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921B1 -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921B1
KR101158921B1 KR1020050013792A KR20050013792A KR101158921B1 KR 101158921 B1 KR101158921 B1 KR 101158921B1 KR 1020050013792 A KR1020050013792 A KR 1020050013792A KR 20050013792 A KR20050013792 A KR 20050013792A KR 101158921 B1 KR101158921 B1 KR 10115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thermoelectric element
incoming
temperatur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710A (ko
Inventor
조영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9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콜 신호의 착신을 알리기 위해 벨소리 방송, 진동 및 램프 발광 등이 사용되었으나, 벨소리 방송과 진동은 극도로 정숙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사용되기 어렵고, 램프 발광은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콜 신호의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열전 소자의 발열/흡열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METHOD FOR INFORMING THE RECEPTION OF A CALL SIGNAL IN A MOBILE TERMINAL AND DEVICE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에 따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장치에 따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콜 신호 착신 알림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사 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모리부 20: 콜 신호 착신 검출부
30: 중앙 처리부 40: 열전 소자 구동부
50: 열전 소자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전 소자(TEC, Thermo Electric Cooler)의 발열 또는 흡열에 의해 변화된 온도를 사용자가 감지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열전 소자란 n형과 p형 열전 반도체에 전류를 인가할 때에 소자의 접합부에서 펠티어(Peltier)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흡열 및 발열 현상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벨 소리, 진동 및 램프 광을 이용하는 3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벨 소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콜 신호의 착신시에 다양한 벨 소리가 녹음된 벨 소리 기억 소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벨 소리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외부에 방송하는 방법이고, 상기 진동을 이용하는 방법은 콜 신호의 착 신시에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소형 모터를 작동시켜 이동 단말기 자체를 기계적으로 진동시키는 방법이며, 상기 램프 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콜 신호의 착신시에 이동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된 램프를 발광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벨 소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나 시간, 예를 들면 강의실이나 도서관과 같은 장소나 회의 중이거나 공연 관람 중일 때와 같은 시간에서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을 불쾌하게 하거나 회의 진행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을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벨소리를 이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극도로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나 시간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비록, 램프 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2가지 방법과 비교하여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손에 쥐고 걷고 있을 때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계속하여 주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콜 신호의 착신을 인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콜 신호의 착신시에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열전 소자를 발열시켜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사용자가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콜 신호의 착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콜 신호(call signal)의 착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열전 소자를 구동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수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를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콜 신호의 착신을 검출하는 콜 신호 착신 검출부와; 상기 콜 신호 착신 검출부에서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인 경우, 열전 소자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열전 소자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열전 소자 구동부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하거나 흡수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에 따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콜 신호의 착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열전 소자를 구동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착신 알림 수단을 구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메뉴에서 벨소리, 진동, 램프 또는 온도의 4가지 모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미리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이동 단말기는 콜 신호의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면,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가 상기 모드들 중에서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별한다.
만일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열전 소자를 구동시켜서 열을 발생하거나 흡수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온도가 상승되거나 하강된 열전 소자 또는 이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촉각으로 감지하여 콜 신호가 착신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 이외의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기존의 착신 알림 수단을 구동시킨다. 즉, 벨소리 모드의 경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벨소리 방송 수단(예를 들어, 스피커)를 구동시켜서 벨소리를 방송하고, 진동 모드의 경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진동 수단(예를 들어, 진동 모터)을 구동시켜서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키며, 램프 모드의 경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램프 발광 수단(예를 들어, LED 램프)를 구동시켜서 램프 광을 발산시킨다.
사용 환경에 따라서, 상기 착신 알림 모드들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도 모드와 진동 모드를 조합하여 설정하면, 열전 소자와 진동 모터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메뉴에서 원하는 감지 온도 및 상기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온도 변화(상승 또는 하강) 단계 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열전 소자는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온도 변화 단계 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열을 발생하거나 흡수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장치에 따른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를 기억하는 메모리부(10)와, 콜 신호의 착신을 검출하는 콜 신호 착신 검출부(20)와, 상기 콜 신호 착신 검출부(20)에서 콜 신호 착신이 검출되고 상기 메모리부(10)에 기억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인 경우, 열전 소자 구동부(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30)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열전 소자(5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열전 소자 구동부(40)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하거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0)는 벨소리, 진동, 램프 및 온도의 4가지 모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착신 알림 모드를 기억하고, 상기 콜 신호 착신 검출부(20)는 콜 신호의 착신을 검출한다.
상기 중앙 처리부(30)는, 콜 신호 착신 검출부(20)를 감시하여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면, 메모리부(10)에 기억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를 판별한다. 이어서, 중앙 처리부(30)는, 미리 설정된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로 판별되면, 열전 소자 구동부(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 이외의 모드라면, 스피커 구동부, 진동 모터 구동부 또는 램프 구동부와 같 은, 기존의 착신 알림 수단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열전 소자 구동부(40)는, 중앙 처리부(3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열전 소자(5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열전 소자 구동부(40)는, 예를 들어 전력원과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인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중앙 처리부(3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트랜지스터가 도통되면, 전력원으로부터 열전 소자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열전 소자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50)는 열전 소자 구동부(4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열을 발생하거나 흡수하여 열전 소자(50) 및/또는 상기 열전 소자(50)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외면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콜 신호의 착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착신 알림 모드들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도 모드와 진동 모드를 조합하여 설정하면, 이는 메모리부(10)에 기억되고, 중앙 처리부(30)는 메모리부(10)에 기억된 정보에 따라 열전 소자와 진동 모터를 구동하도록 각각의 구동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 및 온도 변화 단계 수를 추가로 기억한다.
