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58B1 - 풀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풀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558B1
KR101485558B1 KR1020130133282A KR20130133282A KR101485558B1 KR 101485558 B1 KR101485558 B1 KR 101485558B1 KR 1020130133282 A KR1020130133282 A KR 1020130133282A KR 20130133282 A KR20130133282 A KR 20130133282A KR 101485558 B1 KR101485558 B1 KR 10148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ember
resistance
rack portion
elastic
g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임홍석
강호철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91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5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measuring strain or elastic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내에서 카테터(catheter)를 당겨 이동시키는 풀백 시스템(pullback system)은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탄성 전달부, 카테터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그립(grip)수단을 구비하며 회전 탄성 전달부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여 카테터를 직선 이동시키는 랙(rack)부, 및 랙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랙부의 직선운동에 저항하는 회전 탄성 저항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풀백 시스템{PULLBACK SYSTEM}
본 발명은 풀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혈관 내 초음파에 사용되는 카테터를 당기는 풀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가 점차 발달하면서, 초음파 기구를 인체 내부 혈관 안으로 들어갈 정도로 작은 사이즈로 만들어 동맥 등의 혈관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를 혈관 내 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IVUS)라고 한다. 이 기술은 소리의 속도를 이용하여 진동이 전달되고 초음파가 수신되는 사이에 경과된 시간이 거리나 깊이의 측정으로 전환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혈관 내 초음파는 관상동맥뿐만 아니라 말초 혈관에서도 이용되는데, 특히 심장에 이용될 경우에는 관상동맥 내 초음파라고 한다. 보통 1mm 직경의 초음파를 사용해서 혈관 내부를 관찰한다. 혈관 내 초음파를 이용할 경우 관상동맥 내 혈관 병변의 상태 및 종류와 협착의 정도와 길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쉽게 말해 혈관 내 초음파 기술은 혈관 속을 눈으로 들여다 보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관상동맥 조영술의 2차원적인 그림자 이미지와는 달리 혈관 내 초음파는 직접 혈관 내로 초음파를 넣어 혈관 내부를 눈으로 볼 수 있고 그럼으로써 혈관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좀더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혈관 내 초음파를 수행하기 위하여 초음파용 카테터(catheter)를 혈관 내로 진입시켜 혈관벽의 동맥경화 정도와 석회화 정도 등의 혈관 내부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초음파 카테터는 동맥에 삽입되고 목표 영역으로 이동하며, 목표 영역의 표면 형태 및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이미지로 만들어질 수 있는 초음파 파동을 발생시키고 수신한다.
목표 영역들을 완전하게 묘사하기 위해서는, 혈관과 같이 상대적으로 긴 세포 영역들이 스캔되어야 하는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카테터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이른바 풀백 시스템(pullback system)이라고 하는 당김 장치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기존에 IVUS에서 사용되던 카테터 풀백 시스템은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카테터의 당김(pullback) 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모터를 사용하는 풀백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직선 운동 전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부품 외에 모터, 제어보드, 배터리 등의 추가적인 구동 부품으로 인하여 제품 원가 상승이 초래되고, 기기의 무게 와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둘째, 모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원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에너지 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고, 배터리 교체나 충전 등의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 전원이 차단될 경우 중간에 기기의 작동이 갑자기 멈출 수 있으므로 불안정적인 풀백 시스템이 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829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모터, 제어보드, 배터리 등의 전원에 의한 추가적인 구동 부품을 제거하고 기기의 원가 및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고도 일정 속도로 카테터를 당길 수 있는 풀백 시스템, 또, 배터리 교체나 충전 등의 불편함이 없고 안정적인 풀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내에서 카테터(catheter)를 당겨 이동시키는 풀백 시스템(pullback system)은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탄성 전달부, 카테터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그립(grip)수단을 구비하며 회전 탄성 전달부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여 카테터를 직선 이동시키는 랙(rack)부, 및 랙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랙부의 직선운동에 저항하는 회전 탄성 저항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저장하고 전달하는 회전 탄성 전달부,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전달 받아 직선 운동 하는 랙부, 및 랙부의 직선 이동에 저항하여 랙부가 소정의 거리 이동 후 정지하도록 하는 회전 탄성 저항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터 등의 전원에 의한 추가적인 구동 부품 없이 원가 및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고 일정 속도로 카테터를 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배터리 교체나 충전 등의 불편함이 없고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풀백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 2의 풀백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풀백 시스템의 주요 구조를 확대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풀백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백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다.
