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48B1 -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48B1
KR101483048B1 KR1020137021942A KR20137021942A KR101483048B1 KR 101483048 B1 KR101483048 B1 KR 101483048B1 KR 1020137021942 A KR1020137021942 A KR 1020137021942A KR 20137021942 A KR20137021942 A KR 20137021942A KR 101483048 B1 KR101483048 B1 KR 10148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electronic control
data
contro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959A (ko
Inventor
히로유키 우에사카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bine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데이터 수집 장치(200)는 기능 데이터(A~E)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 시스템(100)에 구비된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와 통신해서 전자 제어 장치(101~107)가 제어하는 기능(A~E)을 취득하고 기능의 종류별 및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로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를 작성하고,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고, 작성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선택 정보의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DATA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COMMUNICATING THEREWITH}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과 통신해서 상기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통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이나 경운기와 같은 작업기, 또는 플리저 보트나 어선과 같은 선박 등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종 기능에 대하여 그것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가 각 곳에 분산되어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콤바인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탈곡 기능, 주행 제어 기능, 예취 기능, 엔진 작동 기능, 미터 계측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이 구비되고, 이들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제어 장치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상기 각종 기능이 중복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탈곡 후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주로 탈곡 중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주로 본 기기 전체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의 3개의 전자 제어 장치에서 탈곡 기능을 제어하거나, 주로 탈곡 후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주로 본 기기 전체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주로 예취 동작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의 3개 전자 제어 장치에서 주행 제어 기능을 제어하거나, 또는 주로 본 기기 전체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주로 예취 동작의 기능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의 2개의 전자 제어 장치에서 예취 기능을 제어하거나 한다.
또한, 각 전자 제어 장치는, 예를 들면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검지 신호)나, 전자밸브 등의 각종 액추에이터에의 출력 신호(작동 신호), 또는 미터 계기류로부터의 계측 신호와 같은 각종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의 이력 정보나 적산 정보 등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수시 기록해서 보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된 시스템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도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형 컴퓨터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장치는 시스템에 접속되어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자 제어 장치에 기록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기능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계, 분석하거나 또는 고장 진단을 행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 장치가 시스템에 접속되어서 각종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데이터 수집 장치가 각종 기능에 대해서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해당하는 기능의 유무를 각각 확인하고나서 그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능 데이터의 수집에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복수의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하나의 기능에 대해서 모든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해당하는 기능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처리를 행하고, 또한 다른 기능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의 수가 증가할수록 기능 데이터의 수집에 시간을 요한다.
이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종래의 데이터 수집 장치(Y)가 시스템(X)에 접속되어서 각종 기능(A~I)에 관한 기능 데이터(Da~Di)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시스템(X)은 USB 포트 등의 인터페이스(Z)를 통해서 데이터 수집 장치(Y)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X)은 기능 A, B를 제어하는 제 1 전자 제어 장치(ECU1)와, 기능 B, C를 제어하는 제 2 전자 제어 장치(ECU2)와, 기능 C, D를 제어하는 제 3 전자 제어 장치(ECU3)와, 기능 D, E를 제어하는 제 4 전자 제어 장치(ECU4)와, 기능 E, F를 제어하는 제 5 전자 제어 장치(ECU5)와, 기능 F, G를 제어하는 제 6 전자 제어 장치(ECU6)와, 기능 G, H를 제어하는 제 7 전자 제어 장치(ECU7)와, 기능 H, I를 제어하는 제 8 전자 제어 장치(ECU8)를 구비하고 있다.
제 1~제 8 전자 제어 장치(ECU1~ECU8)는 차내 LAN(Local Area Network)으로서 작용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N)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서로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전자 제어 장치(ECU1)에는 기능 A, 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제 8 전자 제어 장치(ECU2~ECU8)에 대해서도 기능 B, C에 관한 기능 데이터(Db, Dc)의 과거의 축적 정보, 기능 C, D에 관한 기능 데이터(Dc, Dd)의 과거의 축적 정보, 기능 D, E에 관한 기능 데이터(Dd, De)의 과거의 축적 정보, 기능 E, F에 관한 기능 데이터(De, Df)의 과거의 축적 정보, 기능 F, G에 관한 기능 데이터(Df, Dg)의 과거의 축적 정보, 기능 G, H에 관한 기능 데이터(Dg, Dh)의 과거의 축적 정보, 및 기능 H, I에 관한 기능 데이터(Dh, Di)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각각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장치(Y)는 기능 A~I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해서 시스템(X)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전자 제어 장치(ECU1~ECU8)와 통신함으로써 해당하는 기능의 유무를 확인하고나서 그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기능 A, C, E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c, De)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집할 경우에는 우선 데이터 수집 장치(Y)는 제 1 전자 제어 장치(ECU1)에 대하여 기능 A를 제어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즉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제 1 전자 제어 장치(ECU1)는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수집 장치(Y)에 대하여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는 취지의 통지를 회신한다. 데이터 수집 장치(Y)는 제 1 전자 제어 장치(ECU1)가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제 1 전자 제어 장치(ECU1)로부터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집한다. 이어서, 데이터 수집 장치(Y)는 제 2 전자 제어 장치(ECU2)에 대하여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제 2 전자 제어 장치(ECU2)는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데이터 수집 장치(Y)에 대하여 기능 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취지의 통지를 회신한다. 이하, 제 3~제 8 전자 제어 장치(ECU3~ECU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이어서, 상술한 처리를 기능 C 및 기능 E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행하여 간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 장치(Y)는 기능 A, C, E에 대해서 제 1~제 8 전자 제어 장치(ECU1~ECU8)와 순차적으로 통신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의 수나 전자 제어 장치의 수가 증가할수록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다대한 시간이 걸려버린다.
이 점에 관해, 특허문헌 1은 복수의 전자 제어 장치(ECU)가 설치된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시에 시스템에 있어서 기종마다 각종 데이터가 격납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두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 [0034], [0035] 등).
