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164B1 -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164B1
KR101484164B1 KR1020130098639A KR20130098639A KR101484164B1 KR 101484164 B1 KR101484164 B1 KR 101484164B1 KR 1020130098639 A KR1020130098639 A KR 1020130098639A KR 20130098639 A KR20130098639 A KR 20130098639A KR 101484164 B1 KR101484164 B1 KR 10148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user
thermoelectric
curr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동
김봉서
민복기
오민욱
이희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하는 시계에 설치되어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피부와 접촉하는 열전소자가 작동하면서 체온과는 다른 온도를 띄게 됨으로써 부피와의 열 접촉 방식으로 휴대전화의 수신 상황을 알리는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와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시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무선으로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획득한 상기 수신정보에 따라 상기 시계의 전원으로부터 작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 및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작동전류에 작동하면서 사용자의 체온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사용자의 피부로 접촉 방식으로 전달하는 열전소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수신상황을 상기 열전소자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 접촉 방식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Receiving indicator of mobile phone using thermoelement}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하는 시계에 설치되어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피부와 접촉하는 열전소자가 작동하면서 체온과는 다른 온도를 띄게 됨으로써 부피와의 열 접촉 방식으로 휴대전화의 수신 상황을 알리는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는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진동모터 혹은 스피커가 작동되면서 소리 혹은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음이 많은 장소나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음 혹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소리 혹은 진동을 인지하기가 어려워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된 것을 알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중요한 전화 혹은 메시지를 즉시 대응하지 못하면서 개인적으로 크고 작은 피해를 입거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재 휴대전화에 적용된 소리 혹은 진동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의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0501913호, 2005.07.07.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착용시 부피와 상시 접촉되는 시계에 설치되어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피부와 접촉하는 열전소자가 체온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띄게 하여 부피와의 열 접촉 방식으로 휴대전화의 수신상황을 알리는 구조를 가진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는, 휴대전화와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시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무선으로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획득한 상기 수신정보에 따라 상기 시계의 전원으로부터 작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 및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작동전류에 작동하면서 사용자의 체온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사용자의 피부로 접촉 방식으로 전달하는 열전소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수신상황을 상기 열전소자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 접촉 방식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소자부는, 복수 개의 열전소자가 상하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어레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시킨 작동전류를 각각의 열전소자로 개별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전류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열전소자가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피부와 접촉되는 열전소자의 온도를 체온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를 띄게 함으로써 진동이나 소리가 아닌 온도변화를 통한 열 접촉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휴대전화로의 전화 혹은 메시지의 수신을 알려줌으로써 소란스러운 장소나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휴대전화의 수신상태를 제대로 인지하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가 적용된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는,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휴대전화에 문화와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물리적으로 알리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는, 종래의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와 달리 진동이나 소리 등이 아닌 온도변화를 통한 열 접촉 방식으로 알림으로써 소란스러운 장소나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휴대전화의 수신상태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시계에 열전소자를 부착하여 휴대전화로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될 때 피부와 접촉되는 열전소자로 작동전류를 인가하여 열전소자가 체온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또는 낮은 온도를 띄도록 하여 열 접촉 방식으로 알리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열전소자로부터 전해오는 체온과는 다른 온도를 통해 자신의 휴대전화로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됨을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도 휴대전화의 수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가 적용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M)와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시계(W)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신부(10), 전류발생부(20), 및 열전소자부(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신부(10)는, 휴대전화(M)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휴대전화(M)로부터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이다.
이때 수신부(10)는 휴대전화(M)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휴대전화(M)와 동일하게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신부(10)는 시계(W)의 배젤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시계(W)의 전원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므로 시계(W)의 배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류발생부(20)는, 수신부(10) 및 열전소자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시계(W)의 전원을 이용하여 열전소자부(30)의 작동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전류발생부(20)는 수신부(10)가 휴대전화(M)로부터 전화 혹은 메시지 수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면 열전소자부(30)가 작동되도록 작동전류를 발생시켜 열전소자부(30)로 인가하는 것이다.
이때 전류발생부(20)도 시계(W)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시계(W)의 배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열전소자부(30)는, 전류발생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전류발생부(20)에서 발생시킨 작동전류가 인가되면서 사용자의 체온과는 다른 온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즉, 열전소자부(30)는 전류발생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작동전류에 의해 작동하면서 사용자의 체온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온도를 갖게 되는 온도변화를 부피와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전화(M)로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된 상황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 열전소자부(30)는, 시계(W)의 착용시 신체와 접촉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W)의 배젤 내면에 노출되게 부착 설치되거나, 혹은 시계(W)의 밴드부 내면에 노출되게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열전소자부(30)는, 온오프 형태의 온도 변화를 제공하는 하나의 열전소자(31)로 단독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온도 변화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열전소자(31)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열전소자부(30)는, 전류발생부(20)에서 발생시킨 작동전류를 각각 개별적으로 인가받아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열전소자(31)가 상하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어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열전소자(31)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열전소자부(30)의 온도 변화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단, 각 열전소자(31)가 개별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류발생부(20)에서 발생시킨 작동전류를 각각의 열전소자(31)로 개별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전류제어부(4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변화를 이용하는 열 접촉 방식으로 휴대전화의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소란스러운 장소나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휴대전화의 수신상태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수신부 20: 전류발생부
30: 열전소자부 31: 열전소자
40: 전류제어부
100: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M: 휴대전화 W: 시계