도 1에서 도시되듯이, 실시예 1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회전 탄성 전달부(110), 랙부(100), 및 회전 탄성 저항부(130)를 포함한다.
회전 탄성 전달부(110)는 랙부(100)의 일면에 기어 결합하는 이송 바퀴부재(111), 이송 바퀴부재(111)의 중심을 관통하고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제1 고정축(113) 및 이송 바퀴부재(111)와 제1 고정축(113)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주 탄성부재(115)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제1 고정축(113), 이송 바퀴부재(111), 및 주 탄성부재(115)의 상호간의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주 탄성부재(115)로서 도 2에서는 태엽이 도시되고 있으나 태엽 이외에도 토션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 탄성부재(115)의 일단은 이송 바퀴부재(111)의 지름 방향의 바깥쪽 부분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주 탄성부재(115)의 타단에는 중심고리(116)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고리(116)는 제1 고정축(113)과 고정 결합한다. 제1 고정축(113)은 이송 바퀴부재(111)의 중심부(118)와 주 탄성부재(115)의 중심고리(116)를 관통한다. 다만, 이송 바퀴부재(111)는 제1 고정축(11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주 탄성부재(115)의 중심고리(116)는 제1 고정축(113)과 서로 헛돌지 않도록 상호 고정 결합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바퀴부재(111)가 제1 고정축(11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는 것은 제1 고정축(113)을 회전시키지 않고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 바퀴부재(11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또, 주 탄성부재(115)의 중심고리(116)가 제1 고정축(113)과 서로 헛돌지 않도록 상호 고정 결합을 한다는 것은 제1 고정축(113)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면 제1 고정축(113)에 부착된 중심고리(116) 부분도 회전하지 않고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결합되게 되면 제1 고정축(113)을 고정한 채로 이송 바퀴부재(111)를 회전시킬 경우 주 탄성부재(115)가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이에 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 탄성 변형력이 주 탄성부재(115)에 저장되게 된다. 그 결과 외부에서 이송 바퀴부재(111)를 회전시켰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이송 바퀴부재(111)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회전에 의하여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면서 이송 바퀴부재(111)는 다른 부재를 미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송 바퀴부재가(111) 다른 부재에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전달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회전 탄성 전달부(110)는 외부로부터 회전 탄성력 변형력을 전달 받아 저장하였다가 다시 다른 부재로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회전 탄성 전달부(110)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저장하였다가 다시 랙부(100)로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송 바퀴부재(111)에 의해 회전 탄성 전달부(110)로부터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전달 받은 랙부(100)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의하여 그립수단에 의해 랙부(100)에 고정된 카테터(150)는 잡아 당겨져 이송운동을 할 수 있다.
랙부(100)는 카테터(150)를 고정하는 장치인 그립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회전 탄성 전달부(110)로부터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전달 받아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바뀌는 것은 랙-피니언(rack and pinion) 기어에서와 유사한 원리이다. 플레이트와 같은 평평한 형상을 하고 있는 랙부(100)의 일면에 이송 바퀴부재(111)의 외주면이 기어 결합되어 있어서 이송 바퀴부재(111)가 회전 시 랙부(100)가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랙부(100)는 카테터(150)를 고정하는 그립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 1의 풀백 시스템에서는 그립수단의 일 예로 랙부(100)의 중앙에 홈(101)이 마련되어 있다. 카테터(150)가 랙부(100)의 홈(101)에 끼워져 고정된다.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랙부(100)가 직선 이동 시 카테터(150)가 빠지지 않고 랙부(100)와 함께 이송된다. 이로써 카테터(150)가 랙부(100)의 직선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이동한다.
홈(101)의 내면은 주위 보다 마찰계수가 크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찰계수가 크다면 카테터(150)가 미끄러지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홈(101) 내부 면이 실리콘이나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수단은, 홈(101) 이외에도, 랙부(100)를 두 파트로 나눈 후에 나뉘어진 두 파트 사이를 멀어지고 가까워지게 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두 파트가 멀어진 경우 두 파트 사이에 카테터(150)를 넣고 그 후 두 파트를 가깝게 하여 카테터(150)를 두 파트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두 파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나사 등의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랙부(100)는 소정의 루트를 따라서 직선 이동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풀백 시스템은 가이드 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랙부(100)의 측면으로 측면홈(102)을 파고 레일 형상의 막대 부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가이드 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랙부(100)는 가이드 부(140)를 따라서 소정의 루트를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140)가 있을 경우 랙부(100)가 흔들림 없이 더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 탄성 저항부(130)는 랙부(100)의 타면에 기어 결합할 수 있는 저항 바퀴부재(131), 저항 바퀴부재(131)의 중심을 관통하고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제2 고정축(133), 및 이송 바퀴부재(111)와 제2 고정축(133)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으로 구비하는 부 탄성부재(135)를 포함한다.
