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732B1 -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732B1
KR101481732B1 KR20130042411A KR20130042411A KR101481732B1 KR 101481732 B1 KR101481732 B1 KR 101481732B1 KR 20130042411 A KR20130042411 A KR 20130042411A KR 20130042411 A KR20130042411 A KR 20130042411A KR 101481732 B1 KR101481732 B1 KR 101481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llow
biopsy
injection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639A (ko
Inventor
김원
강경표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73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61B2010/045Needles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생체 조직 검사 시 체내에 삽입된 바늘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은,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바늘부, 상기 바늘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체내에서 상기 바늘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needle for inspecting the tissue of body}
본 발명은 경피적 신장 조직 검사, 경피적 유방암 조직 검사, 경피적 간암 조직검사 등 다양한 종류의 조직 검사를 할 수 있는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은 내침과 이 내침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공의 외침으로 이루어지고, 내침의 선단부에는 생체 조직을 적출할 수 있는 적출홈이 형성된다.
외침은 내침을 수용한 채로 조직에 삽입되는데, 이때, 내침의 선단부, 즉 적출홈이 외침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조직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침을 외침의 내부로 잡아 당기면 내침의 선단부가 외침에 내부에 수용되면서 조직의 일부분이 적출홈의 내부로 적출된다. 그리고 조직이 적출되면 외침은 내침을 수용한 채로 조직에서 제거되고, 절취된 조직이 적출홈의 내부에서 분리되면 생체 검사용 조직이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경우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로 촬영하면 도 1에서 처럼 조직내 삽입된 바늘의 많은 부분이 초음파상에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늘 끝부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늘의 끝부분이 목표지점까지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조직 부위를 정확하게 적출할 수 없으며, 병변 부위에 정확한 타겟팅(targeting)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95466호 (2011.12.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생체 조직 검사 시 체내에 삽입된 바늘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은,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바늘부, 상기 바늘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체내에서 상기 바늘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늘부에는 생체 조직을 적출하기 위한 적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늘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통로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 확인부는 중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늘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 파악부의 중공에 조영제 또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위치 확인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는 암 연결부, 상기 주입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수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바늘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확인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에 상기 주입부가 장착되는 결합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를 결합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은, 바늘부가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입부의 내부에 조영제를 주입하면, 조영제가 주입부의 내부공간과 미세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체내에 주입됨에 따라 체내에 삽입된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병변 부위에 정확한 타겟팅(targeting)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병변 부위의 조직을 정확하게 적출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정상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사용한 초음파 영상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1)은 바늘부(10), 위치 확인부(20)를 포함한다.
먼저, 바늘부(10)는 체내에 삽입되어 조직검사를 하기 위한 것으로, 경피적 신장조직검사, 경피적 유방암 조직검사 경피적 간암 조직검사 등 다양한 종류의 조직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늘부(10)는 다시 몸체부(101)와 삽입부(102)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몸체부(101)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적출부(1011)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적출부(1011)는 체내의 조직을 적출하는 것으로, 공지된 바에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삽입부(102)는 바늘부(10)의 전체부분 중 가장 먼저 체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1)의 끝단부에 연장형성되며, 그 폭은 화살촉과 동일하게 선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02)는 피부를 관통하여 체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101) 또한 상기 삽입부(102)를 따라 체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늘부(1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위치 확인부(20)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늘부(10)는 가이드부(40)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직을 적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40)는 내부에 이동통로(40a)가 형성된 관 형태이고, 바늘부(10)의 재질과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로(40a)의 직경은 바늘부(10)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늘부(10)는 상기 이동통로(4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는 일부분이 바늘부(10)와 함께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부(40)는 선단부가 피부에 단순히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부(10)만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40)와 바늘부(10)가 체내에 함께 삽입될 경우 상기 바늘부(10)의 적출부(1011)는 가이드부(4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된다.
체내에 삽입된 바늘부(10)를 잡아 당기면 적출부(1011)가 가이드부(4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체내 조직의 일부분이 적출부(1011)에 적출된다. 이어서 바늘부(10)와 가이드부(40)를 생체의 외부로 빼낸 다음 적출된 조직을 적출부(1011)에서 분리하면 생체 검사용 조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위치 확인부(2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주입부(30)와 함께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생체 조직 검사 시 체내에 삽입된 바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바늘부(10)의 중공(10a)에 삽입되어 있으며 약 0.1mm 내지 0.3mm의 작은 직경을 갖는 미세관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확인부(20)의 직경은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작거나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위치 확인부(20)는 바늘부(10)의 중공(1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늘부(10)와 함께 체내에 삽입된다.
또한, 위치 확인부(20)는 조영제 또는 약물을 체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중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부(20)의 일측 일부분은 상기 몸체부(10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 끝단부는 삽입부(102)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주입부(3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부(30)의 일측은 몸체부(101)의 외부로 돌출된 위치 확인부(20)의 외주연을 감싸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몸체부(101)의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1)의 외부에 노출된 주입부(30)의 일측으로 조영제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영제는 초음파에서 잘 보이는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이나 CT에서 잘 보이는 이오다인 조영제 또는 요오드 조영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체내에 투입되는 조영제의 용량은 약 0.5ml 정도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계속해서, 주입부(30)에 주입된 조영제는 주입부(30)의 내부공간과 위치 확인부(20)의 중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체내에 주입되며, 이로 인해 초음파 장치로 검사하거나 CT(Computed Tomography) 촬영을 할 경우 상기 초음파 장치 또는 CT 장치를 구성하는 모니터(미도시) 상에 체내에 삽입된 바늘부(10)의 위치 및 바늘부(10)의 주변에 위치한 조직이 정확하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만약 모니터 상에 나타난 조직에 병변 부위가 발견되면 몸체부(101)의 외부에 노출된 주입부(30)의 일측으로 약물을 주입하여 병변 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위치 확인부(20)의 전체 부분 중 몸체부(10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외주연에는 암 연결부(50)가 장착되고, 상기 위치 확인부(20)와 마주하는 주입부(30)의 일측 외주연에는 수 연결부(60)가 장착된다.
상기 암 연결부(50)와 수 연결부(60)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 연결부(50)는 너트 구조와 같이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60)는 볼트 구조와 같이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생체 조직을 적출하여 검사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수 연결부(60)의 나선이 형성된 부분이 암 연결부(50)의 나선이 형성된 부분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수 연결부(60)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수 연결부가(60) 암 연결부(50)의 내부에 체결되어 주입부(30)를 위치 확인부(20)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생체 조직의 적출을 완료한 이후에는 수 연결부(60)를 역 방향으로 돌려 주입부(30)와 위치 확인부(2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 연결부(50)는 주입부(30)에 장착될 수 있고, 수 연결부(60)는 위치 확인부(20)에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위치 확인부(20)의 전체 부분 중 몸체부(10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일측에는 결합편(21)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주입부(30)는 상기 결합편(21)의 외주연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부(7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21)은 위치 확인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 확인부(20)의 중공과 연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70)는 고무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직을 적출하여 검사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주입부(30)의 일측을 상기 결합편(21)의 외주연에 장착한 다음 상기 주입부(30)의 일측에 고정부(70)를 장착하면 상기 위치 확인부(20)와 상기 주입부(30)가 긴밀한 기밀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생체 조직의 적출을 완료한 이후에는 상기 주입부(30)에서 고정부(70)를 분리하여 위치 확인부(20)와 주입부(3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바늘부 10a : 중공
101 : 몸체부 1011 : 적출부
102 : 삽입부 20 : 위치 확인부
21 : 결합편 30 : 주입부
40 : 가이드부 40a : 이동통로
50 : 암 연결부 60 : 수 연결부
70 : 고정부

