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634B1 -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634B1
KR101482634B1 KR20100121696A KR20100121696A KR101482634B1 KR 101482634 B1 KR101482634 B1 KR 101482634B1 KR 20100121696 A KR20100121696 A KR 20100121696A KR 20100121696 A KR20100121696 A KR 20100121696A KR 101482634 B1 KR101482634 B1 KR 10148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haracter
characters
mobile terminal
key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444A (ko
Inventor
장인지
Original Assignee
장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지 filed Critical 장인지
Priority to PCT/KR2011/0091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74278A2/ko
Publication of KR2012005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3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상기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개시된 기술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기초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 중에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성이 높아질수록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별도의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자판을 터치하는 방식 등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직관성이 떨어지고 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 문자 입력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기술은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과 달리 사용자가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은 문자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 시에 필요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문자 입력을 위해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설정에 의해 구성된 상기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특정 가상 자판에서 문자 선택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 자판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명령 수행 결과 및/또는 상기 입력받은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의 문자 입력 방법은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개시된 기술의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문자 입력 방법이 구현된 모바일 단말기를 처음 이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방법을 터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기술의 문자 입력 방법은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자판 상의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한 개 이상의 자판에 대해 단말기의 움직임으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문자 입력 방법은 언어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가능하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는 공간에 두 개의 유사 가상 자판들이 배치되고 상기 자판들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가상 자판의 한 예를 나타내고, 도 3c는 도 3b의 가상 자판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문자 선택 위치가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문자 선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두 개의 유사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방법과 상기 배치된 가상 자판들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그리고 상기 움직임에 의한 일련의 문자 선택과 입력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d 내지 도 6f는 가상 공간에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기로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움직임에 의해 단말기가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좌표로 이동하거나 이를 지나가는 경우에 해당 영역 또는 좌표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영역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 또는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상기 가상 공간 및 상기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가상 자판들과 모바일 단말기 그리고 문자 입력 과정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가상 자판과 자판 상의 위치 및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기 위한 명령 인덱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 자판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위치에서 연관된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내지 도 13e는 가상 자판들 또는 문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은 개시된 기술의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을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기술에서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기술에서 기술한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움직임 감지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움직임 감지부(110)는 센서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직선 운동에 대한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 중력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 및/또는 자기를 감지하여 방위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10)는 하나의 센서 또는 조합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10)는 움직임의 강도에 따라 해당 움직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다르게 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문자가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한다.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자동으로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2차원 가상 공간에 문자가 배열된 2차원 가상 자판들 또는 3차원 가상 공간에 문자가 배열된 3차원 가상 자판들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의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 및/또는 각 가상 자판들 상의 각 문자들의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를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속성은 선택되고 입력될 수 있는 활성화 상태 또는 상기 선택될 수 없고 따라서 입력이 될 수 없는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상태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문자들의 특정 부분, 특정 면,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 및/또는 각 가상 자판들의 특정 부분, 특정 면,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대하여 상태를 설정 및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사용자의 선택,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및/또는 가상 자판들의 속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할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선택된 가상 자판들을 가상 자판의 디스플레이 속성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 및/또는 각 가상 자판들 상의 각 문자들의 디스플레이 속성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 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여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선택위치를 결정하고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공간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인 위치와 공간상에 배치된 자판의 문자의 위치로부터 선택되는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가상 자판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 또는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또는 영역에 선택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 위치의 문자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 중 특정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위치 또는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정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영역 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은 움직임 감지부(1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움직임이 명령인지 판단을 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가상 자판들과 공간상에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명령 수행 결과 및/또는 입력받은 문자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가상 공간에 한 개 이상의 문자가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배치한다(단계 S210). 일 실시예에서, 가상 자판들에 배치되는 문자는 글자(letter), 숫자(number), 부호(mark) 및/또는 기호(symbol)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상 자판들에 배치되는 문자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공간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 가상 공간에는 모바일 단말기와 한 개 이상의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이 배치되고 배치된 문자에 해당되는 위치나 영역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움직여서 해당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한다.
