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802B1 -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 Google Patents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802B1
KR101486802B1 KR20110109787A KR20110109787A KR101486802B1 KR 101486802 B1 KR101486802 B1 KR 101486802B1 KR 20110109787 A KR20110109787 A KR 20110109787A KR 20110109787 A KR20110109787 A KR 20110109787A KR 101486802 B1 KR101486802 B1 KR 10148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particles
contents
calcined
derm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528A (ko
Inventor
양경월
Original Assignee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사랑농수산 filed Critical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to KR2011010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8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이 소성물 입자가 베개 내용물로서 베개피에 충진된 베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Pillow Using Fired Scoria Particles}
본 발명은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송이 소성물 입자가 베개 내용물로서 베개피에 충진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침구류의 일종이다.
베개의 내용물로서 보통 팥, 녹두 등의 곡식이나 쌀겨, 메밀 껍질 등을 사용하거나 큐션감을 갖는 솜류, 깃털류, 스폰지류, 라텍스 등 저탄성고밀도재료, 플라스틱 링 조각, 조개 껍데기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심신 안정 등의 효과를 유도하기 위하여 최근 한약재를 사용한 베개(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07686호), 숯을 사용한 베개(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04426호), 말굽버섯을 사용한 베개(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78703호), 구절초를 사용한 베개(한국 등록특허 제10-0736125호) 등이 제안되어 왔다.
한편 송이(스코리아, scoria)를 맥반석 등과 함께 방출공에 연결된 저장홀에 충진시킨 베개가 제안되어 있으나(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1221호), 이는 목재에 방출공과 저장홀을 형성시켜 그 저장홀에 송이 등을 충진시킨 것이며, 또 송이를 자연석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송이는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성, 탈취성 등의 기능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화산쇄설물의 일종이다.
현재까지 베개에 충진될 내용물로서 송이를 소성물(燒成物) 입자로서 이용한 경우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는 베개피에 송이 소성물 입자가 베개 내용물로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개 내용물로서 송이를 자연석 그대로 이용할 경우 송이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사용 기간과 사용 빈도에 비례하여 자연석인 송이가 바스러져 송이 분진이 부산물로서 발생·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송이를 자연석 그대로 이용한 베개의 경우는 사용 기간과 사용 빈도가 증가할수록 송이 분진이 베개피의 공극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장기간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는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성, 탈취성 등의 송이 가지는 기능성을 보유하면서 자연석 송이를 이용함에 따른 분진 발생·방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이"란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한 다공질의 현무암질 암괴를 말하는데, 화산회(火山灰, Volcanic Ash, 2mm이하), 화산자갈(火山礫, lapilli, 2~64mm), 화산암괴(火山岩塊, Volconic Block, 64mm이상), 화산탄(火山彈, Volcanic Bomb)이 여기에 포함된다. 송이는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그리고 제주 송이는 통상 그 융점이 1,120~1210℃이고, 흡수율은 17.7~32.5%, 그리고 마모율은 47.25~67.22% 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송이는 특별히 제주 송이에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효과 등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제주 송이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송이 소성물"은 송이를 융점 이상에서 용융시킨 후에 냉각시킴으로서 얻어지는 경화물(硬化物)이나 송이 분말을 결합제와 혼합 반죽해서 성형한 후에 그 성형물을 열처리하였을 때 얻어지는 경화물을 말한다. 송이 소성물은 송이가 가지는 약한 기계적 강도가 극복됨으로써 베개 내용물로서 사용하더라도 자연석 그대로인 송이를 베개 내용물로서 사용할 때의 문제점 즉 분진의 발생·방출의 문제점이 없다.
송이를 융점 이상에서 용융시킨 후에 냉각시키면 다양한 크기의 입경을 갖는 입자가 얻어진다.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입자의 입경의 크기가 작아지는데, 냉각 속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입자의 입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다양한 입경을 갖는 입자를 그대로 본 발명의 베개 내용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입경에 따라서 입자를 분류·분리한 후에 균일한 입경을 갖는 입자로만 본 발명의 베개 내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진흙이나 황토, 밀랍 등으로 이루어진 성형틀에 송이 용융물을 넣어 처음부터 입경이 균일한 송이 입자를 제조하여 베개 내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경은 입자의 길이 방향의 직경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 송이 소성물은 송이 분말을 결합제와 혼합하고 반죽해서 볼 형태로 성형한 후에 열처리함으로써 즉 소성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제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이러한 천연 접착제는 예컨대 녹말 등 접착성 물질의 함유량이 많은 쌀, 밀, 옥수수, 감자, 우뭇가사리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천연 접착제의 사용이 바람직한 이유는 합성 접착제의 사용시 송이의 기능성이 감쇄할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개에 사용될 수 있는 송이 소성물 입자의 입경은 그 입자가 베개 내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한 입경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1mm 내지 20mm 범위인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입경이 1mm 미만일 경우 입자 사이의 공극이 너무 작아 통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입경이 20mm를 넘을 경우에는 입경이 너무 커서 입자 사이에서 요철이 형성되므로 사용시에 불편이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베개에서, 베개피로서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직물,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망사, 한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 오가피, 쑥, 쪽, 코치닐, 정향, 황토, 편백나무잎, 솔잎, 대잎, 감귤피, 백련초, 천년초, 감, 죽엽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로 염색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베개피는 내피와 외피로 이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개 내피에는 내용물인 송이 소성물 입자가 충진되고, 베개 외피에는 심미감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이 새겨지게 된다.