이에 따라, 중앙 처리부(30)는, 콜 신호 착신 검출부(20)에서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면,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상기 설정된 온도 변화 단계 수에 따라 열전 소자 구동부(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열전 소자 구동부(40)로 하여금 설정된 온도까지 설정된 온도 변화 단계 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열전 소자(50)가 열을 발생하거나 흡수하도록 구동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자신이 감지하기에 최적인 온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온도 변화 단계의 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충격을 받지 않는 최적의 상태에서 콜 신호의 착신을 용이하게 단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 소자(50)는 이동 단말기 본체(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즉, 이동 단말기 본체(1)의 외면 전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은 물리적으로 무리이고, 이동 단말기 본체(1) 자체의 온도 상승이나 하강은 이동 단말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열전 소자(50)를 이동 단말기 본체(1)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열전 소자의 온도만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 본체(1)와 열전 소자(50)는 케이블(6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열전 소자 구동부(40)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열전 소자(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착탈식 케이블, 특히 바람직하게는 양단 착탈식 케이블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 소자(50)는 이동 단말기 본체(1)의 외부에 위치되고, 착탈식 케이블(60)을 통해 이동 단말기 본체(1)에 연결되며, 열전 소자 커버 (51)로서 보호된다. 열전 소자 커버(51)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착탈식 케이블(60)은 사용 목적에 따라 손목 밴드, 휴대용 줄, 이동 단말기 커버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열전 소자(50) 및 이를 둘러싼 열전 소자 커버(51)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콜 신호의 착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콜 신호의 착신을 알리는 열전 소자의 감지 온도 및 상기 감지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온도 변화의 단계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콜 신호의 착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설정된 감지 온도 및 상기 온도 변화의 단계수에 따라 상기 열전 소자를 구동시키고,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존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수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수단은 벨소리 방송 수단, 진동 수단, 램프 발광 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4. 미리 설정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와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설정된 열전 소자의 감지 온도 및 상기 감지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온도 변화의 단계수를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콜 신호의 착신을 검출하는 콜 신호 착신 검출부와;
    상기 콜 신호 착신 검출부에서 콜 신호의 착신이 검출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콜 신호 착신 알림 모드가 온도 모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상기 감지 온도 및 상기 감지 온도에 도달하기 위한 온도 변화의 단계수에 따라 열전 소자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열전 소자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열전 소자 구동부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하거나 열을 흡수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착탈식 케이블을 통해 상기 열전 소자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장치.
KR1020050013792A 2005-02-18 2005-02-18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115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92A KR101158921B1 (ko) 2005-02-18 2005-02-18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92A KR101158921B1 (ko) 2005-02-18 2005-02-18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710A KR20060092710A (ko) 2006-08-23
KR101158921B1 true KR101158921B1 (ko) 2012-06-21

Family

ID=3759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792A KR101158921B1 (ko) 2005-02-18 2005-02-18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64B1 (ko) * 2013-08-20 2015-01-22 한국전기연구원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50B1 (ko) * 2013-08-26 2014-10-24 한국전기연구원 열전소자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889A (ko) * 2004-02-03 2005-08-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050095480A (ko) * 2004-03-26 2005-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변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신호 알림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889A (ko) * 2004-02-03 2005-08-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050095480A (ko) * 2004-03-26 2005-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변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신호 알림장치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64B1 (ko) * 2013-08-20 2015-01-22 한국전기연구원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710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6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orientation-based alert adjustment
US5794127A (en) Headphone remote control for operating an entertainment center
US10034075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TWI384850B (zh) 手機及自動切換手機來電提示之方法
BRPI0410496A (pt) tela vibratória de plástico moldado ondulada
JP2011188191A (ja) 音声出力装置
KR101158921B1 (ko) 이동 단말기의 콜 신호 착신 알림 방법 및 장치
EP1900311A1 (en) Apparatus for vibration of a cot, cradle, or the like
US20150222985A1 (en) Waterproof Speaker
US7151954B2 (en) Cellular phone set and incoming call notification control method used therein
KR20150003425U (ko)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US20130021534A1 (en) Touchscreen Remote and Means of Locating
JP2006217346A (ja) 携帯端末、充電装置、通信システムユニット、報知制御方法、報知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345212A (ja) 着呼報知システム、携帯型通信装置及び携帯型電気機器
JP2006197257A (ja) 骨伝導スピーカ内蔵枕
KR102364324B1 (ko) 전자 기기
US7251334B1 (en) Remote sound monitor and receiver therefor
CN216700258U (zh) 贴耳式耳机壳
KR101012371B1 (ko) 온도변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신호 알림장치 및방법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JP2007110503A (ja) 受信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KR101484164B1 (ko) 열전소자의 온도변화를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JP2000244612A (ja) 着信自動切換機能を備えた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1454450B1 (ko) 열전소자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JP2000152323A (ja) 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制御装置及び着信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