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006B1 -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유연성 평판 시트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유연성 평판 시트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006B1
KR101488006B1 KR20080084422A KR20080084422A KR101488006B1 KR 101488006 B1 KR101488006 B1 KR 101488006B1 KR 20080084422 A KR20080084422 A KR 20080084422A KR 20080084422 A KR20080084422 A KR 20080084422A KR 101488006 B1 KR101488006 B1 KR 10148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heet
holding
state
base uni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215A (ko
Inventor
만프레드 야코비
귄터 렌쯔
볼프강 스타르크
칼-하인쯔 빈터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2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2Vehicular structural memb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67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of skin on fram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 장치.
2.1.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차양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유연성 평판 시트(100)에 가이드 수단들(106)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해 제공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2. 본 발명에 따라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되는 유연성 평판 시트(100)의 영역 중 Y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는 홀딩 영역들(102a, 102b)은 Y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전 설정된 예압력(Fv)이 가해짐에 따라 상호 간에 서로 이격 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예압 상태가 달성된다. 그런 후에 상기 예압 상태에 상응하거나, 또는 이 예압 상태와 비하여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S3)만큼 Y 방향으로 이완되는 예압 상태에 상응하는 부가 처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X 방향으로 연장되고 Y 방향으로는 서로 이격되는 가이드 수단들(106)이 평판 시트(100)에 고정된다.
2.3. 본원의 방법에 의해 차양 시스템용 평판 시트의 제조가, 특히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유연성 평판 시트의 제조 장치{Method for attaching guide means on a flexible flat shaped sheet and preparation device for the latter}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차양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들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 특히 차량용 차양 시스템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가이드 수단들을 부착하기 위한 유연성 평판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연성 평판 시트를 구비한 롤러 차양 시스템(roller sun visor system)은 차량에서 다양한 용도로 적용된다. 트렁크 커버와 분리망 이외에도, 특히 롤러 차양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는 평판 시트를 포함하는 차양 시스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평판 시트는 경우에 따라 또는 영구적으로 개별 창문 표면이나 예컨대 개방된 루프를 덮는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런 평판 시트를 펼쳐진 기능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형태에 따르면, 평판 시트는 펼쳐진 기능 상태에서 양 측면이 차량에 고정되고, 이런 고정은 바람직하게는 홀딩 수단의 정렬 방향으로 평판 시트의 변위를 허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될 시에, 평판 시트는 통상적으로 예압된 상 태로 차량에 적용되고, 이때 그 예압은 평판 시트가 노화 및 환경 조건에 따른 일련의 영향으로 간섭을 야기하는 처짐 현상을 나타내지 않을 정도로 치수화된다.
차량에서 예압된 상태로 적용되는 상기와 같은 평판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평판 시트의 측면의 가이드 수단들이 차량에 고정되는 대응하는 가이드 수단들보다 더욱 극미한 정도로 적게 상호 간에 이격되어 부착된다. 그 결과 차량에 적용할 시에 강제적인 신장의 결과로 예압이 생성된다.
차량에 고정되는 가이드 수단들의 이격 간격과 비교하여 평판 시트에 제공되는 가이드 수단들의 이격 간격이 더욱 작게 구성되는 통상적인 공정에서 단점으로 간주되는 점은, 위와 같은 공정이 유연성 평판 시트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재료에 따라 서로 매우 다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비록 평판 시트 측면에 제공되는 가이드 수단들이 인장 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항상 동일한 이격 간격으로 평판 시트에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적용된 상태에서 인장력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너무 높을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너무 낮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개시되는 단점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방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되는 유연성 평판 시트의 영역 중 Y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는 홀딩 영역들이 Y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전 설정된 예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그에 따라 예압 상태가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에 이어서 상기 예압 상태에 상응하거나, 또는 이 예압 상태에 비하여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만큼 Y 방향으로 이완되는 예압 상태에 상응하는 부가 처리 상태에서 특히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X 방향으로 연장되고 Y 방향에서는 서로 이격되는 가이드 수단들이 평판 시트에 고정된다.
