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674B1 -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 Google Patents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674B1
KR101484674B1 KR20130018250A KR20130018250A KR101484674B1 KR 101484674 B1 KR101484674 B1 KR 101484674B1 KR 20130018250 A KR20130018250 A KR 20130018250A KR 20130018250 A KR20130018250 A KR 20130018250A KR 101484674 B1 KR101484674 B1 KR 10148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paddle
module
image receptor
recep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267A (ko
Inventor
이상면
Original Assignee
메디퓨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퓨처(주) filed Critical 메디퓨처(주)
Priority to KR2013001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6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61B90/17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for soft tissue, e.g. breast-hold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및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룩업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BREAST VOLUME MEASURING APPARATUS AND MAMMOGRAPHY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실제 유방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주기적으로 유방암 검사를 진행하여 초기단계에서 유방암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유방암 검사에는 맘모그래피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맘모그래피장치는 자동노출제어장치(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에 의해 적정량의 X 레이가 유방에 피폭되도록 하여 판독시 적정하고 일정한 품질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자동노출제어장치는 X 레이 촬영 시에 필요한 여러 조건들을 자동으로 계산하는데, 자동노출제어장치는 계산시 압박된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맘모그래피장치를 이용하여 유방암 검사를 하는 경우 압박된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유방 압박 시, 패들은 힘을 전달받아 패들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과 유방에 접촉하여 유방을 압박 부분의 위치가 달라 유방을 압박할 때 패들이 꺽이거나 휘어지게 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렇게 패들이 꺽이거나 휘어지거나 경사지게 되면 패들이 힘을 전달받는 부분의 높이와 유방을 압박하는 부분은 높이에 차이가 발생하여 패들이 이동한 거리를 이용하여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유방의 정확한 두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 2006/0245541(2006.11.2. 공개)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제 유방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맘모그래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에 대응하여 유방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모듈, 복수의 단위 간격 별로 유방 두께에 대한 보정값을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측정모듈에서 측정한 유방두께와 단위 간격을 이용하여 룩업테이블로부터 유방 두께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추출하고 유방두께와 보정값을 연산하는 연산모듈 및 연산모듈에서 연산된 유방두께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복수의 단위 간격 별로 유방 두께에 대한 보정값을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측정모듈에서 측정한 간격과 룩업테이블로부터 간격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추출하고 간격과 보정값을 연산하여 유방의 두께를 연산하는 연산모듈 및 연산된 유방두께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압박모듈이 패들과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압박모듈이 패들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을 좁혀 압박력을 측정하되, 압박력이 제2값이 되면, 패들이 유방에 접촉된 것으로 인식하고 구동부의 구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룩업테이블이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필드 각각은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 유방에 가해지는 압박력,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맘모그래피장치는 X 레이를 투사하는 X 레이 튜브, 상면에 유방이 위치하고 유방을 투과한 X 레이를 수집하여 유방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패들 및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와 패들에 의해 압박된 유방의 두께를 측정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를 포함하되,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간격 별로 상기 유방두께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모듈에 유방두께 정보를 제공하는 룩업테이블 및 측정모듈에서 측정한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 두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맘모그래피장치는 X 레이를 투사하는 X 레이 튜브, 상면에 유방이 위치하고 유방을 투과한 X 레이를 수집하여 유방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패들 및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와 패들에 의해 압박된 유방의 두께를 측정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를 포함하되,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복수의 단위 간격 별로 유방 두께에 대한 보정값을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측정모듈에서 측정한 유방두께와 룩업테이블로부터 상기 단위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유방 두께에 대응하는 상기 보정값을 추출하고 상기 유방두께와 상기 보정값을 연산하는 연산모듈 및 상기 연산모듈에서 연산된 유방두께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맘모그래피장치에 의하면, 패들의 휘어짐 또는 꺽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유방 두께의 오차를 보정함으로 인해 