제2 고정축, 저항 바퀴부재(131) 및 부 탄성부재(135)의 연결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제1 고정축, 이송 바퀴부재(111) 및 주 탄성부재(115)의 연결 구조와 동일한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부 탄성부재(135)로는 태엽이나 토션 스프링 등이 될 수 있다.
즉, 부 탄성부재(135)의 일단은 저항 바퀴부재(131)의 지름 방향의 바깥쪽 부분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부 탄성부재(135)의 타단에는 중심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고리는 제2 고정축(133)과 고정 결합한다. 제2 고정축(133)은 저항 바퀴부재(131)의 중심부와 부 탄성부재(135)의 중심고리를 관통한다. 다만, 저항 바퀴부재(131)는 제2 고정축(13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부 탄성부재(135)의 중심고리는 제2 고정축(133)과 서로 헛돌지 않도록 상호 고정 결합을 한다.
이렇게 결합되게 되면 제2 고정축(133)을 고정한 채로 저항 바퀴부재(131)를 회전시킬 경우 부 탄성부재(135)가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이에 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 탄성 변형력이 부 탄성부재(135)에 저장되게 된다. 그 결과 저항 바퀴부재(131)는 저항 바퀴부재(131)를 돌리는 외부의 힘에 저항하게 된다.
즉, 랙부(100)의 타면에 기어 결합 하고 있는 저항 바퀴부재(131)가 회전하면서 부 탄성부재(135)가 탄성 변형을 하게 되고 부 탄성부재(135)에 회전 탄성 변형력이 저장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저장된 회전 탄성 변형력은 직선 운동하는 랙부(100)에 저항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저항력을 받은 랙부(100)는 소정 거리 이동 후에 멈추어 서게 된다.
주 탄성부재(115)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 바퀴부재(111)가 랙부(100)를 미는 힘과 부 탄성부재(135)에 의하여 저항 바퀴부재(131)가 랙부(100)를 미는 힘이 같아지는 순간 랙부(100)는 직선 운동을 멈추고 서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의 풀백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술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항 바퀴부재(131)의 외주면이 랙부(100)의 타면과 서로 결합하지 않도록 저항 바퀴부재(131)를 H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2 고정축(133)을 H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이 후 이송 바퀴부재(111)와 랙부(100)의 일면이 기어 결합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힘을 가하여 랙부(100)를 D1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 경우 랙부(100)의 일면에 기어 결합하고 있던 이송 바퀴부재(111)가 R1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주 탄성부재(115)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저장한다. 이후에 카테터(150)를 랙부(100)의 홈(101)에 끼워 넣는다. 카테터(150)는 마찰에 의하여 랙부(100)의 홈(101)에 고정된다. 그 다음 저항 바퀴부재(131)의 외주면이 랙부(100)와 접촉하도록 저항 바퀴부재(131)를 H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 역시 수동 작업으로 제2 고정축(133)을 H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랙부(100)에 가하던 외부 힘을 제거한다. 외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주 탄성부재(115)의 탄성 복원력이 이송 바퀴부재(111)에 작용하여 이송 바퀴부재(111)는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송 바퀴부재(111)는 랙부(100)의 일면에 기어 결합하고 있었으므로 이송 바퀴부재(111)가 R2방향으로 회전하면 랙부(100)는 이송 바퀴부재(111)로부터 힘을 받아 D2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 때 카테터(150)는 랙부(100)의 홈(10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랙부(100)와 마찬가지로 D2방향으로 직선이동 하게 된다.
랙부(100)가 D2방향으로 이동할 때 랙부(100)의 타면과 기어 결합 하고 있는 저항 바퀴부재(131)는 R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 탄성부재(135)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저항 바퀴부재(131)는 랙부(100)가 D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 한다.
