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415B1 - 벙커링 선박 - Google Patents

벙커링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415B1
KR101487415B1 KR20130030965A KR20130030965A KR101487415B1 KR 101487415 B1 KR101487415 B1 KR 101487415B1 KR 20130030965 A KR20130030965 A KR 20130030965A KR 20130030965 A KR20130030965 A KR 20130030965A KR 101487415 B1 KR101487415 B1 KR 10148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fuel
evaporative gas
vessel
gas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981A (ko
Inventor
인세환
송용석
이종철
김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벙커링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은, 액화연료 공급선박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bunkering)하기 위한 벙커링 선박으로서, 액화연료 공급선박의 액화연료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로 이송하는 액화연료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체와, 선체에 설치되는 증발가스 회수탱크와, 선체에 설치되어 벙커링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탱크로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벙커링 선박{BUNKERING VESSEL}
본 발명은 벙커링 선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환경규제의 영향력 아래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고, 선박의 운항에 있어서도 공해 물질이 다량 배출되는 디젤 연료를 대신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하는 선박이 각광받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화연료가 액화연료 공급선박으로부터 이를 연료로 하는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액화천연가스는 상압에서 섭씨 -163도의 극저온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극저온 상태의 액화연료가 액화연료 공급선박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추진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될 경우 다량의 증발가스(Boil-off gas)가 발생하며, 연료탱크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고온인 연결배관에서도 증발가스가 다량 발생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증발가스를 재액화하여 저장탱크로 돌려보내는 증발가스 처리장치를 액화연료 공급선박에 설치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대형 액화연료 공급선박은 그 자체의 크기가 엄청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화연료추진선박에 직접 접근하여 액화연료를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안전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경우에 따라 별도의 소형 벙커링 선박을 이용하여 액화연료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가의 재액화 설비를 포함하는 증발가스 처리장치를 이러한 소형 버커링 선박에 모두 구비하는 것은 비용적 측면 등에서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0890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화연료 공급선박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bunkering)할 때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벙커링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연료 공급선박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bunkering)하기 위한 벙커링 선박으로서,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의 액화연료를 상기 액화연료 공급대상물로 이송하는 액화연료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증발가스 회수탱크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벙커링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로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벙커링 선박은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벙커링시 회수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벙커링 선박은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를 통과한 증발가스가 재액화되도록 상기 선체 내의 액화연료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액화연료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가스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가스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액화된 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벙커링 선박은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를 상기 선체 내 증발가스 사용처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는 회수된 증발가스를 가압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벙커링 선박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액화연료를 상기 액화연료 저장탱크로 벙커링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에 저장된 증발가스는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로 공급되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가의 재액화 설비를 개별 선박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벙커링(bunkering) 작업시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벙커링 선박을 이용함으로써, 액화연료 공급선박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을 이용하여 액화연료 공급선박에서 액화연료 공급대상물로 액화연료를 벙커링(bunkering)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을 이용하여 액화연료 공급선박에서 액화연료 공급대상물로 액화연료를 벙커링(bunkering)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은,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하기 위한 벙커링 선박으로서,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를 구비한 선체(110)와, 증발가스 회수탱크(120)와,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이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연결되어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액화연료 공급탱크(12)로부터 액화연료를 공급받는 과정 및 이렇게 공급된 액화연료가 벙커링 선박(100)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벙커링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거친 후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132)을 통해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바로 회수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액화연료를 벙커링 선박(100)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벙커링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거친 후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를 경유한 다음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회수되어 처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이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과 연결되어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의 액화연료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의 액화연료탱크(22)로 공급하는 과정 및 이렇게 공급된 액화연료가 액화연료탱크(22)에 벙커링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하고 난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다시 연결되어 벙커링시 회수한 증발가스를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공급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을 이용하여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하는 과정의 개략적인 흐름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의 과정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의 벙커링 과정을 통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되어 저장된 증발가스는, 도 2의 벙커링이 끝난 후 바로 도 3의 증발가스 처리과정을 통해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증발가스 회수탱크(120)가 허용하는 저장허용용량에 이를 때까지 여러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한 후 이렇게 회수한 증발가스를 도 3의 과정을 통해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연료 공급선박(10)으로부터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마다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고가의 재액화 설비를 각각의 개별 선박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벙커링 작업시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벙커링 선박(100)을 이용함으로써,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벙커링 선박(100)이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공급하는 액화천연가스연료 공급선박과 이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액화천연가스연료 추진선박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여기서 지칭하는 액화연료 공급대상물은, 액체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해상에 계류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선체(110)는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액화연료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로 이송하기 위한 이동수단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를 포함한다.