베개피는 송이 소성물 입자가 충진된 후에 결속끈이나 지퍼에 의하여 밀봉되거나 재봉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개에서,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송이 소성물 입자 이외에 백년초(Opuntia humifusa) 씨앗 및/또는 건조된 진피 세절물을 베개 내용물로서 포함할 경우 숙면 유도 효과 및 심신 안정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개에는 송이 소성물 입자 이외에 백년초 씨앗 및/또는 건조된 진피 세절물이 혼합되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바람직한 혼합 비율은 8:1 내지 8:3([송이 소성물 입자]:[건조된 진피 세절물, 백년초 씨앗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부피비이다.
상기에서 건조된 진피 세절물은 입경의 크기는 1mm 내지 3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입경을 갖는 진피 세절물은 송이 소성물 입자 및/또는 백년초 씨앗 사이에서 형성된 공극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송이 소성물 입자 및/또는 백년초 씨앗 중에 진피 세절물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베개는 내용물로서 송이 소성물 입자와 백년초 씨앗 그리고 건조된 진피 세절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이며, 그것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모두 포함될 경우에 가장 숙면 유도 효과 및 심신 안정 효과가 높았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진피는 제주 자생귤인 진귤(Citrus sunki)의 과피를 말한다. 진피는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염증 활성, 혈압 강하 활성 등의 기능성이 보고되어 있다(Jeong WS, Park SW, Chung SK. Food Sci. Biotechnol. 6: 292~296(1997); Kim YC, Koh KS, Koh JS. Food Sci. Biotechnol. 10:483~487(2001); Cho C, Park BJ, Chung SH, Kim CB, Cha BS, Byun MW. Food Sci. Biotechnol. 13:384~386(2004); Murakami A, et al. Carcinogenesis 21:1843~1850(20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이 소성물 입자가 내용물로서 충진된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내용물로서 송이를 자연석 그대로 이용함에 따른 분진의 발생·방출의 문제가 없으며, 또한 백년초(Opuntia humifusa) 씨앗 및/또는 건조된 진피 세절물를 추가로 베개 내용물로서 포함할 경우 숙면 유도 효과 및 심신 안정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의 제조
<실시예 1>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배개의 제조예 1
제주 송이를 분쇄하여 평균입도가 120 메쉬가 되는 송이 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송이 분말을 1,200℃의 온도를 유지하며 약 40분 정도 가열하여 용융물을 얻었다. 용융물을 물로 급냉시켜 다양한 입경을 갖는 송이 소성물 입자를 얻은 후에 대략 1mm 내지 20mm 범위의 입경을 갖는 송이 소성물을 분류·분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베개피에서 이러한 송이 소성물 입자를 충진시키고 베개피를 밀봉하여 송이 소성물 입자가 충진된 베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송이 소성물 입자를 제조한 후에, 송이 소성물 입자와 건조된 진피 세절물을 8:2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베개피에 충진시켜 베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의 제조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송이 소성물 입자를 제조한 후에, 송이 소성물 입자와 백년초 씨앗을 8:2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베개피에 충진시켜 베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배개의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송이 소성물 입자를 제조한 송이 소성물 입자와, 건조된 진피 세절물 및 백년초 씨앗을 8:1: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베개피에 충진시켜 베개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숙면 효과 및 심신 안정에 대한 관능평가
불면증을 갖고 있는 남녀 80명을 20명씩 4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베개를 사용하여 2주간 수면을 취하도록 하였다.
2주 후에, (a) 불면증이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 (b) 불면증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불면증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으나 과거보다 숙면을 취한 횟수가 많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 (c) 변함없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냄과 함께, (i) 심신 안정의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와 (ii) 변함없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불면증과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
구분 불면증 해소 불면증 개선 변함 없음
실시예 1 3 8 9
실시예 2 6 7 7
실시예 3 5 7 8
실시예 4 9 5 5
상기 [표 1]의 결과는 송이 소성물만이 포함된 <실시예 1>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에도 불면증이 해소되었거나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참가자 비율이 55%([3+8]/20×100)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며, 특히 진피 세절물이나 백년초 씨앗이 포함된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에는 불면증이 해소되었거나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참가자 비율이 각각 65%([6+7]/20×100) 및 60%([5+7]/20×100)로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진피 세절물과 백년초 씨앗을 송이 소성물과 함께 포함된 <실시예 4>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에는 불면증이 해소되었거나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참가자 비율이 70%([9+5]/20×100)로 증가함과 함께 불면증이 해소되었다고 응답한 참가자 수도 45%에 이름을 보여준다.
