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46B1 -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46B1
KR101483546B1 KR20120055927A KR20120055927A KR101483546B1 KR 101483546 B1 KR101483546 B1 KR 101483546B1 KR 20120055927 A KR20120055927 A KR 20120055927A KR 20120055927 A KR20120055927 A KR 20120055927A KR 101483546 B1 KR101483546 B1 KR 10148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dtag
history
smartphone
product
pro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5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945A (ko
Inventor
손용석
Original Assignee
손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석 filed Critical 손용석
Priority to KR2012005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4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화면 상단에 생산자 정보를 출력하며, 생산자의 제품의 종류에 대한 선택 후, 제 1 마크 스캔모듈에 의해 RDTAG(A)의 마크가 스캔되면 상기 RDTAG(A)를 활성화한 뒤 생산과정 이력을 이력서버로 전송하는 생산자 스마트폰; 및 단일화면으로 입고, 출고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며 상기 RDTAG(A)를 제 3 마크 스캔모듈을 이용해 스캔한 뒤, 상기 RDTAG(A)에 대한 유통과정 이력을 상기 이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이력서버 상으로 기록되도록 하는 유통자 스마트폰; 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RDTAG를 이용해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이용해 소비자가 진품인지 가품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RDTAG 이력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RDTAG history}
본 발명은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RDTAG를 이용해 관리하며, 소비자는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이용해 소비자가 진품인지 가품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품 이력관리는 제조 공정에서 TEST공정 이후부터 이력 관리를 한다. 이력관리 시작점 이후 공정을 크게 나누어 보면 제품 포장, 출하, 영업점 인계,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다가 품질문제가 발생하면 서비스 센터에 의뢰한다. 의뢰된 제품에 대해 서비스파트는 수리한 후 그 내역을 제조사와 약속된 형태로 제품에 대한 정보(코드, 일련 번호, 특수 명칭 등)와 의뢰된 품질문제 및 수리내역 정보를 제조사로 알려주고, 제조사는 품질 문제가 발생한 제품과 품질문제내역을 통보 받아 관리한다.
그러나 이런 이력관리 방식은 주로 생산자에 대한 정보만을 주로 제공하므로, 위조의 염려가 있으며, 위조시 진품과 가품의 구별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관련기술문헌]
1. 시리얼 넘버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HISTORY MANAGEMENT USINGSERIAL NUMBER)(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93686호)
2.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PRODUCTS USING IMAGE CODE AND METHOD FOR MANAGING HISTORY IN PORTABLE DEVICE USING IMAGE CODE)(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8803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RDTAG를 이용해 관리하기 위한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이용해 소비자가 진품인지 가품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사용화면 상단에 생산자 정보를 출력하며, 생산자의 제품의 종류에 대한 선택 후, 제 1 마크 스캔모듈에 의해 RDTAG(A)의 마크가 스캔되면 상기 RDTAG(A)를 활성화한 뒤 생산과정 이력을 이력서버로 전송하는 생산자 스마트폰; 및 단일화면으로 입고, 출고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며 상기 RDTAG(A)를 제 3 마크 스캔모듈을 이용해 스캔한 뒤, 상기 RDTAG(A)에 대한 유통과정 이력을 상기 이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이력서버 상으로 기록되도록 하는 유통자 스마트폰;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제품의 입고시 가공자에 의한 입고버튼 선택에 따라 상기 RDTAG(A)를 제 2 마크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이 되고, 제품이 가공되어져 나온 가공제품에 이미 지급된 새로운 RDTAG(B)를 부착이 완료되면 출고시 가공자에 의한 출고 버튼 선택에 따라 출고처리 화면을 활성화하는 가공자 스마트폰;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공자 스마트폰은, 가공제품 출고시 가공자에 의한 출고 버튼 선택에 따라 출고처리 화면을 활성화시, 입고내역선택 리스트박스에서 출고 제품에 해당하는 원재료를 선택한 뒤, 원재료가 선택된 상태에서 출고 버튼이 선택시 새로 부착된 상기 RDTAG(B)에 대해 제 2 마크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공자 스마트폰은, 상기 RDTAG(B)를 스캔시 기존 RDTAG(A)에 해당하는 생산 및 유통정보를 포함하여 가공정보를 상기 이력서버로 전송하여 누적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 