그 결과 Y 방향으로 작용하는 예압력에 의해, 평판 시트는 신장되며, 그로 인해 이미, 이후 차량에서 이루어질 장착 상황에 상응하는 상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예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이후 차량에 적용된 평판 시트 내부에 존재하는 인장력에 상응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평판 시트에서 이루어지는 신장 거리는 확정적으로 사전 설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그 신장 거리는 평판 시트의 성질에 따라, 특히 그 평판 시트의 탄성 계수와 그리고 인가된 예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예압 상태가 달성된 이후에, 이어서 인장된 상태로 가이드 수단들은 상호 간에 사전 설정된 이격 간격으로 고정된다. 이런 사전 설정된 이격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상황에서의 이격 간격에 상응하거나, 또는 이 이격 간격과 비교하여 이완 거리만큼 감소된 간격에 상응한다. 이런 점은 가장 간단한 경우에 앞서 달성된 예압 상태에 상응하는 부가 처리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상기 부가 처리 상태가 예압 상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만큼 이완될 때까지 편향될 때이다. 그에 따라 예압 상태에서 전술한 한계 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홀딩 영역들의 이격 간격은 위의 변형예의 경우 이완 거리만큼 감소한다. 이런 이완은 장점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인장 상태가 감소한 경우에 평판 시트에서 가이드 수단들의 고정은 고정 방법에 따라 더욱 용이하면서도 품질 측면에서도 더욱 개선되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특히 접착제로 고정이 이루어질 때 적용된다. 왜냐하면, 접착제가 이용되는 경우 이완을 통해, 평판 시트가 보다 덜 인장된 상태에서 가이드 수단들을 접착할 수 있고, 이런 점은 접착제의 내구성에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접착을 통한 고정 이외에도, 다른 고정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이드 수단들을 봉제하거나, 또는 리벳팅을 통해 유연성 평판 시트에 고정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힘이나, 사전 설정된 거리라고 하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형적인 평판 시트의 가공 공정 동안 언제나 균일하게 유지되는 힘 또는 거리이다. 그러므로 사전 설정된 힘과 거리 각각은 평판 시트의 특정한 특성에 따라 적용되지 않는다.
가이드 수단들 자체는 다양한 형식 및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가이 드 수단의 본질적인 특성은, 평판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차량에 고정된 가이드 수단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수단들은 예컨대 2개의 가이드 스트립을 포함하고, 이들 중 일측의 가이드 스트립은 덮일 영역의 우측에서, 그리고 타측의 가이드 스트립은 상기 영역의 좌측에서 차량에 제공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 내에 삽입된다.
본원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X 방향으로 범위 한정되는 평판 시트가 자체 전체 길이에 걸쳐 Y 방향에서 대부분 균일한 예압력으로 가압되는 그런 분리된 방법으로서 실행된다. 이 평판 시트의 X 방향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한 대용으로 제공되는 평판 시트의 길이에 상응한다. 그러나 그 길이를 여러 대의 차량을 위한 충분한 크기로 선택하고, 가이드 수단들이 고정된 후에 비로소 평판 시트를 X 방향에서 더욱 작은 부분 구간으로 절단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처럼 분리된 방법으로서 본원의 방법을 구성하는 것 이외에도, 연속적인 방법 또는 부분 분리된 방법으로서 구현할 수도 있다. 연속적인 방법으로서 본원의 방법을 실행하면, 평판 시트로서는 우선 X 방향으로 범위 한정되지 않은 평판 시트, 다시 말해 연속 평판 시트가 이용된다. 이런 평판 시트는 본원의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연속해서 통과하면서 우선 사전 설정된 예압력으로 예압되고, 그런 다음 추가의 공정에서 가이드 수단들을 구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순수하게 연속되는 방법으로서 구현할 시에 가이드 수단들도 연속 가이드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반면, 부분 분리된 방법에서 그 가이드 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에 필요한 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제공된다.
본원의 방법의 개선 실시예에 따라, 사전 설정된 예압력을 힘을 인가하는 단계 이전의 추가 단계에서 유연성 평판 시트는 Y 방향에서 상기 예압력과 비교하여 더욱 큰 초과 신장력을 공급받는다. 이런 초과 신장력으로 인해 직물의 평판 시트에서 제조 및 운송에 따른 간섭 요소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런 초과 신장력에 의해 특히 직물 평판 시트의 스티치들은 서로 당겨지며, 그리고 혹시라도 직물에 존재하는 실 고리 등도 일직선으로 당겨진다. 그에 따라 초과 신장력에 의해 후행하는 단계를 위한 특히 균일한 출발 상황이 형성된다. 초과 신장력에 의한 힘 인가는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방법의 이후 공정에서 예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단과 동일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처럼 개선되는 본원의 방법의 실시예는 장치를 고려할 때 경제적이면서도 높은 추가 비용도 요구하지 않는다.