도 3a는 문자가 배치된 가상 자판들을 공간에 배치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히 유사 가상 자판 두 개를 가상 공간에 동시에 배치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즉 가상 공간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몸통을 축으로 하였을 때 상기 축을 중심으로 가까운 쪽 공간이 상기 풀(pull) (당기는 또는 팔이 구부려지는) 하는 방향의 공간 또는 공간들이며 상기 축에서 먼 쪽 공간이 상기 푸쉬(push) (미는 또는 팔이 펴지는) 하는 방향의 공간임을 나타내기 위해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상기 유사 가상 자판 두 개를 배치하는 이유는 문자 입력의 속도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배치는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가상 자판들의 갯수 및 종류 또는 문자 입력 내용과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배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b는 문자가 배치된 가상 자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도 3b의 가상 자판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문자들이 배치된 유사 가상 자판 두 개를 병렬로 배치하고 배치된 가상 자판들에 대해서 모바일 단말기의 가상 공간에서의 움직임으로써 해당 문자를 입력한 상황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f및 도 7a 내지 도 7d와 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가상 자판들 가운데 하나의 가상 자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시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면, 각 가상 자판(300)에는 복수의 문자들이 배열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b의 각 가상 자판(300)은 3차원 가상 공간에 복수의 문자들이 배열된 3차원 가상 자판을 나타낸다. 가상 자판의 종류와 모양은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가상 자판의 모양이나 가상 자판에 배열된 문자의 종류 등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자판은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이 쿼티(qwerty) 자판 모양의 가상 자판일 수도 있고, 정사각형이나 정육면체, 또는 구와 같은 모양의 가상 자판일 수도 있다.
도 3a, 3b 그리고 3c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31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터치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320) 및 입력 키(33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340)으로 모바일 단말기(310)를 잡고 움직임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모양은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모바일 단말기의 모양이나 디스플레이 영역, 키의 위치 및/또는 종류, 모바일 단말기를 잡는 방법 등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320)은 문자 입력 영역(322)과 가상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자판들은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사용자의 선택,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 및/또는 상기 가상 자판들의 속성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영역(322)은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을 통해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324)에서 선택되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입력 키(330)는 디스플레이 영역(320)의 터치를 통한 명령 입력 이외에 모바일 단말기(31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도 4는 화면에 가상 자판(324)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공간에서의 위치를 표시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가상 공간 또는 가상 자판(324) 상에 모바일 단말기(3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기(pointer)(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324)상에서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기(410)를 표시할지 여부와 지시기(410)의 표시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설정에 따라 지시기(410)를 표시한다. 공간에서의 모바일 단말기(310)의 현재 위치는 가상 공간 상의 가상 자판(324) 위에 있을 때도 있고 가상 자판(324)을 벗어난 때도 있으므로 지시기(410)의 상태 또는 모양으로 이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지시기(41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공간에서의 움직인 위치에 따라 가상 자판(324)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시기(410)의 위치 또는 영역을 통해 가상 자판 상에서의 문자 선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기(410)가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지시기(410)의 종류와 모양등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움직임 감지부(1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감지 결과를 움직임 감지부(110)로부터 제공받는다(단계 S220).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특정 가상 자판의 문자 선택인 경우 선택된 문자를 입력한다(단계 S230). 가상 자판에서 선택된 문자가 명령부호인 경우 제어부(120)는 명령부호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문자 입력이 계속 되는 동안 단계 S220과 단계S230은 반복될 수 있다.