일본 특허공개 2008-7013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시스템에 있어서 기종마다 각종 데이터가 격납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두는 구성에서는 시스템의 기능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제없지만, 시스템의 기능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경우에는 기종 테이블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기종 테이블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한 새로운 수고를 요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과 통신해서 상기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할 시에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둔다는 일없이 상기 기능 데이터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와 통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과 통신해서 상기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상기 기능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시스템에 구비된 모든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기능을 취득해서 상기 기능의 종류별 및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로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하는 리스트 정보 작성부와,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능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능 선택부와, 상기 리스트 정보 작성부에서 작성한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상기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상기 선택 정보의 상기 기능에 관한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 기능의 종류별 및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하므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두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하지 않고 해당하는 기능의 유무를 각각 확인할 수 있고, 그만큼 기능 데이터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 선택부가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상기 기능의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 정보를 접수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기능 선택부에서 접수한 상기 선택 정보의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상기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상기 선택 정보의 상기 기능에 관한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분산되어서 제어하는 상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공통의 기능인 공통 기능으로 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가 나머지의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상기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에, 상기 리스트 정보 작성부는 상기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기능 선택부에서 상기 공통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상기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상기 선택 정보의 상기 공통 기능에 관한 상기 공통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형태의 데이터 수집 장치와 통신하고,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분산되어서 제어하는 상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전자 제어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공통의 기능인 공통 기능으로 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하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공통 기능으로 되고, 대표 전자 제어 장치가 나머지의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를 수집할 시에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함으로써 해당하는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를 보유하는 모든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하지 않고 대표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1층의 기능 데이터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장치와 통신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에 관한 동일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지면, 상기 동일한 개시 요구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응답 시간을 설정하는 응답 시간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의 해당하는 상기 기능에 관한 응답이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포맷이어도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응답을 다시 송신한다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고, 그만큼 상기 응답의 송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능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 기능의 종류별 및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하므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두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통신해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하지 않고 해당하는 기능의 유무를 각각 확인할 수 있고, 그만큼 기능 데이터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기능에 관한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할 시에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둔다는 일없이 상기 기능 데이터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일례인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의 일례인 콤바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가 각각 제어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콤바인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의 접속 형태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에 보존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a)~(f)는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콤바인과 통신하는 컴퓨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가 콤바인으로부터 수신하는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a)~(g)는 각각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퓨터와 콤바인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 예취 기능, 탈곡 기능, 엔진 작동 기능 및 미터 계측 기능의 종류별 및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로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컴퓨터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된 기능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 수집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로부터 콤바인에 있어서의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에의 액세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가 각각 제어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제 3, 제 4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에 보존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a)~(d)는 각각 제 3, 제 1, 제 2 및 제 4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제 3, 제 4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a)~(d)는 각각 제 2, 제 3, 제 4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컴퓨터로부터 동일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컴퓨터에 응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데이터 수집 장치가 시스템에 접속되어서 각종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시스템으로서 콤바인을 예로 들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예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일례인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200)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의 일례인 콤바인(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콤바인에 대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00)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도시 생략)를 작동시켜서 주행하는 주행 제어 기능(A)과, 분초(分草)한 곡간을 일으켜 세워서 줄기 밑둥측으로부터 예취하는 예취 기능(B)과, 예취한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탈곡 기능(C)과, 콤바인(100) 전체의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엔진(도시 생략)을 작동시키는 엔진 작동 기능(D)과, 도시하지 않은 운전석의 미터 계기류의 계측을 행하는 미터 계측 기능(E)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제어 장치[여기에서는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또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하나의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고,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소위 ECU(Electronic Control Unit)라고 칭해지는 것이고, 각각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처리 장치로 구성된 제어부(110)와, ROM(Read Only Memory)(120a), RAM(Random Access Memory)(120b)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데이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120c) 등의 기억 장치를 구비한 기억부(120)를 갖고 있다.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각각 제어부(110)가 기억부(120)의 ROM(120a)에 미리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부(120)의 RAM(120b) 상에 로딩하고 실행함으로써 각종 구성 요소의 동작 타이밍 등의 작동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기억부(120)의 RAM(120b)은 제어부(110)에 대하여 작업용 워크 에리어를 제공한다.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는 주로 탈곡 후의 기능을 제어하는 탈곡 후 ECU로 되어 있다.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는 주로 탈곡 중의 기능을 제어하는 탈곡 중 ECU로 되어 있다.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후방 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주로 본 기기 전체의 기능을 제어하는 엔진 후방 프레임 ECU로 되어 있다.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는 도시하지 않은 예취 회동 지점에 설치되어서 주로 예취 동작의 기능을 제어하는 예취 회동 지점 ECU로 되어 있다.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는 각각 다른 타입 엔진의 회전수나 부하 상태 등을 감시하고, 최적의 분사 압력이나 분사 시기를 연료 시스템에 지시해서 엔진 전체를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엔진 ECU로 되어 있다.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는 회전수나 속도 등의 미터 계기류를 제어하는 센터 미터 ECU로 되어 있다.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각각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가 각각 제어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에 있어서, ○ 표시는 전자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을 제어한다.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는 탈곡 기능(C)을 제어한다.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는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을 제어한다.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을 제어한다.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는 엔진 작동 기능(D)을 제어한다.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는 미터 계측 기능(E)을 제어한다.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차내 LAN(구체적으로는 CAN) 규격에 준거한 네트워크(N)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서로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콤바인(100)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접속 형태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N)는 제 1~제 4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4, 107)를 서로 접속시켜서 퍼스널 컴퓨터(이하, 간단히 컴퓨터라고 한다)(200)와 통신하는 제 1 네트워크(N1)를 구비하고 있다. 즉, 네트워크(N)는 제 1~제 4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4, 107) 사이에서의 상호의 데이터 통신, 또한 제 1~제 4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4, 107)와 컴퓨터(200) 사이에서의 상호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는 각각 제 1 네트워크(N1)와 제 2 및 제 3 네트워크(N2, N3)의 접속 기능을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ECU로서도 작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N)는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와, 주로 본 기기에 있어서의 각종 센서류(도시 생략)의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제 1 입출력 제어부(111)(구체적으로는 I/O 드라이버)와, 주로 본 기기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류(도시 생략)의 작동 제어를 행하는 제 1 액추에이터 제어부(121)(구체적으로는 비례밸브 드라이버)를 서로 접속시키고, 게이트웨이 ECU로서 작용하는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와 통신하는 제 2 네트워크(N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 2 네트워크(N2)는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 사이에서의 상호의 데이터 통신, 또한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 및 제 1 입출력 제어부(111) 및 제 1 액추에이터 제어부(121)와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 사이에서의 상호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N)는 주로 예취 기능(B)에 있어서의 각종 센서류(도시 생략)의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제 2 및 제 3 입출력 제어부(112, 113)(구체적으로는 I/O 드라이버)와, 주로 예취 기능(B)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류(도시 생략)의 작동 제어를 행하는 제 2~제 5 액추에이터 제어부(122~125)(구체적으로는 전자밸브 드라이버)를 서로 접속시키고, 게이트웨이 ECU로서 작용하는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와 통신하는 제 3 네트워크(N3)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 3 네트워크(N3)는 제 2 및 제 3 입출력 제어부(112, 113) 및 제 2~제 5 액추에이터 제어부(122~125)와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 사이에서의 상호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제 1~제 3 입출력 제어부(111~113) 및 제 1~제 5 액추에이터 제어부(121~125)에는 각각 서로 다른 어드레스 정보가 설정되어 있고, 각 네트워크에서의 정보의 교환은 이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는 각각 [0001]~ [0007]의 어드레스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컴퓨터(200)가 제 2 및 제 3 전자 제어 장치(102, 103)에 문의를 행할 경우에는 어드레스 정보로서 [0002], [0003]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200)가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문의를 행할 경우에 있어서 어드레스 정보로서 [9999]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각종 센서류로부터의 입력 신호(검지 신호)나, 전자밸브 등의 각종 액추에이터류에의 출력 신호(작동 신호), 또는 미터 계기류로부터의 계측 신호와 같은 각종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의 이력 정보나 적산 정보 등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수시 기록해서 보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식별 데이터(Ra),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b),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 및 미터 계측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e)(도 5 참조) 중 적어도 하나도 보존하고 있다.