Claims (3)

  1. 휴대전화(M)와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시계(W)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전화(M)에 전화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상기 휴대전화(M)로부터 무선으로 획득하는 수신부(10);
    상기 수신부(10)에서 획득한 상기 수신정보에 따라 상기 시계(W)의 전원으로부터 작동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20); 및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발생부(20)에서 발생된 작동전류에 작동하면서 사용자의 체온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는 열전소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휴대전화(M)의 수신상황을 상기 열전소자부(30)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 접촉 방식으로 알리되,
    상기 열전소자부(30)는 상기 전류발생부(20)에서 발생시킨 작동전류를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받아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열전소자(31)가 상하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어레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전류를 각각의 열전소자(31)로 개별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전류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열전소자(31)가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98639A 2013-08-20 2013-08-20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KR10148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639A KR101484164B1 (ko) 2013-08-20 2013-08-20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639A KR101484164B1 (ko) 2013-08-20 2013-08-20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164B1 true KR101484164B1 (ko) 2015-01-22

Family

ID=5259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639A KR101484164B1 (ko) 2013-08-20 2013-08-20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3482A1 (en) * 2017-08-3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TABLE THERMOELECTRIC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109A (ja) * 1994-06-24 1996-01-19 Seiko Instr Inc 熱電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20040211189A1 (en) * 2002-07-17 2004-10-28 Arnold Anthony P.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00064063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폰 및 상기 와치 폰에서 통화수행 방법
KR101158921B1 (ko) * 2005-02-18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109A (ja) * 1994-06-24 1996-01-19 Seiko Instr Inc 熱電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20040211189A1 (en) * 2002-07-17 2004-10-28 Arnold Anthony P.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1158921B1 (ko) * 2005-02-18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00064063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폰 및 상기 와치 폰에서 통화수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3482A1 (en) * 2017-08-3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TABLE THERMOELECTRIC DEVICES
JP2020532137A (ja) * 2017-08-31 2020-11-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ウェアラブル熱電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4249B (zh) 用于使用电子附件连接的连接属性促进定位附件的主设备
US11729743B2 (en) Alert peripheral for notification of events occurring on a programmable user equipment with communication capabilities
JP6463306B2 (ja) 高周波輻射の検知及び評価
JP5783352B2 (ja)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US20150318729A1 (en) Wireless sound tracking pocket-forming
CN203858579U (zh) 一种控制智能终端进入静音模式的系统
JP2013054518A (ja) 無線距離測定スイッチ,無線距離検知システム,携帯端末,そのプログラム,及び無線タグ
WO2017018908A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JP6050490B2 (ja) データ伝送デバイス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11229077A (ja)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処理制御方法
KR101484164B1 (ko)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KR20150089283A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1218861B2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US20160119462A1 (en) Interactive watch band
RU2604858C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454450B1 (ko) 열전소자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WO2018190747A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JP2016034120A (ja) 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端末
JP6534623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4077800A (ja) 電子時計
KR20110025427A (ko) 소형무선단말기의 분실 경보장치
JP6410780B2 (ja) データ伝送デバイス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6285836B2 (ja) 携帯端末
US20160203684A1 (en) Vibrating Device for Use with Monitor System
RU172365U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ли нарушении состояния здоров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