도 5는 문자 선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문자 선택 위치를 결정한다. 모바일 단말기(310)는 오른쪽, 왼쪽, 위, 아래, 대각선 방향 등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기울임, 회전 등 어떠한 움직임도 가질 수 있고,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인 위치로 지시기(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디스플레이 영역(320)을 사용자가 가장 잘 볼 수 있는 각도(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과 디스플레이 영역(320)의 면이 수직인 각도)를 기준으로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가상 자판 상에서 지시기(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지시기(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10)가 모바일 단말기(31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신호를 기초로 지시기(41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지시기(410)를 이동하여 문자 선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은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고, 지시기(410)가 이동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310)가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상, 하, 좌, 우)에 따라서도 지시기(410)가 이동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가상 자판들(300)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방법과 상기 배치된 가상 자판들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 그리고 상기 움직임에 의한 일련의 문자 선택과 입력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가상 공간에서 가상 자판들(300)을 배치하는 방법은 일련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정확성과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도면들에서는, 유사 가상 자판들(300) 두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상황에서 일련의 문자들인 'QWA'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들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첫 번째 입력 문자인 'Q'를 선택하고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310)의 미는(push) 방향 또는 팔을 펴는 방향의 가상 공간에 배치된 가상 자판(300)의 'Q'의 위치 또는 'Q'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모바일 단말기(310)를 움직여 'Q'를 선택 입력한다. 예를 들어, 앞쪽으로 미는(push) 방향 또는 팔이 펴지는 방향으로 모바일 단말기(310)를 이동시켜서 'Q'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다음 입력 문자인 'W'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당기는(pull) 방향 또는 팔이 굽어지는 방향의 가상 공간에 배치된 가상 자판(300)의 'W'의 위치 또는 'W'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움직여 'W'를 선택 입력하고, 다시 모바일 단말기(310)를 미는 방향으로 움직여 'A'를 택하고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모바일 단말기(310)를 이동시켜서 'W'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른 입력은 상기 공간에 가상 자판 하나를 배치하는 경우보다는 입력을 위한 시간과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상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가상 자판들 중 미는(멀어지는)쪽에는 자음이 배열된 가상 자판이 배치되고 당기는(가까와지는)쪽에는 모음이 배열된 가상 자판이 배치되어 있고 모바일 단말기(310)가 미는/당기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미는 방향의 공간에 배치된 가상 자판과 당기는 방향의 공간에 배치된 가상 자판에서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인 위치 또는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받아 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문자 입력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310)를 미는(푸쉬(push)) 또는 당기는(풀(pull)) 방향으로 움직이는 순서는 일 예이며,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공간에 배치되는 가상 자판들은 동일한 문자들이 배열된 가상 자판들뿐만 아니라 다른 문자들이 배열된 가상 자판들, 예를 들면 영어 자판과 숫자/부호 자판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더 나아 가서는 3개 이상의 복수개의 자판들도 사용자를 기준으로 가까운 또는 먼 쪽으로 깊이(depth)에 따라 층(layer)을 형성하여 가상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문자 입력 상황에 적합한 환경을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과 설명은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가상 자판들의 개수, 입력 상황에 따라 쉽게 응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3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복수의 가상 자판(300) 중 특정 가상 자판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가상 자판은 활성화 상태가 되어 해당 가상 자판에 배열된 문자가 선택되고 선택된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선택되지 않은 가상 자판은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해당 가상 자판에 배열된 문자는 선택될 수 없어서 문자가 입력될 수 없다.
도 6d 내지 도 6f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인 위치가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영역이거나 이를 통과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 또는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특정 가상 자판(324) 상에서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인 위치가 특정 문자에 대응되는 위치나 영역이거나 또는 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인 위치(410) 또는 영역이 문자 'ㄴ'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영역인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ㄴ'을 선택하고 입력받고 해당 문자를 문자 입력 영역(3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e와 도 6f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일련의 움직임에 따라 연속적으로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310)가 'ㅇ'에 해당되는 위치 또는 영역으로 움직이고(610a), 해당 위치 혹은 영역을 벗어난 후 'ㅏ'에 해당되는 위치 또는 영역(610b)을 지나고, 다시 해당 위치나 영역을 벗어난 후 'ㄴ'에 해당되는 위치 또는 영역(610c)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글자 '안'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10)가 'ㄴ'에 해당되는 위치 또는 영역(610c)의 외부로 이동한 후에 다시 해당 위치 또는 영역(610c)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ㄴ'을 다시 입력받을 수 있다. 