도 5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보존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a)~도 5(f)는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의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도 5(e)에 있어서 하나의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c)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수시 기록 갱신되도록 되어 있고,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 Rc)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는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수시 기록 갱신되도록 되어 있고,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는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수시 기록 갱신되도록 되어 있고,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 Rb, Rc)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수시 기록 갱신되도록 되어 있고,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는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수시 기록 갱신되도록 되어 있고,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5(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는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의 과거의 축적 정보가 수시 기록 갱신되도록 되어 있고,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e)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제어하는 기능이 변경될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서 보존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오퍼레이터의 입력 조작에 의해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 기억(설정)되는 제 1~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a~Re)를 설정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부(108)는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USB 규격에 의한 유선 통신 수단인 USB 포트를 갖고 있고, 네트워크(N)와 컴퓨터(200)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컴퓨터에 대해서]
한편, 컴퓨터(200)는 콤바인(100)과 통신해서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와,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와,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와,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와,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콤바인(100)과 통신하는 컴퓨터(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작용하는 컴퓨터(200)는 조작 입력부(210), 기억부(220), 표시 출력부(230), 인터페이스부(240), 제어부(250), 및 판독부(26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입력부(210)는 키보드(211)나 포인팅 디바이스(212) 등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부(250)의 입력계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210)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고 입력된 조작 정보를 제어부(25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억부(220)는 ROM(221), RAM(222)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데이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223) 등의 기억 장치 및 하드디스크 장치(224) 등의 대용량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 장치(224)에는 후술하는 데이터 수집용 프로그램(P)이 기록된 CD(Compact Disc)-ROM 등의 기록 매체(M)를 읽어내는 판독부(260)에 의해 읽어내어진 데이터 수집용 프로그램(P)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미리 격납(인스톨)되어 있다. 기록 매체(M)는 USB 메모리나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 수집용 프로그램(P)은 인터넷을 통해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이어도 된다.
표시 출력부(230)는 액정 표시 패널이나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패널 등의 표시 장치(231)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부(250)의 출력계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 장치(231)는 제어부(250)로부터의 출력 표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231)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에는 터치패널 등의 터치 입력 조작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터치 입력 조작 장치는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른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조작 입력부로서 작용하는 구성으로 된다.
인터페이스부(240)는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USB 규격에 의한 유선 통신 수단의 USB 포트로 되어 있고, USB 케이블(CB)을 통해서 제어부(250)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108)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인터페이스부(240)는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108)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200)와 콤바인(100)은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USB와 같은 유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접속되지만,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규격이나 근거리 적외선 통신(IrDA)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제어부(250)는 C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기억부(220)의 하드디스크 장치(224)에 미리 격납된 데이터 수집용 프로그램(P)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억부(220)의 RAM(222) 상에 로딩해서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기억부(220)의 RAM(222)은 제어부(250)에 대하여 작업용의 워크 에리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리스트 정보 작성부(Qa1), 기능 선택부(Qa2) 및 데이터 수집부(Qa3)로서 기능한다. 즉, 데이터 수집용 프로그램(P)은 리스트 정보 작성부(Qa1)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과, 기능 선택부(Qa2)에 대응하는 기능 선택 스텝과, 데이터 수집부(Qa3)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집 스텝을 포함하는 스텝을 제어부(250)에 실행시킨다.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기능 데이터(Da~De)를 수집하기 위한 작업을 개시할 때마다 콤바인(100)에 구비된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개시 요구(구체적으로는 개시 요구를 나타내는 명령 커맨드의 송신)를 행하고,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와 통신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가 제어하는 기능을 취득하고, 그리고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장치별로 기능을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도 9 참조)를 작성한다. 이렇게 해서 작성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는 기억부(220)의 RAM(222)에 기억된다.
이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으로부터 수신하는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K7)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a)~도 7(g)은 각각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K7)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퓨터(200)와 콤바인(100)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의 종류별 및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장치별로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TB1)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1」은 메모리 플래그를 유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는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이고,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인 것을 나타내는 제 1 장치 식별 정보(KS1)(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와,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가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식별 데이터(Ra)와,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가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를 갖고 있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는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이고,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인 것을 나타내는 제 2 장치 식별 정보(KS2)(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2])와,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가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를 갖고 있다.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3)는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이고,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인 것을 나타내는 제 3 장치 식별 정보(KS3)(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3])와,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식별 데이터(Ra)와,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b)와,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를 갖고 있다.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4)는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이고,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인 것을 나타내는 제 4 장치 식별 정보(KS4)(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4])와,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식별 데이터(Ra)와,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b)를 갖고 있다.
도 7(e) 및 도 7(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5, K6)는 각각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이고,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인 것을 나타내는 제 5 및 제 6 장치 식별 정보(KS5, KS6)(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5], [0006])와,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가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 Rd)를 갖고 있다.
