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380A -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 Google Patents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380A
KR20070076380A KR1020060094852A KR20060094852A KR20070076380A KR 20070076380 A KR20070076380 A KR 20070076380A KR 1020060094852 A KR1020060094852 A KR 1020060094852A KR 20060094852 A KR20060094852 A KR 20060094852A KR 20070076380 A KR20070076380 A KR 2007007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crew shaft
stopper ring
axial direc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620B1 (ko
Inventor
히로유키 다다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25B1/2457Construction of the jaws with auxiliary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증력장치부착 바이스에 있어서, 회전추진축이 제지(制止)될 때에, 충격력이 보다 작은 조임력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가동조와 걸어맞춤하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일끝단측의 증력장치와 증력장치에 인접하는 회전추진축과,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축을 구비하고, 중공축은 일끝단이 나사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다른 끝단이 회전추진축과 나사걸어맞춤함과 함께 회전추진축의 회전을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에 있어서,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짐과 함께 중공축이 끼워 통해져서,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시에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스토퍼링과 회전추진축에 고정되어 나사축측 면에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스토퍼링의 돌출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회전추진부재를 포함하는 조임력 조정장치를 구비한다.
증력장치, 바이스

Description

증력장치부착 바이스{VICE ADDED SET-UP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10)를 구비하는 바이스의 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워크유지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대해서, 워크(2)의 끼워지지함이 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대해서, 소정의 조임력으로 워크(2)가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해서, 안쪽 부재를 외형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해서, 안쪽 부재를 외형도로 나타낸다.
도 8은 도 4에 대해서, 워크의 조임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는 다른 증력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이며,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20)를 구비하는 바이스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30)를 구비하는 바이스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40)를 구비하는 바이스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바이스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 2 : 워크
3 : 본체프레임 3a : 본체프레임
3b : 본체프레임 4 : 슬라이드 커버
5 : 고정조 6 : 가동조
7 : 키 8 : 키
9 : 너트 10 : 나사축
10a : 축선 10b : 걸어맞춤 끝단부
11 : 끝단부축 12 : 핀
13 :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 14 : 중공축
15 : 회전추진축 15a : 핸들 걸어맞춤구멍
16 : 작동축 16a : 나사축측 끝단부
17 : 롤러 18 : 롤러
19 : 작동축 지지부재 19a : 나사축측 끝단면
20 : 너트 21 : 클러치링
22 : 키 23 : 압축 코일스프링
24 : 베어링 홀더 25 : 베어링 홀더
26 : 니들베어링 27 : 접시스프링
28 : 육각구멍 부착볼트 29 : 육각구멍 부착볼트
30 : 스러스트 베어링 31 : 스톱링
32 : O링 홀더 33 : 스러스트 메탈
34 : 육각구멍 부착볼트 35 : 육각구멍 부착볼트
36 : 육각구멍 부착볼트 37 : 작동축
38 : 시일 패킹 39 : 시일 패킹
40 : 스토퍼링 40a :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
40b : 돌출부 40c : 걸어맞춤면
40d : 경사면 40e : 원둘레홈
41 : 회전추진부재 41a : 나사축측 고리형상부
41b : 나사축측 면 41c : 돌출부
41d : 걸어맞춤면 41e : 경사면
41f : 원둘레홈 42 : 조정링
42a :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
42b : 홈 42c : 원추구멍
42d : 플랜지 부분 43 : 강철구슬
44 : 압축 코일스프링 45 : 육각구멍 부착볼트
46 : 핀 47 : 핀
48 : 키 50 : 스토퍼링
50a :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
50b :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 50c : 돌출부
50d : 플랜지부분 50e : 원둘레홈
55 : 스토퍼링 55a :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
55b :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 55c : 돌출부
55d : 플랜지부분 55e : 원추구멍
56 : 키 57 : 플레이트
60 : 스토퍼링 60a :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
60b : 돌출부 61 : 조정 링
61a :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 61b : 끼워맞춤 바깥둘레면
61c : 숫나사 61d : 원둘레홈
61e : 원둘레홈 61f : 플랜지부분
62 : 핀 66 : 조정링
66a :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
66b : 홈 66c : 숫나사
66d : 원둘레홈 70 : 클러치장치
80 : 증력장치 90 : 증력장치
100 : 바이스 110 : 조임력 조정장치
111 : 위치결정기구 120 : 조임력 조정장치
121 : 위치결정기구 130 : 조임력 조정장치
131 : 위치결정기구 140 : 조임력 조정장치
141 : 위치결정기구 150 : 조임력 조정장치
151 : 위치결정기구
본 발명은 증력장치부착 바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상세하게는 본체프레임에 회전이 규제되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하는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서 나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조를, 나사축을 통하여 가압하는 증력장치를 갖는 바이스에 있어서, 증력장치의 나사축에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고정조와 가동조로 끼워 지지하는 워크의 조임력을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증력장치를 구비하는 바이스가 있고, 강력한 워크 조임력을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공보에서는 바이스에 기계식의 증력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증력장치는 나사축의 일끝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본체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축으로서, 나사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중공축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증력장치는 원추형상의 나사축측 끝단부를 갖고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작동축과, 작동축이 끼워 통해지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함께, 축선방향의 상대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중공축에 지지되는 작동축 지지부재와, 작동축의 축선에 대해서 2개씩 서로 대칭으로 배열설치되어 원추형상의 나사축측 끝단부와 접하는 4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나사축의 일끝단과 작동축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롤러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 수용공간의 축선방향 길이는 축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즉 바깥쪽일수록 짧게 되어 있다. 나사축은 중공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핸들 또는 모터 등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추진축의 회전이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중공축에 전달되고, 중공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는 나사축이 회전한다. 나사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본체프레임의 미끄럼운동 안내면을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조는 고정조를 향하여 이동한다. 고정조와 가동조로 워크의 끼워지지함이 개시되어, 워크 조임력이 어느 정도 커지면, 충분한 조임력을 얻기 위해서, 나사축을 더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클러치장치의 중공축에의 회전전달능력을 초과한다. 즉,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중공축은 회전추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일이 없어지게 되는, 즉, 회전추진축만이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추진축은 중공축의 회전정지에 수반하여 중공축과 상대회전하지만, 중공축이 본체프레임에 축선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회전추진축과 나사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회전추진축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증력장치의 작동축을 가압한다. 작동축은 4개의 롤러를 통하여, 쐐기작용으로 핸들 등으로 구동되는 회전추진축의 가압력을 증대한 힘으로, 나사축의 일끝단을 가압한다. 회전추진축을 구동하는 핸들 등의 구동토크가 커지고, 작동축이 나사축의 일끝단을 향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각 롤러는 롤러 수용공간을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상술과 같이 롤러 수용공간의 축선방향 길이는 반지름방향 바깥쪽일수록 짧아지고 있으므로, 롤러 수용공간의 반지름방향 바깥쪽부분이 롤러를 수용한다. 즉, 롤러의 반지름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나사축의 일끝단은 축선방향을 작동축측의 반대측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고, 나사축이 이동하여 나사축과 걸어맞춤하는 가동조는 고정조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핸들 등의 구동토크가 커지고 회전추진축의 가압력이 커져, 증력장치의 작동축이 중공축에 대해서, 즉 본체프레임에 대해서 축선방향을 나사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강한 워크 조임력을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공보에서는 바이스에 액압식의 증력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증력장치는 나사축의 일끝단측에 배열설치되어 있고, 기계식의 증력장치와 같은 중공축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다. 증력장치는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작동축과 작동축이 끼워 통해지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함께, 축선방향의 상대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중공축에 지지되는 작동축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나사축의 일끝단과 작동축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작동액이 충전되는 액압실이 형성된다. 고정조와 가동조로 워크의 끼워지지함이 개시되고, 워크 조임력이 어느 정도 커지면,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이 해제되어, 기계식의 증력장치와 같이 회전추진축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증력장치의 작동축을 가압한다. 액압실에 있어서, 나사축의 일끝단은 작동축보다 훨씬 큰 단면적이므로, 핸들 등에 의해서 구동되어 회전추진축이 작동축을 가압하는 힘보다 훨씬 큰 힘이 액압에 의해 초래되어, 나사축의 일끝단은 가압된다. 그 때문에 나사축이 이동하여 나사축과 걸어맞춤하는 가동조는 고정조를 향하여 이동 한다. 따라서, 기계식의 증력장치와 같이 핸들 등의 구동토크가 커져서, 증력장치의 작동축이 축선방향을 나사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강한 워크 조임력을 얻을 수 있다.
