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524B1 -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524B1
KR101482524B1 KR20130048109A KR20130048109A KR101482524B1 KR 101482524 B1 KR101482524 B1 KR 101482524B1 KR 20130048109 A KR20130048109 A KR 20130048109A KR 20130048109 A KR20130048109 A KR 20130048109A KR 101482524 B1 KR101482524 B1 KR 10148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core
mold
resin material
defor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606A (ko
Inventor
최동식
이중원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형 filed Critical (주)태형
Priority to KR2013004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5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08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t least a 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45/0062Joined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8Copolymers of styrene, e.g. AS or SAN, i.e. acrylonitrile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합형되어서 내부에 커버부와, 에이프런부와, 머드플랩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머드가드를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커버부를 위한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에이프런부를 위한 제2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1 변형 코어부; 및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머드플랩부를 위한 제3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2 변형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제2 변형 코어부는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제2 캐비티부 사이 또는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제3 캐비티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는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아래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가동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 블록의 수평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코어의 상하이동이 조절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이종재질의 머드가드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MOLDING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OF DIFFERENT MATERIALS MUD GUARD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트럭과 같은 차량에는 바퀴 후방부에 설치되는 머드가드(mud guard)가 구비된다. 머드가드는 차량 주행시 타이어로부터 비산되는 흙탕물, 자갈 등의 물질로부터 차체 패널, 타이어 주변의 기능성 부품 또는 보행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종래의 머드가드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머드가드(m)는 커버 부재(c)와, 커버(c)의 상측에 체결 결합되는 에이프런 부재(a)와, 커버 부재(c)의 하측에 체결 결합되는 머드플랩 부재(f)를 구비한다. 에이프런 부재(a)는 에이프런 브래킷(b1)을 매개로 커버 부재(c)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머드플랩 부재(f)는 머드플랩 브래킷(b2)을 매개로 커버 부재(c)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커버 부재(c)는 에이프런 부재(a) 및 머드플랩 부재(f)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커버 부재(c), 에이프런 부재(a) 및 머드플랩 부재(f)는 각각 따로 제작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 구조로 결합되어서 제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머드가드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식은 각 기본 구성품(커버 부재, 에이프런 부재 및 머드플랩 부재)을 제작하고 조립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낮고, 특히 구성품을 각각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며, 제작된 각 구성품을 조립 전까지 보관해야 하기 대문에 적재 공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기 위한 사출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합형되어서 내부에 커버부와, 에이프런부와, 머드플랩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머드가드를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커버부를 위한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에이프런부를 위한 제2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1 변형 코어부; 및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머드플랩부를 위한 제3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2 변형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제2 변형 코어부는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제2 캐비티부 사이 또는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제3 캐비티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는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아래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가동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 블록의 수평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코어의 상하이동이 조절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이종재질의 머드가드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티부가 상기 제2 캐비티부 및 상기 제3 캐비티부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상기 제2 변형 코어부를 조절하는 금형장치 제1 상태 준비 단계; 상기 제1 캐비티부에 제1 수지재를 주입하는 제1 수지재 주입 단계; 상기 제1 캐비티부가 상기 제2 캐비티부 및 상기 제3 캐비티부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상기 제2 변형 코어부를 조절하는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 상기 제2 캐비티부 및 상기 제3 캐비티부에 상기 제1 수지재와는 다른 제2 수지재를 주입하는 제2 수지재 주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수지재는 PP(Polypropylene)를 포함하는 수지이며, 상기 제2 수지재는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를 포함하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이동 블록과 