실제 유방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3D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맘모그래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맘모그래피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맘모그래피장치에 채용된 유방두께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맘모그래피장치에 채용된 유방두께 측정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엘리먼트(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엘리먼트(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엘리먼트(element)가 상기 두 엘리먼트(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배치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엘리먼트(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맘모그래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맘모그래피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맘모그래피장치(1000)는 X 레이를 투사하는 X 레이 튜브(100), 상면에 유방(10)이 위치하고 유방(10)을 투과한 X 레이에 의해 유방(1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방이 압박되도록 하는 패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맘모그래피장치(1000)는 X 레이 튜브(100),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 및 패들(120)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C-암(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암(130)은 연결축(141)을 통해 본체(140)에 연결되어 연결축(141)의 회전에 의해 C-암(130)이 회전을 하여 검사자가 환자의 유방(10)을 촬영할 때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141)은 본체(140)에서 수직 이동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C-암(130)이 수직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촬영을 위해 본체(140)를 정면으로 보는 곳에 위치하여 유방(10)을 이미지 리셉터 어셈블리(110)와 패들(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맘모그래피장치(1000)는 유방두께 측정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방두께 측정장치(200)는 외부에 설치되고 맘모그래피장치(1000)과 유무선통신을 하여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을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함으로써 유방두께를 산출한다. 또한,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본체(140) 또는 C-암(1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패들(120)은 일단이 C-암(13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방(10)을 압박할 수 있다. C-암(130)은 패들(120)이 결합된 부분에 패들(12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1)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들(120)이 이동하여 유방(10)을 압박할 때, 이동수단(121)이 패들의 한쪽 끝(A)에 있고 유방은 반대편(B)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들(120)이 이동할 때 패들(120)의 한쪽 끝(A)에만 힘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유방(10)을 압박할 때 패들(120)이 휘어지거나 패들(120)이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패들(120)이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에는 패들(120)이 탈부착되는 부분(C)의 강성이 떨어져 패들(120)이 꺽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패들(120)이 휘거나 기울어지거나 또는 꺽어지는 경우 패들(120)이 C-암(130)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h1)와 패들(120)이 유방(1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B)의 높이(h2)는 서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패들(120)이 C-암(130)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h1)와 패들(120)이 유방(1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의 높이(h2)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실제 유방(10)의 두께와 다른 값을 유방의 두께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방(10)의 두께와 다른 값을 유방의 두께로 판단을 하게 되면 유방(10)의 정확한 3D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방두께 측정장치는 패들(120)이 C-암(130)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A)의 높이(h1)와 패들(120)이 유방(1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B)의 높이(h2)의 차이를 보정하여 실제 유방의 두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들(120)은 예를 들어 유방(10)에 접촉한 후 1mm 또는 10mm씩 이동하도록 하여 유방(10)을 압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1mm, 10mm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검사자가 다른 범위로 패들(1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패들(120)이 이동을 하여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 어셈블리(110)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들(120) 및/또는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가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맘모그래피장치에 채용된 유방두께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방두께 측정장치(150)는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여 유방(10)이 압박되도록 하는 압박모듈(151a), 압박모듈(151a)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도 2에서 h1)에 대응하여 유방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모듈(153a), 복수의 단위 간격 별로 유방 두께 정보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155a), 측정모듈(153a)에서 측정한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 두께와 상기 단위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유방두께 정보를 추출하고 출력하는 출력모듈(154a)을 포함할 수 있다.