워크는 적절한 조임력으로 바이스에 유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얇은 두께부재나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강성이 낮은 재료의 워크를 가공하는 경우, 과대한 조임력에 의해서 워크가 변형한다. 탄성변형하여 가공 종료후에 복귀하는 것에 의해, 가공 정밀도가 손상되거나 소성변형하여 제품이 변형하거나 품질이 손상된다. 또한, 반대로 조임력이 지나치게 적으면, 가공력에 의해서 워크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있어, 가공 불량을 일으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툴의 손상을 일으킨다. 조임력을 조정하여, 적절한 조임력으로 워크를 유지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3의 공보에서는 기계식의 증력장치를 구비하는 바이스에, 조임력 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중공축을 서로 이간하는 나사축측 중공축과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에 의해서 구성하고, 나사축측 중공축을 회전추진축과 나사걸어맞춤시킴과 함께, 나사축의 일끝단과 상대회전이 불가능이면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시키고 있고, 또한,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을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회전추진축과 연결시키고 있고, 회전추진축의 회전은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으로 전달된다. 나사축측 중공축과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은 나사축측 중공축의 끝단면에 설치되어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가이드핀에 의해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양 중공축 의 사이에,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스토퍼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서, 양(兩) 중공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에 조정링이 설치되고, 조정링은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과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스토퍼링은 바깥둘레면에 숫나사가 설치되어, 조정링에 설치되는 암나사와 나사걸어맞춤하고 있고, 스토퍼링은 조정링을 통하여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회전추진축의 중간부분에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나사축측 끝단면에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회전추진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추진부재의 돌출부는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 후, 회전추진축의 회전과 축선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스토퍼링의 돌출부와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추진축은 나사축측 중공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회전추진축의 전진에 수반하는 증력장치의 작동축에의 가압에 의해서, 이미 워크에는 큰 조임력이 가해지고 있고, 그 때문에, 워크로부터의 큰 반발력에 의해서 생기는 본체프레임과의 마찰력으로, 나사축측 중공축은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추진축은 핸들 등에 의한 회전이 정지되고, 워크는 소정의 조임력으로 유지된다. 워크 조임력의 조정은 조정 링과 나사축측의 반대측 중공축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조정링을 회전시켜 스토퍼링을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즉, 회전추진부재에 대해서, 스토퍼링을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조임력은 작아지고, 스토퍼링을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 조임력은 커진다
[특허문헌 1] 일본특공 소 63-53413호
[특허문헌 2] 일본특공 소 63-41711호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255555호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장치에 있어서는, 스토퍼링은 나사축측 중공축의 끝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핀에 의해서 걸어멈춤되어 있고, 스토퍼링의 돌출부, 회전추진부재의 돌출부 및 가이드핀은 양 중공축의 바깥둘레면보다 반지름방향에 대해 안쪽에 위치한다. 회전추진축의 회전이 규제되어 정지되고, 워크가 소정의 조임력으로 유지될 때에, 즉, 회전추진축이 회전하면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토퍼링과 회전추진부재의 양 돌출부가 서로 걸어맞춤하는 순간에 충격력이 양 돌출부 및 가이드핀에 가해진다. 양 돌출부 및 가이드핀은 양 중공축의 바깥둘레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회전중심에 가깝기 때문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크다. 그 때문에, 스토퍼링, 회전추진부재, 및 중공축과 스토퍼링과의 상대회전을 규제하고 스토퍼링의 걸어멈춤부재인 가이드핀은 파손이나 변형하거나 조기에 마모하여, 기능을 잃는다.
이상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증력장치부착 바이스에 있어서, 핸들 등으로 회전되는 회전추진축이 제지될 때에, 구성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보다 작은 조임력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동조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축과, 나사축의 일끝단측에 설치되어 나사축을 가압함과 함 께 나사축측의 반대측에 작동축을 갖는 증력장치와, 증력장치의 작동축에 인접하는 회전추진축과,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나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축을 구비하고, 중공축은 증력장치를 둘러싸고 있고, 일끝단이 나사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다른 끝단이 회전추진축과 나사걸어맞춤함과 함께 회전추진축의 회전을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전달되고, 회전추진축은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에 수반하여 중공축과 상대회전하여 나사의 힘에 대응하는 가압력을 작동축에 미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에 있어서, 증력장치부착 바이스는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짐과 함께 중공축이 끼워 통해져서, 적어도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시에 있어서는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스토퍼링과, 회전추진축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끝단부에 고정되어 나사축측 면에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회전추진축의 회전과 축선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스토퍼링의 돌출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회전추진부재를 포함하는 조임력 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스토퍼링은 본체프레임과의 상기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된다(청구항 1)
또한, 스토퍼링은 중공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스토퍼링과 중공축과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걸어멈춤부재를 통하여,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다(청구항 2).
또한, 스토퍼링의 바깥둘레면과 본체프레임의 안둘레면은 대향하여 스토퍼링의 상기 축선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결정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바깥둘레면과 상기 안둘레면의 한 쪽에 오목부를 구비함과 함께 다른 쪽에 볼 록부를 구비하고, 또한, 오목부 및 볼록부 중 한 쪽은 상기 축선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다른 쪽은 한 쪽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쪽의 어느 쪽과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고, 스토퍼링은 본체프레임과의 상기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된다(청구항 3)
또한, 오목부 및 볼록부의 상기 다른 쪽은 한 쪽을 향하여 탄성이 가해져서 한 쪽과 걸어맞춤 가능하다(청구항 4).