상호작용하는 하부 상호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동 블록과 상호작용하는 상부 상호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상호 작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상호작용부에는 상기 하부 경사면과 상호작용하는 상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종사출로 머드가드를 제조하는 사출성형 방법이 캐비티에서 커버부를 위한 제1 캐비티부와 에이프런부를 위한 제2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1 변형 코어부와, 캐비티에서 제1 캐비티부와 머드플랩부를 위한 제3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2 변형 코어부를 포함하는 금형장치에 의해 수행되므로, 커버부에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에이프런부와 머드플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머드가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머드가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머드가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변형 코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변형 코어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 변형 코어부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 변형 코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금형장치의 제2 상태 준비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1 변형 코어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금형장치에서 도 9에 도시된 제2 용융수지 주입 단계가 수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머드가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머드가드(M)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부(C)와, 커버부(C)에 일체로 형성된 에이프런부(A)와, 커버부(C)에 일체로 형성된 머드플랩부(F)를 포함한다. 머드가드(M)는 이종재질 사출성형 기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커버부(C)는 제1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에이프런부(A)와 머드플랩부(F)는 제1 수지재와는 다른 제2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커버부(C)는 차량의 타이어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서, 타이어에서 비산되는 오염물을 막기 위해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호 형상을 갖도록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커버(C)에는 강성 증가를 위한 다수개의 비드가 횡방향 및 종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C)는 제1 수지재로 이루어지는데, 제1 수지재로는 PP(Polypropylene)를 포함하는 수지이거나, PC(Polycarbonate)와 ASA(Acrylonitrile-Styrene-Acrylate)가 혼합된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 재질의 수지는 대표적인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비스페놀 A와 호스겐을 원료로 제조하고, 투명하고 열, 기계 등 각종 특성의 균형이 잡혀 있는 점이 특징이다. ASA 재질 수지는 ABS 수지의 취약한 내후성을 아크릴계 고무 중합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한 수지로서 라디에이터 그릴 등 외부에 노출되는 무도장 외장재 소재로 주로 사용된다.
에이프런부(A)는 커버부(C)의 길이방향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에이프런부(A)는 커버부(C)의 길이방향 선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에이프런부(A)에서 커버부(C)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A1)는 아래로 꺾여서 약간 연장되어 있다. 제1 결합부(A1)의 이러한 형상은 에이프런부(A)와 커버부(C)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커버부(C)도 제1 결합부(A1)에 대응하는 제1 결합면(C1)을 제공한다. 에이프런부(A)는 커버부(C)의 재질인 제1 수지재와는 다른 재질인 제2 수지재로 이루어지는데, 제2 수지재로는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를 포함하는 수지이거나, PP(Polypropylene)와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가 혼합된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P 재질 수지는 압출, 블로우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형, 진공성형이 가능한 수지로서 섬유나 필름 또는 다양한 색상이나 투명한 폼으로 만들 수 있으며, 주로 포장지와 같은 필름 형태로 사용되고, PE보다는 유연해지는 온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SEBS 재질 수지는 합성고무를 중합시켜 제조된 것으로 내후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머드플랩부(F)는 커버부(C)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후방으로 연장된다. 머드플랩부(F)는 커버부(C)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머드플랩부(F)에서 커버부(C)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F1)는 아래로 꺾여서 약간 연장되어 있다. 제2 결합부(F1)의 이러한 형상은 머드플랩부(F)와 커버부(C)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커버부(C)도 제2 결합부(F1)에 대응하는 제2 결합면(C2)을 제공한다. 머드플랩부(F)는 에이프런부(A)와 동일한 제2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머드가드(M)는 커버부(C), 에이프런부(A) 및 머드플랩부(F)가 이종재질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의 머드가드에서 사용되던 브래킷(도 1 참조)이 필요없게 되어서, 부품수 감축과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머드가드를 제조하는 금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장치의 내부 구조가 단면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금형장치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주요 부분만을 도시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4에서 도시되지 않고, 이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라도 금형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사용되는 부분이고 통상의 기술자가 알고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것을 간주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금형장치(100)는 하부 금형(110)과, 상부 금형(120)과, 제1 변형 코어부(130)와, 제2 변형 코어부(140)를 포함한다. 금형장치(100)는 하부 금형(110)과 상부 금형(120)이 합형된 상태에서 내부에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 제조를 위한 캐비티(D)를 제공한다. 이하, 금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부 금형(110)은 상부 금형(120)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하부 금형(110)은 하부 중앙 금형부(111)와, 하부 선단 금형부(113)와, 하부 후단 금형부(115)를 구비한다.