본원의 방법의 개선 실시예에 따라, 평판 시트는 예압력이 공급되는 동안 홀딩 영역들에서 홀딩 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그리고 이런 홀딩 수단은 별도로 취급할 수 있는 공동의 홀딩 장치의 부분이다. 이와 관련하여 예압력을 인가하기 전에, 평판 시트는 홀딩 장치 내부에 삽입되고, 홀딩 수단은 고정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예압력을 인가하기 전에, 홀딩 장치는 예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로딩 장치(loading device)에 안착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로딩 장치에 결합된다. 이처럼 개선되는 본원의 방법의 실시예는 비용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유형 및 방식으로 본원의 방법의 실행을 허용한다. 로딩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만 그 로딩 장치에 결합되는 홀딩 장치는 후행하는 처리 단계에서 평판 시트의 제조 또는 재가공의 범위에서 로딩 장치와는 다른 장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홀딩 장치가 로딩 장치에 안착되기 전이라면, 평판 시트를 홀딩 장치에 삽입할 때 강한 힘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이와 동일하게 생각해 볼 수 있으면서 본원의 개선 실시예에 포함되는 점에 따라, 홀딩 장치는 우선 로딩 장치와 연결되거나 또는 그 로딩 장치에 결합되고, 그런 후에 비로소 평판 시트가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로딩 장치상에 홀딩 장치를 안착시킨다라는 표현은, 로딩 장치와 홀딩 장치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연하면, 이런 연결을 통해, 홀딩 수단들을 서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부하가 로딩 장치에 의해 인가될 시에, 홀딩 수단들이 로딩 장치의 운동에 종속되는 방식으로 최소한 로딩 장치에 홀딩 장치가 배치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홀딩 장치가 로딩 장치에 안착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로딩 장치에 결합되며, 그리고 이때 결합은 로딩 장치상에서 홀딩 장치가 고정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런 고정은 적어도 Y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로딩 장치와 홀딩 장치를 연결한다. 특히 이런 점은 홀딩 클로(claw), 조인트 핀 또는 유사한 연결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연결 수단들은 로딩 장치에 홀딩 장치가 안착된 후에 형태 고정되게끔 로딩 장치에 홀딩 장치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회동 되거나 변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방법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라 부가 처리 상태에 도달할 시에, 홀딩 수단들의 이격 간격은 고정 수단들에 의해 고정된다. 이런 고정 수단들은 예압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힘을 공급하는 수단들과 다른 수단이다. 이런 고정 수단들은 부가 처리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도, 이와 관련 하여 힘을 공급하는 수단들이 계속해서 자체의 인장 상태로 유지되지 않아도 되게끔 한다. 특히 힘을 공급하는 수단이 로딩 장치의 일부분인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의 고정 수단들에 의하여, 홀딩 장치가 그 고정 수단들을 통해 로딩 장치로부터 분리되어도 형성된 부가 처리 상태가 손실되지 않는 점이 달성될 수 있다.
본원의 방법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로딩 장치로부터 홀딩 장치가 분리되는 점은 부가 처리 상태가 달성된 후에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한편으로 바로 다음에 예압 상태로 예압될 평판 시트를 위해 직접적으로 로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다른 한편으로 부가 처리 상태로 전환된 평판 시트는 곧바로 후행하는 작업 스테이션에서 부가 처리되는데, 특히 그 평판 시트가 가이드 수단들을 구비하게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특히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유연성 평판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홀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런 홀딩 어셈블리들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되는 평판 시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 홀딩 어셈블리들은, 서로 평행하면서도 서로 마주보는 2개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평판 시트가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Y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원의 장치는 또한 로딩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런 로딩 수단들에 의해 두 홀딩 어셈블리의 상호 간 이격 간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컨대 차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해 우선적으로 인장 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판 시트를 평행한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고정하 고 그런 다음 유연성 평판 시트 내에서 Y 방향으로 예압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장자리 영역들을 서로 이격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홀딩 어셈블리들은 바람직하게는 간편하게 개방 및 폐쇄되고 그에 따라 평판 시트의 신속한 고정 및 신장을 허용하는 클램핑 어셈블리로서 형성된다. 로딩 수단들은, 사전 설정된 신장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로딩 수단들은 경로와 무관하게 신장력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며, 그에 따라 그 신장력이 달성될 때까지 평판 시트가 인장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신장력의 사전 설정 후에 평판 시트 내 응력이 사전 설정된 신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평판 시트가 신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판 시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딩 어셈블리들은 바람직하게는 X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평판 시트는 더욱 긴 길이, 예컨대 적어도 200mm에 걸쳐 선 모양으로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고정된다.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홀딩 어셈블리들은 또한 점 형태로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런 경우 각각의 홀딩 어셈블리에는 X 방향으로 이격 지정되는 홀딩 지점들이 할당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홀딩 지점들은 최대 200mm 만큼, 바람직하게는 최대 100mm 만큼 서로 이격되고, 각각 홀딩 어셈블리마다 상기 홀딩 지점들 중 적어도 3개의 홀딩 지점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본원의 장치가 고정 수단을 이용할 때이다. 