또한, 스토퍼링의 상기 바깥둘레면에 오목부가 상기 축선방향으로 복수 배치됨과 함께, 본체프레임에 움푹한 부분이 형성되어 걸어맞춤 부재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본체프레임에 볼록부가 설치되고, 걸어맞춤 부재는 오목부를 향해 탄성이 가해져서 오목부와 걸어맞춤 가능하다(청구항 5)
또한, 스토퍼링은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재하여 본체프레임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를 갖고, 회전추진부재는 상기 축선방향을 나사축측에 연재하는 나사축측 고리형상부를 갖고, 상기 나사축측 고리형상부는 상기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에 끼워 통해짐과 함께 상기 돌출부를 갖는다(청구항 6).
또한, 회전추진부재의 나사축측 고리형상부의 바깥둘레면에 원둘레홈이 설치된다(청구항 7).
또한, 상기 원둘레홈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축선방향에 복수 배치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한 쪽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다(청구항 8).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7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바이스(100)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3은 바이스(100)의 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은 워크(2)를 고정조(5)와 가동조(6)와의 사이에 얹어 놓은 상태를 나타내고, 워크유지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워크유지동작이 개시되고,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이 클러치장치(70)를 통하여 중공축(14)에 전달되어 나사축(10)이 회전되고, 양 조(5,6)사이에 워크(2)의 끼워지지함이 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 해제 후, 회전추진축(15)이 더 회전하여, 소정의 조임력으로 워크(2)가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해서, 나사축(10)의 축선(10a)의 반지름방향에 있어서의 안쪽 부재를 외형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3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해서, 나사축(10)의 축선(10a)의 반지름방향에 있어서의 안쪽부재를 외형도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바이스(100)는 공작기계의 테이블(1)에 고정되는 본체프레임(3a)과 육각구멍 부착볼트(29)를 통하여 본체프레임(3a)과 일체화되고, 본체프레임(3a)과 함께 본체프레임(3)을 구성하는 본체프레임(3b)과, 나사축(10)과, 핀(12)을 통하여 나사축(10)의 일끝단에 연결되고, 나사축(10)과 일체화되어, 나사축(10)의 일끝단을 형성하는 끝단부축(11)과, 본체프레임(3a)에 키(7)를 통하여 고정되는 고정조(5)와, 나사축(10)과 나사걸어맞춤하는, 즉 암나사를 갖고 나사축(10)과 나사맞춤함과 함께, 본체프레임(3a)의 도시하지 않은 안내홈에 의해서 나사축(1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안내되는 너트(9)와, 너트(9)에 키(8)를 통하여 고정되어 고정조(5)와 대향하는 가동조(6)와, 끝단부축(1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증력장치(80)와, 증력장치(80)의 작동축(16)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끝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회전추진축(15)과, 증력장치(80)를 둘러싸서 나사축(10)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나사축(10)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함과 함께, 육각구멍 부착볼트(35)에 의해서 너트(20)와 일체화되어, 상기 너트(20)를 통하여 회전추진축(15)과 나사걸어맞춤하는 중공축(14)과,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을 중공축(14)에 전달하는 클러치장치(70)를 포함한다.
증력장치(80)는 원추형상의 나사축측 끝단부(16a)를 갖고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작동축(16)과, 작동축(16)이 끼워 통해지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함께, 중공축(14)의 단부와 걸어맞춤하는 단부를 갖고 축선방향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에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중공축(14)에 끼워맞춤되는 작동축 지지부재(19)와, 작동축(16)의 축선에 대해서 크고 작은 1개씩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나사축측 끝단부(16a)와 접하는 4개의 롤러(17,18)를 구비하여, 끝단부축(11)과 작동축 지지부재(19)와의 사이에 롤러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작동축 지지부재(19)의 나사축측 끝단면(19a)의 작은 지름부분은 반지름방향 바깥쪽일수록 끝단부축(11)에 접근하고 있고, 롤러 수용공간은 반지름방향 바깥쪽일수록 작아진다.
클러치장치(70)는 회전추진축(15)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클러치링(21)과, 압축 코일스프링(23)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링(21)은 키(22)를 통하여 회전추진축(15)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지 만, 회전추진축(15)을 다각형축, 예를 들면 사각축으로 하고, 클러치링(21)의 안둘레면을 다각형구멍, 예를 들면 사각구멍으로 하는 것에 의해, 회전추진축(15)과 직접 걸어맞춤해도 좋다. 압축 코일스프링(23)은 회전추진축(15)의 나사축측 끝단부에 육각구멍 부착볼트(28)를 통하여 고정되는 베어링 홀더(24)와, 클러치링(21)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클러치링(21)을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 힘을 가한다. 클러치링(21)은 플랜지부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에, 반지름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 돌기가 너트(20)의 나사축측 면에 형성되어 반지름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걸어맞춤홈과 압축 코일스프링(23)의 가압력으로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을 중공축(14)에 전달한다.
중공축(14)은 본체프레임(3b)에 끼워 통해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중간부분에 반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단부의 각 끝단면이 각각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설치되는 단부 및 스톱링(31)과, 스러스트 메탈(33) 및 O링 홀더(32)를 개재하여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본체프레임(3)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이동이 규제된다. 중공축(14)은 나사축측 끝단부의 안둘레면에 암나사가 설치되고, 육각형의 나사축걸어맞춤구멍(13a)을 갖는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가 나사맞춤된다.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의 플랜지부와 끝단부축(11)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복수의 접시스프링(27)이 배치되어 있고, 끝단부축(11)을 롤러(17)를 향하여 힘을 가한다. 접시스프링(27)의 부세력(付勢力)은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의 중공축(14)에의 비틀어넣기량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 정되어, 조정 후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되는 축선방향홈과, 육각구멍 부착볼트(36)의 앞끝단부를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는 중공축(14)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되어 비틀어넣기량이 유지되고, 항상 끝단부축(11)은 롤러(17)와 접촉한다.
중공축(14)와 걸어맞춤하는 나사축(10)의 일끝단은 육각 바깥둘레면의 걸어맞춤 끝단부(10b)를 가짐과 함께, 끝단부축(11)이 끼워 통해지는 끼워맞춤구멍과, 끝단부축(11)에 비틀어 넣어져서 고정되어 끝단부축(11)으로부터 돌출하는 핀(12)이 끼워 통해지는 끼워맞춤구멍을 갖는다. 항상, 끝단부축(11)이 롤러(17)에 접촉하도록,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의 비틀어 넣기량이 조정된 후, 나사축(10)은 걸어맞춤 끝단부(10b)가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에 끼워 통해짐과 함께, 2개의 끼워맞춤구멍에 끝단부축(11), 핀(12)이 끼워 통해진다. 이것에 의해, 나사축(10)과 중공축(14)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함과 함께, 나사축(10)과 끝단부축(11)은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또한, 바이스(100)는 조임력 조정장치(110)를 구비하고, 상기 조임력 조정장치(110)는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된다. 즉, 중공축(14)이 끼워 통해지는 스토퍼링(40)과, 축선방향으로 연재하여 중공축(14)에 고정되어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키(48)와, 회전추진축(15)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끝단부에 육각구멍 부착볼트(34)를 통하여 고정됨과 함께,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를 갖는 회전추진부재(41)를 구비하고, 스토퍼링(40)의 안둘레면에, 키(48)가 축선방향으로 안내되는 키 홈이 형성된다.