압박모듈(151a)은 패들(120)을 제어하여 패들(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압박모듈(151a)은 패들(120)의 이동속도와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 간의 간격을 제어하여 유방(10)을 압박하는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압박모듈(151a)은 유방(10)을 압박하는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하면 유방(10)을 충분히 압박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이때의 압박력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다. 압박모듈(151a)은 패들(1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152a)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52a)는 압박모듈(151a)에 의해 제어되며, 패들(12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52a)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수단(12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2a)는 압박모듈(151a)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박모듈(151a)가 구동부(152a)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박모듈(151a)은 패들(120)의 압박력을 측정하되, 압박력이 제2값이 되면(여기서 제2값은 제1값 보다 적을 수 있다), 패들(120)이 유방(10)에 접촉된 것으로 인식하고 구동부(152a)가 이동수단(121)을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저감되는 구동력은 초기 구동력의 약 50% 정도일 수 있다. 유방(10)에 패들(120)이 접촉될 시에 패들(120)의 구동력을 저감하는 이유로는 유방(10)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힘이 너무 큰 경우 환자가 고통을 호소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초기 구동력이 너무 작으면 패들(120)의 이동속도가 너무 느려 유방(10)을 압박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에 큰 구동력으로 패들(120)의 이동속도를 크게 하고 패들(120)이 유방(10)에 접촉하면(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하면) 이동속도를 줄여 압박력이 천천히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압박력이 제2값에 도달한 경우에 패들(120)이 유방(10)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압박력을 관찰하여 압박력이 순간적으로 변하는 시점에 패들(120)이 유방(10)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도 있다. 또한, 압박모듈(151a)은 패들(120)이 이동할 때 제1시점에서의 패들(120)의 높이와 제2시점에서 패들(120)의 높이를 측정하고 시점간의 패들(120)의 높이 차이를 인식하여 패들(120)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고 이동속도를 보정함으로써 패들(12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측정모듈(153a)은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에 의해 유방(10)을 압박하는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었으면,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 검출한다. 이때, 패들(120)이 C-암(130)과 결합된 한쪽 끝단에서 패들(12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1)이 구동부(152a)에 의해 구동하여 패들(120)이 이동함으로써 유방(10)을 압박할 때, 패들(120)이 유방(10)과 접촉하는 부분(B)에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패들(120)이 휘어지거나 경사질 수 있고 패들(120)이 꺽일 수도 있기 때문에 측정모듈(153a)에서 측정된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은 실제 유방의 두께보다 얇게 측정될 수 있다.
룩업테이블(155a)은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응하는 실제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출력모듈(154a)에 제공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155a)에 저장된 실제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는 임상 실험 등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룩업테이블(155a)에 실제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으면, 출력모듈(154a)에서 별도의 연산을 할 필요 없이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이 측정되면 바로 실제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파악할 수 있어 실제 유방의 두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룩업테이블(155a)은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필드 각각은 유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복수의 단위간격들, 유방(10)에 가해지는 압박력,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들은 패들(11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20) 사이의 간격과 패들(120)이 유방(10)에 가하는 압박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패들(120)이 유방에 가하는 압박력에 따라 패들(120)이 휘어지거나 꺽어지는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측정모듈(153a)에서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 및/또는 압박력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룩업테이블(155a)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룩업테이블(155a)에 저장되어 있는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보는 유방의 밀도, 패들의 휘어짐 정도, 패들의 재질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출력모듈(154a)은 측정모듈(153a)에서 측정된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룩업테이블(155a)에서 실제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맘모그래피장치에 채용된 유방두께 측정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방두께 측정장치(150)는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여 유방(10)이 압박되도록 하는 압박모듈(151b), 압박모듈(151b)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도 2에서 h1)에 대응하여 유방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모듈(153b), 복수의 단위 간격 별로 유방 두께에 대한 보정값을 저장하는 룩업테이블(155b), 측정모듈(153b)에서 측정한 간격과 간격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연산하여 유방의 두께를 연산하는 연산모듈(156), 측정모듈(153b)에서 측정한 유방두께와 단위 간격을 이용하여 룩업테이블(155b)로부터 유방 두께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추출하고 유방두께와 보정값을 연산하는 연산모듈(156) 및 연산모듈(156)에서 연산된 유방두께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5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박모듈(151b)과 측정모듈(153b)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연산모듈(156)은 측정모듈(153b)에서 측정된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한 정보와 압박력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룩업테이블(155b)에서 측정된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한 정보와 압박력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전달받아 연산하여 실제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155b)은 측정모듈(153b)에 의해 측정된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저장하여 연산모듈(156)에 제공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155b)에 저장된 실제 보정값은 패들(120)의 물성 등을 이용하여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 압박력 및 유방(10)의 밀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값 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룩업테이블(155b)은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필드 각각은 유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단위간격들, 유방(10)에 가해지는 압박력, 보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보정값은 패들(12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10) 사이의 간격과 유방(10)에 가해지는 압박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모듈(153b)에서 패들(110)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120) 사이의 간격과 압박력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룩업테이블(155b)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룩업테이블(155a)에 저장되어 있는 유방의 두께에 대한 정보는 유방의 밀도, 패들의 휘어짐 정도, 패들의 재질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출력모듈(154b)은 연산모듈(156)에서 측정모듈(153b)에서 측정된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한 정보와 룩업테이블(155b)에서 패들(120)과 이미지 리셉터어셈블리(110)의 간격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연산된 실제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X 레이 튜브 110: 이미지리셉터 어셈블리