또한, 선체(110)에는 벙커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증발가스 회수탱크(12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는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액화연료 공급선박(10)에서 벙커링 선박(100)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회수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도 1 참조), 벙커링 선박(100)에서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의 액화연료탱크(22)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회수하여 보관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렇게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된 증발가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공급되어 처리될 수 있다.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는 회수된 증발가스를 예를 들어 가압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는 소정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되는 증발가스는 예를 들어 압력 펌프(160)와 같은 압력장치를 이용하여 가압 압축되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선박(100)에서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앞서 설명한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선체(110)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이다.
즉,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은,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의 액화연료탱크(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굵은 실선 참조) 액화연료탱크(22)와 증발가스 회수탱크(120) 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액화연료 공급탱크(12)로부터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액화연료를 공급(벙커링)할 경우 발생하는 증발가스(즉,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굵은 실선 참조)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거친 후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132)을 통해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바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은, 선체(110)에 설치되며, 액화연료를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벙커링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바로 공급할 수 있는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에에서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30)과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132)이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전후하는 부분에서 라인의 일부를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증발가스 회수라인(130)과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132)은 별개의 라인으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발가스 회수라인(130)과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를 이용하여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벙커링 선박(100)을 구성함으로써,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 다량으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고가의 재액화 설비를 개별 선박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된 증발가스를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공급(도 3의 굵은 실선 참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증발가스를 회수한 다음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공급하여 처리하도록 벙커링 선박(100)을 구성함으로써, 벙커링 과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거나 연소시킬 필요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자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은, 증발가스 회수라인(130) 상에 설치되어 벙커링시 회수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140)는, 증발가스를 소정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증발가스 열교환기(150)에서의 증발가스 액화를 용이하게 하고,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증발가스 압축기(140)의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은,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통과한 증발가스가 재액화되도록 선체(110) 내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에서 공급된 액체연료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가스 열교환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재응축기나 재액화설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열교환기(150)가 재응축기라고 가정한다.
한편, 재응축기(150)에서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에서 공급되는 액체연료는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통과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냉매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화연료 저장탱크(112) 내의 극저온의 액체연료를 냉매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냉매 냉각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선체 건조 단가와 냉매 냉각 시스템 운용 비용 등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의 액체연료가 재응축기(150)의 냉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와 증발가스 재응축기(150)를 상호 연결하는 냉매 공급라인(152)이 선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에서 연장되어 액화연료탱크(22)로 연결되는 액화연료 공급라인(114)에서 일부 라인이 분기되어 증발가스 재응축기(150)와 연결됨으로써 냉매 공급라인(15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증발가스 재응축기(150)를 통과하여 액화된 증발가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에 저장되어 임시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가스 회수라인(130) 상에는 증발가스 재응축기(150)를 통과한 증발가스가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압력 펌프(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회수된 증발가스는, 벙커링 작업 중 또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공급되어 처리(도 3의 굵은 실선 참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은,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를 선체(110) 내 증발가스 사용처(180)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가스 공급라인(17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에서 분기되어 증발가스 사용처(1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가스 사용처(180)는 예를 들어 증발가스를 동력원으로 사용 가능한 선박용 보일러나 발전기나 고압연료 추진엔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벙커링 과정에서 다량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거나 연소시키지 않고 증발가스 회수탱크(130)로 회수하거나 증발가스 사용처(180)로 공급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를 이용하여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회수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100)을 이용하여 액화연료 공급선박(10)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선박(100)과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을 상호 연결하여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액화연료 공급탱크(12)로부터 액화연료를 벙커링 선박(100)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액화연료가 벙커링 선박(100)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 벙커링될 때 증발가스가 다량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발가스(즉,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압축기(140)를 거친 후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132)을 통해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바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벙커링 선박(100)의 액화연료 저장탱크(112)에 액화연료가 채워진 다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선박(100)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을 상호 연결하여 액화연료 저장탱크(112)로부터 액화연료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의 액화연료탱크(2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액화연료가 액화연료탱크(22)에 벙커링될 때 증발가스가 다량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증발가스 회수탱크(120)로 회수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다.
액화연료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의 액화연료탱크(22)에 채우고 난 다음에는, 증발가스 회수탱크(120)에 모아진 증발가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커링 선박(100)과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을 다시 상호 연결함으로써 액화연료 공급선박(10)의 증발가스 처리장치(14)로 공급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가스 회수탱크(120)가 허용하는 저장허용용량에 이를 때까지 여러 액화연료 공급대상물(20)로 액화연료를 벙커링하는 과정을 거친 후, 도 3의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액화연료 공급선박 12: 액화연료 공급탱크
14: 증발가스 처리장치 20: 액화연료 공급대상물
22: 액화연료탱크 100: 벙커링 선박
110: 선체 112: 액화연료 저장탱크
114: 액화연료 공급라인 120: 증발가스 회수탱크
130: 증발가스 회수라인 132: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
140: 증발가스 압축기 150: 증발가스 열교환기
152: 냉매 공급라인 160: 압력 펌프
170: 증발가스 공급라인 180: 증발가스 사용처