스토퍼링(40)은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40a)에 나사축 방향으로, 즉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0b)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추진부재(41)는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가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됨과 함께,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되는 니들베어링(2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회전추진부재(41)는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의 나사축측 면(41b)에,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1c)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40b,41c)는 모두 반지름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40a), 나사축측 면(41b)과 각각 직교하는 걸어맞춤면(40c,41d)과, 상기 걸어맞춤면(40c,41d)과 예각으로 각각 교차하는 경사면(40d,41e)을 갖는다. 양 걸어맞춤면(40c,41d)은 회전추진축(15)의 정회전방향, 즉 워크(2)의 조임력이 커지는 방향의 회전추진축(15)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추진축(15)의 회전과 상기 회전에 수반하는 축선방향 이동에 의해서, 회전추진부재(41)가 이동하고, 양 걸어맞춤면(40c,41d)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걸어맞춤한다.
스토퍼링(40)은 축선방향 위치가 조정된 후, 누름나사 등을 이용하여 중공축(14)과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불가능하게 해도 좋지만, 본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10)는 또한, 스토퍼링(40)의 상기 축선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결정기구(111)를 구비한다.
위치결정기구(111)는 조정링(42)와 조정링(42)에 설치되는 핀(47)과, 강철구슬(43)과 본체프레임(3b)에 설치되는 핀(46)을 구비한다.
본체프레임(3b)에 설치되는 핀(46)은 반지름방향으로 연재하고, 조정링(42)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되고,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홈(42b)과 걸어맞춤한다. 강철구슬(43)은 핀(46)과 소정의 위상차로, 상세히 설명하면 축선(10a)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위상차로, 본 실시예에서는 180°의 위상차로, 본체프레임(3b)에 설치되는 나사구멍에 삽입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44)에 의해서 반지름방향 안쪽에 탄성이 가해짐과 함께, 육각구멍 부착볼트(45)의 비틀어넣기량 조정에 의해서 부세력이 조정된다. 조정링(42)은 스토퍼링(40)의 바깥둘레면과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끼워맞춤됨과 함께, 축선방향에 연재하여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42a)가 본체프레임(3b) 및 스토퍼링(40)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회전추진부재(41)의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의 바깥둘레면이 끼워통해진다. 조정링(42)의 바깥둘레면에는 홈(42b) 외, 홈(42b)과 소정의 위상차로, 즉 본체프레임(3b)에 있어서의 핀(46)과 나사구멍의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로, 본 실시예에서는 180°의 위상차로, 원추구멍(42c)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원추구멍(42c)은 축선방향으로 병렬되어 4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원추구멍(42c)과, 압축 코일스프링(44)에 의해서 힘이 가해지는 강철구슬(43)과는, 각각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여 서로 걸어맞춤한다. 조정링(42)에 설치되는 핀(47)은 반지름방향으로 연재하여 스토퍼링(40)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되는 원둘레홈(40e)과 걸어맞춤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링(40)과 조정링(42)은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따라서, 스토퍼링(40)과 조정링(42)은 상대회전이 가능한 2개의 부재로부터 구성되는 타입의 스토퍼링이 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스토퍼링을 구성한다.
다음에, 바이스(100)에 있어서의 워크(2)의 유지작업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2)가 고정조(5)와 가동조(6)의 사이에 얹어놓여져서, 육각의 핸들 걸어맞춤구멍(15a)에 부착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핸들에 의해서, 회전추진축(15)이 회전된다.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은 클러치장치(70)를 통하여 중공축(14)에 전달되어, 중공축(14)에 고정되는 육각관통구멍 부착볼트(13)를 통하여 중공축(14)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나사축(10)이 회전된다. 나사축(10)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10)과 나사걸어맞춤하는 너트(9)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너트(9)에 고정되는 가동조(6)가 슬라이드 커버(4)를 수반하여 이동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2)의 끼워지지함이 개시된다.
점차 워크(2)의 조임력이 커져, 가동조(6)를 더욱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나사축(10)의 회전력, 즉 중공축(14)의 회전저항이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력을 초과하면, 클러치링(21)의 걸어맞춤 돌기가 너트(20)의 걸어맞춤홈으로부터 미끄러져 탈출한다. 즉,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은 해제되어 중공축(14), 나사축(1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 해제와 함께, 회전추진축(15)만이 회전하여, 회전추진축(15)은 중공축(14)과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회전추진축(15)에 인접하는 작동축(16)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끝단부에는 베어링 홀더(25)가 끼워맞춤되어 있고, 회전추진축(15)의 나사축측 끝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홀더(24)가 스러스트 베어링(30)과 베어링 홀더(25)를 통하여, 작동축(16)을 나사축측에 가압한다. 작동축(16)에 가해지고 있는 가압력은 원추형상의 나사 축측 끝단부(16a)의 쐐기작용으로 증대되어, 4개의 롤러(17,18)를 통해 나사축(10)의 일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끝단부축(11)을 가압한다. 나사축(10)은 축선방향으로 가압되어, 나사걸어맞춤하는 너트(9)를 통해 가동조(6)를 고정조(5)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핸들로 회전되는 회전추진축(15)의 가압력이 커지는 것에 수반하여, 작동축(16)은 나사축측으로 이동하고, 4개의 롤러(17,18)는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끝단부축(11)과 작동축 지지부재(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롤러 수용공간은 반지름방향 바깥쪽일수록 작아지고 있으므로, 4개의 롤러(17,18)의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끝단부축(11)은 축선방향으로 이동되어, 보다 큰 조임력으로 워크(2)는 바이스(100)에 유지된다.
회전추진축(15)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추진부재(41)는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3 및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인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의 나사축측 면(41b)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41c)는 스토퍼링(40)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40a)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40b)와, 걸어맞춤면(40c,41d)끼리가 걸어맞춤하여, 회전추진축(15)은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즉, 스토퍼링(40)은 걸어멈춤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는 키(48)에 의해서, 중공축(14)과의 상대회전이 규제되어 있고, 중공축(14)은 나사축(10)의 워크(2)의 가압에 수반하여 나사축(10)에 생기는 워크(2)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서, 스러스트 메탈(33)을 통하여 프레임 본체(3b)를, 나사축측의 반대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가압에 의해, 중공축(14)과 프레임 본체(3b)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고, 상기 마찰 력은 가압력이 커질수록, 즉 워크(2)의 조임력이 증대할수록 커져서, 중공축(14)은 프레임 본체(3b)와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회전추진축(15)이 이동하여 걸어맞춤면(40c,41d)끼리가 걸어맞춤한 때, 워크(2)의 조임력은 소정치에 이르고 있으므로, 중공축(14)은 충분한 마찰력으로 프레임 본체(3b)와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추진축(15)은 핸들로 회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정지된다.
