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667U -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667U
KR20090008667U KR2020080002452U KR20080002452U KR20090008667U KR 20090008667 U KR20090008667 U KR 20090008667U KR 2020080002452 U KR2020080002452 U KR 2020080002452U KR 20080002452 U KR20080002452 U KR 20080002452U KR 20090008667 U KR20090008667 U KR 200900086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ollecting
cover
tub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래범
Original Assignee
홍승호
김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호, 김래범 filed Critical 홍승호
Priority to KR2020080002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667U/ko
Publication of KR20090008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궁근종이나 골반내 종양등이 있을 때 질강을 통해 생체조직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직 채취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조직 채취가 가능하고, 조직 채취 시 다른 조직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2)의 타측에서 비교적 좁고 길게 관형태로 형성되어 조직 채취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된 채취관(3)과, 상기한 채취관(3)의 끝 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위치됨과 아울러 채취관(3)을 외부로 당길 때 조직을 떼어낼 수 있도록 커팅부(4)가 형성되고 절단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저장부(5)와, 상기한 채취관(3)을 인체로 삽입할 때 및 외부로 인출할 때 커팅부(4)에 의해 다른 조직들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커팅부(4) 및 저장부(5)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조직채취용 기구, 조직검사, 자궁근종, 생검기구

Description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TOOL FOR BIOPSY}
본 고안은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궁근종이나 골반내 종양등이 있을 때 질강을 통해 생체조직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궁근종 또는 골반내 종양이 있을 때에는 진단을 위해 초음파검사 또는 단순 복부촬영술, 양손골반진찰등의 단순한 검사를 통해 종양 여부등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한 종양등이 자궁 또는 골반등에 있는 것이 검사에서 발견되면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자궁경검사 또는 복강경검사등을 하게 된다.
상기한 검사 결과 시 출혈이 있거나 종괴가 발견되면 생체 조직을 채취하여 보다 정밀한 검사를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조직 채취를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긴 주사기등을 종양 조직으로 찔러넣어 생체 조직을 채취하는 침생검등의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조직의 채취를 위해 침생검등의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조직을 떼어내기도 어렵고 충분한 양의 조직 채취가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직 채취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조직 채취가 가능하고, 조직 채취 시 다른 조직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의 타측에서 비교적 좁고 길게 관형태로 형성되어 조직 채취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된 채취관과, 상기한 채취관의 끝 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위치됨과 아울러 채취관을 외부로 당길 때 조직을 떼어낼 수 있도록 커팅부가 형성되고 절단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저장부와, 상기한 채취관을 인체로 삽입할 때 및 외부로 인출할 때 커팅부에 의해 다른 조직들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커팅부 및 저장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생체 조직을 채취할 때 시술자가 매우 간편하게 원하는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 채취 시 다른 정상적인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조립도로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 또는 주사기등과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부(1)가 형성된 본체(2)와, 상기한 본체(2)의 타측에서 비교적 좁고 길게 관형태로 형성되어 조직 채취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된 채취관(3)과, 상기한 채취관(3)의 끝 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위치됨과 아울러 채취관(3)을 외부로 당길 때 조직을 떼어낼 수 있도록 커팅부(4)가 형성되고 절단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저장부(5)와, 상기한 채취관(3)을 인체로 삽입할 때 및 외부로 인출할 때 커팅부(4)에 의해 다른 조직들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커팅부(4) 및 저장부(5)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채취관(3)을 조직 채취 위치로 삽입할 때와 조직 채취 후 외부로 인출할 때 커버수단으로 커팅부(4)를 덮음으로써, 날카로운 커팅부(4)에 의해 다른 정상적인 조직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커버수단은 채취관(3)이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중공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채취관(3)을 인체로 삽입한 상태에서도 손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게 형성된 커버(6)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커버(6)의 종단에는 인체로 삽입 시 다른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곡면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부(1)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어 주사기의 바늘이 결합되는 부분에 쉽게 결합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시술자가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피부 절개(물론, 절개를 할 필요가 없는 인체부위는 절개하지 않고 시술한다)를 한 후, 채취관(3)이 채취할 조직이 있는 곳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피부가 절개되면 시술자가 커버(6)를 채취관(3)의 선단으로 밀어서 커팅부(4) 및 저장부(5)를 커버(6)로 덮고, 이 상태로 피부 절개부위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커버(6)가 커팅부(4) 및 저장부(5)를 덮고 있기 때문에 다른 조직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채취관(3)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채취관(3)이 종양등과 같이 채취할 조직까지 도달되면, 시술자가 커버(6)를 잡고 본체(2)측으로 당기면서 도2a와 같이 커팅부(4)와 저장부(5)가 드러나도록 한다.
커팅부(4)와 저장부(5)가 드러나면 시술자가 채취관(3)을 외부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바, 상기한 채취관(3)을 당기게 되면 커팅부(4)가 종양등과 같은 조직에 닿으면서 당겨지기 때문에 쉽게 커팅부(4)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된 조직은 저장부(5)로 삽입된다.
절단된 조직이 저장부(5)로 삽입되면 시술자가 다시 커버(6)를 밀어서 커팅부(4)와 저장부(5)를 덮고 채취관(3)을 외부로 인출하게 되는 바, 이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5)가 커버(6)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채취된 조직이 안전하게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한 커팅부(4)에 의한 조직의 절단을 여러번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조직 채취가 가능하게 되는 바, 시술자가 커버(6)로 커팅부(4) 및 저장부(5)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쉽게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직 채취용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a는 도1의 조립 정면도,
도2b는 도2a에서 커버부재가 이동하여 채취부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도2b에서 채취부가 덮인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결합부 2: 본체
3: 채취관 4: 커팅부
5: 저장부 6: 커버
7: 곡면부