스마트폰은, 상기 RDTAG(A)의 활성화에 따라 생산자 정보와 제품정보, 생산일자를 상기 이력서버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소비자가 소지하는 소비자 스마트폰;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소비자 스마트폰은 구입한 제품의 RDTAG(A) 또는 RDTAG(B)의 보안라벨이 상기 소비자에 의해 제거된 후 촬영을 통해 상기 구입한 제품의 인증을 상기 이력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RDTAG를 이용해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제품에 대한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의 이력을 이용해 소비자가 진품인지 가품인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RDTAG(A) 및 RDTAG(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의 생산자 스마트폰을 소지한 생산자, 가공자 스마트폰을 소지한 가공자, 유통자 스마트폰을 소지한 유통자가 제공하는 이력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4는 도 1의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상에서 하나의 RDTAG로 누적되는 이력서버(30) 상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세부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RDTAG 이력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RDTAG(A) 및 RDTAG(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의 생산자 스마트폰(10)을 소지한 생산자, 가공자 스마트폰(40)을 소지한 가공자, 유통자 스마트폰(50)을 소지한 유통자가 제공하는 이력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4는 도 1의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상에서 하나의 RDTAG로 누적되는 이력서버(30) 상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세부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은 생산자 스마트폰(10), 제 1 마크 스캔모듈(11), 통신망(20), 이력서버(30), 가공자 스마트폰(40), 제 2 마크 스캔모듈(41), 유통자 스마트폰(50), 제 3 마크 스캔모듈(51), 그리고 소비자 스마트폰(60)을 포함한다.
생산자 스마트폰(10)은 생산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제 1 마크 스캔모듈(11)은 생산자 스마트폰(10)의 내부 또는 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RDTAG(A)를 스캔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지정한 마크는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 스마트폰으로 촬상 또는 스캔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본 발명의 마크는 RDTAG(A) 및 RDTAG(B)가 첨부된 도 2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RDTAG(A) 및 RDTAG(B)의 세부구성의 도시에 따라 본 발명의 이력시스템의 세부정보가 기록 및 저장된 RDTAG(A)와 그 하부에 RDTAG(A)에 기록된 물품의 정품인증 여부를 소비자가 확인하기 위한 RDTAG(B)가 겹철 및 탈착이 되도록 하나의 마크로 구성되어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가 제품의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RDTAG(A)를 탈착하면, 해당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어 그 하부에 있는 RDTAG(B)에 있는 마크를 소비자가 확인하여 진품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RDTAG(A)는 하기에 기술될 생산자 스마트폰(10), 가공자 스마트폰(40) 및 유통자 스마트폰(50)에서 물품의 생산, 가공,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를 이력시스템으로 입력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해당 물품의 그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성하고, 해당 물품이 소비자에게 배송 또는 전송되면 소비자가 RDTAG(A)을 제거하고 RDTAG(B)에 기재된 마크를 소비자 스마트폰(60)으로 촬영하여 정품인증여부 및 이력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하기에 기술될 RDTAG(A) 또는 RDTAG(B)의 구성 및 동작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발명을 기재한다.
도 17은 도 1의 소비자 스마트폰(50) 상에서 구현되는 소비자 인증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최종 소비자는 구입한 제품의 RDTAG(A) 또는 RDTAG(B)의 보안라벨을 제거한 후 소비자 스마트폰(50)으로 RDTAG(A 또는 B)을 촬영하여 인증한다. 정품인증이 되면 재조회를 위한 비밀번호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세정보와 생산지부터 가공, 유통에 이르는 모든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이 정품인증에 실패하면 신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생산자 스마트폰(10)은 생산자가 초기화면에서 RDTAG APP 접속화면 요청에 따라 RDTAG APP 접속화면을 구현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이력서버(30)로 로그인을 하도록 한다.
로그인 뒤, 생산자 스마트폰(10)은 사용화면 상단에 생산자 정보를 출력하며, 생산자는 생산제품의 종류를 선택한 후, 제 1 마크 스캔모듈(11)에 의해 RDTAG(A)의 마크를 스캔함으로써 RDTAG(A)를 활성화한다.