하부 중앙 금형부(111)는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중심 금형 코어(112)를 구비한다. 하부 중심 금형 코어(112)의 상면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커버부(도 2와 도 3의 C)의 하면(내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하부 선단 금형부(113)는 하부 중앙 금형부(111)의 선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선단 금형부(113)가 하부 중앙 금형부(111)에 결합되어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하부 중앙 금형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선단 금형부(113)는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선단 금형 코어(113)를 구비한다. 하부 선단 금형 코어(113)의 상면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에이프런부(도 2와 도 3의 A)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하부 선단 금형 코어(113)는 하부 중심 금형 코어(112)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하부 후단 금형부(115)는 하부 중앙 금형부(111)의 후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후단 금형부(115)가 하부 중앙 금형부(111)에 결합되어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하부 중앙 금형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후단 금형부(115)는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후단 금형 코어(116)를 구비한다. 하부 후단 금형 코어(116)의 상면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머드플랩부(도 2와 도 3의 F)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하부 후단 금형 코어(116)는 하부 중앙 금형 코어(112)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부 금형(120)은 하부 금형(110)보다 위에 위치한다. 상부 금형(120)은 하부 금형(110)에 대해 상하 이동하면서 하부 금형(110)과 합쳐지거나 분리된다. 두 금형(110, 120)이 합쳐졌을 때에는 금형장치(100)의 내부에 머드가드 제조를 위한 캐비티(D)가 형성된다. 상부 금형(120)은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금형 코어(121)를 구비한다. 상부 금형 코어(121)의 하면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전체 상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상부 금형 코어(121)는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커버부(도 2와 도 3의 C)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제공하는 상부 중앙 코어부(122)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에이프런부(도 2와 도 3의 A)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제공하는 상부 선단 코어부(123)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머드플랩부(도 2와 도 3의 F)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제공하는 상부 후단 코어부(124)를 구비한다. 두 금형부(110, 120)가 합쳐졌을 때, 상부 중앙 코어부(122)는 하부 금형(110)의 하부 중앙 금형 코어(112)와 마주보며, 상부 선단 코어부(123)는 하부 금형(110)의 하부 선단 금형 코어(113)와 마주보고, 상부 후단 코어부(124)는 하부 금형(110)의 하부 후단 금형 코어(116)와 마주본다. 상부 금형 코어(121)는 하부 중앙 금형 코어(112), 하부 선단 금형 코어(113), 하부 후단 금형 코어(116), 제1 변형 코어부(130) 및 제2 변형 코어부(140)와 함께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 제조를 위한 캐비티(D)를 형성한다. 캐비티(D)는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커버부(도 2와 도 3의 C)에 대응하는 제1 캐비티부(D1)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에이프런부(도 2와 도 3의 A)에 대응하는 제2 캐비티부(D2)와, 머드가드(도 2와 도 3의 M)의 머드플랩부(도 2와 도 3의 F)에 대응하는 제3 캐비티부(D3)를 구비한다.
제1 변형 코어부(130)는 하부 금형(110)에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제1 변형 코어부(13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변형 코어부(130)는 제1 구동부(131)와, 제1 가동 블록(134)과, 제1 이동 코어(137)와, 제1A, 제1B 연결 부재(139)를 구비한다. 제1 변형 코어부(130)는 제1 이동 코어(13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캐비티부(D1)를 제2 캐비티부(D2)와 연통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제1 구동부(131)는 제1 구동기(132)와, 제1 연결 로드(133)를 구비한다. 제1 구동부(131)는 제1 가동 블록(134)을 수평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킨다. 제1 구동기(132)는 하부 금형(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기(132)로서 유압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연결로드(133)는 제1 구동기(132)로부터 연장되어서 끝단이 제1 가동 블록(134)에 결합된다. 제1 연결 로드(133)는 제1 구동기(132)에 의해 그 연장방향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기(132)가 유압실린더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구동기(132)로는 유압실린더 외에 다른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양방향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형시켜서 제1 연결로드(133)로 전달하는 운동변환기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동 블록(134)은 하부 금형(110)에서 하부 중앙 금형부(111)와 하부 선단 금형부(11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가동 블록(134)의 일단부가 구동부(131)의 제1 연결 로드(133)에 결합되어서, 제1 가동 블록(134)은 제1 구동부(131)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제1 가동 블록(134)에는 제1A, 제1B 연결 부재(139)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A, 제1B 하부 삽입 홈(1341)이 마련된다. 제1A, 제1B 하부 삽입 홈(1341)은 제1A, 제1B 연결 부재(139)에 대하여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제1 가동 블록(134)의 상단면에는 제1 이동 코어(137)와 접촉하며 상호작용하는 제1 하부 상호작용부(135)가 형성된다. 제1 하부 상호작용부(135)는 제1 가동 블록(134)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하부 돌출부(1351)를 구비한다. 다수의 제1 하부 돌출부(1351) 사이에는 제1 하부 홈부(1352)가 형성된다. 제1 하부 돌출부(1351)의 양단부에는 각각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A 하부 경사면(1353)과 제1B 하부 경사면(1354)이 마련된다.