도 7(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7)는 컴퓨터(200)가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이고, 제 7 전자 제어 장치(105)인 것을 나타내는 제 7 장치 식별 정보(KS7)(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7])와,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가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보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e)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우선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로부터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 중 어느 기능을 제어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즉 어느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c)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구체적으로는 도 7(a)에 나타내는 제 1 기능 식별 데이터(Ra) 및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1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1 기능 식별 데이터(Ra) 및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가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도 9에 나타내는 테이블(TB1)의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 1 장치 식별 정보(KS1)(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 및 탈곡 기능(C)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어서,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는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구체적으로는 도 7(b)에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2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가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도 9에 나타내는 테이블(TB1)의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에 대응하는 제 2 장치 식별 정보(KS2)(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2])에 있어서 탈곡 기능(C)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어서,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는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3)[구체적으로는 도 7(c)에 나타내는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Rc)]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3)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Rc)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도 9에 나타내는 테이블(TB1)의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에 대응하는 제 3 장치 식별 정보(KS3)(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3])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어서,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4)[구체적으로는 도 7(d)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4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4)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도 9에 나타내는 테이블(TB1)의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에 대응하는 제 4 장치 식별 정보(KS4)(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4])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어서,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는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5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5, K6)[구체적으로는 도 7(e) 및 도 7(f)에 나타내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5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5, K6)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가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도 9에 나타내는 테이블(TB1)의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에 대응하는 제 5 및 제 6 장치 식별 정보(KS5, KS6)(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5], [0006])에 있어서 엔진 작동 기능(D)를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어서,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는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7)[구체적으로는 도 7(g)에 나타내는 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e)]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7)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e)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가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기능 데이터(De)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도 9에 나타내는 테이블(TB1)의 제 7 전자 제어 장치(107)에 있어서 미터 계측 기능(E)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장치별로 기능을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를 작성할 수 있다.
기능 선택 스텝에서는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종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선택 스텝에서는 기능 데이터(Da~De)를 수집하기 위해서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에 각각 대응하는 제 1~제 5 선택 정보(SN1~SN5)(도 10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접수한다. 그리고, 접수한 제 1~제 5 선택 정보(SN1~SN5)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후술하는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상의 기능으로 한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231)에 표시된 기능 선택 화면(232)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선택 상태의 기능을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231)에 있어서의 기능 선택 화면(232)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주행 제어 기능(A)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선택 정보(SN1)를 제어부(250)에 송신하는 제 1 선택 버튼(BT1)과, 예취 기능(B)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제 2 선택 정보(SN2)를 제어부(250)에 송신하는 제 2 선택 버튼(BT2)과, 탈곡 기능(C)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제 3 선택 정보(SN3)를 제어부(250)에 송신하는 제 3 선택 버튼(BT3)과, 엔진 작동 기능(D)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제 4 선택 정보(SN4)를 제어부(250)에 송신하는 제 4 선택 버튼(BT4)과, 미터 계측 기능(E)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제 5 선택 정보(SN5)를 제어부(250)에 송신하는 제 5 선택 버튼(BT5)과, 기능의 선택 상태를 확정하는 확정 버튼(BT6)과, 선택 조작 화면을 종료하는 종료 버튼(BT7)이 기능 선택 화면(232)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제 5 선택 버튼(BT1~BT5)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확정 버튼(BT7)이 조작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능 선택 화면(23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에 의한 포인팅 디바이스(212)의 조작에 의해 커서(J)를 이동시켜서 선택해야 할 기능이 조작(클릭)됨으로써 커서(J) 위치의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선택 상태의 기능이 비선택 상태의 기능과는 다른 표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다른 비선택 상태의 기능이 조작(클릭)되면 복수 기능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택 상태의 기능이 다시 조작(클릭)되면 선택 상태가 해제되어서 비선택 상태로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택 상태의 기능[구체적으로는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은 비선택 상태의 기능[구체적으로는 주행 제어 기능(A),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에 대하여 반전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 있어서, 확정 버튼(BT6)이 조작(클릭)되면 선택 상태의 기능이 확정되고, 선택 상태 기능의 선택 정보[구체적으로는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가 제어부(250)에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수신한 선택 정보[구체적으로는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에 대응하는 기능[구체적으로는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을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으로서 선택한다. 또한, 기능 선택 화면(232)에 있어서 종료 버튼(BT7)이 조작(클릭)되면 선택조작 화면을 종료한다. 기능 선택 화면(232)에 있어서의 각 조작은 터치패널에 의한 조작이어도 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는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 작성되고, RAM(222)에 기억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도 9 참조)에 의거하여 기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선택 정보의 기능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선택 정보의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 선택 스텝에서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를 수집하기 위해서 RAM(222)에 기억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도 9 참조)로부터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를 보유하는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에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장치 식별 정보(KS3, KS4)(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3], [0004])를 추출한다. 또한,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는 제 1~제 3 전자 제어 장치(101~103)에 대응하는 제 1~제 3 장치 식별 정보(KS1~KS3)(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 [0003])를 추출한다. 이렇게 해서 추출한 제 1~제 4 전자 제어 장치(101~104)에 대응하는 제 1~제 4 장치 식별 정보(KS1~KS4)(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 [0004])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는 제 1~제 3 전자 제어 장치(101~103)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로부터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의 과거의 축적 정보[도 5(a)~도 5(c) 참조]를 수집하고,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로부터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의 과거의 축적 정보[도 5(c) 및 도 5(d) 참조]를 수집한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제 7 장치 식별 정보(KS1~KS7)를 어드레스 정보 [0001]~[0007]로 하고 있지만, 제 1~제 7 장치 식별 정보(KS1~KS7)로 일의(一意)로 되는 다른 코드와 어드레스 정보 [0001]~ [0007]에 대응하는 변환 테이블을 설치해 둠으로써 제 1~제 7 장치 식별 정보(KS1~KS7)를 다른 코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변환 테이블에 의해 다른 코드로부터 변환한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터(200)는 이렇게 해서 수집한 기능 데이터(Db, Dc)를 이용하여 각종 액추에이터의 동작 타이밍이나 각종 검출값 등을 집계, 분석하거나 또는 고장 진단을 행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결과를 표시 장치(231)의 표시 화면(도시생략)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능 데이터로서는 센서 출력, 액추에이터의 작동 신호,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료 분사량, 엔진 회전수, 냉각수 온도, 시동 횟수, 급동(扱胴)이나 처리동(處理胴)의 회전수, 피드 체인의 회전수, 예취 깊이, 운전 시간, 차속, 마력, 발송지 사양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처리 예]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 수집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1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데이터 수집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200)로부터 콤바인(100)에 있어서의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의 액세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데이터 수집 처리 예의 플로 차트에서는 우선 제어부(250)는 인터페이스부(108, 240)를 통하여 콤바인(100)이 접속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처리 S1), 네트워크(N)가 접속될 때까지 대기한다(처리 S1 : No). 네트워크(N)가 접속되면(처리 S1 : Yes) 처리 S2 이후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어부(250)는 컴퓨터(200)와 콤바인(100)의 접속 상태를 검출해서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자동적으로 개시시키지만, 오퍼레이터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데이터 수집 처리를 개시시켜도 좋다.