이런 고정 수단들을 이용하여 홀딩 어셈블리들의 이격 간격은 가변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 수단을 이용한 가변식 고정으로 인해, 신장력이 사전 설정될 때 홀딩 어셈블리들에 대해 조정되지만 사전 설정되지 않은 이격 간격이 달성된 후에, 그에 따른 상태가 유지된다. 로딩 수단들은 상기 고정 수단들이 존재할 시에 그 고정 수단들이 고정된 후에 분리될 수 있으면서도, 그로 인해 홀딩 어셈블리들에서 달성된 이격 상태는 손실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고정 수단으로 인해, 홀딩 어셈블리들은 목표하는 이격 간격을 달성한 후에는 로딩 수단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원의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본원의 장치는 이 장치를 목표한 바대로 사용할 시에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프레임 유닛은 홀딩 어셈블리와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베이스 유닛은 로딩 수단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양한 유닛으로 분리함에 따라, 특히 유연한 적용이 이루어진다. 이런 개선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유닛들로 분리한다는 표현은, 프레임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이 목표한 바대로 이용되는 범주에서 평판 시트의 가공을 위해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유닛들은 바람직하게는 안착이나, 또는 적어도 공구를 이용하지 않는 연결에 의해 유닛들 간의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적합하게 조정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유닛들 간의 연결부에 의해서는 로딩 수단들로부터 인가된 간격 유지력이 홀딩 어셈블리들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과 프레임 유닛은, 프레임 유닛이 Y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 상에 안착 됨으로써 Y 방향과 관련하여 형태 고정되도록 베이스 유닛과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적합하게 조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프레임 유닛의 더욱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그로 인해 프레임 유닛은 간단하게 들어 올려짐으로써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이어서 다른 프레임 유닛 또는 그 동일한 프레임 유닛이 간단하게 안착 됨으로써 그 베이스 유닛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Y 방향의 형태 고정식 연결이라는 표현은, 베이스 유닛 상에 프레임 유닛이 안착된 직후에 로딩 수단에 의해 홀딩 어셈블리들에 힘이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Y 방향의 형태 고정 연결은 2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다시 말해 홀딩 어셈블리들 사이의 이격 간격의 단축뿐 아니라, 그 홀딩 어셈블리들 사이의 이격 간격의 확대가 로딩 수단에 의해 확실하면서도 재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유닛과 프레임 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커플링 수단이 제공된다. 이런 커플링 수단들은, Y 방향의 연결을 제공할 뿐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3방향 모두의 공간 방향으로, 하지만 적어도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과 프레임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 간주된다. 비록 전술한 유형 및 방식으로 프레임 유닛의 순수한 안착만으로도 충분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커플링 수단들을 이용한 추가의 연결을 통해 증가된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라, 고정 수단은, 베이스 유닛과 프레임 유닛을 연결할 시에 자동으로 잠금 해제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런 자동 잠금 해제에 의해 고정 수단은 곧바로 다시 로딩 수단에 의한 힘 인가 전에 유지되던 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다른 별도의 잠금 해제는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은 압력이 제어되는 고정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존재하는 매체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에 배치된다. 압력 제어식 고정 수단으로서의 고정 수단의 구성은 특히 간단한 구성을 허용한다. 고정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공급되는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제어가 이용된다. 특히 목적에 부합하는 경우는, 고정 수단이 매체 압력이 낮거나 영(0)일 때 고정 상태를 취하고, 매체 압력이 고압일 때는 고정 해제된 상태를 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때이다. 그에 따라 프레임 유닛이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때 압력이 존재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고정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 내에 추가로 매체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이런 제어 수단은 부가 처리 상태를 달성한 후에 매체 압력을 강하시키고 그에 따라 고정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끔 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라, 이동 거리계 및/또는 동력계가 제공된다. 이동 거리계는 두 홀딩 어셈블리의 이격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동력계는 Y 방향으로 평판 시트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원의 장치의 목표하는 기능은 이미 로딩 수단들만이 제어되고 그에 따라 폐쇄 제어 회로 없이도 작동됨으로써 보장될 수 있는 반면에, 추가의 동력계에 의해서는 폐쇄 제어 회로가 형성되며, 이런 폐쇄 제어 회로에 의해 특히 재현 가능한 방식의 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런 경우 로딩 수단들은 특히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로딩 수단들은 직접적으로 사전 설정된 예압력을 생성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될 필요가 없을뿐더러, 홀딩 어셈블리들의 가변식 이격 간격을 실현할 수 있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이격 간격은 인가된 힘이 사전 설정된 예압력에 상응하게 될 때까지 그 인가된 힘에 따라서 증가할 수 있다. 이동 거리계는 특히 사전 설정된 예압에 도달한 후에 삽입 고정된 평판 시트를 사전 설정된 거리만큼 이완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설정된 예압이 도달할 때 이격 간격이 기록된다. 이에 이어서 로딩 수단에 의해 공급된 힘은 그 기록된 이격 간격이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만큼 감소할 때까지 단축된다.