워크(2)의 조임력의 조정은 조정링(42)을 슬라이드시켜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강철구슬(43)은 압축 코일스프링(44)에 의해서 탄성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조정링(42)을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부세력에 저항하여 반지름방향 바깥쪽에 이동 가능하고, 조정링(42)의 이동에 수반하여, 원추구멍(42c)과의 걸어맞춤이 풀려, 소정의 조임력을 얻을 수 있는 다른 원추구멍(42c)과 걸어맞춤된다. 한편, 조정링(42)은 본체프레임(3b)의 핀(46)이 홈(42b)에 걸어맞춤하고, 본체프레임(3b)과의 상대회전이 규제되어 있고, 확실히, 원추구멍(42c)과 강철구슬(43)이 걸어맞춤한다. 또한,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42a)의 플랜지부분(42d)의 바깥둘레면에는 롤렛이 설치되어 있어, 손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용이하게 조정링(42)을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조정링(42)의 이동에 수반하여, 조정링(42)에 설치되어 있는 핀(47)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둘레홈(40e)을 통하여 핀(47)과 걸어맞춤하고 있는 스토퍼링(40)도, 축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링(40)의 돌출부(40b)는 회전추진부재(41)의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의 돌출부(41c)와, 축선방향에 있어서, 접근 또는 이간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0b)가 돌출부(41c)에 접근한 위치로 조정되면, 큰 조임력에 이르기 전에, 양 돌출부(40b,41c)가 걸어맞춤하여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0b)가 돌출부(41c)로부터 이간한 위치로 조정되면, 큰 조임력에 도달한 후에, 양 돌출부(40b,41c)가 걸어맞춤하여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워크(2)는 소정의 작은 조임력으로, 또는 큰 조임력으로 바이스(100)에 유지된다.
회전추진부재(41)는 나사축측 고리형상부(41a)의 바깥둘레면에, 복수의 원둘레홈(41f)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원둘레홈(41f)은 조정링(42)의 플랜지부분(42d)의 끝단면이 원둘레홈(41f)과 일치하도록, 축선방향에 있어서, 조정링(42)의 원추구멍(42c)과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6에서는 강철구슬(43)은 조정링(42)의 나사축측으로부터, 즉 왼쪽으로부터 세어 4번째의 원추구멍(42c)과 걸어맞춤하고 있고, 플랜지 부분(42d)의 끝단면이 오른쪽으로부터 세어 4번째의 원둘레홈(41f)과 일치한다. 도 8에서는 강철구슬(43)은 왼쪽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원추구멍(42c)과 걸어맞춤하고 있고, 플랜지부분(42d)의 끝단면이 오른쪽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원둘레홈(41f)과 일치한다. 한편, 강철구슬(43)이 가장 왼쪽의 원추구멍(42c)과 걸어맞춤하도록 조정된 경우, 플랜지부분(42d)의 끝단면이 가장 오른쪽의 원둘레홈(41f)과 일치하지만, 이 경우, 이미, 돌출부(40b,41c)끼리가 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증력장치(80)는 작용하지 않는다. 즉, 중공축(14)은 마찰력으로 본체프레임(3b)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회전 가능하고, 회전추진축(15)이 회전되어 돌출부(40b,41c)끼리의 걸어맞춤 및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 력에 의해서, 중공축(14)이 회전되어, 나사축(10)이 회전된다. 워크(2)의 조임력이 커져, 중공축(14)의 회전저항이 커지면, 핸들을 돌리는 것이 곤란해져서, 작업자는 워크 유지작업을 종료한다. 워크(2)는 증력장치(80)를 작용시키지 않기 때문에 작은 조임력으로 유지되어 조임력에 의한 변형을 면한다.
회전추진부재(41)의 원둘레홈(41f)은 회전추진축(15)의 이동에 수반하여, 즉 조임력의 증대에 수반하여, 축선방향을 나사축측에 점진하여, 조정링(42)의 플랜지부분(42d)의 끝단면과 상대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임력에 달하여 회전추진축(15)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는 원둘레홈(41f)이 플랜지부분(42d)의 끝단면과 축선방향 위치가 일치한다. 돌출부(40b,41c)끼리가 걸어맞춤하고,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이 정지될 때, 돌출부(40b,41c) 및 스토퍼링(40)의 걸어멈춤부재인 키(48)에는 충격력이 가해진다. 작업자는 플랜지부분(42d)의 끝단면과 원둘레홈(41f)의 위치관계로부터, 조임력이 설정치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핸들의 회전속도를 늦추고, 상기 충격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40b,41c) 및 키(48) 등, 조임력 조정장치(110)의 구성부재의 파손,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 외에 핸들의 회전속도를 작업 초기는 빠르게 할 수 있어, 신속한 워크유지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축(14)은 워크 조임력에 기초하는 반발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프레임 본체(3b)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돌출부(40b,41c)끼리가 걸어맞춤될 때에, 마찰력에 저항하여 중공축(14)이 조금이지만 회전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40b,41c), 및 키(48) 등에 참가하는 충격 력이 흡수되어 조임력 조정장치(110)의 구성부재의 파손,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추구멍(42c), 즉 오목부가 조정링(42)에 설치되고, 강철구슬(43), 즉 볼록부가 본체프레임(3b)에 설치되어 있지만, 오목부를 본체프레임(3b)에 설치함과 함께, 볼록부를 조정링(42)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스토퍼링(40)의 걸어멈춤부재로서 중공축(14)에 키(48)를 설치했지만, 중공축(14)에 걸어멈춤부재로서 핀을 설치하고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스토퍼링(40)에 설치되는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홈과 걸어맞춤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의 바이스(100)에는 기계식의 증력장치(80)가 이용되고, 작동축(16)의 나사축측 끝단부(16a)의 쐐기작용을 이용하고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압식의 증력장치(90)를 이용해도 좋다.
액압식의 증력장치(90)는 중공축(14)의 중간부분의 안둘레면에 반지름방향 안쪽의 단부가 설치되어, 상기 단부에 지지되는 작동축(37)과, 중공축(14)의 상기 단부의 안둘레면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되어 시일면이 작동축(37)과 접하는 시일패킹(38)과 끝단부축(11)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끝단부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되어, 시일면이 중공축(14)의 안둘레면과 접하는 시일패킹(39)을 구비하여, 중공축(14)의 안둘레면의 상기 단부와 끝단부축(11)과의 사이에 액압실이 형성되어, 작동유 등이 충전되어 있다. 상기 액압실은 구동측 단면적이 작동축(37)의 단면적이고, 피구동측 단면적이 중공축(14)의 안둘레면의 단면적이 된다.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이 해제되어, 회전추진축(15)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작동축(37)이 가압된다. 액압실은 피구동측 단면적이 구동측 단면적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끝단부축(11)은 작동축(37)의 가압력보다 훨씬 큰 힘이 가해진다. 작업자에 의한 핸들의 회전력이 증대되어 회전추진축(15)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작동축(37)의 가압력이 증대하는 데 수반하여, 끝단부축(11)은 보다 강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기계식의 증력장치(80)와 마찬가지로, 회전추진축(15)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워크조임력은 증대하고, 회전추진부재(41)의 돌출부(41c)가 스토퍼링(40)의 돌출부(40b)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회전추진축(15)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워크(2)는 소정의 조임력으로 바이스(100)에 유지된다.