부 탄성부재(135)의 탄성 변형이 커져서 저항 바퀴부재(131)가 랙부(100)의 직선 운동에 저항하는 힘과 이송 바퀴부재(111)가 랙부(100)를 D2방향으로 미는 힘이 같아질 때 랙부(100)는 직선 운동을 멈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랙부(100)는 소정의 거리를 직선 운동한 후 멈추게 된다. 랙부(100)에 고정된 카테터(150) 역시 소정의 거리만큼 당겨진 후 멈추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예 1의 풀백 시스템이 카테터(150)를 당기는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주 탄성부재(115)로 사용된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이송 바퀴부재(111)가 랙부(100)를 D2방향으로 미는 속도는 시작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만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 이후의 단계에서는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주 탄성부재(115)인 태엽이 다 풀어져 갈 때쯤이 되면 속도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저항 바퀴부재(131)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주 탄성부재(115)로 사용된 태엽이 다 풀어져 가기 전에 저항 바퀴부재(131)의 저항력으로 랙부(100)를 멈추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랙부(100)는 일정 속도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바로 정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의 공급 없이도 카테터(150)를 일정 속도로 소정의 거리만큼 잡아당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 바퀴부재(111)가 랙부(100)를 D2방향으로 미는 초기 단계에서는 부 탄성부재(135)에 의한 저항력이 약하게 작용할수록 랙부(100)가 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 탄성부재(135)의 탄성은 주 탄성부재(115)의 탄성보다 약한 것이 바람직하다. 부 탄성부재(135)는 주 탄성부재(115)가 탄성력을 거의 잃어갈 때쯤에만 주 탄성부재(115)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작용하여 랙부(100)를 멈추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1에서는 힘의 전달 과정이 각 부재의 기어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 지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바퀴부재를 마찰계수가 큰 부재로 만들어서 힘의 전달 과정이 각 부재의 마찰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찰 결합에 의하여 힘을 전달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회전 탄성 전달부(110), 랙부(100), 및 회전 탄성 저항부(130)를 구비함으로써, 모터 등의 전원에 의한 추가적인 구동 부품 없이 원가 및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고 일정 속도로 카테터(150)를 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배터리 교체나 충전 등의 불편함이 없고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3은 실시예 2의 풀백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풀백 시스템의 주요 구조를 확대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풀백 시스템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구동을 전달하는 연결부(220), 바퀴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과 제1 몸체(370) 및 제2 몸체(380)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1의 풀백 시스템과는 주요하게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풀백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다.
실시예 2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작동을 위한 주요 구조로 랙부(100), 연결부(220), 회전 탄성 전달부(210), 회전 탄성 저항부(230), 제어부(270) 및 작동부(381)를 포함한다. 랙부(100), 연결부(220), 회전탄성 전달부(210), 및 제어부(270)는 제1 몸체(370)에 설치된다. 제2 몸체(380)는 회전 탄성 저항부(230), 작동부(381)를 구비한다.
랙부(100)는 일면 및 타면에 톱니 형상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 그 구조는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연결부(220)는 이송 톱니바퀴부재(221), 회전축(223), 및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를 포함한다.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는 랙부(100)의 일면에 형성된 톱니에 대응하는 톱니를 가지고 있어서 랙부(100)의 일면과 서로 톱니가 맞물리는 기어 결합을 한다.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는 실시예 1의 이송 바퀴부재(111)와 달리 주 탄성부재(215)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회전축(223)은 이송 톱니바퀴부재(221)의 중심에서 연장된다. 회전축(223)은 제1 몸체(370)와의 관계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몸체(370)에 설치된다. 다만, 회전축(223)은 이송 톱니바퀴부재(221)와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즉, 이송 톱니바퀴부재(221)와 회전축(223) 중 어느 하나가 회전 시 나머지 하나도 같은 회전 각속도를 가지고 회전하게 된다.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는 상기 회전축(223)에 결합된다.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는 외주면에 톱니를 가지고 있으며, 이송 톱니바퀴부재(221)와 마찬가지로 회전축(223)과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이송 톱니바퀴부재(221), 회전축(223), 및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는 어느 하나가 회전 시 전체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223)에는 사용자가 회전축(223)을 돌리기 편리하도록 파지 가능한 손잡이 부재(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부재(224)는 회전축(223)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대적으로 더 작은 힘으로도 회전축(223)을 회전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준다.