심신 안정과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
구분 심신 안정 효과 있음 심신 안정 효과 없음
실시예 1 2 18
실시예 2 8 12
실시예 3 7 13
실시예 4 12 8
상기 [표 2]의 심신 안정과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 대체로 상기 [표 1]의 결과를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심신 안정과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에 있어서도 진피 세절물과 백년초 씨앗을 송이 소성물과 함께 포함된 <실시예 4>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6)

  1. 베개피에 입경이 1mm 내지 20mm 범위인 송이 소성물 입자, 백년초 씨앗 및 건조된 진피 세절물이 베개 내용물로서 충진되고, 숙면 효과 및 심신 안정 효과를 가지며, 송이 소성물 입자와 백년초 씨앗 그리고 건조된 진피 세절물의 혼합 비율은 8:1:1의 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피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고, 그 내피에는 내용물인 송이 소성물 입자, 백년초 씨앗 및 건조된 진피 세절물이 충진되고, 베개 외피에는 심미감의 향상을 위하여 디자인이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10109787A 2011-10-26 2011-10-26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KR10148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9787A KR101486802B1 (ko) 2011-10-26 2011-10-26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9787A KR101486802B1 (ko) 2011-10-26 2011-10-26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28A KR20130045528A (ko) 2013-05-06
KR101486802B1 true KR101486802B1 (ko) 2015-01-28

Family

ID=4865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9787A KR101486802B1 (ko) 2011-10-26 2011-10-26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43Y1 (ko) * 2018-06-11 2019-07-31 임희재 감귤류 과피를 베갯속으로 사용한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378U (ja) * 1991-11-27 1993-06-22 有限会社通商 火山れき枕
KR100446464B1 (ko) * 2001-03-17 2004-09-01 류상채 침구류속 재료의 제조방법
KR100916739B1 (ko) 2008-08-25 2009-09-14 정민석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KR20090009582U (ko) * 2008-03-19 2009-09-23 태양파워(주) 황토 볼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378U (ja) * 1991-11-27 1993-06-22 有限会社通商 火山れき枕
KR100446464B1 (ko) * 2001-03-17 2004-09-01 류상채 침구류속 재료의 제조방법
KR20090009582U (ko) * 2008-03-19 2009-09-23 태양파워(주) 황토 볼 베개
KR100916739B1 (ko) 2008-08-25 2009-09-14 정민석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28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75905B (zh) 一种成甲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354460B1 (ko) 맥섬석과 한방제재를 혼합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생산방법, 이 방법으로 생산되는 혼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첨가제를 급여하여 가축을 사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양방법
KR101814170B1 (ko) 초석잠을 포함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42448A (zh) 一种无糖型枸杞冻干粉压片糖果的制备方法
KR101486802B1 (ko) 송이 소성물 입자를 이용한 베개
CN108041428A (zh) 一种茯苓夹心饼
KR101036247B1 (ko) 차엽이 첨가된 황토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2759B1 (ko) 황칠 과립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1804B1 (ko) 땅콩밤 묵의 제조방법
KR101592474B1 (ko) 국화 분말을 함유한 분식류 제조용 조성물
KR101518748B1 (ko) 오죽발효차의 제조방법
CN101744067A (zh) 一种绿茶粉丝及其生产工艺
CN111202717A (zh) 一种补锶硒缓释片及其制作方法
KR101447609B1 (ko) 능이버섯을 함유한 칼국수면의 제조방법
KR100441425B1 (ko) 녹차분을 이용한 녹차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하여 제조된 녹차묵
KR101243490B1 (ko) 죽엽 또는 죽순을 이용한 청포묵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청포묵
KR101059584B1 (ko) 매생이 가래떡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0602B1 (ko) 천연광석물을 가지는 베갯속 제조방법
KR20140008777A (ko) 왕겨와 황토를 함유한 숯 및 그 제조방법
KR101626927B1 (ko) 보리떡과 보리면의 제조 방법 및 보리떡과 보리면
CN107794586A (zh) 一种用于生产丝袜的茶纤维的工艺方法
KR101389267B1 (ko) 벼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224B1 (ko)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KR102081674B1 (ko) 향 및 영양성분이 강화된 차
KR102081673B1 (ko) 소화기능 증진을 유도하는 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