본원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출력 신호를 송출하고 그리고/또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출력 신호 및 입력 신호는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은 청구항뿐 아니라 다음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한 설명으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시에 재현되는 다양한 단계에 따라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들이 감소 또는 제거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에 앞서, 다음에서 도 2 에 따라 본원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장치의 개별 컴포넌트(component)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본원의 장치는 2개의 유닛, 즉 프레임 유닛(frame unit; 10)과 베이스 유 닛(base unit; 5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유닛(10)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홀딩 어셈블리(holding assembly; 20a, 20b)를 포함하고, 이 홀딩 어셈블리들은 각각 X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각각은 클램핑 바(clamping bar; 22a, 22b)와 이 클램핑 바(22a, 22b)에 대하여 Z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클램핑 브래킷(clamping bracket; 24a, 24b)을 포함한다. 클램핑 바들(22a, 22b)과 그 각각에 할당된 클램핑 브래킷들(24a, 24b)은 마찬가지로 X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각각은 서로 향해 있는 클램핑 표면(26a, 26b)을 포함한다.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관 장치들(3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관 장치들(30)은 각각 텔레스코프(telescope) 형태로 수축될 수 있는 관들(30a, 30b)로 구성되며, 그리고 홀딩 어셈블리들의 상호 간에 가변적인 이격 간격을 허용한다. 그리고 압축 공기 브레이크(40)에 의해서는 앞서 달성된 임의의 이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50)은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2개의 안착 블록(60a, 60b)을 포함한다. 우측 안착 블록(60b)은 홀 바닥(52)(hall floor)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반면에, 좌측 안착 블록(60a)은 Y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홀 바닥(52)에는 지지판(62)이 배치된다. 이 지지판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 유형 및 방식으로 안착 블록(60a)의 밑면과 함께 선형 베어링을 형성한다. 안착 블록(60a)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위치 고정된 로딩 장치(loading apparatus; 70)가 제공된다. 이 로딩 장치는 링키지(linkage; 72)를 통해 안착 블록(60a)과 연결된다. 이런 링키지(72)는 로딩 장치(70)를 통해 Y 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안착 블록(60a)의 이동이 야기될 수 있다.
추가적인 컴포넌트로서 베이스 유닛(50)은 압축 공기 공급원(80)을 포함한다. 이 압축 공기 공급원은 호스(82)를 통해 프레임 유닛의 압축 공기 브레이크(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압축 공기 공급원(80)과 로딩 장치(7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90)가 제공된다.
방법의 순서와 관련해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시점에서는 우선,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된 평판 시트(100)가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프레임 유닛(10)에 삽입된다. 그럼으로써 평판 시트는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의 클램핑 표면들(26a, 26b)의 영역 내에까지 신장된다. 이에 뒤이어 클램핑 브래킷(24a, 24b)이 내려지고, 그럼으로써 평판 시트(100)의 가장자리들(102a, 102b)이 클램핑 바들(22a, 22b)과 클램핑 브래킷들(24a, 24b)의 클램핑 표면들(26a, 26b) 사이에 고정된다. 이 시점에서 평판 시트(100)는 아직 인장 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는 도 2 에 도시된 상태이다.