회전 탄성 전달부(210)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 제1 고정축(213), 및 주 탄성부재(215)를 포함한다.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구동 톱니바퀴부재(222)의 톱니 형상에 대응하는 톱니 형상을 가진다. 그래서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와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는 서로 톱니가 맞물리도록 결합한다.
제1 고정축(213)은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제1 고정축은 제1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1 몸체에 고정 설치된다.
탄성을 구비하는 주 탄성부재(215)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와 제1 고정축(213) 각각에 연결된다. 즉, 일단은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제1 고정축(213)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주 탄성부재(215)로는 태엽 이외에도 토션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 톱니바퀴부재(211), 제1 고정축(213), 및 주 탄성부재(215)간에 결합 관계는 실시예 1에서 이송 바퀴부재(111), 제1 고정축(113) 및, 주 탄성부재(115)와의 결합관계와 같다.
제어부(270)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70)는 걸림홈(271), 걸림판(277), 누름판(275), 스위치(273)를 포함한다.
걸림판(277)은 하측 단부가 제1 몸체(37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판(277)의 상측 단부에서는 누름판(275)이 저장 톱니바퀴부재 측으로 연장된다. 걸림판(277)은 금속 소재 등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제1 몸체와 연결된 하측 단부를 중심으로 일정 크기의 회전 반경을 그리며 W1방향 및 W2방향으로 조금씩 흔들리는 것이 가능하다. 걸림판(277)이 W1방향 및 W2방향으로 흔들리면 제어부(270) 전체가 W1방향 및 W2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걸림판(277)에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와 직접 맞물리는 걸림홈(27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부분 확대도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걸림홈(271)은 비스듬하게 위에서 아래로 파여진 홈(272) 및 비스듬하게 아래에서 위로 돌출한 돌출부(274)를 교대로 구비한다. 홈(272)은 비스듬하게 파여져 있으므로 수평선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걸림홈(271)과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의 톱니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홈(272)이 비스듬하게 수평선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파여져 있기 때문에,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R2방향 회전만이 가능하다. 즉, 걸림홈(271)과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R2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R1방향으로의 회전은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R1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어부(270)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에 의해서 W2방향으로 당겨지고, 그에 따라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걸림홈(271)과 더욱 밀착하게 되므로,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의 톱니가 걸림홈(271)의 다음 칸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R2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제어부(270)를 밀기 때문에 제어부(270)가 W1방향으로 조금 밀리고,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와 제어부(270)는 서로 격리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의 톱니는 걸림홈(271)의 다음 칸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위치(273)는 버튼 형상을 가지고 있고, 누름판(275)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273)는 눌러서 작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273)는 그것을 눌렀을 때 제어부(270)가 W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273)를 누르면 걸림판(277) 및 걸림홈이(271)이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스위치(273)를 눌렀을 때 걸림판(277) 및 걸림홈이(271)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된다면, 스위치(273)의 돌출 방향은 특정한 방향이 아닌 임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스위치(273)를 누르면, 스위치(273)가 작동하여 걸림판(277) 및 걸림홈이(271)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그 결과 걸림홈(271)과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격리된다. 이 경우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R1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 탄성 저항부(230)는 저항 톱니바퀴부재(231), 제2 고정축(233), 및 부 탄성부재(235)를 포함한다. 이처럼 회전 탄성 저항부(230)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 2에서 회전 탄성 저항부(230)는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를 2개 구비한다.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는 랙부(100)의 홈(101)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각각 1개씩 배치된다.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를 2개 구비하는 것은 랙부(100)에 좀더 안정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항 톱니바퀴부재(231)가 하나만 있는 경우 홈(101)을 기준으로 한쪽에서만 랙부(100)를 밀게 되면, 랙부(100)에 회전 토크가 가해질 수 있다. 랙부(100)는 직선운동만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홈(101)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랙부(100)를 미는 것이 좀더 안정적인 것이 된다.
저항 톱니바퀴부재(231)가 두 개이고, 두 저항 톱니바퀴부재(231)가 제2 고정축(233)을 공통 축으로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본 실시예에서 저항 톱니바퀴부재(231), 제2 고정축(233), 및 부 탄성부재(235)의 결합 관계 및 작동 원리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회전 탄성 저항부(230)의 경우와 같다.