도 10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20)를 구비하는 바이스(100)를 나타낸다. 조임력 조정장치(120)는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끼워맞춤됨과 함께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링(50)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링(50)은 본체프레임(3b)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50a)를 갖는다. 또한, 스토퍼링(50)은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50b)에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0c)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50c)는 회전추진부재(41)의 돌출부(41c)와 걸어맞춤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링(50)은 제 1 실시예의 스토퍼링(40)과 마찬가지로,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키(48)를 걸어멈춤부재로 하고 있고, 스토퍼링(50)은 키(48)를 통하여, 중공축(14)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또한, 스토퍼링(50)은 바깥둘레면에, 복수의 V자 단면의 원둘레홈(50e)이 축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원둘레홈(50e)은 본체프레 임(3b)의 나사구멍에 삽입되는 강철구슬(43), 및 상기 강철구슬(43)을 탄성을 가하는 압축 코일스프링(44)과 함께, 스토퍼링(50)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기구(121)를 구성한다.
강철구슬(43)은 압축 코일스프링(44)에 의해서 반지름방향 안쪽에 탄성이 가해지고, 스토퍼링(50)의 원둘레홈(50e)과 걸어맞춤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스토퍼링(50)은 축선방향에 대해서 적절히 위치 결정되어 워크(2)의 조임력이 설정된다.
워크(2)의 조임력의 변경은 플랜지부분(50d)을 갖고, 스토퍼링(50)을 슬라이드시키고, 즉, 본체프레임(3b)에 대해서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52a)를 더 끌어내거나, 또는 밀어넣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강철구슬(43)은 다른 원둘레홈(50e)과 걸어맞춤하고, 스토퍼링(50)은 축선방향 위치가 변경되어 워크(2)의 조임력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10,120)에 있어서, 스토퍼링(40,50)의 걸어멈춤부재로서 작용하는 키(48)는 중공축(14)에 설치되고,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스토퍼링(40,50)은 중공축(14)을 통하여 본체프레임(3b)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됨과 함께,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이 해제될 때까지, 회전추진부재(41)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 해제시에 있어서, 스토퍼링(40,50)과 회전추진부재(41)와의 회전위상이 작업개시시인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해제 후의 스토퍼링(40,50)과 회전추진부재(41)의 양 돌출부(40b,50c,41c)가 서로 걸어맞춤할 때까지의 회전추진축(15)의 회전량은 워크(2) 가 달라도 거의 일정하게 되어, 소정의 워크조임력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링의 걸어멈춤부재로서 작용하는 키는 본체프레임(3b)에 설치되어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해도 좋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이스(100)는 그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30)를 구비한다.
조임력 조정장치(130)는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끼워맞춤됨과 함께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링(55)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링(55)은 본체프레임(3b)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55a)를 갖는다. 또한, 스토퍼링(55)은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55b)에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5c)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55c)는 회전추진부재(41)의 돌출부(41c)와 걸어맞춤 가능하다. 또한, 걸어멈춤부재로서 바깥쪽으로부터 본체프레임(3b)에 삽입되어 플레이트(57)에 의해서 유지되고,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키(56)가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링(55)은 바깥둘레면에 키홈이 형성되어, 키(56)를 통하여, 본체프레임(3b)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또한, 스토퍼링(55)은 바깥둘레면에, 복수의 원추구멍(55e)이 축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원추구멍(55e)은 본체프레임(3b)의 나사구멍에 삽입되는 강철구슬(43), 및 상기 강철구슬(43)을 탄성을 가하는 압축 코일스프링(44)과 함께, 스토퍼링(55)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기구(131)를 구성한다.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설치되는 나사구멍과 키(56)와의 위상차는 상 세히 설명하면 축선(10a)을 중심으로 하는 위상차는 스토퍼링(55)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되는 원추구멍(55e)과 키홈과의 위상차와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180°의 위상차이다. 이것에 의해, 압축 코일스프링(44)에 의해서 힘이 가해지는 강철구슬(43)은 원추구멍(55e)과 걸어맞춤할 수 있다.
워크(2)의 조임력의 변경은 제 2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20)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분(55d)을 갖고, 스토퍼링(55)을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강철구슬(43)은 다른 원추구멍(55e)과 걸어맞춤하고, 스토퍼링(55)은 축선방향 위치가 변경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클러치장치(70)의 회전전달 해제시에 있어서, 스토퍼링(55)과 회전추진부재(41)와의 위상차가 워크(2)마다 다르고, 그 때문에, 스토퍼링(55)과 회전추진부재(41)의 양 돌출부(55c,41c)가 서로 걸어맞춤할 때까지의 회전추진축(15)의 회전량이 워크(2)마다 다르다. 그러나, 스토퍼링(55)과 회전추진부재(41)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의 돌출부(55c,41c)의 수를 많게 하는 예를 들면 각각 4개 설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량이 다른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10,120,130)에 있어서, 본체프레임(3b)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42a,50a,55a)를 슬라이드하고, 스토퍼링(40,50,55)의 축선방향 위치를 변경하고 있지만,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스토퍼링의 축선방향 위치를 변경해도 좋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이스(100)는 그와 같이 조정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40)를 구비한다.
조임력 조정장치(140)는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링(60)과 상기 스토퍼링(60)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는 조정링(61)을 포함한다. 조정링(61)은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과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바깥둘레면(61b)과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설치되는 암나사와 나사맞춤하는 즉 나사걸어맞춤하는 숫나사(61c)가 형성됨과 함께, 본체프레임(3b)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61a)를 갖는다. 스토퍼링(60)은 나사축측의 반대측 면(60a)에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0b)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60b)는 회전추진부재(41)의 돌출부(41c)와 걸어맞춤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링(60)은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키(48)를 걸어멈춤부재로 하고 있고, 스토퍼링(60)은 키(48)를 통하여, 중공축(14)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또한, 스토퍼링(60)은 핀(62)이 설치되고, 상기 핀(62)은 반지름방향으로 연재하여, 조정링(61)의 안둘레면에 설치되는 원둘레홈(61d)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링(60)과 조정링(6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따라서, 스토퍼링(60)과 조정링(61)은 상대회전 가능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타입의 스토퍼링이 되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스토퍼링을 구성한다.
조정링(61)의 끼워맞춤 바깥둘레면(61b)에, 복수의 V자단면의 원둘레홈(61e)이 축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원둘레홈(61e)은 본체프레임(3b)의 나사구멍에 삽입되는 강철구슬(43), 및 상기 강철구슬(43)을 탄성을 가하는 압축 코일스프링(44)과 함께, 스토퍼링(60)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기구(141)를 구성한다.
워크(2)의 조임력의 변경은 플랜지부분(61f)을 갖고, 조정링(6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실행된다. 조정링(61)은 본체프레임(3b)과 나사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강철구슬(43)이 다른 원둘레홈(61e)과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핀(62)을 통하여 조정링(61)과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는 스토퍼링(60)은 축선방향 위치가 변경되어, 워크(2)의 조임력이 변경됨과 함께, 워크 가공중의 진동 등에 의해서, 조정링(61)이 회전하여 조임력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스토퍼링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기구는 본체프레임(3b)과 조정링과의 나사걸어맞춤의 1나사 피치, 나사 피치의 2분의 1등, 나사 피치의 정수분의 1의 치수 간격으로, 위치결정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도 1 3에 나타내는 바이스(100)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임력 조정장치(150)는 그러한 위치결정기구(151)를 구비한다.
