(4) 사이에 밀어넣어 백패드(6)의 끝단을 캐리어(4)로부터 떼어낸다.
도 11c를 참조하면, 박리롤(210)의 외주면에, 캐리어(4)로부터 떨어진 백패드(6)의 정방향(F)쪽 끝단이 감겨 밀착되어 있다. 흡입공들(238)에는 부압이 인가되며, 흡입공들(238)으로부터 연장되는 점선 화살표는 부압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박리롤(210)이 하강하여 백패드(6)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면서 백패드(6)를 박리하기 때문에, 베이스(10)는 정방향(F)을 향하여 진행하게 된다. 이 때, 베이스(10)가 박리롤(210) 표면의 접선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다소 빠른 속도로 박리롤(210)이 회전한다. 여기서 박리롤(210)의 회전 속도란 백패드(6)와 접점에서의 접선속도를 의미한다.
도 11d를 참조하면, 박리롤(210)의 흡입공들(238)에는 여전히 부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박리롤(210)이 제자리 회전하며 백패드(6)를 더 많이 박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당연히 베이스(10)도 정방향(F)을 향하여 더욱 많이 이송되어 있다.
도 11e를 참조하면, 캐리어(4)로부터 백패드(6)가 완전히 박리되기 직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박리롤(210)이 상승하면 백패드(6)가 캐리어(4)로부터 완전히 박리될 수 있다.
도 11f를 참조하면, 박리롤(210)이 상승하여 커터(242)로 백패드(6)를 자르기 위하여, 커터(242)가 커터홈(213)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도 여전히 흡입공들(238)에는 부압이 가해지고 있으며, 베이스(10)는 이미 박리롤(210)을 지나친 상태이다.
도 11g를 참조하면, 커터(242)가 커터홈(213)를 따라 이동하며 백패드(6)를 자른 직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박리롤(210)의 상단으로부터 백패드(6)가 벌어지며 박리롤(210)로부터 분리되고 있다.
도 11h를 참조하면, 흡입공들(238)에 인가되던 부압이 해제되어 박리롤(210)로부터 백패드(6)가 분리된 후 자유낙하 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는 박리롤(210)의 승하강, 베이스(10)의 이동, 그리고, 흡입공(238)에 인가되는 부압에 의하여 캐리어(4)로부터 백패드(6)를 박리할 수 있고, 커터부재(240)에 의하여 박리롤(210)이 빠른 시간 내에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 도 11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베이스(10)는 정지되어 있고, 박리롤(210)이 백패드(6)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며 백패드(6)를 박리하게 된다.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 모두, 박리롤(210)과 백패드(6)가 서로 상대운동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공통점이 있으며, 제1 실시예에 의하여 백패드(6)가 캐리어(4)부터 박리되는 과정은,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11c ~ 도 11e의 상태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백패드(6)를 부압으로 흡착하는 것 대신, 접착제 등(232)으로 백패드(6)를 박리롤(210)의 표면에 부착하고, 도 11f와는 달리 박리롤(210)이 상승하지 않으며, 박리롤(210)이 커터부재(미도시)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한 후에 커터(미도시)에 의하여 박리롤(210)로부터 백패드(6)가 잘려지고, 수작업으로 접착제 등(232)에 부착되어 있는 백패드(6)를 떼어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에 의하면, 박리롤(210)과 베이스(10)의 상대 이동과 박리롤(210)의 회전을 이용하여 백패드(6)를 박리하기 때문에 백패드(6)를 캐리어(4)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백패드(6)의 박리 작업을 준자동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박리롤(210)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흡입공(238)이 배열되고, 이 흡입공(238)이 백패드(6)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백패드(6)를 확실히 흡입하기 때문에 백패드(6)의 꼭지점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아서, 백패드(6)가 박리 과정 중에 찢어질 가능성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다.