위의 인장 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 유닛(10) 전체는 평판 시트(100)와 함께 베이스 유닛(50)에 설치되며, 그럼으로써 클램핑 바들(22a, 22b)은 각각 Y 방향에서 형태 고정되는 방식으로 안착 블록들(60a, 60b) 내에 고정된다. 이에 뒤이어 압축 공기 호스(82)는 압축 공기 브레이크(40)와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압축 공기 브레이크에는 그 자체의 밑면에 연결 장치(42)가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달성된 상태는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후속하는 단계들의 보다 나은 이해 를 위해, 그에 따른 상태에서 평판 시트(100)의 왼쪽 테두리가 위치하는 위치(104a)가 도 3 에 식별 표시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50) 및 프레임 유닛(10)이 Y 방향과 관련하여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도 3 의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안착 블록(60a)이 변위 되기 시작한다. 이를 위해 링키지(72)는 로딩 장치(70)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출되며, 이런 인출 작동은 사전 설정된 초과 신장 위치까지, 또는 사전 설정된 초과 신장력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블록(60a)의 변위를 통해,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의 이격 간격도 확대되고, 그에 따라 평판 시트(100)의 신장이 야기된다. 확대된 이격 간격은 평판 시트(100)의 좌측 테두리의 위치(104b)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변위의 정도는 S1로 식별 표시되어 있다. 평판 시트(100)가 강하게 신장됨에 따라, 평판 시트(100)는 매우 균일한 상태로 전환된다. 왜냐하면, 직물 평판 시트(100)의 스티치(stitch)들이 Y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당겨지고, 그럼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실 고리 등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에 이어서, 도 4 의 초과 신장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안착 블록(60a)은 다시 그 자체의 출발 위치를 향하여 복귀되며, 이런 이동은 사전 설정된 예압력(preset preload; FV)이 평판 시트에 인가되었을 때 종료된다. 예압력(FV)은 장착된 상태에서 평판 시트(100) 내부에서 Y 방향으로 존재하는 신장력에 상응한다. 안착 블록(60a)이 도 4 의 상태와 그 후에 달성된 도 5 의 상태 사이에서 이동한 거리(S2)는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상기 예압력(FV)이 평판 시트(100)에 존재하는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도 5 의 상태가 달성되고, 이에 평판 시트(100)의 좌측 가장자리와 관련하여 수반되는 위치(104c)에 도달하면, 곧바로 안착 블록(60a)의 위치는 제어 장치(90)에 의해 산출되고, 그 다음으로 평판 시트의 좌측 가장자리가 위치(104d)에 도달할 때까지, 안착 블록(60a)은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S3)만큼 추가로 좌측으로 변위된다. 이런 상태에서 평판 시트(100)는 여전히 Y 방향의 인장 응력 하에서 유지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성되는 감압된 예압 상태에서, 압축 공기 브레이크(40)에 공급된 공기 압력도 강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압축 공기 브레이크는,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 사이에서 상호 간에 대항하여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는 연결관(30)의 관들(30a, 30b)을 서로에 대항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이어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궁극적으로 호스(82)가 압축 공기 브레이크(4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40)로 이루어지던 압축 공기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에 이어서 프레임 유닛(10)은 Z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후에 다시 베이스 유닛(50)으로부터 분리된다. 삽입 고정된 평판 시트(100)는 차량 내에서의 설치 상태와 비교하여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S3)만큼 이완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상태는 프레임 유닛(10)에 의해 자동으로 유지된다. 왜냐하면, 압축 공기 브레이크(40)가 부족한 공기 압력을 바탕으로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런 이후에 가이드 스트립(106)을 부착, 특히 접착하기 위해, 프레임 유닛(10)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제2 베이스 유닛 상에 안착된다. 가이드 수단들(106)은 장착된 상태의 이격 간격과 비교하여 이완 거리(S3)만큼 감소된 간격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부착된다. 평판 시트(100)의 간단한 이완을 통해, 평판 시트(100)와 가이드 레일(106) 사이에는 특히 안정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접착이 달성될 수 있다.