제1 이동 코어(137)는 하부 금형(110)에서 하부 중앙 금형부(111)와 하부 선단 금형부(11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이동 코어(137)는 제1 가동 블록(134)에 의해 상하이동하면서 제2 캐비티부(D2) 측에서 제1 캐비티부(D1)를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제1 이동 코어(137)의 상단(1371)은 상부 선단 코어부(123)의 하면과 일치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이동 코어(137)의 상단(1371)이 상부 선단 코어부(123)의 하면과 접촉하여 제1 캐비티부(D1)가 제2 캐비티부(D2)와 폐쇄된다. 제1 이동 코어(137)에는 제1A, 제1B 연결 부재(139)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A, 제1B 상부 삽입 홈(1372)이 마련된다. 제1A, 제1B 상부 삽입 홈(1372)은 제1A, 제1B 연결 부재(139)에 대하여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의 유격이 존재한다. 제1 이동 코어(137)의 하단면에는 제1 가동 블록(134)의 제1 하부 상호작용부(135)와 접촉하며 상호작용하는 제1 상부 상호 작용부(138)가 형성된다. 제1 상부 상호 작용부(138)는 제1 가동 블록(134)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상부 돌출부(1381)를 구비한다. 다수의 제1 상부 돌출부(1381) 사이에는 제1 상부 홈부(1382)가 형성된다. 제1 상부 돌출부(1381)는 제1 가동 블록(134)에 형성된 제1 하부 홈부(135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상부 홈부(1382)에는 제1 가동 블록(134)에 형성된 제1 하부 돌출부(1351)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상부 돌출부(1381)의 양단부에는 제1 하부 돌출부(1351)의 양단부와 각각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A 상부 경사면(1383)과 제1B 상부 경사면(1384)이 마련된다.
제1A, 제1B 연결 부재(139)는 각각 제1 가동 블록(134)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제1 가동 블록(134)과 제1 이동 코어(137)를 연결한다. 각 연결 부재(139)는 제1 가동 블록(134)의 제1 하부 삽입 홈(1341)에 삽입되는 제1 하부 삽입부(1392)와, 제1 이동 코어(137)의 제1 상부 삽입 홈(1372)에 삽입되는 제1 상부 삽입부(1391)를 구비한다. 제1 가동 블록(134)은 제1 하부 삽입부(139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제1 이동 코어(137)는 제1 상부 삽입부(139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2 변형 코어부(140)는 하부 금형(110)에 설치된다. 도 8에는 제2 변형 코어부(14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변형 코어부(140)는 제2 구동부(141)와, 제2 가동 블록(144)과, 제2 이동 코어(147)와, 제2A, 제2B 연결 부재(149)를 구비한다. 제2 변형 코어부(140)는 제2 이동 코어(14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캐비티부(D1)를 제3 캐비티부(D3)와 연통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제1 변형 코어부(130)의 각 구성과 구별하기 위하여, 제2 변형 코어부(140)의 각 구성은 이하에서 '제1' 대신 '제2'가 앞에 붙어서 사용된다.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위에서 설명한 제1 변형 코어부(1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는 도 4에 도시된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순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금형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금형장치 제1 상태 준비 단계(S10)와, 제1 수지재 주입 단계(S20)와,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S30)와, 제2 수지재 주입 단계(S40)와, 경화 단계(S50)와, 취출 단계(S60)를 포함한다.
