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615B1 - 유체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615B1
KR101483615B1 KR1020140024908A KR20140024908A KR101483615B1 KR 101483615 B1 KR101483615 B1 KR 101483615B1 KR 1020140024908 A KR1020140024908 A KR 1020140024908A KR 20140024908 A KR20140024908 A KR 20140024908A KR 101483615 B1 KR101483615 B1 KR 101483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llecting
bag
leaked
auxiliary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태
오금호
박소순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2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615B1/ko
Priority to US14/630,633 priority patent/US94346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18Detecting fluid lea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762With leakage or drip col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유체 포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유체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유체 설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체 설비에서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한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출된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포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유해 가스 등의 유해 유체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유체 설비에서 누출된 유해 유체를 외부로 확산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포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포집 장치{FLUID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독성 및 강산성 가스 등 유해 가스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산업 현장에서는 상기 유해 가스의 누출 방지를 위한 안전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설비의 오랜 사용에 의한 부식이나 안전 검사의 미비, 파이프나 밸브 등 설비 교체 작업시 작업자 실수 등에 의해 유해 가스가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상기 유해 가스의 유출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해 가스는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걸쳐 환경 피해가 발생하는 등 막대한 손실을 야기한다.
이와 같이 유해 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해 가스의 누출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누출된 유해 가스를 포집하고 누출된 유해 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연구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출된 유해 가스 등의 유체를 외부로 확산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포집할 수 있는 유체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는, 유체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유체 설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체 설비에서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한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출된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포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체 설비 중 상기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둘러싸는 제1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통하는 제2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포집백 및 상기 포집백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분리된 제3 내부 공간을 갖는 보조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상기 보조백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조백 추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백 추진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3 내부 공간에 추진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조백을 팽창시키고, 상기 보조백의 팽창에 의해 상기 포집백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포집백은 상기 누출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부 위에 배치되는 포집막 및 상기 포집막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포집막 지지추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막 지지추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비상하여 상기 포집막이 상기 몸체부의 주변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상기 몸체부 내 상기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누출된 유체를 감지하는 유체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체 감지 장치는 상기 누출된 유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상기 몸체부 외부면에 배치된 포집부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집부 동작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포집부 동작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집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누출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원격 제어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는 유해 가스 등의 유해 유체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유체 설비에서 누출된 유해 유체를 외부로 확산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포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유해 유체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 및 환경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자동 제어, 수동 제어, 또는 원격 제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 및 제어될 수 있어 다양한 설비와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유체 포집 장치는 유체 회수 장치에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누출되는 유해 유체를 안전하게 포집하여 회수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1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유체 포집 장치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유체 포집 장치가 유체 저장 탱크의 유체 누출 우려 영역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4c는 도 4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d는 도 4a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유체 포집 장치가 유체 저장 탱크의 유체 누출 우려 영역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5c는 도 5a의 유체 포집 장치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1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유체 포집 장치(10)는 몸체부(100), 포집부(200), 제어부(300), 유체 감지 장치(400), 보조백 추진 장치(500), 및 보조백 작동 스위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유독성 및 강산성 가스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P) 또는 파이프(P)의 연결 부위 등 상기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몸체부(100)는 파이프(P)에서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사각 형상의 판(111)과 판(111)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신장하는 네 개의 제1 측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그 하부면을 따라 신장하도록 형성된 돌출부(115)를 가질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제1 측벽(112)에 대응하는 네 개의 제2 측벽(122), 제1 내부벽(123), 및 제2 내부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벽(123)은 파이프(P)가 관통하지 않는 제2 측벽(122)의 내부면에서 내부 공간을 향하여 신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내부벽(124)은 제1 내부벽(123)의 단부에서 그 아래로 제2 측벽(122)과 평행하게 신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부벽(123)과 제2 내부벽(124)이 각각 2개씩 배치되지만, 이와 달리 각각 1개씩만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그 상부면을 따라 신장하도록 형성된 홈부(125)를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부(110)의 돌출부(115)가 제2 몸체부(120)의 홈부(125)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에 의해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돌출부(115)가 홈부(12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파이프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측벽(122)에 형성된 유체 배출구(150)를 가질 수 있다. 