본원의 장치의 도식은 단지 개략적인 도로서만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별 구조 부재들의 크기, 특히 평판 시트의 신장 치수는 명확한 도시를 위해 비율과 무관하게 다소 크게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프레임 유닛과 이 프레임 유닛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유연성 평판 시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베이스 유닛에 설치되기 전 삽입 고정된 평판 시트를 포함한 도1에 따른 프레임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은 베이스 유닛 내에 프레임 유닛이 설치된 후 출발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는 평판 시트 내에 초과 신장 상태를 형성한 후에 장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는 평판 시트 내에 예압 상태를 형성한 후에 장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은 이완된 예압 상태를 형성하고 이 상태를 고정한 후 장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은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프레임 유닛을 들어올린 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은 가이드 수단들이 평면 시트에 고정되는 후행하는 작업 스테이션에 위치한 프레임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Claims (14)

  1. 차량용 차양 시스템의 부분인 유연성 평판 시트(100)에 가이드 수단들(106)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된 유연성 평판 시트(100)의 영역 중 Y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된 홀딩 영역들(102a, 102b)이, Y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전 설정된 예압력(FV)이 공급됨으로써 상호 간에 이격되고, 그에 따라 예압 상태가 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예압 상태에 상응하거나, 또는 이 예압 상태와 비하여 사전 설정된 이완 거리(S3)만큼 Y 방향으로 이완된 예압 상태에 상응하는 부가 처리 상태(further processing state)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고 Y 방향에서는 상호 간에 이격된 가이드 수단들(106)이 평판 시트(100)에 고정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예압력(FV)으로 힘이 공급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연성 평판 시트가 상기 예압력(FV)과 비하여 더 큰 초과 신장력을 Y 방향으로 공급받는 추가적인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시트는 예압력(FV)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홀딩 영역들(102a, 102b)에서 각각 홀딩 수단(20a, 20b)에 의해 고정되며, 그리고 이 홀딩 수단들(20a, 20b)은 별도로 취급할 수 있는 공동의 홀딩 장치(10)의 부분이며,
    예압력(FV)으로 힘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평판 시트(100)가 상기 홀딩 장치(10)에 삽입되고 상기 홀딩 수단들(20a, 20b)이 홀딩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홀딩 장치(10)는 예압력(FV)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로딩 장치(50) 상에 안착되는 단계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후속하는 추가 단계로서,
    부가 처리 상태를 달성한 후에, 예압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힘을 공급하는 수단(70)과는 다른 고정 수단(40)에 의해 상기 홀딩 수단들(20a, 20b)의 이격 간격이 고정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후속하는 추가 단계로서,
    상기 부가 처리 상태를 달성한 후에 상기 홀딩 장치(10)가 상기 로딩 장치(50)로부터 분리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후속하는 추가 단계로서,
    상기 부가 처리 상태를 달성하기 전에 상기 홀딩 장치(10)가 상기 로딩 장치(50)로부터 분리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차량용 차양 시스템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가이드 수단들(106)을 부착하기 위한 유연성 평판 시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2개의 홀딩 어셈블리(20a, 20b)가 구비되고, 이 홀딩 어셈블리들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되는 평판 시트(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평판 시트(100)가 2개의 가장자리 영역(102a, 102b)에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이 Y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로딩 수단(70)이 구비되고, 이 로딩 수단에 의해 상기 두 홀딩 어셈블리(20a, 20b)의 상호 간 이격 간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목표한 바대로 이용될 시에 상호 간에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유닛(10, 50)을 포함하고, 그에 따른 프레임 유닛(10)은 상기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 및 고정 수단(40)을 포함하며, 베이스 유닛(50)은 상기 로딩 수단(7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10)이 상기 베이스 유닛(50) 상에 Y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안착 됨으로써 Y 방향과 관련하여 형태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50)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어셈블리들(20a, 20b)의 이격 간격을 가변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고정 수단(4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과 결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커플링 수단(coupling mean)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0)은, 상기 베이스 유닛(50)과 상기 프레임 유닛(10)을 연결할 시에 자동으로 잠금해제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0)은 압력 제어되는 고정 수단(40)으로서 형성되며, 제어 수단은 존재하는 매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계 및/또는 동력계가 제공되고, 상기 이동 거리계는 두 홀딩 어셈블리의 이격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동력계는 Y 방향에서 상기 평판 시트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출력 신호의 송출 및/또는 입력 신호의 수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 장치(9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삭제
KR20080084422A 2007-08-29 2008-08-28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유연성 평판 시트의 제조 장치 KR101488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2196A DE102007042196A1 (de) 2007-08-29 2007-08-29 Verfahren zur Anbringung von Führungsmitteln an einem flexiblen Flächengebilde sowie Vorbereitungsvorrichtung hierfür