Claims (2)

  1. 본체의 타측에서 비교적 좁고 길게 관형태로 형성되어 조직 채취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된 채취관과, 상기한 채취관의 끝 부분에 근접된 위치에 위치됨과 아울러 채취관을 외부로 당길 때 조직을 떼어낼 수 있도록 커팅부가 형성되고 절단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저장부와, 상기한 채취관을 인체로 삽입할 때 및 외부로 인출할 때 커팅부에 의해 다른 조직들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커팅부 및 저장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수단은 채취관이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중공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채취관을 인체로 삽입한 상태에서도 손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게 형성되어 커팅부 및 저장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KR2020080002452U 2008-02-25 2008-02-25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KR200900086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52U KR20090008667U (ko) 2008-02-25 2008-02-25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52U KR20090008667U (ko) 2008-02-25 2008-02-25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67U true KR20090008667U (ko) 2009-08-28

Family

ID=4130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452U KR20090008667U (ko) 2008-02-25 2008-02-25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66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87B1 (ko) * 2009-12-03 2012-05-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니들 장치
KR101481732B1 (ko) * 2013-04-17 2015-0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KR20160015989A (ko) 2014-08-01 2016-02-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채취용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187B1 (ko) * 2009-12-03 2012-05-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니들 장치
KR101481732B1 (ko) * 2013-04-17 2015-0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KR20160015989A (ko) 2014-08-01 2016-02-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채취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419A (en) Apparatus for acquiring soft tissue biopsy specimens
US5161542A (en) Method for acquiring soft tissue biopsy specimens
US6673023B2 (en) Micro-invasive breast biopsy device
JP5198005B2 (ja) 組織穿通および止血用のエネルギー生検装置
US6238355B1 (en) Tumortherapy device and method
US20170100203A1 (en) Self-contained, self-piercing, side-expelling marking apparatus
AU2013298511B2 (en) Endoscopic biopsy instrument, endoscope, and method for taking a biopsy sample
US6419640B1 (en) Multiple-specimen, endoscopic biopsy forceps
US20050113716A1 (en) Biopsy device having endoscope
US20070213634A1 (en) Obtaining a tissue sample
JP2002514458A (ja) 再使用可能な自動生検針用握り
JP2001104313A (ja) 内視鏡用組織採取具
US9301736B2 (en) Fine needle biopsy with adaptor
EP2543321A1 (en) Combination of a bone drill and a sleeve
JP3631403B2 (ja) 穿刺針システム
KR101602576B1 (ko) 난자 채취 장치 및 난자 채취용 흡입바늘
KR20090008667U (ko) 생체 조직 채취용 기구
KR102030238B1 (ko) 자궁경부 조직 검사용 의료기구
JP4311963B2 (ja) 生検針
JP3676632B2 (ja) 内視鏡用組織採取具の操作部
KR20220082066A (ko) 침-조작 장치
KR101508138B1 (ko) 병변조직 채취기구
KR101731894B1 (ko) 위장관 점막하종양 생검용 기구
US20130253371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Deep Tissue and/or Cell Sampling
CN214231393U (zh) 一种活检针针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