유체 배출구(150)의 외부에 배출구 마개(151)가 체결되어 있어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파이프(P)가 통과하는 두 측벽에 관통흘(140)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140)은 위로 오목하게 올라가는 제1 측벽(112)의 하부면과 아래로 오목하게 내려가는 제2 측벽(122)의 상부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파이프(P)에서 유출된 유체가 관통홀(140)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관통홀(140)을 정의하는 벽면과 파이프(P)의 외부면 사이의 틈을 테프론 또는 실리콘 등으로 처리하여 실링(sealing)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는 그 측벽들(112, 122) 외부면에 설치된 경첩 또는 볼트 체결 장치 등의 결합 장치(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포집부(200)는 제1 몸체부(110) 아래에 제1 몸체부(110)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포집백(210), 추진백(220), 및 보호 덮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백(210)은 몸체부(100) 아래에 폴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포집백(210)의 상부 가장자리는 제2 몸체부(120)의 제2 내부벽(124)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포집백(2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통할 수 있다. 또, 제2 내부벽(124)은 파이프(P)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포집백(210)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포집백(210)은 유독성 및 강산성 가스 등의 유체에 견딜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수퍼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포집백(210)은 그 하부 말단에 유체 배출구(211)를 가질 수 있다. 유체 배출구(211)에는 배출구 마개(미도시)가 체결되어 있어 포집백(210) 내부 공간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보조백(220)은 제2 측벽(122), 제1 내부벽(123), 및 제2 내부벽(124)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아래의 포집백(210) 양측에 폴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백(220) 상부의 일측 가장자리는 포집백(210)의 상부 가장자리와 함께 제2 내부벽(124) 하부면에 연결되고, 보조백(220) 상부의 타측 가장자리는 제2 측벽(122)의 하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백(220)과 포집백(210)은 일 측면을 서로 공유하거나, 각각의 측면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조백(220)의 내부 공간과 포집백(210) 내부 공간은 서로 통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또, 보조백(220)과 포집백(210)은 측면을 공유하거나 측면이 접착되어 있어 유사한 형태로 폴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백(220)이 포집백(210) 양측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덮개(250)는 포집백(210)과 보조백(220)을 둘러싸도록 몸체부(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덮개(250)의 가장자리는 제2 측벽(122)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호 덮개(250)는 평상시에는 포집백(210)과 보조백(22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유체 누출시에는 보조백(220)의 추진 압력에 의해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열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몸체부(100)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유체 포집 장치(10)의 구성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몸체부(100)의 측벽 내에 배치된 전기선에 의해 유체 감지 장치(400) 및 보조백 추진 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원격 제어실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유체 감지 장치(400)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 보조백 추진 장치(5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어부(300)는 외부에서 보조백 작동 스위치(600)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보조백 작동 신호 또는 외부의 원격 제어실로부터 보조백 작동 신호를 받아 보조백 추진 장치(5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어부(300)는 유체 감지 장치(400)로부터 받은 감지 신호를 외부의 원격 제어실에 제공할 수 있다. 감지 신호를 제공받은 원격 제어실은 제어부(300)에 보조백 작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유체 감지 장치(400)는 몸체부(100)의 내부 벽면에 배치되어 파이프(P)에서 유출된 유체를 감지할 수 있다. 유체 감지 장치(400)는 상기 유체의 유출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조백 추진 장치(500)는 제2 측벽(122), 제1 내부벽(123), 및 제2 내부벽(124)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백 추진 장치(5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보조백(220)에 추진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백 추진 장치(500)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전기 신호)에 의해 점화될 수 있는 점화 화약과 상기 점화 화약의 점화에 의해 폭발되어 보조백(220)에 추진 압력을 제공하는 추진 장약을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되거나, 압축 가스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 가스가 보조백(220)으로 보내어져 추진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백 작동 스위치(600)는 제어부(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P)에서 유출된 유체가 감지되어 외부에서 보조백 작동 스위치(600)를 누르면, 보조백 작동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3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백 작동 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300)는 보조백 추진 장치(5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보조백(220)이 추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10)는 포집부(200)가 몸체부(100) 아래에 배치되는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이프(P)가 설치되는 위치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90도 또는 180도 회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유체 포집 장치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유체 감지 장치(400)에 의해 유체의 유출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가 제어부(300)에 제공되고, 제어부(300)는 보조백 추진 장치(5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은 보조백 추진 장치(500)는 보조백(220)에 추진 압력을 제공하여 보조백(220)을 팽창시킬 수 있다. 보조백(220)의 팽창에 의해 보조백(220)과 연결된 포집백(210)도 함께 팽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백(220)과 포집백(210)의 팽창에 의해 보호 덮개(250)가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열될 수 있고, 보조백(220)과 포집백(210)은 팽창된 형태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파이프(P)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포집백(210)의 팽창된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포집될 수 있다. 포집백(210)이 팽창되는 길이와 부피는 유출되는 유체의 종류와 성질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큰 팽창 길이와 팽창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제2 측벽(122)에 형성된 유체 배출구(150) 또는 포집백(210)의 하부 말단에 형성된 유체 배출구(211)에 유체 회수 장치(미도시)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유출되는 유체를 안전하게 포집하여 회수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몸체부(110)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파이프(P)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제1 몸체부(110)의 내부 곡면을 따라 포집백(210)으로 원활하게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포집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유체 포집 장치가 유체 저장 탱크의 유체 누출 우려 영역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4c는 도 4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d는 도 4a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유체 포집 장치(10)는 한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개방된 면이 유독성 및 강산성 가스와 같은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 탱크(T)에서 상기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유체 포집 장치(10)의 몸체부(100)는 사각 형상의 판(111), 판(111)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신장하는 세 개의 측벽(112), 제1 내부벽(123), 및 제2 내부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벽(123)은 유체 저장 탱크와 접촉하는 측벽(112)의 내부면에서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신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내부벽(124)은 제1 내부벽(123)의 단부에서 그 아래로 측벽(112)과 평행하게 신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부벽(123)과 제2 내부벽(124)이 각각 2개씩 배치되지만, 이와 달리 각각 1개씩만 배치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T)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유체 저장 탱크(T)의 벽면과 측벽(112)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틈을 테프론 또는 실리콘 등으로 처리하여 실링(sealing)할 수 있다.