Claims (6)

  1.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가이드부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체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체내의 조직을 적출하는 적출부가 외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관 형태의 바늘부와,
    상기 바늘부의 중공에 삽입되고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조영제 또는 약물이 주입되는 중공을 구비하여 상기 조영제 또는 약물에 의해 체내에서 상기 바늘부의 적출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바늘부와 함께 일체로 구비된 관 형태의 위치확인부와,
    상기 위치확인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위치확인부의 중공에 상기 조영제 또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게 하는 관 형태의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위치 확인부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는 암 연결부,
    상기 주입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수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6. 제1항에서,
    상기 바늘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확인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에 상기 주입부가 장착되는 결합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를 결합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KR20130042411A 2013-04-17 2013-04-17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KR10148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11A KR101481732B1 (ko) 2013-04-17 2013-04-17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11A KR101481732B1 (ko) 2013-04-17 2013-04-17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39A KR20140124639A (ko) 2014-10-27
KR101481732B1 true KR101481732B1 (ko) 2015-01-12

Family

ID=5199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411A KR101481732B1 (ko) 2013-04-17 2013-04-17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482B1 (ko) * 2021-12-08 2022-11-14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140B2 (ja) * 1986-03-03 1994-12-0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生検鉗子
JP2001224598A (ja) 2000-02-15 2001-08-21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組織採取具
JP2005177237A (ja) * 2003-12-22 2005-07-07 Hakko Co Ltd 肝臓組織生検器具
KR20090008667U (ko) * 2008-02-25 2009-08-28 홍승호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140B2 (ja) * 1986-03-03 1994-12-0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生検鉗子
JP2001224598A (ja) 2000-02-15 2001-08-21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組織採取具
JP2005177237A (ja) * 2003-12-22 2005-07-07 Hakko Co Ltd 肝臓組織生検器具
KR20090008667U (ko) * 2008-02-25 2009-08-28 홍승호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39A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9486B (zh) 内窥镜用穿刺针及活检系统
US20150342580A1 (en) Laser cut needle cannula with increased flexibility
US8882681B2 (en) Through-cradle soft tissue biopsy device
EP3178405B1 (en) Puncture needle for endoscope
JP2008537693A (ja) 内部生検マーキング
JP6097826B2 (ja) 組織採取装置
KR101655796B1 (ko) 초음파 프로브용 세침검사바늘 고정지그
KR101481732B1 (ko)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KR102123516B1 (ko) 자체 고정 가능한 초음파 진단 장치
US9974526B2 (en) Ultrasonic endoscope biopsy system with treatment tool having various rigidity sections
CN106132313B (zh) 硬性镜套件
CN110730632B (zh) 内窥镜用穿刺针
JP2005349121A (ja) 内視鏡用穿刺針
JP2010011914A (ja) 留置針及び穿刺針
KR101737205B1 (ko) 검사대상체의 융합 영상용 고정장치
JP6454031B2 (ja) 光ファイバ挿入長調整機構、挿入物、及びアタッチメント部材
CN104159522A (zh) 超声波探头系统
JP7315707B2 (ja) 生検針及び組織採取装置
US20190282218A1 (en) Catheter Assembly With Offset Device For Tissue Sampling
JP2015146878A (ja) カテーテル
US9307961B2 (en)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device
JP2011177418A (ja) ガイド装置、ガイドワイヤ留置カテーテルおよびガイドワイヤカテーテルシステム
KR20140033876A (ko) 내시경에 부착된 조직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