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958B1 -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958B1
KR101486958B1 KR20130054454A KR20130054454A KR101486958B1 KR 101486958 B1 KR101486958 B1 KR 101486958B1 KR 20130054454 A KR20130054454 A KR 20130054454A KR 20130054454 A KR20130054454 A KR 20130054454A KR 101486958 B1 KR101486958 B1 KR 10148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using
slider
workpie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494A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Priority to KR2013005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9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더에 편중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디(100)에는 스크류하우징(109)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커버(130)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하우징(109)의 외경과 하우징커버(130)의 내경에는 확경부(140)(150)를 통해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단턱(141)(15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단턱(141)(151) 사이에는 스크류하우징(109)에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160)이 장착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concentrated pressurized protection for pressure reinforcement vise}
본 발명은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더에 편중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스(vise)는 가공 대상 공작물을 가압력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공작물에 대한 가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압력 증강형, 즉 증압(증력)형 바이스가 알려져 있으며, 이 증압형 바이스의 원리 및 구조는 작업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1차 가압과 2차 가압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증압형 바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증압형 바이스의 일반적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베이스 테이블에 놓이는 바디(10)가 있고, 바디(10)의 윗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슬라이더(11)가 설치되며, 슬라이더(11)와 나란한 평행 방향으로 메인스크류(12)가 끼워져 결합된다.
메인스크류(12)는 일단이 슬라이더(11)와 결합되고 다른 쪽으로는 공작물(13)에 가압력을 가압된 힘으로 전달하는 압력 증강장치(14)가 설치되어 압력 증가장치(14)로부터 미는 힘을 순간적으로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 증강장치(14)는 다양한 형식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584178호의 "바이스 압력 증강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67055호외 관련 기술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압력 증강장치(14)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으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술된다.
증압형 바이스는 메인스크류(12)가 핸들(15)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인너스크류(16)의 회전력을 받아 일정 스트로크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인너스크류(16)의 일부분은 압력 증강장치(14)측 가압돌출부(17)의 대향면에 위치하여 증강장치(14)를 가압할 수 있는 증강장치 가압나사(18)가 스크류하우징(19)과 나사결합되어 있다.
인너스크류(16)에는 홈(20)이 형성되어 그 홈(20)을 따라 스프링(21)이 안착 되어 있고, 그 윗면에는 강구(22)가 안착 되어 있으며 스크류하우징(19)에는 강구(22)와 일치하는 지점에 멈춤구멍(23)이 뚫려져 있다.
이와 같이 인너스크류(16)는 스크류하우징(19)을 따라 설치되어 인너스크류(16)의 회전 위치에 따라 멈춤구멍(23)에서 멈추거나 스프링(21)을 압축시키면서 멈춤구멍(23)을 이탈하여 스크류하우징(19)은 회전하지 않고 인너스크류(16)만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공작물(13)이 가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핸들(15)을 돌리는 힘으로 인너스크류(16)가 회전되면, 나사결합된 스크류하우징(19)을 이동시켜 그 힘으로 슬라이더(11) 사이에 놓인 공작물(13)을 가압 고정한다. 공작물(13)이 가압된 상태에서 메인스크류(12)의 전진 이동에 따라 증강장치(14)에 의해 공작물(13)에 대한 가압력을 증압시킨다.
증압형 바이스는, 1차 가압에서는 핸들(15)을 돌리는 힘으로 공작물(13)을 슬라이더(11) 사이에 두고 저압으로 공작물(13)을 밀착시키고, 그 후 연속적으로 핸들(15)을 돌리는 힘으로 2차 가압을 고압으로 가압시켜 공작물(13)에 대한 클램핑이 완료되도록 되어 있다.
증압형 바이스는 핸들(15)을 돌리면 1차적으로 인너스크류(16)가 회전하게 되는데 인너스크류(16)의 일측 스프링 안착 홈(20)에 설치된 강구(22)가 스크류하우징(19)의 멈춤구멍(23)에 도 3에서와 같이 걸려 인너스크류(16)가 스크류하우징(19)을 회전시켜 공작물(13)을 클램핑한다.