유체 포집 장치(10)는 몸체부(100)의 측벽(112)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 부재(7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7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높이에 유체 포집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700)는 고정 부재(701)에 의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유체 포집 장치가 유체 저장 탱크의 유체 누출 우려 영역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5c는 도 5a의 유체 포집 장치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유체 포집 장치(10)는 몸체부(100), 포집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중앙부가 관통된 육면체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판(111)과 두 개의 판(111)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200)는 몸체부(100) 위에 배치되고, 포집부 측벽(201), 포집막(240), 포집막(240) 단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포집막 지지추(241) 및 포집막(240)을 덮고 있는 보호 덮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측벽(201)은 포집부(200) 아래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판(111)의 가장자리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 측벽(201)은 그 상부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포집막 지지추 지지홈(242)을 가질 수 있다. 포집막(240)은 포집부(200) 아래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판(111) 및 포집부 측벽(201)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폴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포집막 지지추(241)는 포집막 지지추 지지홈(242)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 측벽(201)은 그 내부 공간에 포집막 지지추 추진 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집막 지지추 추진 장치는 제어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포집막 지지추 지지홈(242)에 추진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집막 지지추 추진 장치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화될 수 있는 점화 화약과 상기 점화 화약의 점화에 의해 폭발되어 포집막 지지추 지지홈(242)에 추진 압력을 제공하는 추진 장약을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되거나, 압축 가스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 가스가 포집막 지지추 지지홈(242)으로 보내어져 추진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T)에서 유체가 몸체부(100)의 중앙부로 유출되어 감지되면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포집막 지지추 지지홈(242)에 추진 압력이 제공되어 포집막 지지추(241)가 비상하게 되고 유체 저장 탱크(T)의 주변 영역의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포집막 지지추(241)의 상기 비상에 의해 보호 덮개(250)가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열되어 제거되고, 포집막(240)이 펴져서 유체 포집 장치(10)의 주변 영역을 둘러싸게 되며, 유출된 유체는 포집막(240)에 갇혀 포집될 수 있다.
유체 포집 장치(10)는 포집막 지지추 작동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집막 지지추 작동 스위치(600)는 제어부(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T)에서 유출된 유체가 감지되어 외부에서 포집막 지지추 작동 스위치(600)를 누르면 포집막 지지추 작동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3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집막 지지추 작동 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300)는 상기 포집막 지지추 추진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포집막 지지추(241)가 추진되어 비상할 수 있다.
10 : 유체 포집 장치 100 : 몸체부
200 : 포집부 210 : 포집백
220 : 보조백 300 : 제어부
400 : 유체 감지 장치 500 : 보조백 추진 장치
600 : 보조백 작동 스위치, 포집막 지지추 작동 스위치

Claims (9)

  1. 유체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유체 설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체 설비에서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한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출된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포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체 설비 중 상기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둘러싸는 제1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통하는 제2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포집백 및
    상기 포집백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분리된 제3 내부 공간을 갖는 보조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백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조백 추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백 추진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3 내부 공간에 추진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조백을 팽창시키고,
    상기 보조백의 팽창에 의해 상기 포집백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백은 상기 누출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 상기 누출된 유체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누출된 유체를 감지하는 유체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감지 장치는 상기 누출된 유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외부면에 배치된 포집부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 동작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포집부 동작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누출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원격 제어실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포집 장치.