제1 몸체(370)에는 랙부(100), 연결부(220), 회전 탄성 전달부(210), 및 제어부(270)가 설치된다. 도 3에서 도시되듯이 제1 몸체(370)는 라운딩 처리된 용기 형상을 갖는다. 용기 내부로 랙부(100), 연결부(220), 회전 탄성 전달부(210), 및 제어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몸체(380)는 회전 탄성 저항부(230) 및 작동부(381)를 포함한다. 회전 탄성 저항부(230)의 제2 고정축(233)은 회전하지 않도록 제2 몸체(380)에 고정 설치된다.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는, 제1 몸체(370)와 제2 몸체(380)가 분리 시에는 랙부(100)의 타면과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제1 몸체(370)와 제2 몸체(380)가 결합 시에는 랙부(100)의 타면과 기어 결합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작동부(381)는 제1 몸체(370) 및 제2 몸체(380)가 결합할 때, 제어부(270)의 스위치(273)를 접촉하여 스위치(273)를 작동시키는 경사면(384)을 포함한다. 제1 몸체(370) 및 제2 몸체(380)의 결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면(384)이 제2 몸체(38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 2의 풀백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술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항 톱니바퀴부재(231)의 톱니가 랙부(100)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와 서로 결합하지 않도록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를 H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몸체(370)와 제2 몸체(380)를 서로 분리시킨다. 이 경우 저항 톱니바퀴부재(231)의 톱니와 랙부(100)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는 서로 분리된다.
이 후 수동으로 외력을 가하여 손잡이 부재(224)를 R1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223), 구동 톱니바퀴부재(222), 및 이송 톱니바퀴부재(221)가 모두 R1방향으로 회전한다. 랙부(100)의 일면과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는 서로 톱니가 맞물려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과정에서 랙부(100)는 D1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 경우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구동 톱니바퀴부재(222)와 기어 결합하고 있는 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제1 고정축(213)이 고정된 상태로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회전하므로, 주 탄성부재(215)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이 과정에서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탄성 변형된 주 탄성부재(215)는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를 R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만일 제어부(270)가 없는 상태에서, 랙부(100)가 D1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손잡이 부재(224)를 돌리는 외력을 제거한다면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 톱니바퀴부재(222), 회전축(223), 손잡이 부재(224), 및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는 모두 R2방향으로 회전하며, 랙부(100)는 D2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갈 것이다.
그러나 제어부(270)가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손잡이 부재(224)를 돌리는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저장 톱니바퀴부재(211), 구동 톱니바퀴부재(222), 이송 톱니바퀴부재(221), 및 랙부(100)는 모두 움직이던 중의 상태 그 자리에서 그대로 멈춰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손잡이 부재(224)를 돌려서 랙부(100)가 D1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한 이후에 손잡이 부재(224)를 돌리던 외력을 제거한다.
그 다음 카테터(150)를 랙부(100)의 홈(101)에 끼워 넣는다. 카테터(150)는 마찰에 의하여 랙부(100)의 홈(101)에 고정된다.
이 후 제1 몸체(370) 및 제2 몸체(38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저항 톱니바퀴부재(231)의 톱니는 H2방향으로 내려와 랙부(100)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와 서로 맞물린다. 그와 동시에 작동부(381)의 경사면(384)이 제어부(270)의 스위치(273)를 누른다.
스위치(273)가 작동하면, 제어부(270)의 걸림홈(271)과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격리된다. 걸림홈(271)과 저장 톱니바퀴부재(211)가 격리됨과 동시에 주 탄성부재(215)의 탄성 복원력이 저장 톱니바퀴부재(211)에 작용하여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R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저장 톱니바퀴부재(211)는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를 R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 톱니바퀴부재(222)는 회전축(223) 및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를 R2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는 랙부(100)의 일면에 기어 결합하고 있으므로, 이송 톱니바퀴부재(221)가 R2방향으로 회전하면, 랙부(100)는 이송 톱니바퀴부재(221)로부터 힘을 받아 D2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 때 카테터(150)는 랙부(100)의 홈(10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랙부(100)를 따라 D2방향으로 당겨진다.
랙부(100)가 D2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는 R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 탄성부재(235)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회전 탄성 변형력을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랙부(100)의 타면에 기어 결합 하고 있는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는 랙부(100)가 D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 한다.