제어부(250)는 이 데이터 수집 처리의 개시의 지시에 의해 콤바인(100)에 구비된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개시 요구를 행한다(처리 S2).
이어서, 제어부(250)는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와 인터페이스부(108, 240) 및 네트워크(N)를 경유해서 통신하고,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로부터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K7)를 취득한다(처리 S3).
이어서, 제어부(250)는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로부터 취득한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K7)에 기록되어 있는 제 1~제 5 기능 식별 데이터(Ra~Re)에 의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장치별로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 중 해당하는 기능을 선출하여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도 9 참조)를 작성한다(처리 S4).
그리고, 제어부(250)는 표시 장치(231)에 기능 선택 화면(232)(도 10 참조)을 표시하고(처리 S5),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에 각각 대응하는 제 1~제 5 선택 정보(SN1~SN5) 중 적어도 하나를 접수한다(처리 S6).
이어서, 제어부(250)는 종료 버튼(BT7)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처리 S7), 종료 버튼(BT7)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처리 S7 : No) 처리 S8로 이행하는 한편, 종료 버튼(BT7)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는(처리 S7 : Yes) 데이터 수집 처리를 종료한다.
처리 S8에서는 확정 버튼(BT6)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확정 버튼(BT6)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처리 S8 : No) 처리 S6으로 이행하는 한편, 확정 버튼(BT6)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는(처리 S8 : Yes) 처리 S9로 이행한다.
처리 S9에서는 처리 S4에서 작성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도 9 참조)를 이용하여 처리 S7에서 선택된 선택 정보의 기능[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도 12의 실선 참조)]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제 1~제 4 전자 제어 장치(101~104)]를 수신처(예를 들면 어드레스 정보 [0001]~ [0004])로 해서 통신하고, 처리 S10으로 이행한다.
처리 S10에서는 선택 정보[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의 기능[예를 들면,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수집하고, 처리 S11로 이행한다.
처리 S11에서는 기능 데이터(Db, Dc)를 이용하여 집계, 분석하거나 또는 고장 진단을 행하거나 하고, 그 결과를 표시 장치(231)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 의해 기능 데이터(Da~De)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 콤바인(100)에 구비된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와 통신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가 제어하는 기능을 취득하고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의 종류별 및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장치별로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를 작성하므로 콤바인(100)에 있어서 기종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두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기능 데이터(Da~Dd)를 수집하기 위해서 기능 선택 스텝에 의해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의 종류를 선택하는 제 1~제 5 선택 정보(SN1~SN5)를 접수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스텝에 의해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 작성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에 의거하여 기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선택 정보[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의 기능[예를 들면,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해당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예를 들면 제 1~제 4 전자 제어 장치(101~104)의 어드레스 정보 [0001]~[0004]]로 해서 통신하고, 선택 정보의 기능 [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의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기능 데이터(Db, Dc)]를 수집한다.
이것에 의해, 선택 정보의 기능[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선택 정보(SN2, SN3)의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기능 데이터(Db, Dc)]를 수집할 때에 콤바인(100)에 설치되어 있는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와 통신하지 않고, 해당하는 기능[예를 들면,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의 유무를 각각 확인할 수 있고, 그만큼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기능 데이터(Db, Dc)]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 데이터(Da~De)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기능 데이터(Da~De)의 수집마다)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1)를 작성함으로써 콤바인(100)의 기능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되는 경우라도 리스트 정보 자체의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아 리스트 정보 자체의 메인터넌스라는 새로운 공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의 콤바인(100)에서는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공통된 기능인 공통 기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 2 실시형태의 콤바인(100)은 공통된 기능으로 된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하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 설정부(Qb1)(도 2의 파선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은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할 경우에서의)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가 각각 제어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대표 전자 제어 장치는 ◎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00)은 주행 제어 기능(A)이 제 1,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3, 104) 사이에서 공통 기능으로 되고, 예취 기능(B)이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 사이에서 공통 기능으로 되고, 탈곡 기능(C)이 제 1~제 3 전자 제어 장치(101~103) 사이에서 공통 기능으로 되고, 엔진 작동 기능(D)이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 사이에서 공통 기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인(100)에서는 주행 제어 기능(A)에 대해서는 제 1,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3, 104) 중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되어 있다. 예취 기능(B)에 대해서는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 중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되어 있다. 탈곡 기능(C)에 대해서는 제 1~제 3 전자 제어 장치(101~103) 중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되어 있다. 엔진 작동 기능(D)에 대해서는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 중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되어 있다.
도 14는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할 경우에서의) 제 2, 제 3, 제 4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2, 103, 104, 106)에 보존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a)~도 14(d)는 각각 제 3, 제 1, 제 2 및 제 4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 Tc, Ta, Tb, Td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제 5,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 105, 107)에 보존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제 5,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 105, 107)에 보존되는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도 5(a), 도 5(e), 도 5(f) 참조]와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제 5,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 105, 107)에 보존되는 데이터 구조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는 기능 데이터(Dc) 및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에 추가하여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가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c)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는 기능 데이터(Da~Dc) 및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Rc)에 추가하여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a)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는 기능 데이터(Da, Db) 및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에 추가하여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b)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도 1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는 기능 데이터(Dd) 및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에 추가하여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가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d)가 미리 기억(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는 오퍼레이터의 입력 조작에 의해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 기억(설정)되는 제 1~제 4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a~Td)를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제 6 전자 제어 장치(101~106)에 있어서 기능 데이터의 이력 정보나 적산 정보 등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시 기록할 때에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는 공통 기능을 제어하는 나머지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의 축적 정보를 취득하고, 이 축적 정보를 상기 나머지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로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3, 104)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시 기록할 때에는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는 주행 제어 기능(A)으로 공통되는 다른 제 1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4)와 제 1 네트워크(N1)(도 4 참조)를 통해서 통신해서 공통 기능인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Da)의 축적 정보를 취득하고, 이 축적 정보를 공통되는 다른 제 1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4)의 제 1 및 제 4 장치 식별 정보(KS1, KS4)(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 [0004])와 함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 기록한다[도 14(b) 참조].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에 있어서,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b)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시 기록할 때에는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는 예취 기능으로 공통되는 다른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와 제 1 네트워크(N1)를 통해서 통신해서 공통 기능인 예취 기능(B)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Db)의 축적 정보를 취득하고, 이 축적 정보를 공통되는 다른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의 제 3 장치 식별 정보(KS3)(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3])와 함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 기록한다[도 14(c) 참조].