RDTAG(A)의 활성화에 따라 생산자 스마트폰(10)은 생산자 정보와 제품정보, 생산일자 등의 생산과정 이력을 이력서버(30)로 전송하여 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력서버(30)로 전송되는 정보는 도 3에 보다 구체적으로 생산업체명, 소재지, 연락처, 대표자, 업체소개, 인증정보, 품질검사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생산자 스마트폰(10), 이력서버(30), 가공자 스마트폰(40), 유통자 스마트폰(50), 소비자 스마트폰(6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력서버(30)는 생산자 스마트폰(10), 가공자 스마트폰(40), 유통자 스마트폰(50) 그리고 소비자 스마트폰(60)로부터 이력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RDTAG(A 또는 B)에 대한 누적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산자 스마트폰(10), 가공자 스마트폰(40), 유통자 스마트폰(50) 그리고 소비자 스마트폰(60)로부터 수신되는 이력정보는 도 2의 표 1과 같을 수 있으며, 누적된 정보는 도 4와 같을 수 있다.
가공자 스마트폰(40)은 가공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제 2 마크 스캔모듈(41)은 가공자 스마트폰(40)의 내부 또는 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RDTAG(A)를 스캔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공자 스마트폰(40)은 입고시 가공자에 의한 입고버튼 선택에 따라 RDTAG(A)를 제 2 마크 스캔모듈(41)을 이용해 스캔한다. 이후, 입고 처리된 원료인 제품을 가공처리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가공자는 가공되어져 나온 가공제품에 이미 지급된 새로운 RDTAG(B)를 부착한다. 이후, 가공공정선택 화면에서 RDTAG(B)이 부착된 제품에 해당하는 가공공정을 선택한다.
한편, 가공자 스마트폰(40)은 출고시 가공자에 의한 출고 버튼 선택에 따라 출고처리 화면을 활성화한다. 출고화면은 가공공정선택 화면에서 해당 가공공정이 선택되어진 상태이다. 입고내역선택 리스트박스에서 출고 제품에 해당하는 원재료를 선택한 뒤, 원재료가 선택된 상태에서 출고 버튼을 선택하고 새로 부착된 RDTAG(B)를 스캔한다. 여기서, 원재료는 중복 선택이 가능하다.
RDTAG(B)를 스캔시 기존 RDTAG(A)에 해당하는 생산 및 유통정보를 포함하여 가공정보를 가공자 스마트폰(40)은 이력서버(30)로 통신망(20)을 통해 전송하여 누적기록되도록 한다.
유통자 스마트폰(50)은 유통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제 3 마크 스캔모듈(51)은 유통자 스마트폰(50)의 내부 또는 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RDTAG(A) 또는 RFTAG(B)를 스캔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통업자는 단일화면으로 입고, 출고 여부를 선택하여 RDTAG(A)를 제 3 마크 스캔모듈(51)를 이용해 스캔한다. 유통자 스마트폰(50)은 기존 RDTAG(A) 또는 RDTAG(B)에 대한 유통과정 이력으로 이력서버(30)로 전송하여 이력서버(30) 상으로 기록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유통업자 상호간에는 손쉽게 재고 파악이 가능하며, 물류관리 서비스 가능하며 타 물류관리 프로그램과 연동이 가능해진다.
소비자 스마트폰(60)은 소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다.