조임력 조정장치(150)는 조임력 조정장치(140)에 이용되어 중공축(14)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는 스토퍼링(60)과, 상기 스토퍼링(60)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되는 조정링(66)을 포함한다. 조정링(66)은 본체프레임(3b)의 안둘레면에 설치되는 암나사와 나사걸어맞춤하는 숫나사(66c)가 형성됨과 함께, 본체프레임(3b)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66a)를 갖는다. 또한, 조정링(66)은 안둘레면에 원둘레홈(66d)이 설치되고, 상기 원둘레 홈(66d)은 스토퍼링(60)에 설치되는 핀(62)이 삽입된다.
조정링(66)은 바깥둘레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1개의, 또는 원둘레방향으로 등분되어서 배치되는 복수의 홈(66b)이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홈(66b)이 1개 설치되어 있고, 해당 홈(66b)은 본체프레임(3b)의 나사구멍에 삽입되는 강철구슬(43), 및 상기 강철구슬(43)을 탄성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44)과 함께 스토퍼링(60)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기구(151)를 구성한다.
워크(2)의 조임력의 변경은 조정링(66)을 손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조정링(66)은 본체프레임(3b)과 나사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정링(66)의 1회전마다, 강철구슬(43)이 홈(66b)과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핀(62)을 통하여 조정링(66)과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는 스토퍼링(60)은 축선방향 위치가 변경되어, 워크(2)의 조임력이 변경됨과 함께, 워크 가공중의 진동 등에 의해서, 조정링(66)이 회전하여 조임력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조정링(66)의 바깥둘레면에 있어서, 홈(66b) 대신에 평탄한 면을 설치하여 축선방향으로 연재시켜도 좋다. 홈(66b)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중공축(14) 또는 본체프레임(3b)에 걸어맞춤부재로서 키(48,56)가 지지되어, 스토퍼링(40,50,55,60)에 키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스토퍼링에 키가 지지되고, 중공축(14) 또는 본체프레임(3b)에 키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부재로서 핀을 이용하여 중공축(14) 또는 본체프레임(3b)에 고정해도 좋고, 핀은 키홈 대신에 형성되는 축선방향홈에 끼워 통해진다. 또한, 스토퍼링(40,50,55,60)은 걸어맞춤부재를 통하여 중공축(14) 또는 본체프레임(3b)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스토퍼링과 중공축, 또는 스토퍼링과 본체프레임에 있어서, 둘레면의 단면형상을 다각형 등으로 형성하여, 둘레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서로 접하는 평탄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토퍼링은 중공축 또는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상기의 어느 실시예에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 등에 의해서 회전추진축이 돌려져서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중공축이 회전되고, 중공축의 회전에 의해서 나사축이 회전되어 가동조가 나사축의 축선방향을 고정조를 향하여 이동하여 워크의 조임이 개시된다. 조임력이 커지고, 중공축의 회전저항이 커져,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능력을 넘으면,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이 해제된다. 회전추진축은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에 수반하여 중공축과 상대회전하여 나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중공축과의 나사걸어맞춤에 의해서 생기는 나사력에 대응하는 가압력을 증력장치의 작동축에 미친다.
청구항 1에 의하면, 회전추진축은 회전되면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스토퍼링과 걸어맞춤 가능한 회전추진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링이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므로, 회전추진축은 핸들 등에 의한 회전이 스토퍼링에 의해서 제지되고, 워크는 스토퍼링의 본체프레임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위치에 대 응하는 조임력으로 유지된다. 스토퍼링은 본체프레임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워크는 원하는 조임력으로, 바이스에 유지된다. 또한, 스토퍼링은 중공축이 끼워 통해지므로, 스토퍼링의 돌출부분, 회전추진부재의 돌출부분은 중공축의 바깥둘레면보다 반지름방향에 있어서 바깥쪽에 위치하고, 회전추진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양 돌출부분이 서로 걸어맞춤되는 순간의 충격력, 즉, 회전추진축의 회전이 제지될 때에 참가하는 충격력이 작다. 그 때문에, 조임력 조정장치는 스토퍼링 및 회전추진부재가 충격력으로 파손이나 변형하거나 마모하는 것이 억제된다.
중공축은 워크의 조임력이 커지면,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이 해제되어 회전추진축에 의해서 회전되지 않게 되어,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는 워크의 조임력이 증대하여 조임력에 대한 반발력이 증대하고, 중공축과 본체프레임이 서로 축선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되어, 조임력이 증대할수록 마찰력이 커지고, 보다 견고하게 된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중공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걸어멈춤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부재가 스토퍼링과 중공축과의 상대회전을 규제한다. 상세하게는 걸어멈춤부재는 중공축의 반지름방향 바깥쪽 부분과 스토퍼링의 반지름방향 안쪽부분의 한 쪽에 지지됨과 함께, 다른 쪽에 설치되는 축선방향홈에 끼워통해진다. 스토퍼링은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의 중공축을 통하여,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회전추진축의 회전을 제지한다. 따라서, 스토퍼 링과 중공축이란, 걸어멈춤부재를 통하여 상대회전이 규제되어, 둘레면의 단면형상에 대해 일부 또는 전부를 서로 접하는 평탄면으로서 상대회전이 규제되는 방법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원형단면을 취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축은 마찰력으로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스토퍼링을 통하여 회전추진축의 회전을 제지할 때에, 마찰력에 저항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링, 회전추진부재, 및 걸어멈춤부재는 가해지는 충격력이 완화되어 파손이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스토퍼링은 중공축을 통하여 본체프레임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됨과 함께,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이 해제될 때까지, 회전추진부재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워크의 크기가 다른 것에 의해서,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시에 있어서의 본체프레임에 대한 중공축의 회전위상이 달라도,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 후, 스토퍼링과 회전추진부재의 양 돌출부분이 서로 걸어맞춤할 때까지의 회전추진축의 회전량, 즉, 증력장치의 작동축의 이동량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소정의 워크 조임력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하면, 스토퍼링은 축선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한 쪽에 대응하고, 본체프레임에 대해서 축선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력 조정장치는 조임력의 재현성이 높아져, 워크가 변경되어 조임력을 변경할 필요가 생겨도, 정확한 조임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하면, 오목부 및 볼록부의 상기 다른 쪽은 힘이 가해지면 부세력에 거슬러서 이동하여 한 쪽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힘이 제거되면 부세력으로 이동하여 한 쪽과의 걸어맞춤이 재개되므로, 한 쪽과의 걸어맞춤을 위해서, 및 한 쪽과의 걸어맞춤 해제를 위해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이동될 필요가 없고, 용이하게 또한 신속히 워크의 조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걸어맞춤 부재는 특별한 형상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강철구슬나 원추부재 등, 염가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중공축 및 회전추진축은 양 고리형상부에 의해서 둘러싸여, 절삭분, 절삭액 등의 침입이 억제된다. 또한,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를 손으로 닿아 스토퍼링을 이동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워크 조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하면, 스토퍼링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의 소정부분과 예를 들면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의 끝단부와, 원둘레홈과의 위치관계에 의해, 본체프레임에 대한 스토퍼링의 축선방향 위치를 알 수 있고, 조임력의 조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임력의 증대에 수반하여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의 소정부분과 원둘레홈과의 축선방향의 위치관계가 변화하므로, 그 위치관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이 소정치에 이르기 전에, 핸들 등에 의한 회전추진축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신속한 워크 유지작업이 가능해짐과 함께, 충격력이 작아져서, 스토퍼링, 회전추진부재, 및 스토퍼링의 걸어멈춤부재의 파손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하면, 스토퍼링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의 소정부분, 예를 들면 끝단부와 조임력에 대응하는 원둘레홈과의 축선방향의 위치관계를, 예를 들면 일치시키면, 조임력을 변경해도, 조임력의 조정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 다. 따라서, 잘못하여 원하는 것 이외의 조임력으로 조정할 우려가 해소된다.