제 1~제 3 전자 제어 장치(101~103)에 있어서,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시 기록할 때에는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는 탈곡 기능(C)으로 공통되는 다른 제 1 및 제 3 전자 제어 장치(101, 103)와 제 1 네트워크(N1)를 통해서 통신해서 공통 기능인 탈곡 기능(C)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Dc)의 축적 정보를 취득하고, 이 축적 정보를 공통되는 다른 제 1 및 제 3 전자 제어 장치(101, 103)의 제 1 및 제 3 장치 식별 정보(KS1, KS3)(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 [0003])와 함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 기록한다[도 14(a) 참조].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에 있어서,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시 기록할 때에는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는 엔진 작동 기능(D)으로 공통되는 다른 제 5 전자 제어 장치(105)와 제 2 네트워크(N2)(도 4 참조)를 통해서 통신해서 공통 기능인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Dd)의 축적 정보를 취득하고, 이 축적 정보를 공통되는 다른 제 5 전자 제어 장치(105)의 제 5 장치 식별 정보(KS5)(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5])와 함께 불휘발성 메모리(120c)에 기록한다[도 14(d) 참조].
한편, 컴퓨터(200)에 있어서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2)를 작성한다.
도 15는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 있어서의(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할 경우에서의) 제 2, 제 3, 제 4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 K3, K4, K6)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a)~도 15(d)는 각각 제 2, 제 3, 제 4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 K3, K4, K6)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제 5, 및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데이터(K1, K5, K7)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제 5, 및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데이터(K1, K5, K7)의 일례[도 7(a), 도 7(e), 도 7(g) 참조]와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제 5, 및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데이터(K1, K5, K7)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설명, 및 이들 제 1, 제 5, 및 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데이터(K1, K5, K7)에 의거하여 리스트 정보 작성 테이블 작성 스텝에서 실시되는 제 1, 제 5, 및 제 7 전자 제어 장치(101, 105, 107)에 관한 처리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6은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 있어서의(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할 경우에서의)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2)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TB2)이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대표」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메모리 에리어이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에 추가하여 제 1~제 3 전자 제어 장치(101~103)에서 공통되는 탈곡 기능(C)에 대해서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c)를 갖고 있다.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3)는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 Rb, Rc)에 추가하여 제 1,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3, 104)에서 공통되는 주행 제어 기능(A)에 대해서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a)를 갖고 있다.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4)는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에 추가하여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3, 104)에서 공통되는 예취 기능(B)에 대해서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b)를 갖고 있다.
도 1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6)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에 추가하여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에서 공통되는 엔진 작동 기능(D)에 대해서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가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d)를 갖고 있다.
그리고,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는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고 있고,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이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고, 또한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구체적으로는 도 15(a)에 나타내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 및 제 3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c)]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2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2)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c)가 존재하고, 또한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다라고 판단해서]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가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c)를 보유하고, 또한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인식하고, 도 16에 나타내는 테이블(TB2)의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에 있어서 탈곡 기능(C)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 및 탈곡 기능(C)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또한,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는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고 있고,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이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고, 또한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3)[구체적으로는 도 15(b)에 나타내는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Rc) 및 제 1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a)]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3)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1~제 3 기능 식별 데이터(Ra~Rc)가 존재하고, 또한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다라고 판단해서]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가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 Dc)를 보유하고, 또한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인식하고, 도 16에 나타내는 테이블(TB2)의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및 탈곡 기능(C)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 및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또한,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는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고 있고,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이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고, 또한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4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4)[구체적으로는 도 15(c)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 및 제 2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b)]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3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4)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기능 식별 데이터(Ra, Rb)가 존재하고, 또한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다라고 판단해서]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가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에 관한 기능 데이터(Da, Db)를 보유하고, 또한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인식하고, 도 16에 나타내는 테이블(TB2)의 제 4 전자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주행 제어 기능(A) 및 예취 기능(B)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 및 예취 기능(B)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또한,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는 도 1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는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고 있고,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이므로 컴퓨터(200)에 대하여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고, 또한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6)[구체적으로는 도 15(d)에 나타내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 및 제 4 기능 대표 식별 데이터(Td)]의 통지를 회신한다.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제어부(250)는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6)의 상태를 판단해서[구체적으로는 제 4 기능 식별 데이터(Rd)가 존재하고, 또한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다라고 판단해서]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가 엔진 작동 기능(D)에 관한 기능 데이터(Dd)를 보유하고, 또한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것을 인식하고, 도 16에 나타내는 테이블(TB2)의 제 6 전자 제어 장치(106)에 있어서 엔진 작동 기능(D)을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 및 엔진 작동 기능(D)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식별하는 메모리 에리어의 플래그를 유효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의 장치별로 기능을 리스트화한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2)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는 기능 선택 스텝에서 공통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2)(도 16 참조)에 의거하여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선택 정보의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는 기능 선택 스텝에서 공통 기능인 주행 제어 기능(A)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수집하기 위해서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 작성되고, RAM(222)에 기억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2)(도 16 참조)로부터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를 추출한다.