금형장치 제1 상태 준비 단계(S1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금형(110, 120)이 합쳐져서 내부에 캐비티(D)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변형 코어부(130)의 제1 이동 코어(137)와 제2 변형 코어부(140)의 제2 이동 코어(147)가 위로 이동하여 독립된 제1 캐비티부(D1)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그에 따라, 제1 캐비티부(D1)는 제1 이동 코어(137)와 제2 이동 코어(147)에 의해 제2 캐비티부(D2) 및 제3 캐비티부(D3)와는 분리된다. 도 7에는 제1 이동 코어(137)가 상승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금형장치 제1 상태 준비 단계(S10) 후에는 제1 수지재 주입 단계(S20)가 수행된다.
제1 수지재 주입 단계(S20)에서는 커버부(도 2와 도 3의 C)에 대응하는 제1 캐비티부(D2)로 용융상태의 제1 수지재가 주입된다. 제1 캐비티부(D1)로 주입된 제1 수지재는 머드가드의 커버부(도 2 및 도 3의 C)를 형성하게 된다. 제1 수지재 주입 단계(S20) 수행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서 제1 수지재가 어느 정도 경화된 상태(완전히 경화된 상태는 아님)가 되었을 때,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S30)가 수행된다.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S30)에서는 제1 이동 코어(137)와 제2 이동 코어(147)가 아래로 내려와서 제1 캐비티부(D1)가 제2 캐비티부(D2) 및 제3 캐비티부(D3)와 각각 연결된다. 도 10에는 제1 이동 코어(147)가 하강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금형장치 제2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코어(137)의 상단(1371)이 제2 캐비티부(D2)보다 더 아래로 내려와서, 확장 캐비티부(D21)를 형성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이동 코어(147)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캐비티부(D3)에 확장된 캐비티부를 형성하게 된다.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S30) 후에는 제2 수지재 주입 단계(S40)가 수행된다.
제2 수지재 주입 단계(S40)에서는 에이프런부(도 2와 도 3의 A)에 대응하는 제2 캐비티부(D2)와 머드플랩부(도 2와 도 3의 F)에 대응하는 제3 캐비티부(D3)로 용융상태의 제2 수지재가 주입된다. 제2 캐비티부(D2)로 주입된 제2 수지재는 머드가드의 에이프런부(도 2와 도 3의 A)를 형성하게 되고, 제3 캐비티부(D3)로 주입된 제2 수지재는 머드가드의 머드플랩부(도 2와 도 3의 F)를 형성하게 된다. 도 11에는 제2 캐비티부(D2)에 제2 수지재(R2)가 주입되어서 제1 캐비티부(D1)에 충진된 제1 수지재(R1)와 접촉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확장 캐비티부(D21)에 제2 수지재(R2)가 주입되어서 제1 수지재(R1)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제2 수지재 주입 단계(S40) 후에는 경화 단계(S50) 및 취출 단계(S60)가 차례대로 수행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금형장치 110 : 하부 금형
111 ; 하부 중앙 금형부 112 : 하부 중앙 금형 코어
113 : 하부 선단 금형부 114 : 하부 선단 금형 코어
115 : 하부 후단 금형부 116 : 하부 후단 금형 코어
120 : 상부 금형 121 : 상부 금형 코어
122 : 상부 중앙 코어부 123 : 상부 선단 코어부
124 : 상부 선단 코어부 130 : 제1 변형 코어
131 : 제1 구동부 132 : 제1 구동기
133 : 제1 연결 로드 134 : 제1 가동 블록
135 : 제1 하부 상호작용부 137 : 이동 코어
138 : 제1 상부 상호작용부 140 : 제2 변형 코어

Claims (4)

  1.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합형되어서 내부에 커버부와, 에이프런부와, 머드플랩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머드가드를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커버부를 위한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에이프런부를 위한 제2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1 변형 코어부; 및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머드플랩부를 위한 제3 캐비티부 사이를 개폐하는 제2 변형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제2 변형 코어부는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제2 캐비티부 사이 또는 상기 제1 캐비티부와 상기 제3 캐비티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는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아래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가동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 블록의 수평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코어의 상하이동이 조절되며,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이동 코어와 상호작용하는 하부 상호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코어는 상기 가동 블록과 상호작용하는 상부 상호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상호작용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하부 돌출부가 이동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상부 상호작용부에는 상기 하부 돌출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호 작용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에 대응하는 상부 홈부가 다수 개 배치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이종재질의 머드가드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티부가 상기 제2 캐비티부 및 상기 제3 캐비티부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상기 제2 변형 코어부를 조절하는 금형장치 제1 상태 준비 단계;
