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82B1 -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 Google Patents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82B1
KR102464482B1 KR1020210175100A KR20210175100A KR102464482B1 KR 102464482 B1 KR102464482 B1 KR 102464482B1 KR 1020210175100 A KR1020210175100 A KR 1020210175100A KR 20210175100 A KR20210175100 A KR 20210175100A KR 102464482 B1 KR102464482 B1 KR 10246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issue
extension part
main body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김은영
이은지
김령은
박강선
박연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1017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61B2010/0093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slide r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61B2010/045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부는 본체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연장부에 의해 본체부가 ㅁ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통해 본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생검 주사기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BIOPSY SYRINGE FOR TISSUE COLELCTION}
본 발명은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부는 본체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연장부에 의해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통해 본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생검 주사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수획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사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세침흡인생검의 경우 일반 주사기를 활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주사침은 약물을 주입하거나 체액을 흡입하는 등의 범용적 용도를 위하여 플런저의 외단측에 형성되어 시술자가 플런저를 쥔 뒤 플런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생검을 수행 시, 생체 조직을 절삭한 후 흡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흡인을 수행하기 때문에 채취 되는 검체의 수율이 떨어지고, 또한, 니들 팁에 의해서 검체조직이 파괴됨으로써, 비진단적 혹은 부정확한 진단을 야기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기존 주사기의 흡인조작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 1143929호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술한 기존의 기술은, 플런저의 외단측에 형성된 이동판에 연장 형성되도록 플런저 조작 가이드 바를 형성하여, 흡인 구멍 측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플런저를 뒤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파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흡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지나지 않고, 결국 니들 팁의 날카로운 침습사면을 통해 생체 조직을 흡인 시 흡인되는 생체 조직이 니들 팁에 의해서 파괴되거나 정확하게 해당 조직을 흡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육안으로 보이거나 손에 쉽게 만져지는 종양의 경우는 초음파를 이용하지 않아도 생검침을 종양 부위에 삽입할 수가 있어 조직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크기가 작거나 깊은 곳에 있어 육안으로 보이지 않거나 손으로 잘 만져지지 않는 경우 초음파 장비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보면서 조직검사나 세포검사를 하면 쉽고 정확하게 병변부위에 생검침을 삽입하여 세포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이때 이를 위하여 일반주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세포채취율이 떨어져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검사를 반복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용 조직검사기는 조작과 휴대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병변 부위에 대한 세포나 조직의 채취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따라 일반 주사기보다 특별한 이점이 없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조작과 휴대가 용이하고 병변 부위에 대한 세포나 조직의 채취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생검 주사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5917호
본 발명은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부는 본체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연장부에 의해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통해 본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생검 주사기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탐침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상기 탐침부로 조직을 채취할 때, 상기 조직 채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내부에 상기 제2 연장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2 연장부를 본체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통해 본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조직 채취 대상 및 부위에 따라 조직 채취량이 상이하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직 채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의 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걸림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2 연장부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고 타측으로 이동한 제2 연장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측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일측'이라 함은 탐침부(12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측'이라 함은 제1 이동부(300)가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는 본체부(100), 연장부(200), 제1 이동부(300) 및 제2 이동부(4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체부(100)는 니들부(110), 탐침부(120), 수용부(130) 및 거치부(140)를 포함하고, 니들부(110)의 타단에는 탐침부(120)가 결합되고 탐침부(120)의 타단에는 수용부(130)가 밀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전술한 니들부(110)와 탐침부(120)가 수용부(130)에 결합되는 구조는 일반 주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수용부(130)의 내주면과 탐침부(120)의 외주면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수용부(1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용부(130)와 탐침부(120)는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각각 분리되어 있는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탐침부(120)의 타단과 수용부(130)의 일단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130)의 내주면과 탐침부(120)의 외주면이 나사 결합될 때, 수용부(130)와 탐침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밀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고무링은 탐침부(1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수용부(130)에 밀착 수용되도록 크기 및 설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수용부(130)의 내부에는 니들부(110) 및 탐침부(120)로 채취한 조직이 수용되며, 수용부(130)는 본체부(100)와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된다.