Claims (8)

  1. 가동조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일끝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을 가압함과 함께 상기 나사축측의 반대측에 작동축을 갖는 증력장치와, 상기 증력장치의 작동축에 인접하는 회전추진축과,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기 나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공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은 증력장치를 둘러싸고 있고, 일끝단이 상기 나사축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한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회전추진축과 나사걸어맞춤함과 함께 상기 회전추진축의 회전을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전달되고, 상기 회전추진축은 상기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에 수반하여 상기 중공축과 상대회전하여 나사력에 대응하는 가압력을 상기 작동축에 미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중공축이 끼워 통해져서, 적어도 상기 클러치장치의 회전전달 해제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스토퍼링과, 상기 회전추진축의 나사축측의 반대측 끝단부에 고정되어 나사축측 면에 나사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전추진축의 회전과 축선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토퍼링의 돌출부와 걸어맞춤이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회전추진부재를 포함하는 조임력 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중공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스토퍼링과 상기 중공축과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걸어멈춤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의 바깥둘레면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안둘레면은 대향하여 상기 스토퍼링의 상기 축선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결정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바깥둘레면과 상기 안둘레면의 한 쪽에 오목부를 구비함과 함께 다른 쪽에 볼록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 중 한 쪽은 상기 축선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다른 쪽은 한 쪽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쪽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고,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본체프레임과의 상기 축선방향의 상대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의 상기 다른 쪽은 한 쪽을 향하여 탄성이 가해져서 한 쪽과 걸어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의 상기 바깥둘레면에 상기 오목부가 상기 축선방향으로 복수 배치됨과 함께, 상기 본체프레임에 움푹한 부분이 형성되고 걸어맞춤 부재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에 상기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상기 오목부를 향하여 탄성이 가해져서 상기 오목부와 걸어맞춤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재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의 나사축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를 갖고, 상기 회전추진부재는 상기 축선방향을 상기 나사축측으로 연재하는 나사축측 고리형상부를 갖고, 상기 나사축측 고리형상부는 상기 나사축측의 반대측 고리형상부에 끼워 통해짐과 함께 상기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추진부재의 상기 나사축측 고리형상부의 바깥둘레면에 원둘레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둘레홈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축선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상기 오 목부 및 상기 볼록부의 한 쪽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KR1020060094852A 2006-01-16 2006-09-28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KR101049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7978 2006-01-16
JP2006007978A JP4786348B2 (ja) 2006-01-16 2006-01-16 増力装置付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80A true KR20070076380A (ko) 2007-07-24
KR101049620B1 KR101049620B1 (ko) 2011-07-14

Family

ID=3834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852A KR101049620B1 (ko) 2006-01-16 2006-09-28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86348B2 (ko)
KR (1) KR101049620B1 (ko)
CN (1) CN101003127B (ko)
TW (1) TWI36297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13Y1 (ko) * 2013-06-17 2014-12-01 친 쑨 쳉 파워바이스를 위한 배력장치
KR101486958B1 (ko) * 2013-05-14 2015-01-29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722628A (zh) * 2015-12-17 2017-07-01 Homge Machinery Industrial Co Ltd 倍力式虎鉗結構改良
JP2018153904A (ja) * 2017-03-21 2018-10-04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12306B1 (ko) * 1970-10-17 1974-03-29 Roehm Guenter H
DE3925717A1 (de) * 1989-08-03 1991-02-07 Saurer Allma Gmbh Vorrichtung an maschinenschraubstoecken zum zentrischen spannen von werkstuecken
DE4112547A1 (de) * 1991-04-17 1992-10-22 Gressel Ag Spannkrafteinstellvorrichtung fuer eine spannvorrichtung
CN2576417Y (zh) * 2002-11-05 2003-10-01 葛政兴 液压平口钳
KR100463860B1 (ko) * 2003-02-26 2005-01-03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바이스의 파악력 설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58B1 (ko) * 2013-05-14 2015-01-29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증압형 바이스의 편중가압 방지장치
KR200475413Y1 (ko) * 2013-06-17 2014-12-01 친 쑨 쳉 파워바이스를 위한 배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3127B (zh) 2011-03-16
KR101049620B1 (ko) 2011-07-14
JP4786348B2 (ja) 2011-10-05
TWI362979B (en) 2012-05-01
JP2007185759A (ja) 2007-07-26
CN101003127A (zh) 2007-07-25
TW200730295A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1563B1 (en) Positive feed tool and method therefor
EP3094428B1 (en) Linear actuator assembly
KR101049620B1 (ko) 증력장치부착 바이스
JP2009090422A (ja) 工作機械における回転割出し装置
JP3634864B2 (ja) 工作機械の工具ホルダと工具ヘッドとを結合するための緊締装置
JP6591553B2 (ja) 動力工具
KR20170037840A (ko) 동축으로 배치된 브레이크를 구비한 공구-홀더 터릿
KR20180130288A (ko) 스핀들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JP2009018413A (ja) モータスピンドル用保護装置
CN108698179B (zh) 包括自动离合器系统的电驱动卡紧系统
US11801652B2 (en) Press with spindle drive
JP2732401B2 (ja) クラッチ
KR100232620B1 (ko) 긴정 구동 장치
US10272501B2 (en) Clamping device for tools
JP2001516651A (ja) 複数個の機械ユニットのための駆動装置
KR20050096858A (ko) 제동력 조정이 가능한 에어 브레이크
SU17614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очнени обкаткой конической резьбы
EP3254786B1 (en) Tailstock transferring apparatus
JP202003404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PL71029B1 (ko)
JP5102073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制輪子隙間調整装置の摩擦クラッチ
SU1292953A1 (ru) Шпиндельный узел резьбонарезного станка
JP2017217712A (ja) ねじの締付け装置
JP2008049422A (ja) 圧入作業方法
SU1161256A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мещени зажимного элемента,например,пиноли задней бабки металлорежущего ста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