'ㄴ'을 다시 입력받은 후 모바일 단말기(310)가 해당 위치 또는 영역을 벗어난 후 'ㅕ'에 해당되는 위치 또는 영역(610d)을 지나고, 해당 위치 또는 영역을 벗어난 후 'ㅇ'에 해당되는 위치 또는 영역 (610a)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글자 '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따라 '안녕'이라는 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영역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 또는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3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특정 가상 자판(324) 상에서 지시기(410)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모바일 단말기(310)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324) 상에서 지시기(410)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지시기의 이동 방향이 변한 위치 또는 좌표가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ㅐ)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324)의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을 각 문자에 대응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지시기(410)의 이동 방향을 모니터링하여 지시기의 이동 방향이 변한 위치 또는 좌표가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 또는 좌표를 기준으로 지시기(410)의 이동 방향이 소정 각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위치 또는 좌표가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7c와 도 7d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에 따라 연속적으로 지시기(410)가 이동하며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ㅇ'을 입력받은 후 오른쪽으로 이동한 지시기(410)가 'ㅏ' 문자 영역에서 다시 왼쪽으로 이동하여 이동 방향이 바뀌고, 왼쪽으로 이동한 지시기(410)가 'ㄴ' 문자 영역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다시 이동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글자 '안'을 입력받을 수 있다. 'ㄴ' 문자 영역에서 또 다시 이동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ㄴ'을 다시 입력받을 수 있다. 'ㄴ'을 다시 입력받은 후 우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한 지시기(410)가 'ㅕ' 문자 영역에서 다시 좌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방향이 바뀌고, 좌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한 지시기(410)가 'ㅇ' 문자 영역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다시 이동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글자 '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310)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따라 '안녕'이라는 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8은 가상 공간의 가상 자판들과 모바일 단말기의 상대적 공간과 상기 공간에 배치된 자판들이 사용자가 걷고 있거나 차를 타고 있는 등 이동 중에도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하여 현재 가상 공간의 모양을 유지한 채 문자 입력을 계속 수행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 상에서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아 원하는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감지된 움직임과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가상 자판의 종류, 가상 자판의 속성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를 기초로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의 현재 문자 선택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령 중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가상 자판 상에 있는 경우에 감지된 움직임과 가상 자판의 종류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를 기초로 저장된 명령 인덱스를 검색하여 명령을 검색하고 해당 인덱스와 링크된 명령을 호출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된 명령을 수행한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디스플레이하고, 검색된 명령이 없는 경우에는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도 9는 움직임에 의한 명령의 대상이 되는 가상 자판과 자판 상의 위치 및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기 위한 명령 인덱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명령 인덱스(910)는 가상 자판의 종류, 현재 문자 선택 위치와 감지된 움직임을 기초로 명령을 리스트화한다.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가상 자판 상에 있는 경우에 현재 가상 자판, 해당 가상 자판 상에서의 문자 선택 위치 및 움직임 감지부(110)를 통해 인식된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에 모두 매칭되는 명령을 명령 인덱스(91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명령 인덱스(910)에 포함될 수 있는 명령은 현재 선택된 가상 자판을 다른 가상 자판으로 변경하는 자판 변경 명령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와 연관된 문자를 입력받는 연관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판 변경 명령은 현재 가상 자판을 다른 언어의 글자가 배치된 가상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 현재 가상 자판을 글자 자판, 숫자 자판, 부호 자판, 기호 자판 또는 다른 문자 또는 문자들이 배치된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 현재 가상 자판을 대문자 또는 소문자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 현재 가상 자판을 쌍자음 또는 단자음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연관 문자 입력 명령은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대소문자 변환 명령,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에 대한 쌍자음을 입력받는 명령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에 대한 첨자 문자를 입력받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가상 자판이 한글 자판이고 현재 가상 자판 상에서 지시기(410)를 통해 선택된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가 'ㄱ'인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310)가 왼쪽으로 이동한 후 다시 복귀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쌍자음 표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해당 명령을 수행하여 쌍자음('ㄲ')을 문자 입력 영역(3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310)가 이동하는 속도를 기준으로 제어부(120)는 지시기(410)기를 이동하거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310)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왼쪽으로 이동한 후 복귀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가상 자판(324) 상에서 지시기(410)를 왼쪽으로 이동한 후 다시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10)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왼쪽으로 이동한 후 복귀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명령의 대상이 되는 가상 자판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310)가 왼쪽으로 이동한 후 복귀하는 움직임이 2회 감지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현재 명령의 대상이 되는 가상 자판을 이전에 디스플레이하였던 이전 가상 자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된 가상 자판이 한글 자판이고 이전 가상 자판이 소문자 영문 자판인 경우에, 현재 가상 자판에서 모바일 단말기(310)가 왼쪽으로 이동한 후 복위하는 움직임이 2회 감지된 경우 제어부(120)는 이전 가상 자판인 소문자 영문 자판을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문 자판으로 변경한 후 모바일 단말기(31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움직임에 따라 지시기(410)를 이동하여 문자 선택 위치를 결정하고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2a와 도 12b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 자판 상의 특정 위치에서 연관된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를 참조하면, 현재 가상 자판인 소문자 영문 자판의 특정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기(310)의 특정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해당 위치의 문자와 연관된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문자 영문 자판의 알파벳 'y'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기(310)가 위로 이동한 후 복귀하는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해당 문자의 대문자(Y)를 입력받아 문자 입력 영역(3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문자 영문 자판의 알파벳 'y'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기(310)가 모바일 단말기(3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후 복귀하는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해당 문자의 원문자 'ⓨ'를 입력받아 문자 입력 영역(3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연관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이나 연관된 문자의 종류 등은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3a내지 도 13e는 가상 자판들 또는 문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기본적으로 동일 자판 또는 유사 자판 복수개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푸쉬(pull)-풀(pull) 또는 풀(pull)-푸쉬(pull) 동작으로 문자 입력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입력할 문자들이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시키는 방법이 중요하다. 