즉, 수용부(130)의 단면의 지름이 본체부(100)의 단면의 지름보다 길기 때문에 보다 많은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어 수월한 생검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용부의 외주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 채취한 조직량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어 시인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체부(100)의 하부에 거치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검을 실시할 때 거치부(14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맞닿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체부(100)의 타측에는 연장부(200)가 형성되고, 연장부(20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연장부(200)의 타측에는 제2 이동부(4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이동부(400)의 타측에는 제1 이동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사용자가 제1 이동부(300)를 일측을 향해 가압하면 탐침부(120)와 니들부(110)가 일측으로 가압되어 인체에 삽입된다.
즉, 본 발명은 제1 이동부(300)를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니들부(110)를 인체 내부에 삽입한 뒤, 흡입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이동부(400)는 제1 이동부(30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조직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탐침부(120) 및 니들부(110)를 인체 내부에 삽입하고 사용자가 제1 이동부(300)를 인체 내부를 향해 더욱 가압하면 니들부(110)가 조직 내부에 삽입되며, 이후 제1 이동부(300)를 인체 외부를 향해 토출시키면 조직 채취가 완료된다.
본 발명은 교차감염을 막기 위하셔 대부분 일회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을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한 후 니들부(110)를 회수할 수 있도록 탐침부(120)로부터 니들부(110)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연장부(200)는 제1 연장부(210), 걸림부(211), 제2 연장부(220) 및 돌출부(221)를 포함하며, 걸림부(211)는 본체부(100)의 타측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연장부(210)는 걸림부(211)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연장부(220)는 제1 연장부(210)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연장부(220)는 제1 연장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연장부(22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장부(220)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의 길이를 연장시킬 때 돌출부(221)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맞닿게 하여 검사를 진행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장부(220)가 제1 연장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 때, 제2 연장부(220)의 일단이 걸림부(211)와 맞닿게 된다.
이는 제2 연장부(220)가 일측을 향해 이동할 때 걸림부(211)의 구성으로 제2 연장부(2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어 제2 연장부(220)가 더 이상 일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걸림부(211)의 외주면은 돌출부(221)와 동일하게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고 걸림부(211)를 파지하여 걸림부(211)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연장부(220)가 제1 연장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연장시킬 때, 제2 연장부(220)를 타측으로 이동시킨 후 걸림부(211)를 제2 연장부(220)의 일단과 맞닿도록 걸림부(211)와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연장부(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걸림부(211)의 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걸림부(21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2 연장부(22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고 타측으로 이동한 제2 연장부(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210) 및 제2 연장부(220)를 통해 본체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직 채취 대상 및 부위에 따라 조직 채취량이 상이하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직 채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연장부(200)는 제3 연장부(230)를 더 포함하고, 제3 연장부(230)는 제2 연장부(220)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전술한 제2 연장부(2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제2 연장부(220)는 제3 연장부(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때 전술한 돌출부(221)는 제2 연장부(2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3 연장부(230)에 형성된다.
돌출부(221)가 제3 연장부(23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은 제3 연장부(230)의 외주면에 맞닿게 된다.
제3 연장부(230)의 구성으로 본체부(100)를 길이 방향으로 더욱 연장 가능하며, 제1 연장부(210), 제2 연장부(220) 및 제3 연장부(230)를 통해 본체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연장부(200)는 2단인데 비해 도 4에 도시된 연장부(200)는 3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의 본체부(10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측정부(500)를 도시한 것이다.
초음파 측정부(500)는 탐침 보조부(510)와 개구부(52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는 초음파 측정부(5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단순한 조작으로 본체부(100)를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초음파 측정부(500)의 내부에는 탐침 보조부(510)가 삽입되어 있고, 본체부(100)가 초음파 측정부(500)의 내부에 삽입될 때 탐침부(120)가 탐침 보조부(510)의 삽입되고, 니들부(110)는 개구부(520)를 통해 초음파 측정부(5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조직검사 시 제2 이동부(400)의 조작을 통하여 조직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초음파 측정부(500)의 외부면에는 기계적으로 조직검사기와 연결된 외부 레버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자식 버튼과 내부의 전동모터의 조합으로 초음파 측정부(500)의 내부에 삽입된 본체부(100)를 한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 측정부(500)를 이용하여 조직을 찾은 뒤, 다른 시술자의 도움 없이도 제2 이동부(400)를 조작하여 조직의 채취가 가능하며, 한 손으로 초음파 측정부(500)의 조작과 조직의 채취가 가능하므로 초음파 측정부(500)의 모니터부를 조작하면서 조직을 채취할 수 있어 정확한 조직의 채취가 가능하다.
또한, 숙련도가 낮은 진료인력이라도 정확하게 생검용 조직을 채취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니들부(110)를 삽입할 수 있어 안전하고 정확한 생검조직 채취에 유용하다.