소비자는 구입한 제품의 RDTAG(A) 또는 RDTAG(B)의 보안라벨을 제거한 후 소비자 스마트폰(50)으로 RDTAG(A 또는 B)을 촬영하여 인증한다. 정품인증이 되면 재조회를 위한 비밀번호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세정보와 생산지부터 가공, 유통에 이르는 모든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이 정품인증에 실패하면 신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표 1)의 생산/가공/유통자 정보와 도 4(표 2) RDTAG 누적 정보는 정부기관의 시스템 활용에 사용된다. 즉, 정부기관은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는 모든 이력과정을 실시간으로 조회 및 통계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정부기관은 제품을 식별-관리 할 수 있어 소매단계까지 역추적이 가능하다. 즉, RDTAG은 제품과 일대일 매칭되어 개별 제품으로 식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생산에서 가공, 유통은 물론 소비자의 구매 단계까지 정보가 DB화 되어 어느 단계에서도 역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정부기관은 이를 이용해 실시간 리스크 관리를 수행한다. 즉, 정부기관은 사고 발생 시 이력서버(30)에 문제발생 제품군의 위험 발생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해당 RDTAG이 부착된 모든 제품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 유통, 가공 단계는 물론 소비자에게까지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정부기관은 내부검사에 생산/가공/유통자 정보와 RDTAG 누적 정보를 유통, 가공업자의 입하에서 출하까지의 제품의 흐름과 중량증감 여부의 추적이 자동 구현되어 내부검사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활용을 통해 제품의 복제, 위조가 불가능하여 이력제 시행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RDTAG를 붙이고 입력과정 없이 스캔만으로 정보가 기록되는 방식으로 누구나 쉽고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매뉴얼이 단순하여 교육이 쉽게 이루어지며, 소비자는 유선단말을 이요한 별도의 홈페이지 접속이나 일련번호 입력과정이 없이 소비자스마트폰(60)으로 누구나 쉽게 정품인증이 가능하고 모든 이력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역추적이 가능하며 실시간 정보전달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식품안전성이 확보가 가능하며, 입/출고 물량이 통제되어 유통경로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RDTAG 사용 업체는 저렴한 스캐너인 마크 스캔모듈의 구입비용만으로 입/출고 물류관리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먼저 도 5와 같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품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거나, 도 6과 같이 생산자, 유통자, 소비자가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품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거나 도 7과 같이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그리고 소비자가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품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RDTAG 이력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생산자 스마트폰(10), 가공자 스마트폰(40), 유통자 스마트폰(50)은 초기화면에서 RDTAG APP 접속화면 요청시 UI화면을 각각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도 8(a)의 RDTAG APP 접속화면을 나타내며, 생산자 스마트폰(10), 가공자 스마트폰(40), 유통자 스마트폰(50)은 이력서버(40)로 통신망(20)을 통해 접속 후 미리 회원가입해 놓은 경우 등록한 연락처에 해당하는 아이디가 이력서버(40)를 통해 수신되어 자동 연결되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생산자 스마트폰(10)를 소지한 생산자, 가공자 스마트폰(40)를 소지한 가공자, 유통자 스마트폰(50)를 소지한 유통자는 아이디 입력 없이 비밀번호 확인과정을 통해 이력서버(40)로 로그인할 수 있다.
해당 로그인 시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에 해당하는 RDTAG APP화면으로 자동 연결되며, 도 8의 화면 구성과 내용은 정부기관 요청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10은 도 8(c)의 생산자 스마트폰(10)의 사용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생산자 스마트폰(10)의 사용화면 상단에 생산자 정보가 출력된다. 생산자는 생산제품의 종류를 선택한 후, 제 1 마크 스캔모듈(11)에 의해 RDTAG(A)의 마크를 스캔함으로써 RDTAG(A)를 활성화한다.
RDTAG(A)의 활성화에 따라 생산자 스마트폰(10)은 생산자 정보와 제품정보, 생산일자 등의 정보가 이력서버(30)로 전송하여 되도록 한다.
한편, 주로 생산되는 제품은 개별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지정‘ 버튼을 선택하여 임의의 무게를 지정할 수 있어 업자 간 벌크 거래 시 이용가능하다.
그리고 동일한 RDTAG(A)를 중복 스캔 시 이전정보는 자동 삭제되어 최근 스캔 정보로 갱신된다.
도 11은 도 8(d)의 생산자 스마트폰(10)의 사용자 지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생산자 스마트폰(10)의 사용화면에서 사용자 지정 버튼입려기 임의의 중량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박스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생산자는 원하는 중량을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하면 입력된 중량으로 RDTAG(A)에 기록된다.
도 12는 도 8(e)의 유통자 스마트폰(50)의 사용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통업자는 단일화면으로 입고, 출고 여부를 선택하여 RDTAG(A)를 제 3 마크 스캔모듈(51)를 이용해 스캔한다.