이렇게 해서 추출한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인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에 대응하는 제 3 장치 식별 정보(KS3)(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3])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수집 스텝에서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제어 기능(A)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0c)로부터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의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의 과거의 축적 정보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4)의 장치별{제 1 및 제 4 장치 식별 정보(KS1, KS4)(여기에서는 어드레스 정보 [0001], [0004])와 함께}로 보존된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수집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스트 정보 작성 스텝에서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LD2)를 작성함으로써 기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기능[예를 들면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는 모든 전자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제 1,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3, 104)]와 통신하지 않고, 선택된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Da)]를 보유하는 전자 제어 장치 [예를 들면, 제 3 전자 제어 장치(103)]와 통신하는 것만으로 해당하는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제 1, 제 3 및 제 4 전자 제어 장치(101, 103, 104)의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기능 데이터(Da)의 과거의 축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예를 들면 주행 제어 기능(A)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Da)]의 수집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컴퓨터(200)로부터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 중 제어하는 기능에 관한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개시 요구(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정보 [9999]를 사용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지고,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로부터 일제히 주행 제어 기능(A), 예취 기능(B), 탈곡 기능(C), 엔진 작동 기능(D) 및 미터 계측 기능(E)에 관한 응답[구체적으로는 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K7)(도 7 및 도 15 참조)의 통지]이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포맷으로 이루어지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사이에서의 상기 응답의 충돌을 초래하고, 그렇게 되면 상기 응답을 다시 송신한다는 처리가 발생하고, 그만큼 상기 응답의 송신에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 점에서, 본 제 3 실시형태의 콤바인(100)은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개시 요구에 대하여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응답 시간을 설정하는 응답 시간 설정부(Qb2)(도 2의 파선 참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콤바인(100)은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가 제어하는 기능에 관한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개시 요구로서 어드레스 정보 [9999]를 사용해서 컴퓨터(200)로부터 제 1~제 7의 모든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문의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응답 시간 설정부(Qb2)는 어드레스 정보 [9999]를 사용한 문의에 대하여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사이에서 수신 및 송신의 최소의 처리 시간인 최소 필요 응답 시간(예를 들면, 10ms 정도)을 고려한 기본 응답 시간(ts)에 일의인(유니크한) 어드레스 정보(구체적으로는 [0001]~ [0007])에 의거하여 산출한 일의의 어드레스 산출 시간(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정보×1ms)을 가산한 응답 시간 t1~t7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에서는 어드레스 정보가 [0001]이므로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의 응답 시간(t1)은 10ms+[0001]×1ms=11ms가 된다. 또한,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에서는 어드레스 정보가 [0002]이므로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의 응답 시간(t2)은 10ms+[0002]×1ms=12ms가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산출하면 제 3~제 7 전자 제어 장치(103~107)의 응답 시간(t3~t7)은 각각 13ms, 14ms, 15ms, 16ms, 17ms가 된다. 즉, 일의인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사이에서 응답 시간(t1~t7)을 일의로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컴퓨터(200)로부터 동일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로부터 컴퓨터(200)에 응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컴퓨터(200)로부터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지면 제 1 전자 제어 장치(101)는 개시 요구를 수신하고나서 응답 시간 t1(예를 들면 11ms) 경과 후에 응답하고, 제 2 전자 제어 장치(102)는 개시 요구를 수신하고나서 응답 시간 t2(예를 들면 12ms) 경과 후에 응답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제 3~제 7 전자 제어 장치(103~107)는 각각 개시 요구를 수신하고나서 응답 시간 t3(예를 들면, 13ms)~t7(예를 들면 17ms) 경과 후에 응답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제 5 및 제 6 전자 제어 장치(105, 106) 및 제 5 및 제 6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5, K6)를 동일한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응답 시간 t5와 응답 시간 t6의 화살표의 길이가 같게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응답 시간 t5와 응답 시간 t6의 시간은 다르다.
본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에 대하여 컴퓨터(200)로부터 해당하는 기능에 관한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져도 응답 시간 설정부(Qb2)에 의해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응답 시간 t1~t7을 설정하므로 제 1~제 7 전자 제어 장치(101~107) 사이에서의 해당하는 기능에 관한 응답[제 1~제 7 기능 리스트 작성용 통신 데이터(K1~K7)의 통지]이 동일한(공통의, 단일한) 포맷이어도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응답을 다시 송신한다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고, 그만큼 상기 응답의 송신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으로서 콤바인을 적용했지만,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좋다. 시스템으로서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콤바인 이외에 경운기나 트랙터와 같은 작업기, 셔블카 등의 건기, 또는 플리저 보트나 어선과 같은 선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적용했지만, 예를 들면 컴퓨터 기능 및 유선 통신 기능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 등의 모바일(휴대) 단말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고,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또한, 이 출원은 2011년 2월 15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1-029380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청구한다. 이것에 언급함으로써 그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100 : 콤바인(시스템의 일례) 200 : 컴퓨터(데이터 수집 장치의 일례)
101 : 제 1 전자 제어 장치 102 : 제 2 전자 제어 장치
103 : 제 3 전자 제어 장치 104 : 제 4 전자 제어 장치
105 : 제 5 전자 제어 장치 106 : 제 6 전자 제어 장치
107 : 제 7 전자 제어 장치 A : 주행 제어 기능
B : 예취 기능 C : 탈곡 기능
D : 엔진 작동 기능 E : 미터 계측 기능
Da : 주행 제어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
Db : 예취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
Dc : 탈곡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
Dd : 엔진 작동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
De : 미터 계측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
LD1 :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 LD2 :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
SN1 : 제 1 선택 정보 SN2 : 제 2 선택 정보
SN3 : 제 3 선택 정보 SN4 : 제 4 선택 정보
SN5 : 제 5 선택 정보 Qa1 : 리스트 정보 작성부
Qa2 : 기능 선택부 Qa3 : 데이터 수집부
Qb1 : 대표 전자 제어 장치 설정부 Qb2 : 응답 시간 설정부
t1 : 제 1 응답 시간 t2 : 제 2 응답 시간
t3 : 제 3 응답 시간 t4 : 제 4 응답 시간
t5 : 제 5 응답 시간 t6 : 제 6 응답 시간
t7 : 제 7 응답 시간

Claims (4)

  1.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과 통신해서 상기 기능에 관한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상기 기능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시스템에 구비된 모든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기능을 취득하고, 상기 기능의 종류별 및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장치별로 리스트화한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하는 리스트 정보 작성부와,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능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능 선택부와,