도 13a에서는 유사 자판 두 개를 공간에서 면(810)으로 서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도 13b에서는 문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각 동일 문자들 또는 동일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공간에서 선으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도 13c와 도 13d에서는 유사 자판 두 개를 공간에서 선으로 서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연결하는 선의 모양이 다른 것이 차이이다. 도 13e는 문자들 또는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선으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공간에 문자,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자판을 복수개로 배치 또는 연결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어떠한 형태의 연결이나 배치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문자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자판을 복수개로 배치한 것은 공간상의 배치나 연결의 형태를 보면 일반적으로 상식적인 판단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움직임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2)

  1.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은
    한 개 이상의 글자(letter), 숫자(number), 부호(mark), 및/또는 기호(symbo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은
    명령 수행을 위한 명령부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형성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공간에는 원점이 있고 상기 원점과 상기 배치된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간의 공간상 상대적 거리 및/또는 좌표는 설정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원점과 상기 배치된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간의 공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움직이고 상기 움직임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 동안 두 개 이상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이 설정 및/또는 사용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 동안 두 개 이상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이 설정 및/또는 사용되더라도 상기 설정 및/또는 사용되는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 모두를 포함하는 또는 모두가 매핑되는 하나의 공간을 설정 및/또는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자판은
    상기 문자,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각 문자들 또는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한 것으로, 2차원 가상 공간에 배치한 경우는 2차원 가상 자판 또는 3차원 가상 공간에 배치한 경우는 3차원 가상 자판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각 문자들 또는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은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된 문자,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각 문자들 또는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모양, 크기 또는 위치로써 상기 각 해당 문자 또는 문자들을 식별하는 식별부로 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상기 각 가상 자판들의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 및/또는 상기 각 가상 자판들 상의 상기 각 문자들 또는 상기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동일 가상 자판들 및/또는 복수개의 유사 가상 자판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가상 자판들은
    상기 가상 공간에 기 배치된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및/또는 배치되는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에 대하여 상기 가상 자판들의 어떠한 임의의 두 자판들인 제1 가상 자판과 제2 가상 자판에 대해서도 상기 제1 가상 자판에 배치된 또는 배치되는 상기 문자들 또는 상기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각 객체들과 상기 제2 가상 자판에 배치된 또는 배치되는 상기 문자들 또는 상기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각 객체들에서 동일한 문자 또는 상기 동일한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가 하나 이상 있으면 상기 제1 가상 자판과 상기 제2 가상 자판은 유사 가상 자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가상 자판들 및/또는 유사 가상 자판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가상 자판들 및/또는 상기 유사 가상 자판들 중에서 임의의 자판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서 선, 면 또는 어떠한 모양으로도 서로 연결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또는 배치한 것으로 판단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를 구성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서 선, 면 또는 어떠한 모양으로도 서로 연결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이 3차원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 또는 식별부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서 공간적으로 완전히 포함하는 최소 크기의 하나의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가상적으로 만들었을 때 상기 직육면체 또는 상기 정육면체의 임의의 하나의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 중 임의의 다른 하나의 제2 면을 연결하는 임의의 직선 하나를 상기 가상 공간에 그렸을 때 상기 직선이 지나가는 또는 통과하는 상기 공간상의 영역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와 상기 식별부가 아닌 아무 것도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영역들로 구성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한 경우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이 2차원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 또는 식별부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서 공간적으로 완전히 포함하는 최소 크기의 하나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가상적으로 만들었을 때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임의의 하나의 제1 변과 상기 제1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들 중 임의의 다른 하나의 제2 변을 연결하는 임의의 직선 하나를 상기 가상 공간에 그렸을 때 상기 직선이 지나가는 또는 통과하는 상기 공간상의 영역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와 상기 식별부가 아닌 아무 것도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부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영역들로 구성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한 경우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의 식별부가 상기 과정 내내 동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두 개 이상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한 경우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 동안 두 개 이상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이 설정 또는 사용되는 경우 상기 두 개 이상의 가상 공간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된 또는 배치되는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은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문자를 두 개 이상 배치한 경우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1.