유통자 스마트폰(50)은 기존 RDTAG(A) 또는 후술할 RDTAG(B)에 대한 유통과정 이력으로 이력서버(30)로 전송하여 이력서버(30) 상으로 기록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유통업자 상호간에는 손쉽게 재고 파악이 가능하며, 물류관리 서비스 가능하며 타 물류관리 프로그램과 연동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도 8(f)의 가공자 스마트폰(40)의 사용자 지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공자는 입고 시에는 유통자와 마찬가지로 입고버튼을 선택하고 RDTAG(A)를 제 2 마크 스캔모듈(41)을 이용해 스캔한다.
이후, 입고 처리된 원료는 가공처리 과정을 거친다.
도 14는 도 8(g)의 가공자 스마트폰(40) 상에 구현된 입고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공자는 입고시 입고 버튼을 눌러 입고처리 화면을 활성화한다. 또한, 가공자는 가공처리를 마친 제품의 출고 시 출고 버튼을 눌러 출고처리 화면을 활성화한다.
도 15는 도 8(h)의 가공자 스마트폰(40) 상에 구현된 가공공정선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공자는 가공되어져 나온 가공제품에 이미 지급된 새로운 RDTAG(B)를 부착한다. 이후, 가공공정선택 화면에서 RDTAG(B)이 부착된 제품에 해당하는 가공공정을 선택한다.
도 16은 도 8(i)의 가공자 스마트폰(40) 상에 구현된 출고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출고화면은 가공공정선택 화면에서 해당 가공공정이 선택되어진 상태이다. 입고내역선택 리스트박스에서 출고 제품에 해당하는 원재료를 선택한 뒤, 원재료가 선택된 상태에서 출고 버튼을 선택하고 새로 부착된 RDTAG(B)를 스캔한다. 여기서, 원재료는 중복 선택이 가능하다.
RDTAG(B)를 스캔시 기존 RDTAG(A)에 해당하는 생산 및 유통정보를 포함하여 가공정보가 이력서버(30)에 누적기록된다.
하단에는 출고 가능 중량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이를 초과시 출고 불가 메시지가 가공자 스마트폰(40) 상으로 출력된다.
도 17은 도 1의 소비자 스마트폰(50) 상에서 구현되는 소비자 인증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최종 소비자는 구입한 제품의 RDTAG(A) 또는 RDTAG(B)의 보안라벨을 제거한 후 소비자 스마트폰(50)으로 RDTAG(A 또는 B)을 촬영하여 인증한다. 정품인증이 되면 재조회를 위한 비밀번호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세정보와 생산지부터 가공, 유통에 이르는 모든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이 정품인증에 실패하면 신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생산자 스마트폰
11: 제 1 마크 스캔모듈
20: 통신망
30: 이력서버
40: 가공자 스마트폰
41: 제 2 마크 스캔모듈
50: 유통자 스마트폰
51: 제 3 마크 스캔모듈
60: 소비자 스마트폰

Claims (6)

  1. 사용화면 상단에 생산자 정보를 출력하며, 생산자의 제품의 종류에 대한 선택 후, 제 1 마크 스캔모듈에 의해 RDTAG(A)의 마크가 스캔되면 상기 RDTAG(A)를 활성화한 뒤 생산자 정보, 제품정보, 생산일자의 생산과정 이력을 이력서버로 전송하는 생산자 스마트폰; 단일화면으로 입고, 출고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며 상기 RDTAG(A)를 제 3 마크 스캔모듈을 이용해 스캔한 뒤, 상기 RDTAG(A)에 대한 유통과정 이력을 상기 이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이력서버 상으로 기록되도록 하는 유통자 스마트폰; 및 제품의 입고시 가공자에 의한 입고버튼 선택에 따라 상기 RDTAG(A)를 제 2 마크드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이 되고, 제품이 가공되어져 나온 가공제품에 이미 지급된 새로운 RDTAG(B)를 부착이 완료되면 가공제품 출고시 가공자에 의한 출고 버튼 선택에 따라 출고처리 화면을 활성화되고, 입고내역 선택 리스트박스에서 출고 제품에 해당하는 원재료를 선택한 뒤, 원재료가 선택된 상태에서 출고 버튼 선택시 새로 부착된 상기 RDTAG(B)에 대해 제 2 마크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되는 가공자 스마트폰; 을 포함하는 RDTAG 이력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산자 스마트폰(10), 가공자 스마트폰(40) 및 유통자 스마트폰(50)에서 물품의 생산, 가공, 유통에 따른 이력 정보가 입력된 이력시스템의 세부정보 기록 및 저장된 RDTAG(A)와 그 하부에 RDTAG(A)에 기록된 물품의 정품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RDTAG(B)가 겹철 및 탈착이 되도록 하나의 마크로 구성되어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가 제품의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RDTAG(A)를 탈착하여 해당 제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면 RDTAG(A)을 제거하고 그 하부에 있는 RDTAG(B)에 있는 마크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해당 물품의 정품인증여부 및 이력정보 확인을 위해 상기 이력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정품인증이 되면 재조회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제품의 