120: 패들 121: 이동수단
130: C-암 140: 본체
141: 연결축 150: 유방두께 측정장치
151a,151b: 압박모듈 152a,152b: 구동부
153a,153b: 측정모듈 154a,154b: 출력모듈
155a,155b: 룩업테이블 156: 연산모듈

Claims (7)

  1.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상기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 및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 두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룩업테이블은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드 각각은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 유방에 가해지는 압박력,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
  2. 패들과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압박모듈;
    상기 압박모듈에 의해 발생된 압박력이 제1값에 도달되면,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의 간격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간격과 상기 룩업테이블의 보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의 두께를 연산하는 연산모듈; 및
    상기 연산모듈에서 연산된 유방두께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룩업테이블은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드 각각은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 유방에 가해지는 압박력,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리셉터어셈블리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유방두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은 상기 패들과 상기 이미지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연결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력이 제2값이 되면, 상기 패들이 유방에 접촉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저감하는 유방두께 측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30018250A 2013-02-20 2013-02-20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KR10148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250A KR101484674B1 (ko) 2013-02-20 2013-02-20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250A KR101484674B1 (ko) 2013-02-20 2013-02-20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267A KR20140104267A (ko) 2014-08-28
KR101484674B1 true KR101484674B1 (ko) 2015-01-20

Family

ID=5174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8250A KR101484674B1 (ko) 2013-02-20 2013-02-20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5020B2 (ja) 2016-06-22 2019-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ンモグラフィ装置、制御装置、マンモグラフィ装置の制御方法、及びマンモグラフィ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625021B2 (ja) 2016-06-22 2019-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ンモグラフィ装置、制御装置、マンモグラフィ装置の制御方法、及びマンモグラフィ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643194B2 (ja) * 2016-06-22 2020-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ンモグラフィ装置、制御装置、マンモグラフィ装置の制御方法、及びマンモグラフィ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0695010B2 (en) * 2018-08-22 2020-06-3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mmographic breast compression
KR102375225B1 (ko) * 2020-05-25 2022-03-1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343A (ja) * 2006-12-11 2008-06-26 Toshiba Corp デジタルマンモグラフィ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22536A (ja) 2007-07-20 2009-02-05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130014723A (ko) * 2011-08-01 2013-02-12 (주)메디엔인터내셔날 자동 노출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343A (ja) * 2006-12-11 2008-06-26 Toshiba Corp デジタルマンモグラフィ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22536A (ja) 2007-07-20 2009-02-05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130014723A (ko) * 2011-08-01 2013-02-12 (주)메디엔인터내셔날 자동 노출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267A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674B1 (ko)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JP5355271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6027687B2 (ja) 乳房厚測定装置及び乳房厚測定方法
US8594275B2 (e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device and compression paddle
US7734013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20080080668A1 (en) Mammographic apparatus, breast compression plate, and breast fixing method
JP2015177884A (ja) 乳房厚測定装置、乳房厚測定方法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9532752B2 (en) Image-based determination of compression element deflection
EP2979640B1 (en) Mammography device and method of photographing object to be inspected using the same
JP2007289640A (ja) 乳房画像撮影装置
JP2007289640A5 (ko)
JP5032082B2 (ja) 放射線画像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放射線量検出器調整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US20230121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deflection of foam breast compression paddle
JP2011206434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5174081B2 (ja) 乳房画像撮影装置
US20120328074A1 (en) Method for imaging an organ and medical imaging system
JP2010005157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045022A5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表示方法
KR101473531B1 (ko) 적응형 센서유닛, 그를 이용한 x-선 촬영 장치 및 방법
JP5436305B2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圧迫板
KR20190095821A (ko) 맘모그래피 장치
KR101226482B1 (ko) 토모신테시스 초점평면 결정장치 및 방법
JP6412815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撮影台、及び撮影方法
EP2979641B1 (en) Mammography device and location arrangement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58595A (ko) 구강외 이미징을 위한 컬럼 높이 센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