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들에 대해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푸쉬(push)하는 (미는 또는 팔이 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문자가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푸쉬 하는 방향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에 배치된 제1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또는 제1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제1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풀(pull)하는 (당기는 또는 팔이 구부려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문자가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풀 하는 방향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에 배치된 제2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또는 제2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제2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push) 하는 방향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 및 상기 풀(pull) 하는 방향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은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축으로 하였을 때 상기 축을 중심으로 가까운 쪽 공간이 상기 풀(pull) (당기는 또는 팔이 구부려지는) 하는 방향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이며 상기 축에서 먼 쪽 공간이 상기 푸쉬(push) (미는 또는 팔이 펴지는) 하는 방향의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들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또는 제1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제1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 및 제2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또는 제2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제2 문자 또는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 동안 상기 제1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및 상기 제2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또는 상기 제1 문자 또는 문자들 및 상기 제2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제1 문자 또는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 및 상기 제2 문자 또는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을 상기 가상 공간에 동시에 배치하여 상기 푸쉬(push)-풀(pull)(밀고 당기는 또는 팔을 펴고 구부리는) 순서의 움직임 또는 상기 움직임의 반복 또는 상기 풀(pull)-푸쉬(push)(당기고 미는 또는 팔을 구부리고 펴는) 순서의 움직임 또는 상기 움직임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일련의 각 문자들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및 상기 제2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또는 상기 제1 문자 또는 문자들 및 상기 제2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상기 제1 문자 또는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 및 상기 제2 문자 또는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 또는 객체들을 동시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은
    선택되고 입력될 수 있는 활성화 상태 또는 상기 선택될 수 없고 따라서 입력이 될 수 없는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속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속성은
    상기 각 문자들 또는 상기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특정 부분, 특정 면,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 및/또는 상기 각 가상 자판들의 특정 부분, 특정 면,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상태를 설정 및 변경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에서 상기 배치된 가상 자판의 상태속성은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가상 자판의 동일 가상 자판 두 개 이상이 배치된 경우, 상기 과정 내내 동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과정, 복수개의 문자들 입력 과정 또는 일련의 문자들 입력 과정에서 상기 배치된 임의의 문자 또는 상기 배치된 임의의 문자에 해당하는 각 객체의 상태속성은
    상기 가상 공간에 상기 문자가 두 개 이상 배치된 경우, 상기 과정 내내 동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에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일부 혹은 전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가상 자판들은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사용자의 선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및/또는 상기 가상 자판들의 속성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자판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상기 각 가상 자판들의 디스플레이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 및/또는 상기 각 가상 자판들상의 상기 각 문자들 또는 상기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디스플레이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를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감지된 움직임이 명령인지 판단하여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고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의 종류,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의 속성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기 가상 자판 및/또는 상기 가상 자판의 현재 문자 선택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령 중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현재 문자가 선택된 가상 자판을 다른 가상 자판으로 변경하는 자판 변경 명령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와 연관된 문자를 입력받는 연관 문자 입력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변경 명령은
    상기 선택된 가상 자판을 다른 언어의 글자들이 배치된 가상 자판, 다른 숫자들이 배치된 가상 자판, 다른 부호들이 배치된 가상 자판, 다른 기호들이 배치된 가상 자판 또는 다른 문자 또는 다른 문자들이 배치된 가상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
    또는 상기 문자가 선택된 가상 자판을 대문자 또는 소문자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 상기 선택된 가상 자판을 쌍자음 또는 단자음 자판으로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문자 입력 명령은