DE102007042196.8 200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215A KR20090023215A (ko) 2009-03-04
KR101488006B1 true KR101488006B1 (ko) 2015-01-29

Family

ID=3897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4422A KR101488006B1 (ko) 2007-08-29 2008-08-28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유연성 평판 시트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46226B2 (ko)
EP (1) EP2030822B1 (ko)
JP (1) JP2009057043A (ko)
KR (1) KR101488006B1 (ko)
CN (1) CN101376330A (ko)
DE (1) DE102007042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7620B4 (de) 2011-04-18 2014-05-28 Bos Gmbh & Co. K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Rollosystems und Vorrichtung hierfü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6629A1 (de) * 2002-02-15 2003-08-28 Marconi Comm Gmbh Hermetische Mikrowellendurchführung
DE202006015107U1 (de) * 2006-10-02 2007-01-11 Arvinmeritor Gmbh Führungsschiene für ein Rollo eines Schiebedachsystems
DE102005038373A1 (de) * 2005-08-13 2007-02-15 Fkt Technische Produkte Gmbh Sonnenschutz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3162A (en) * 1954-08-31 1959-07-07 Knowles Reginald Alfred Tensioning arrangement for framed flexible materials
US4660308A (en) 1985-07-29 1987-04-28 The Dow Chemical Company Tentering frame for sheet-like members
DE4481036B4 (de) * 1994-07-05 2006-04-27 Asc Inc., Southgate Sonnenschutz für das Dach eines Automobils
US5937751A (en) * 1996-05-24 1999-08-17 Newman, Jr.; Eugene F. Retensionable screen frame and stretchers
US6493968B2 (en) * 2000-01-11 2002-12-17 Clyde J. Chinitz Frame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tching flexible material
US6439646B1 (en) * 2000-10-23 2002-08-27 Charles S. Cornelius Soft shell camper top including a roof rack for use on a pickup truck
US6662849B1 (en) * 2002-09-16 2003-12-16 Ming-Te Hsiung 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DE10253816B3 (de) * 2002-11-18 2004-02-05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Rollo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306629A1 (de) 2003-02-18 2004-08-26 Großmann, Hans, Dipl.-Ing.(FH) Spannrahmen für Gewebe und Folien
US20050077017A1 (en) 2003-09-03 2005-04-14 Ramsey Robert M. Releas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6629A1 (de) * 2002-02-15 2003-08-28 Marconi Comm Gmbh Hermetische Mikrowellendurchführung
DE102005038373A1 (de) * 2005-08-13 2007-02-15 Fkt Technische Produkte Gmbh Sonnenschutzvorrichtung
DE202006015107U1 (de) * 2006-10-02 2007-01-11 Arvinmeritor Gmbh Führungsschiene für ein Rollo eines Schiebedach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215A (ko) 2009-03-04
US8146226B2 (en) 2012-04-03
US20090056100A1 (en) 2009-03-05
EP2030822B1 (de) 2012-12-19
CN101376330A (zh) 2009-03-04
DE102007042196A1 (de) 2008-02-28
EP2030822A1 (de) 2009-03-04
JP2009057043A (ja)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093B2 (en) Covering device for an interior of an aircraft and a method for covering an interior of an aircraft
US20140116631A1 (en) Roller blind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08523271A (ja) 自動車用減光装置
KR101488006B1 (ko) 유연성 평판 시트에 가이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유연성 평판 시트의 제조 장치
KR2013003995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CN106458144B (zh) 用于具有能移出的带引导元件的安全带的调节设备
KR100906193B1 (ko)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및 천막의 장력 조절장치
US4731151A (en) Apparatus for mounting ready-made headliners into automotive bodies
EP1491312A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schäumten Fahrzeugteils sowie dadurch hergestelltes Dachmodul oder dadurch hergestellter Fahrzeuginnenhimmel
US4728383A (en) Method of mounting ready-made headliners into bodies of automotive vehicles
CN106480626A (zh) 烘房双向调幅装置
DE102010036219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Plane an einem Fahrzeug und Fahrzeug, umfassend eine Befestigungsvorrichtung
US7354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nvertible top
CN114849972B (zh) 一种土工布及制备方法和制备系统
KR101353675B1 (ko) 자동차 내장재 플로어 카펫트의 홀 천공장치
CN215557863U (zh) 一种四膜预浸设备的展纱装置
WO1994026544A1 (en) Operating system for a stowable hood
CN215677782U (zh) 碳纤维复丝拉伸样条性能测试制样张紧设备
CN117571480B (zh) 一种织物面料抗拉伸强度测试仪
CN215320109U (zh) 一种汽车内饰面料自动张紧挂料框
CN220724633U (zh) 一种具有张紧结构的熨烫装置
KR102499243B1 (ko) 장력조절 보상 기능을 갖는 로프타입 펜스
CN218228249U (zh) 一种帆布生产用多层快速压合装置
CN217141886U (zh) 一种蒙皮涨拉机构
KR101829648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로워 크로스 멤버용 양면테이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