Claims (7)

  1. 액화연료 공급선박과 액화연료 공급대상물 간에 액화연료를 벙커링(bunkering)하기 위한 벙커링 선박으로서,
    액화연료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으로부터 액화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액화연료 공급대상물로 이송하는 선체;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으로부터 액화연료를 공급받거나 상기 액화연료 공급대상물로 액화연료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임시 보관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증발가스 회수탱크;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벙커링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로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선체가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에 다시 연결됨으로써,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에 임시 보관된 증발가스는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로 공급되어 처리되는, 벙커링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벙커링시 회수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를 통과한 증발가스가 재액화되도록 상기 선체 내의 액화연료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액화연료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가스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발가스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액화된 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에 저장되는, 벙커링 선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를 상기 선체 내 증발가스 사용처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회수탱크는 회수된 증발가스를 가압상태로 보관하는, 벙커링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액화연료를 상기 액화연료 저장탱크로 벙커링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연료 공급선박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
  7. 삭제
KR20130030965A 2013-03-22 2013-03-22 벙커링 선박 KR10148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965A KR101487415B1 (ko) 2013-03-22 2013-03-22 벙커링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965A KR101487415B1 (ko) 2013-03-22 2013-03-22 벙커링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981A KR20140116981A (ko) 2014-10-07
KR101487415B1 true KR101487415B1 (ko) 2015-01-29

Family

ID=5199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0965A KR101487415B1 (ko) 2013-03-22 2013-03-22 벙커링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4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784B1 (ko) 2016-03-25 2017-06-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lng벙커링용 기화 천연가스 처리장치
KR20190114456A (ko) * 2018-03-30 2019-10-1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벙커링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450B1 (ko) * 2014-12-10 2016-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99411B1 (ko) * 2015-09-04 2016-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944B1 (ko) * 2015-12-08 2020-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08692B1 (ko) * 2017-02-23 2023-12-01 한화오션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6283B1 (ko) * 2017-03-29 2019-10-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6284B1 (ko) * 2017-04-18 2019-10-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KR102296312B1 (ko) * 2017-10-16 2021-08-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및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KR102066633B1 (ko) * 2017-12-05 2020-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선박 및 액화가스 재기화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102482082B1 (ko) * 2018-03-30 2022-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선박
RU2699004C1 (ru) * 2018-10-24 2019-09-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Судно-бункеровщик спг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KR102631184B1 (ko) * 2019-08-14 2024-01-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벙커링라인 쿨링시스템
KR102211433B1 (ko) * 2020-04-20 2021-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2911A (ko) 2021-06-01 2022-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벙커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57767B1 (ko) * 2021-12-02 2024-04-16 한화오션 주식회사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시운전용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661206B1 (ko) 2021-12-17 2024-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벙커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02A (ko) * 2007-07-19 2009-0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00077194A (ko) * 2007-11-12 2010-07-07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Lng 연료 해양 선박의 작업 방법
KR20120075941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공급을 증발가스 재액화에 이용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02A (ko) * 2007-07-19 2009-0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KR20100077194A (ko) * 2007-11-12 2010-07-07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Lng 연료 해양 선박의 작업 방법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20075941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공급을 증발가스 재액화에 이용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784B1 (ko) 2016-03-25 2017-06-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lng벙커링용 기화 천연가스 처리장치
KR20190114456A (ko) * 2018-03-30 2019-10-1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벙커링 선박
KR102438790B1 (ko) * 2018-03-30 2022-09-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981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415B1 (ko) 벙커링 선박
KR102092313B1 (ko) 선박
JP6461988B2 (ja) 蒸発ガス処理システム
ES2646601T3 (es) Método para procesamiento de gas licuado en un barco
KR101640765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8790B1 (ko) 벙커링 선박
KR20170120862A (ko) 선박의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WO2017159548A1 (ja) ボイルオフガス処理システム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JP2019500275A (ja) 天然ガス液化船
KR102297865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1559316B1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40118269A (ko) 잔존 액화가스 회수장치
KR20130127186A (ko) Lfs의 벙커링 시스템
KR10201603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210156638A (ko) 발전 시스템
KR102333068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261397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001569A (ko)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KR20130052937A (ko) 증발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1824421B1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JP2020514649A (ja) 燃料ガス供給システム
KR101584568B1 (ko) 부유식 lng 생산설비 및 이를 이용한 lng 로딩 방법
KR101599355B1 (ko)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60017380A (ko) 액화연료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연료 증발가스 공급 시스템
KR10097659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