클램핑된 공작물(13)은 고정된 상태이지만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바이스의 핸들(15)을 더 돌려서 조이면 가압압력이 발생된다. 즉, 스프링 안착 홈(20)의 스프링(21)에 지지되는 강구(22)는 회전되려는 힘과 멈춤구멍(23)의 저지 압력이 동시에 발생되면서 스프링(21)이 수축되어 강구(22)가 멈춤구멍(2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인너스크류(16)만 회전하면서 증강장치(14)를 2차적으로 가압하여 공작물(13)을 고정하는 조임력을 증압시키게 된다. 이때 2차 증압되는 인너스크류(16)의 이동 스트로크는 대략 1~3㎜ 내외이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에는 스크류하우징(19)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커버(24)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하우징(19)의 외경과 하우징커버(24)의 내경에는 확경부(19a)(24a)를 통해 형성되어 서로 맞대어지는 단턱(19b)(24b)이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증압형 바이스는 구조적으로 공작물(13)을 가압하는 압력이 슬라이더(1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기 때문에, 공작물(13)을 슬라이더(11)의 중앙부에 물릴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 없이 공작물(13)을 슬라이더(11)가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공작물(13)을 슬라이더(11)의 중앙부에 물리지 않고, 도 2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1)의 가장자리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 공작물(13)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공작물(13)을 슬라이더(11)에 편심된 상태로 물린 상태에서 슬라이더(11)를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더(11)와 나사결합된 메인스크류(12)에서 미세한 비틀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공작물(13)을 가압하는 압력이 슬라이더(1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기 때문에, 공작물(13)을 슬라이더(11)의 가장자리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 공작물(13)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584178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670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공작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더에 편중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공작물을 가압하는 압력이 슬라이더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공작물을 슬라이더의 중앙부에 물리지 않고 가장자리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에도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증압형 바이스에 있어서, 바이스의 바디에 하우징커버를 형성하여 이 하우징커버의 내경에 스크류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하우징의 외경과 하우징커버의 내경에 확경부를 통해 서로 마주하는 단턱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스크류하우징의 단턱과 하우징커버의 단턱 사이에 스크류하우징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을 장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하우징에는 접시스프링의 내경이 끼워지는 끼움턱을 형성하고, 상기 접시스프링은 그 확경부가 하우징커버의 단턱에 접촉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에 따르면, 스크류하우징과 하우징커버 사이에 스크류하우징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이 설치되고, 접시스프링에 의해 스크류하우징이 메인스크류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슬라이더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공작물을 슬라이더의 가장자리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압형 바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스크류하우징과 하우징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압형 바이스는 바디(100)와, 바디(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103)을 클램핑하는 슬라이더(101), 슬라이더(101)를 움직이기 위해 나란한 평행 방향으로 설치된 메인스크류(102), 메인스크류(102)의 일단에 설치되고 가압단(107)을 갖는 증강장치(104), 메인스크류(102)의 일단에 결합되고 핸들(105)에 의해 회전되는 인너스크류(106), 인너스크류(106)에 형성된 가압나사(108)와 나사 결합 되어 바디(100)에 결합된 스크류하우징(109), 상기 스크류하우징(109)에 멈춤구멍(123)을 형성하고 상기 인너스크류(106)에는 멈춤구멍(123)에 대응되는 홈(120)을 형성하여 강구(122)를 상기 홈(120) 내부에 스프링(121)으로 탄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디(100)에는 스크류하우징(109)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커버(130)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하우징(109)의 외경과 하우징커버(130)의 내경에는 확경부(140)(150)를 통해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단턱(141)(15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단턱(141)(151) 사이에는 스크류하우징(109)에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160)이 장착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9)에는 접시스프링(160)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끼움턱(142)이 돌출되고, 상기 접시스프링(160)은 그 확경부가 하우징커버(130)의 단턱(151)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은, 스크류하우징(109)에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160)을 장착하여, 슬라이더(101)에 편중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공작물(103)을 가압하는 압력이 슬라이더(10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구성된다.
주요 부분은,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하우징(109)의 단턱(141)에는 끼움턱(1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142)에는 접시스프링(160)의 내경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접시스프링(160)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그 확경부가 하우징커버(130)의 단턱(151)에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시스프링(160)은 스크류하우징(109)에 탄력을 부여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크류하우징(109)이 메인스크류(102)와 증강장치(10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작물(103)을 가압하는 슬라이더(11)에는 균일한 압력이 분포되어 편중가압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압력 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형 바이스는 일반적인 증압형 바이스의 작동 원리에 따른다.
핸들(105)을 돌리는 힘으로 인너스크류(106)가 회전되면, 나사결합된 스크류하우징(109)을 이동시켜 그 힘으로 슬라이더(101) 사이에 놓인 공작물(103)을 가압 고정한다. 공작물(103)이 가압된 상태에서 메인스크류(102)의 전진 이동에 따라 증강장치(104)에 의해 공작물(103)에 대한 가압력을 증압시킨다.