부 탄성부재(235)의 탄성 변형이 커져서 저항 톱니바퀴부재(231)가 랙부(100)의 직선 운동에 저항하는 힘과 이송 톱니바퀴부재(221)가 랙부(100)를 D2방향으로 미는 힘이 같아질 때 랙부(100)는 직선 운동을 멈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랙부(100)는 소정의 거리를 직선 운동한 후 멈추게 되는 것이다. 랙부(100)에 고정된 카테터(150) 역시 소정의 거리만큼 당겨진 후 멈추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예 2의 풀백 시스템은 카테터(150)를 당기는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주 탄성부재(215)로 사용된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이송 톱니바퀴부재(221)가 랙부(100)를 D2방향으로 미는 속도는 시작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나, 그 이후의 단계에서는 현저하게 줄어든다. 주 탄성부재(215)인 태엽이 다 풀어져 갈 때쯤이 되면 일정하던 속도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이다.
저항 톱니바퀴부재(231)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주 탄성부재(215)로 사용된 태엽이 다 풀어져 가기 전에 저항 톱니바퀴부재(231)의 저항력으로 랙부(100)를 멈추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랙부(100)는 일정 속도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정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의 공급 없이도 카테터(150)를 일정 속도로 소정의 거리만큼 잡아당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의한 풀백 시스템에서 제2 몸체(380)는 위치안정 톱니바퀴부재(382)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안정 톱니바퀴부재(382)는 랙부(100)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의 형상과 대응하는 톱니의 형상을 가진다. 위치안정 톱니바퀴부재(382)는 랙부(100)가 요동하지 않고 가이드 부(140) 상에서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랙부(100)에 적절한 압력을 가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한 풀백 시스템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전원의 공급 없이도 카테터(150)를 일정 속도로 소정의 거리만큼 잡아당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 2에 따른 풀백 시스템은, 저항 톱니바퀴부재(231)에 형성된 톱니와 랙부(100)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간의 분리 결합 및 스위치(273)의 작동 조작을 제1 몸체(370) 및 제2 몸체(380)의 분리 결합을 통하여 수행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보다 더 편리하게 카테터(150)를 당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0: 랙부 101: 홈
110: 회전 탄성 전달부 111: 이송 바퀴부재
113: 제1 고정축 115: 주 탄성부재
116: 중심고리 118: 중심부
131: 저항 바퀴부재 133: 제2 고정축
135: 부 탄성부재 140: 가이드 부
150: 카테터 210: 회전 탄성 전달부
211: 저장 톱니바퀴부재 213: 제1 고정축
215: 주 탄성부재 220: 연결부
221: 이송 톱니바퀴부재 222: 구동 톱니바퀴부재
223: 회전축 224: 손잡이 부재
230: 회전 탄성 저항부 231: 저항 톱니바퀴부재
233: 제2 고정축 235: 부 탄성부재
270: 제어부 271: 걸림홈
273: 스위치 275: 누름판
277: 걸림판 370: 제1 몸체
380: 제2 몸체 381: 작동부
382: 위치안정 톱니바퀴부재

Claims (17)

  1. 혈관 내에서 카테터(catheter)를 당겨 이동시키는 풀백 시스템(pullback system)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탄성 전달부와,
    상기 카테터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그립(grip)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탄성 전달부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여 상기 카테터를 직선 이동시키는 랙(rack)부와,
    상기 랙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랙부의 직선운동에 저항하는 회전 탄성 저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부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부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수단은 상기 랙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부 면은 상기 내부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보다 마찰계수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부 면을 이루는 소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는 일면 및 타면에 톱니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탄성 전달부는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축, 상기 제1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랙부의 일면의 톱니에 기어 결합하는 이송 바퀴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 고정축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이송 바퀴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탄성 저항부는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축, 상기 제2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랙부의 타면의 톱니에 대응하는 톱니를 구비하는 저항 바퀴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2 고정축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저항 바퀴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8. 혈관 내에서 카테터(catheter)를 당겨 이동시키는 풀백 시스템(pullback system)에 있어서,
    외부 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탄성 전달부와;
    상기 회전 탄성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탄성 전달부로부터 회전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연결부;
    상기 카테터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그립(grip)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여 상기 카테터를 직선 이동시키는 랙(rack)부; 및
    상기 랙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랙부의 직선운동에 저항하는 회전 탄성 저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랙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회전탄성 전달부가 설치되는 제1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부는 일면 및 타면에 톱니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랙부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톱니에 기어 결합하는 이송 톱니바퀴부재, 상기 이송 톱니바퀴부재 중심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톱니바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탄성 전달부는 상기 제1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축, 상기 제1 고정축에 대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구동 톱니바퀴부재의 톱니에 기어 결합하는 저장 톱니바퀴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제1 고정축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주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탄성 저항부는 회전운동이 제한되는 제2 고정축, 상기 제2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랙부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톱니 형상에 대응하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저항 톱니바퀴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저항 톱니바퀴부재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제2 고정축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걸림판;
    상기 걸림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저항 톱니바퀴부재에 인접하고, 수평선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를 상기 타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 걸림홈;
    상기 걸림판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에 결합된 버튼 형상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를 눌러 작동 시 상기 걸림판이 탄성변형 하며 상기 걸림홈과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가 격리됨으로 인하여 상기 저장 톱니바퀴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 탄성부재 또는 부 탄성부재는 각각 태엽 또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립수단은 상기 랙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전 탄성 저항부는 상기 저항 톱니바퀴부재를 2개 구비하고, 상기 저항 톱니바퀴부재는 상기 홈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각각 1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 탄성 저항부와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에 결합 가능한 제2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시 상기 스위치를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저항 톱니바퀴부재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시 상기 랙부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톱니 형상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랙부의 타면에 형성된 톱니와 대응하는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랙부가 요동치는 것을 막아주는 위치안정 톱니바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백 시스템.