    상기 제1 캐비티부에 제1 수지재를 주입하는 제1 수지재 주입 단계;
    상기 제1 캐비티부가 상기 제2 캐비티부 및 상기 제3 캐비티부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변형 코어부와 상기 제2 변형 코어부를 조절하는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
    상기 제2 캐비티부 및 상기 제3 캐비티부에 상기 제1 수지재와는 다른 제2 수지재를 주입하는 제2 수지재 주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장치 제1 상태 준비 단계는 상기 다수의 하부 돌출부가 상기 다수의 상부 홈부로부터 이탈한 상태이며,
    상기 금형장치 제2 상태 준비 단계는 상기 가동 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다수의 하부 돌출부 각각이 상기 다수의 상부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는 PP(Polypropylene)를 포함하는 수지이며, 상기 제2 수지재는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를 포함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3. 삭제
  4. 삭제
KR20130048109A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KR101482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109A KR101482524B1 (ko)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109A KR101482524B1 (ko)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606A KR20140129606A (ko) 2014-11-07
KR101482524B1 true KR101482524B1 (ko) 2015-01-16

Family

ID=5245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109A KR101482524B1 (ko)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68A (ja) * 1993-08-05 1995-02-21 Sony Corp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H08281699A (ja) * 1995-04-17 1996-10-29 Inoac Corp 複合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用金型装置
JPH11207783A (ja) * 1998-01-29 1999-08-03 Toyota Auto Body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100968823B1 (ko) 2008-06-20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지 제품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68A (ja) * 1993-08-05 1995-02-21 Sony Corp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H08281699A (ja) * 1995-04-17 1996-10-29 Inoac Corp 複合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用金型装置
JPH11207783A (ja) * 1998-01-29 1999-08-03 Toyota Auto Body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100968823B1 (ko) 2008-06-20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지 제품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606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4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components
JP6501781B2 (ja) 自動車部分用構造部品およびその部品を含む自動車部分
US6623688B2 (en) Gas-assisted two-shot injection molding process
CN201792722U (zh) 一种汽车前门内饰板结构
CN101628466B (zh) 用于生产双色注射成型部件的模具和方法
US10195928B2 (en) Quarter window assembly for a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king the assembly
CN101720284A (zh) 角窗
JP5907691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382986A (zh) 部件接合结构和部件接合方法
CN103978871B (zh) 角窗及注塑成型组件成型方法、导轨、角窗、车门及汽车
CN1927570B (zh) 制造车辆立柱覆盖物的方法和装置
CN103862609A (zh) 发泡注塑模具的密封装置
CN208498393U (zh) 车辆的杂物箱容器
JP4585933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CN105291792B (zh) 玻璃的包边结构和注塑成型装置
KR101482524B1 (ko)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 방법
KR101473990B1 (ko)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장치
WO2005120797A1 (en) Multi-cavity glass encapsulation method
CN203318113U (zh) 用于引导车窗玻璃移动的导轨、角窗、车门及汽车
JP6465006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部品の補強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16301B1 (ko) 차량용 이종재질 머드가드 및 이종재질 머드가드의 제조장치
JP2007069832A (ja) 車両用樹脂製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7429B2 (ja) 多色成形品の成形方法
KR102496708B1 (ko) 차량용 범퍼 스트립 제조 방법
JP2007030291A (ja) 多色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