덧붙여, 정확함과 정교한 조작을 요하는 생체 조직의 채취에 있어서, 생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채취 수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일반 주사기와 동일한 작동 방식을 갖도록 하여 시술자의 주사기 조작 용이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안전하게 정확하고 효율적인 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니들부,
120 : 탐침부,
130 : 수용부,
140 : 거치부,
200 : 연장부,
210 : 제1 연장부,
211 : 걸림부,
220 : 제2 연장부,
221 : 돌출부,
230 : 제3 연장부,
300 : 제1 이동부,
400 : 제2 이동부,
500 : 초음파 측정부,
510 : 탐침보조부,
520 : 개구부.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탐침부;
    상기 탐침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니들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상기 탐침부로 조직을 채취할 때,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탐침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니들부가 도달되는 환자의 조직 부위가 상이하고,
    상기 환자의 조직 부위에 따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조직 채취량이 상이하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직 채취량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 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내부에 상기 제2 연장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의 일 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와 맞닿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2 연장부를 본체부의 일측 및 타측 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5100A 2021-12-08 2021-12-08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KR10246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00A KR102464482B1 (ko) 2021-12-08 2021-12-08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00A KR102464482B1 (ko) 2021-12-08 2021-12-08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482B1 true KR102464482B1 (ko) 2022-11-14

Family

ID=8404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100A KR102464482B1 (ko) 2021-12-08 2021-12-08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3320A2 (en) * 2003-09-09 2005-03-17 Cardica, Inc. Tool for creating an opening in tissue
WO2007021904A2 (en) * 2005-08-10 2007-02-22 C.R. Bard Inc. Single-insertion, multiple sampling biopsy device usable with various transport systems and integrated markers
KR20110094963A (ko) * 2010-02-18 2011-08-24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의료용 조직 추출기
KR101275917B1 (ko) 2012-02-16 2013-06-17 권혁호 펜타입 초음파용 세포흡입 및 중심부생검 겸용 조직 검사기
KR20140124639A (ko) * 2013-04-17 2014-10-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3320A2 (en) * 2003-09-09 2005-03-17 Cardica, Inc. Tool for creating an opening in tissue
WO2007021904A2 (en) * 2005-08-10 2007-02-22 C.R. Bard Inc. Single-insertion, multiple sampling biopsy device usable with various transport systems and integrated markers
KR20110094963A (ko) * 2010-02-18 2011-08-24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의료용 조직 추출기
KR101275917B1 (ko) 2012-02-16 2013-06-17 권혁호 펜타입 초음파용 세포흡입 및 중심부생검 겸용 조직 검사기
KR20140124639A (ko) * 2013-04-17 2014-10-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검사용 바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1969A (en) Controlled and safe fine needle aspiration device
EP0186256B1 (en) Biopsy needle set
US5957864A (en) Aspiration instrument for cell biopsy purposes
EP0268641A1 (en) INSTRUMENT FOR BIOPSY.
US20110130679A1 (en) All-in-one optical microscopic handle
WO2013110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e needle aspiration
CN105943091A (zh) 一种经内镜穿刺活检器械
CN109758188A (zh) 一种临床医学用活检取样收集装置
KR102464482B1 (ko) 조직채취용 생검 주사기
CN205072976U (zh) 一种麻醉针、穿刺针、定位针三位一体穿刺装置
JP4311963B2 (ja) 生検針
JP4499488B2 (ja) 内視鏡用穿刺針
CN202515692U (zh) 一种穿刺活检针
US9307961B2 (en)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device
WO201409150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biopsy
KR20180002307U (ko) 생체조직 및 액체의 흡입이나 주입이 한 손으로 가능한 주사기 및 이를 위한 주사기 보조구
CN209734028U (zh) 一种临床医学用活检取样收集装置
CN219578985U (zh) 负压吸引穿刺器
KR20220082066A (ko) 침-조작 장치
KR20110118603A (ko) 세침을 이용한 생체조직검사용 적출기
US20220110614A1 (en) Medical device for concurrent collection of multiple tissue samples
CN206007270U (zh) 一种用于纵隔镜组织活检的超声装置
CN107898480A (zh) 一种用于骨组织穿刺活检的显微直视性系统
CN210813344U (zh) 一种超声探头辅助麻醉针头
CN211066740U (zh) 腔镜下囊液标本留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