KR1020130133282A 2013-11-05 2013-11-05 풀백 시스템 KR10148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82A KR101485558B1 (ko) 2013-11-05 2013-11-05 풀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82A KR101485558B1 (ko) 2013-11-05 2013-11-05 풀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558B1 true KR101485558B1 (ko) 2015-01-22

Family

ID=5259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82A KR101485558B1 (ko) 2013-11-05 2013-11-05 풀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5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12B2 (ko) * 1984-03-31 1992-03-30 Niigata Engineering Co Ltd
US6391051B2 (en) * 1996-11-27 2002-05-21 Scimed Life Systems, Inc. Pull back stent delivery system with pistol grip retraction handle
JP2004159668A (ja) * 2002-07-31 2004-06-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脈管内超音波画像化装置および方法
JP4019112B2 (ja) 1997-04-11 2007-12-12 メドトロニック バ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または他の解剖学的構造の間に通路を形成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及び関連器具
JP2011036680A (ja) * 2002-08-26 2011-02-24 Clevland Clinic Foundation 血管データを捕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12B2 (ko) * 1984-03-31 1992-03-30 Niigata Engineering Co Ltd
US6391051B2 (en) * 1996-11-27 2002-05-21 Scimed Life Systems, Inc. Pull back stent delivery system with pistol grip retraction handle
JP4019112B2 (ja) 1997-04-11 2007-12-12 メドトロニック バ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または他の解剖学的構造の間に通路を形成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及び関連器具
JP2004159668A (ja) * 2002-07-31 2004-06-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脈管内超音波画像化装置および方法
JP2011036680A (ja) * 2002-08-26 2011-02-24 Clevland Clinic Foundation 血管データを捕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7539B (zh) 打钉机
CN2922781Y (zh) 内窥镜
AU2008203137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flexible drive mechanism
US9200749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with height adjusting device of control panel
MX2012011257A (es) Sistema de impulso.
US9572616B2 (en) Continuous ratchet medical instrument drive
JP2017192742A (ja) 連続可変角度部を含む側方研削ドリル
US10531778B2 (en) Vacuum cleaner
CA2345275A1 (en) Imaging core loading tool
US20190021752A1 (en) Ultrasonic transducer to blade acoustic coupling, connections, and configurations
KR101485558B1 (ko) 풀백 시스템
US20170021199A1 (en) Treatment instrument, distal side probe unit, and proximal side probe unit
US20170105702A1 (en) Ultrasonic probe
CN111297528A (zh) 支架植入器驱动机构及医疗支架植入装置
US20040016315A1 (en) Backlash clutch and joint mechanism for a robot comprising the clutch
US8635736B2 (en) Mop wringer
CN113197713A (zh) 支架分段输送装置
KR102118124B1 (ko) 로봇 관절 구동용 케이블 구동장치
JP5635197B2 (ja) 着脱式ハンドル
TWI594805B (zh) Adaptable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silicone gun package
WO2020145211A1 (ja) 動作補助装置
CN215688808U (zh) 一种驱动轮组及支架置入器
JP2000333961A (ja) 超音波プローブ駆動装置
CN217565999U (zh) 一种用于内窥镜的角度自由调节弯转操作装置及内窥镜
JP4459399B2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