KR1020140024908A 2014-03-03 2014-03-03 유체 포집 장치 KR101483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908A KR101483615B1 (ko) 2014-03-03 2014-03-03 유체 포집 장치
US14/630,633 US9434600B2 (en) 2014-03-03 2015-02-24 Fluid coll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908A KR101483615B1 (ko) 2014-03-03 2014-03-03 유체 포집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166A Division KR101594956B1 (ko) 2014-12-08 2014-12-08 포집막을 이용한 유체 포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615B1 true KR101483615B1 (ko) 2015-01-19

Family

ID=5259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908A KR101483615B1 (ko) 2014-03-03 2014-03-03 유체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4600B2 (ko)
KR (1) KR101483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031A1 (ko) * 2015-01-30 2016-08-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1051C (en) * 2015-03-26 2021-07-13 Geyser Innovations, Ltd. Fluid leak detec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US10472082B2 (en) * 2017-03-20 2019-11-12 Bell Helicopter Textron Inc. Fume tight sock collector/box
DE102017211403B4 (de) * 2017-07-04 2024-02-01 Hawe Hydraulik Se Hydraulikkomponente mit einer Ventileinheit und Hydrauliksystem mit einer Hydraulikkomponente
US10900604B2 (en) * 2018-04-25 2021-01-26 Perry Martin Boyd Security box
CN112128627B (zh) * 2020-09-24 2021-04-20 新疆河润水业有限责任公司 基于管网在线监测的漏损分析系统
CN116045106B (zh) * 2023-04-03 2023-06-09 山东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管接头及森林灭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385U (ko) * 1975-07-10 1977-01-25
JPH0914543A (ja) * 1995-06-30 1997-01-17 Takiron Co Ltd 管連結部のカバー装置
JP2005201444A (ja) * 2004-01-05 200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汚染制御装置、汚染管理システム、及びクリーンルームの汚染制御方法
JP4943954B2 (ja) * 2007-06-28 2012-05-30 ニチアス株式会社 保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573A (en) * 1994-10-24 1996-04-30 K N Energy, Inc. Contaminated valve containment device
US6962269B2 (en) * 2002-06-18 2005-11-08 Gilbarco Inc. Service station leak detection and recovery system
US7832367B2 (en) * 2007-12-05 2010-11-16 Berry Metal Company Furnace panel leak detection system
US8851099B2 (en) * 2012-06-06 2014-10-07 International Businss Machines Corporation Pip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385U (ko) * 1975-07-10 1977-01-25
JPH0914543A (ja) * 1995-06-30 1997-01-17 Takiron Co Ltd 管連結部のカバー装置
JP2005201444A (ja) * 2004-01-05 200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汚染制御装置、汚染管理システム、及びクリーンルームの汚染制御方法
JP4943954B2 (ja) * 2007-06-28 2012-05-30 ニチアス株式会社 保温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031A1 (ko) * 2015-01-30 2016-08-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6806A1 (en) 2015-09-03
US9434600B2 (en)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615B1 (ko) 유체 포집 장치
US8500706B2 (e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collection and other featur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N213120995U (zh) 一种检测在线压力管道泄漏的装置
US20130144232A1 (e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4783129A (en) Hazardous waste glove bag removal system
KR101495784B1 (ko) 가스 배관의 가스 누출감지 및 포집장치
JP2013521196A (ja) 柔軟な金属合金の壁部を備えた流体サンプリング容器
KR101594956B1 (ko) 포집막을 이용한 유체 포집 장치
KR101993773B1 (ko) 쓰레기통
KR100659825B1 (ko) 열교환 파이프의 세척 방법 및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침전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 장치
US5002101A (en) Hose draining and recovery system
KR101315250B1 (ko) 무전원 기상화학물질 시료채취 장치
CN216815913U (zh) 一种管道泄漏检测装置
KR20230093633A (ko) 가스 샘플링 백
EP1934131B1 (en) Inflatable collecting container
JP2016504535A (ja) 流体管路装置
US20060157258A1 (en) Fire extinguisher can
KR20200058022A (ko) 더스트 캐처의 더스트 배출 장치 및 방법
JP4494923B2 (ja) 急結剤供給装置
CN218295359U (zh) 一种氢气安全检测装置
CN115264106B (zh) 一体化智能流量调节装置
JP2015194406A (ja) 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検査方法
KR102624757B1 (ko) 폐액보관기능을 갖는 흄후드
RU2773706C1 (ru) Комплекс откачки и хранения газ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2244046B1 (ko)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