    상기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대소문자 변환 명령, 상기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에 대한 쌍자음을 입력받는 명령 및/또는 상기 현재 문자 선택 위치의 문자에 대한 첨자 문자를 입력받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움직인 위치가 상기 특정 가상 자판 상의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위치 또는 영역인 경우에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특정 가상 자판 상의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위치 또는 영역을 지나거나 또는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특정 가상 자판 상의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의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의 이동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문자가 상기 명령 수행을 위한 상기 명령부호인 경우 상기 명령부호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에 배치된 문자 또는 문자들, 상기 가상 자판들 또는 상기 문자들의 속성들, 상기 디스플레이 속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가상 공간, 상기 특정 가상 자판 및/또는 상기 특정 가상 자판 상에서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3. 움직임을 감지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센서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문자 입력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기설정에 따라 문자들이 배치된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상 자판들 중 특정 가상 자판상의 문자 선택인지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특정 가상 자판에서 문자 선택 위치를 판단하고 선택된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 자판을 기설정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받은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문자를 상기 가상 공간에 두 개 이상 배치하는 모바일 단말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공간에서 상기 각 가상 자판들의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 및/또는 상기 각 가상 자판들 상의 상기 각 문자들 또는 상기 각 문자들에 해당하는 각 객체들의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를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사용자의 선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및/또는 상기 가상 자판들의 속성에 의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가상 자판 또는 가상 자판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각 가상 자판들의 디스플레이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 및/또는 상기 각 가상 자판들 상의 상기 각 문자들의 디스플레이 속성들인 모양, 크기, 위치, 간격 또는 배치를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기 가상 자판의 종류, 상기 가상 자판의 속성 및/또는 현재 문자 선택 위치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기 가상 자판 및/또는 상기 가상 자판의 현재 문자 선택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령 중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검색하고 해당 명령을 수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명령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인 위치가 상기 가상 공간상에 배치된 가상 자판상의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위치 또는 영역인 경우에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자판 상의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위치 또는 영역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가상 자판 상의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객체 위치 또는 영역을 지나거나 또는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위치 또는 영역의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가상 공간, 상기 특정 가상 자판 및/또는 상기 특정 가상 자판상에서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KR20100121696A 2010-11-17 2010-12-01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48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9168 WO2012074278A2 (ko) 2010-12-01 2011-11-29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91 2010-11-17
KR20100114691 2010-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44A KR20120053444A (ko) 2012-05-25
KR101482634B1 true KR101482634B1 (ko) 2015-01-26

Family

ID=4626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1696A KR101482634B1 (ko) 2010-11-17 2010-12-01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6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625A2 (en) 2008-10-07 2010-04-1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ng virtual buttons using motion sensors
US20100125816A1 (en) 2008-11-20 2010-05-20 Bezos Jeffrey P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KR20100062628A (ko) * 2008-12-02 201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625A2 (en) 2008-10-07 2010-04-1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ng virtual buttons using motion sensors
US20100125816A1 (en) 2008-11-20 2010-05-20 Bezos Jeffrey P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WO2010059956A1 (en) 2008-11-20 2010-05-27 Amazon Technologies, Inc.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KR20100062628A (ko) * 2008-12-02 201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44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JP4213414B2 (ja) 機能の実現方法及び装置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8700957B (zh) 用于虚拟环境中文本输入的电子系统和方法
JP2006520024A (ja) 接触エリアの移動させられた表現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54023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976134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12001937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20130222251A1 (en) Terminal device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KR101482634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CN108572744B (zh) 文字输入方法及其系统与计算机可读取记录媒体
KR20150013404A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CN102609182A (zh) 用于使用触摸输入来输入字符的方法和设备
KR101359456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드레그에 기반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NO315776B1 (no) Tegn-generator I
KR20120047110A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372898B1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방법
KR20180024305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JP2004152223A (ja) 入力装置、情報端末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KR20170108630A (ko) 키보드에서 멀티터치되는 터치점 수에 따른 모드 구분 등
WO2012074278A2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