상세정보와 생산지부터 가공, 유통에 이르는 모든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소비자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20055927A 2012-05-25 2012-05-25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KR10148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5927A KR101483546B1 (ko) 2012-05-25 2012-05-25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5927A KR101483546B1 (ko) 2012-05-25 2012-05-25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45A KR20130131945A (ko) 2013-12-04
KR101483546B1 true KR101483546B1 (ko) 2015-01-16

Family

ID=4998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55927A KR101483546B1 (ko) 2012-05-25 2012-05-25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49A (ko) 2015-06-26 2017-01-05 아이크래프트 (주) 정품인증 수단, 정품인증 시스템
KR102069681B1 (ko) * 2018-03-22 2020-01-23 권기순 제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8216B1 (ko) * 2018-11-12 2020-05-08 어니컴 주식회사 단말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213A (ja) 2001-10-24 2003-05-08 Fuji Electric Co Ltd 売場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60003930A (ko) * 2004-07-05 2006-01-12 주식회사 유니온 넷 모바일폰에 결합된 바코드 리더와 무선주파 인식 리더기및 이를 이용한 농축산물 생산이력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213A (ja) 2001-10-24 2003-05-08 Fuji Electric Co Ltd 売場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60003930A (ko) * 2004-07-05 2006-01-12 주식회사 유니온 넷 모바일폰에 결합된 바코드 리더와 무선주파 인식 리더기및 이를 이용한 농축산물 생산이력 관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45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8697A (zh) 基于区块链的商品溯源数据服务平台节点数据管理系统
KR102206175B1 (ko) 전자 선반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CN104361501B (zh) 产品追溯系统
CN104268764B (zh) 一种商品防伪溯源的方法、系统及销售终端
CN104899752A (zh) 产品防伪方法和系统
KR101483546B1 (ko) Rdtag 이력관리 시스템
US201301793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tocking Inventory
CN104636934A (zh) 一种种子全程质量溯源防伪系统
KR101994481B1 (ko) Wms 연동형 물류관리방법
US20160267562A1 (en) Linking Contracts to Deliverable Items
JP6234163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CN113094616A (zh) 一种信息推送、信息关联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18156994A1 (en) Associating tags with a user and assigning such tags to products
KR20160076405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사용자 리뷰 입력 방법
KR102613665B1 (ko) 블록체인 기반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 시스템
TWI622945B (zh) 用於驗證產品製造的位置的電腦實施方法及系統
US10068262B1 (en) Application for transaction information delivery
KR20140041241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상품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09822A (ko) 농·수산물 및 임산물에 대한 정품인증 및 표준생산, 판매자 실명 확인 시스템 및 그 확인방법
CN107944950A (zh) 订单数据处理的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可读存储介质
TWI480815B (zh) 可視化條碼追溯平台
KR101798990B1 (ko) 사용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569661B1 (ko) 로컬 푸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2102225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販売管理サーバ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販売管理システム、管理制御装置及び配信制御装置
CN105387914A (zh) 称重方法及系统、以及应用该系统的称重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