게다가, 균일한 힘과 균일한 속도로 백패드(6)가 캐리어(4)로부터 박리되기 때문에 백패드(6)가 깨끗하게 박리되며, 새로운 백패드(6)를 캐리어(4)에 부착하기 위하여 캐리어(4)의 상면을 닦아내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구조 프레임 4 : 캐리어
6 : 백패드 10 : 베이스
11 : 평행 이송기 12 : 캐리어 결합부
14, 14C, 14M : 베이스 보강부 16 : 고정 부재
40 : 베이스 구동부 42 : 이송 벨트
44 : 컨베이어 롤러 45 : 갭부재
46 : 컨베이어 구동기 50 : 이송 레일
52 : 슬라이더 54 : 베이스 레일
210 : 박리롤 212 : 박리롤 본체
213 : 커터홈 216 : 박리롤 회전축
218 : 박리롤 구동기 220 : 액츄에이터
230 : 부착부재 231 : 부착부
232 : 접착제 등 234 : 부압관
236 : 공기 흡입기 238 : 흡입공
240 : 커터부재 241 : 커터부재 구동기
242 : 커터 244 : 커터부재 벨트
246 : 커터부재 롤러 248 : 커터 가이드
6 : 백패드 10 : 베이스
11 : 평행 이송기 12 : 캐리어 결합부
14, 14C, 14M : 베이스 보강부 16 : 고정 부재
40 : 베이스 구동부 42 : 이송 벨트
44 : 컨베이어 롤러 45 : 갭부재
46 : 컨베이어 구동기 50 : 이송 레일
52 : 슬라이더 54 : 베이스 레일
210 : 박리롤 212 : 박리롤 본체
213 : 커터홈 216 : 박리롤 회전축
218 : 박리롤 구동기 220 : 액츄에이터
230 : 부착부재 231 : 부착부
232 : 접착제 등 234 : 부압관
236 : 공기 흡입기 238 : 흡입공
240 : 커터부재 241 : 커터부재 구동기
242 : 커터 244 : 커터부재 벨트
246 : 커터부재 롤러 248 : 커터 가이드
Claims (15)
- 캐리어에 부착된 백패드를 박리하기 위한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백패드의 박리를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커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따라 형성된 커터홈을 가지는 박리롤;
상기 커터홈에 삽입되는 커터를 구비하는 커터부재; 및
상기 백패드의 선단을 상기 박리롤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백패드의 선단이 상기 박리롤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박리롤의 상대 이동과 상기 박리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백패드를 박리할 수 있고,
상기 커터홈에 커터를 삽입시켜 상기 박리된 백패드가 상기 박리롤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박리된 백패드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박리롤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이 위치할 수 있는 상기 박리롤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흡입공들; 및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을 상기 박리롤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공들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흡입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롤을 상기 백패드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박리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홈의 길이 방향 양끝단 사이를 왕복할 수 있는 양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은 상기 베이스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박리롤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박리롤의 길이 방향 외면에 마련된 부착부; 및
상기 백패드의 시작단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부에 마련된 접착제, 접착 테이프, 점착제, 점착 테이프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들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박리롤의 회전축과 연통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공기 흡입기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기와 상기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부압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상기 캐리어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베이스 구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동부는 컨베이어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각부의 하중을 지지하며 지면에 놓이는 구조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가 상기 캐리어의 부착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롤링현상을 일으키며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구동부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이송 레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구동부와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와 상기 구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레일;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레일에 올려진 채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78323A KR101488447B1 (ko) | 2012-07-18 | 2012-07-18 |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78323A KR101488447B1 (ko) | 2012-07-18 | 2012-07-18 |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1670A KR20140011670A (ko) | 2014-01-29 |
KR101488447B1 true KR101488447B1 (ko) | 2015-02-12 |
Family
ID=5014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78323A KR101488447B1 (ko) | 2012-07-18 | 2012-07-18 |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84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2642A (zh) * | 2020-03-05 | 2020-06-05 | 广东生波尔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背板与产品的自动分离机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1855A (ko) * | 2002-09-05 | 2004-03-11 |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 유리기판의 필름 제거장치 |
KR20070094435A (ko) * | 2006-03-16 | 2007-09-20 | 황위밍 | 필름 박리 장치 |
KR20090090795A (ko) * | 2008-02-22 | 2009-08-26 | 김민협 | 유리판넬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
-
2012
- 2012-07-18 KR KR20120078323A patent/KR101488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1855A (ko) * | 2002-09-05 | 2004-03-11 |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 유리기판의 필름 제거장치 |
KR20070094435A (ko) * | 2006-03-16 | 2007-09-20 | 황위밍 | 필름 박리 장치 |
KR20090090795A (ko) * | 2008-02-22 | 2009-08-26 | 김민협 | 유리판넬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1670A (ko) | 2014-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4727198U (zh) | 贴胶条装置 | |
JP4692924B2 (ja) | 保護シート分離方法及び保護シート分離装置 | |
CN106965524B (zh) | 粘接片粘贴装置以及粘贴方法 | |
CN102958678A (zh) | 膜贴附设备和贴附方法 | |
KR20080078564A (ko) |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 |
JP2013056813A (ja) | 帯状板ガラスの割断方法及び割断装置 | |
KR101466343B1 (ko) | 자동 밴딩 유닛 및 그것을 갖는 배터리 셀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설비 | |
KR101488447B1 (ko) | 유리판용 백패드 박리 장치 | |
JP2015231869A (ja) | 貼付装置およびフィルム供給装置 | |
CN211918072U (zh) | 除尘组件、丝印装置和玻璃盖板丝印设备 | |
CN211140967U (zh) | 一种送纸机构 | |
KR101689755B1 (ko) | 플로트 유리판 연마용 캐리어의 백패드 교체 시스템 | |
CN211807831U (zh) | 一种气泡消除装置以及生产线 | |
CN114394463B (zh) | 一种自动换卷的无粘性物料收卷装置 | |
JP2010024038A (ja) | 樹脂シート貼着装置 | |
KR101130010B1 (ko) | 평판 디스플레이용 필름필터 부착장치 | |
CN110839595B (zh) | 一种赤眼蜂蜂卡包装机 | |
CN210028097U (zh) | 拉膜装置 | |
JPH08301630A (ja) | ガラス板折割り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ガラス板加工装置 | |
JP2003276914A (ja) | ロール紙の仕立て装置 | |
KR20140012230A (ko) | 유리판용 캐리어 세팅 장치 | |
JP2003276715A (ja) | タブテープ貼付ヘッド及びタブテープ貼付装置 | |
KR20230047841A (ko) | 무기재테이프 형상가공장치 | |
CN210682717U (zh) | 一种胶带裁切转移装置 | |
KR102087239B1 (ko) | 부착식 광고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