1차 가압에서는 핸들(105)을 돌리는 힘으로 공작물(103)을 슬라이더(101) 사이에 두고 저압으로 공작물(103)을 밀착시키고, 그 후 연속적으로 핸들(105)을 돌리는 힘으로 2차 가압을 고압으로 가압시켜 공작물(103)에 대한 클램핑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하우징(109)의 단턱(141)과 하우징커버(130)의 단턱(151) 사이에 스크류하우징(109)측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160)이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공작물(103)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01)에는 균일한 압력이 분포된다. 즉, 슬라이더(101)에는 편중압력이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접시스프링(160)의 탄력을 받는 스크류하우징(109)에 의해 공작물(103)을 가압하는 압력이 슬라이더(10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공작물(103)을 슬라이더(101)의 중앙부에 물리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01)의 가장자리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에도 공작물(103)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공작물(103)을 슬라이더(101)에 편심된 상태로 물린 상태에서 슬라이더(101)를 가압하게 되면, 슬라이더(101)와 나사결합된 메인스크류(102)에서는 종래와 달리 미세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시스프링(160)의 탄력을 받는 스크류하우징(109)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더(101)에 균일한 압력이 부여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하여 공작물(103)을 가압하는 압력이 슬라이더(10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공작물(103)을 슬라이더(101)의 가장자리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에도 공작물(103)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류하우징(109)에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160)을 설치하여 공작물(103)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더(101)에 편중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작물(103)을 슬라이더(101)에 편심된 상태로 물렸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바디 109 : 스크류하우징
130 : 하우징커버 140 : 확경부
141 : 단턱 142 : 끼움턱
150 : 확경부 151 : 단턱
160 : 접시스프링

Claims (3)

  1. 바디(100)에는 스크류하우징(109)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커버(130)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하우징(109)의 외경과 하우징커버(130)의 내경에는 확경부(140)(150)를 통해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단턱(141)(15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단턱(141)(151) 사이에는 스크류하우징(109)에 탄력을 부여하는 접시스프링(16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하우징(109)에는 접시스프링(160)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끼움턱(142)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스프링(160)은 그 확경부가 하우징커버(130)의 단턱(151)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KR20130054454A 2013-05-14 2013-05-14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KR10148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454A KR101486958B1 (ko) 2013-05-14 2013-05-14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454A KR101486958B1 (ko) 2013-05-14 2013-05-14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94A KR20140134494A (ko) 2014-11-24
KR101486958B1 true KR101486958B1 (ko) 2015-01-29

Family

ID=5245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454A KR101486958B1 (ko) 2013-05-14 2013-05-14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373A (ja) * 1990-10-06 1993-05-28 Saurer Allma Gmbh 少なくとも2つのワークを締付けるための多重バイス
KR100226647B1 (ko) 1991-04-17 1999-10-15 뤼에그 한스 제이. 고정장치용 고정력 조정장치
JP2005103646A (ja) 2003-08-12 2005-04-21 Nabeya Iron & Tool Works Ltd 液圧式バイス
KR20070076380A (ko) * 2006-01-16 2007-07-24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373A (ja) * 1990-10-06 1993-05-28 Saurer Allma Gmbh 少なくとも2つのワークを締付けるための多重バイス
KR100226647B1 (ko) 1991-04-17 1999-10-15 뤼에그 한스 제이. 고정장치용 고정력 조정장치
JP2005103646A (ja) 2003-08-12 2005-04-21 Nabeya Iron & Tool Works Ltd 液圧式バイス
KR20070076380A (ko) * 2006-01-16 2007-07-24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94A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622B1 (en) Supporting device for mounting a protective cover to shield a cutting blade of a cutting machine
US9216485B2 (en) Quick clamping device adapted for worktable
US20090288303A1 (en) Supporting device for mounting a protective cover to shield a cutting blade of a cutting machine
CN205996597U (zh) 一种不规则工件夹紧装置
US2882656A (en) Squaring fixture
CN212122432U (zh) 一种用于轴承套圈端面加工的铣床夹具
US20160199923A1 (en) Miter saw
KR101555332B1 (ko) 바이스의 급속클램핑장치
JP2001062658A (ja) バイス装置
KR101486958B1 (ko)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CN203779019U (zh) 可调夹紧力的工件定位夹紧装置
KR20180137737A (ko) 파워바이스 더블 클램프용 지그
KR100998808B1 (ko) 진공척의 흡착구조
US20060145406A1 (en) Clamp device
CN105127777A (zh) 直角工件定位装置
CN103481078A (zh) 一种消除工件与夹具定位间隙的装置
KR20140090866A (ko) 바이스 압력 증강장치
KR101675753B1 (ko) 가변형 공작물 고정장치
US6718849B2 (en) Clamping device for manually guided electric tools
CN210255816U (zh) 一种机械加工用定位装置
JP2000127054A (ja) バイス
KR101434620B1 (ko) 증압형 바이스의 강구 안내장치
CN209206967U (zh) 用于夹持零件的夹具
JP2004074308A (ja) 工作機械に用いる他部材の位置決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他部材の位置決め方法
JP3146995U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