    상기 리스트 정보 작성부에서 작성한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상기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선택된 상기 기능에 관한 상기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분산되어서 제어하는 상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공통의 기능인 공통 기능으로 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대표 전자 제어 장치가 나머지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해서 상기 공통 기능에 관한 공통 기능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에, 상기 리스트 정보 작성부는 상기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기능 선택부에서 상기 공통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상기 대표 전자 제어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별 기능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 전자 제어 장치를 수신처로 해서 통신하여 선택된 상기 공통 기능에 관한 상기 공통 기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3. 제 2 항에 기재된 데이터 수집 장치와 통신하고,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분산되어서 제어하는 상기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전자 제어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공통의 기능인 공통 기능으로 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자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대표 전자 제어 장치로 설정하는 대표 전자 제어 장치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데이터 수집 장치와 통신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에 관한 동일한 개시 요구가 이루어지면, 상기 동일한 개시 요구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전자 제어 장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응답 시간을 설정하는 응답 시간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7021942A 2011-02-15 2012-01-31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 KR101483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9380 2011-02-15
JP2011029380A JP5663339B2 (ja) 2011-02-15 2011-02-15 データ収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システム
PCT/JP2012/052067 WO2012111420A1 (ja) 2011-02-15 2012-01-31 データ収集装置及びそれと通信する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959A KR20130118959A (ko) 2013-10-30
KR101483048B1 true KR101483048B1 (ko) 2015-01-15

Family

ID=4667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942A KR101483048B1 (ko) 2011-02-15 2012-01-31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90113B2 (ko)
EP (1) EP2677294B1 (ko)
JP (1) JP5663339B2 (ko)
KR (1) KR101483048B1 (ko)
CN (1) CN103328948B (ko)
ES (1) ES2680118T3 (ko)
TW (1) TW201244623A (ko)
WO (1) WO2012111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5100B2 (ja) * 2011-05-31 2015-12-02 富士通株式会社 センサデータ収集システム
DE102014200822A1 (de) * 2014-01-17 2015-07-23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schnittstelle für eine drahtlose Übertragung von Daten zwischen einem Batteriesystem und einer weiteren Einrichtung
JP6310331B2 (ja) * 2014-06-03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用の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方法
US9858733B2 (en) 2014-06-03 2018-01-02 Honda Motor Co., Ltd. Vehicle diagnostic data collecting apparatus, vehicle diagnostic data collecting method, vehicle diagnostic machine, and vehicle diagnosing method
JP6310332B2 (ja) * 2014-06-03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機及び車両診断方法
KR101652328B1 (ko) * 2015-10-14 2016-08-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익명화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JP6185976B2 (ja) 2015-12-16 2017-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用の記憶条件設定装置及びデータ記憶システム
JP7094670B2 (ja) * 2017-07-03 202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設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NL2023387B1 (nl) * 2019-06-26 2021-02-01 Lely Patent Nv Systeem voor het maaien van gewas, in het bijzonder gras, en werkwijze voor het voeren van dieren met een dergelijk syste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033A (ja) 2002-02-28 2003-09-10 Denso Corp 車両通信システム
JP2007240436A (ja) 2006-03-10 2007-09-20 Denso Corp 車両診断システム
JP2009175947A (ja) 2008-01-23 2009-08-06 Denso Corp 車載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車載電子制御装置の情報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080A (en) * 1996-06-25 1999-03-30 Freightliner Corporation Truck with monitored and resettable electronic control units
JPH11160202A (ja) * 1997-11-27 1999-06-1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データ収集装置
SE511098C2 (sv) * 1997-12-08 1999-08-02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ystem och förfarande för att sända meddelanden i ett kommunikationssystem
US7529728B2 (en) * 2003-09-23 2009-05-05 Salesforce.Com, Inc. Query optimization in a multi-tenant database system
CN100342291C (zh) * 2003-09-26 2007-10-10 海信集团有限公司 汽车电子控制信息无线管理系统
US7613881B2 (en) * 2004-06-08 2009-11-03 Dartdevices Interop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d using virtual pointers to access one or more independent address spaces
US7716671B2 (en) * 2005-07-07 2010-05-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coordinating a set of related tasks and events by reducing duplicated effort
CN1304909C (zh) * 2005-11-03 2007-03-14 重庆邮电学院 车辆控制系统can/lin网络监测仪及测试方法
JP2008070133A (ja) 2006-09-12 2008-03-27 Mazda Motor Corp 車両データ収集装置
JP2009051345A (ja) * 2007-08-27 2009-03-12 Hitachi Ltd 車両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334662B (zh) * 2008-07-25 2011-06-08 重庆邮电大学 基于asap标准的汽车电控单元标定系统及方法
JP5310138B2 (ja) * 2009-03-13 2013-10-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1028559A (ja) * 2009-07-27 2011-02-10 Denso Corp 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制御装置
CN101923348A (zh) * 2010-07-16 2010-12-22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CANopen的混合动力汽车车载故障诊断系统和诊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033A (ja) 2002-02-28 2003-09-10 Denso Corp 車両通信システム
JP2007240436A (ja) 2006-03-10 2007-09-20 Denso Corp 車両診断システム
JP2009175947A (ja) 2008-01-23 2009-08-06 Denso Corp 車載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車載電子制御装置の情報更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959A (ko) 2013-10-30
CN103328948B (zh) 2015-07-01
ES2680118T3 (es) 2018-09-03
JP2012168024A (ja) 2012-09-06
TW201244623A (en) 2012-11-16
CN103328948A (zh) 2013-09-25
WO2012111420A1 (ja) 2012-08-23
JP5663339B2 (ja) 2015-02-04
US20130311526A1 (en) 2013-11-21
US9390113B2 (en) 2016-07-12
EP2677294A4 (en) 2016-10-12
EP2677294B1 (en) 2018-05-23
EP2677294A1 (en)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048B1 (ko)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시스템
CA2868573C (en) Vehicl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JP4702410B2 (ja) 印刷機器選択装置および印刷機器選択プログラム
CN110050237B (zh) 数据收集装置、数据收集方法及记录介质
EP2889707B1 (e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460200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622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30238190A1 (en) Vehicle-mounted appl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mounted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JP52685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運用方法
US20070213906A1 (en) Work vehicle software application display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EP1582949B1 (en) Method for automatic modeling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corresponding process control system
JP4919511B2 (ja) ソフトウエア管理システム及びソフトウエア管理プログラム
US20200201308A1 (en) Industrial plant monitoring device and distributed control system
CN107465620B (zh) 一种通用数据路由器及其通信方法
CN111108453B (zh) 控制系统、控制方法和控制程序
JP6748054B2 (ja) 制御システム
JP5333173B2 (ja) データ通信用端末装置、端末動作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058191B2 (ja) Vpn制御装置、vpn接続装置、vpn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4499B2 (ja) FA(Factory Automation)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制御方法
CN112445189A (zh) 数据收集系统、数据收集方法和程序
JP2005065164A (ja) 通信制御処理装置及び通信制御処理方法
JP6746003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90140B2 (ja) 通信経路の切替システム及び切替方法
JP2000181565A (ja) メッセージの表示装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記録媒体とメッセージの監視システム
JPWO2016092653A1 (ja) サーバ、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