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613B1 -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613B1
KR101481613B1 KR1020130079730A KR20130079730A KR101481613B1 KR 101481613 B1 KR101481613 B1 KR 101481613B1 KR 1020130079730 A KR1020130079730 A KR 1020130079730A KR 20130079730 A KR20130079730 A KR 20130079730A KR 101481613 B1 KR101481613 B1 KR 10148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creen
fresh water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한
백부순
허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7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켓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로부터 제1고형물을 분리하는 메쉬망을 구비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2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담수를 상기 워터자켓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sealing water of coke oven draft pipe}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설치된 상승관의 상부에 위치한 워터실부에서 사용되어 고형물질이 함유된 담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관은 미니(Mini) 상승관(15)과 메인(Main) 상승관(11)으로 구분된다. 미니 상승관(15)의 역할은 장입중에 탄화실(10)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입중인 상승관과 인접 상승관을 연결하여 가스가 인접로로 유입되도록 하는 설비이며, 메인 상승관(11)은 적열 코크스 건류 완료단계에서 개방되어 탄화실(10) 내의 깨끗한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설비이다.
장입차(도면 미도시)를 통해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10)로 유연탄을 장입할 때 탄화실(10) 내에는 다량의 가스와 분진이 발생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거나 원활한 장입작업을 곤란하게 하므로, 이를 위해 유튜브장치(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탄화실(10)에 설치된 미니 상승관(11)을 통해 탄화실(10) 내의 가스와 분진을 인접로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장입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에 의해 가스와 분진이 상승관(11,15)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으므로, 상승관(11,15)의 상부에 워터자켓(50)을 설치하여 담수를 공급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워터자켓(50)에 침적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워터자켓(50)에 분진이 침적되어 과다하게 축적되게 되면 상승관(11,15)을 밀폐시키는 리드(13)가 완벽한 밀폐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가스와 분진 및 탄화실의 화염 등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되므로, 워터자켓(50)의 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누적된 코크스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상승관(11,15) 리드(13)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밀폐하는 담수(W)는 분코크스 및 이물질이 함유되어 많은 담수를 전량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39199호(2003.05.17.)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7856호(2007.11.08.)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설치된 상승관의 상부에 위치한 워터실부에서 사용되어 고형물질이 함유된 담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담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설치된 상승관의 상부에 위치한 워터실부에서 사용되어 고형물질이 함유된 담수를 재활용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켓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로부터 제1고형물을 분리하는 메쉬망을 구비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2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담수를 상기 워터자켓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은 하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는 상기 메쉬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쉬망에서 분리된 상기 제1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분리테에 의해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제1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담수로부터 상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상기 제2차 고형물을 분리하는 제2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필터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분리테 및 제2분리테에 의해 제1공간, 제2공간 및 제3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제1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3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의 내부공간에 포함된 상기 제2고형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제2분리테에 상기 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이동홀을 가지는 케이스와;상기 제3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공간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이동홀을 개폐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담수로부터 상기 제2차 고형물을 분리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상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제2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3공간을 이동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공간의 압력과 상기 제2스크린의 내부공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공간을 이동하는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단판과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과 함께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2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크린의 내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클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담수(W)의 수위를 측정 및 전송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위와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차이에 해당하는 담수(W)의 양을 계산한 담수량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담수량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담수량 정보에 해당하는 담수(W)를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보충수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설치된 상승관의 상부에 위치한 워터실부에서 사용되어 고형물질이 함유된 담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담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1필터의 메쉬망을 개방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제1필터의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셋째, 제2필터의 클린바가 외부의 동력 없이도 제2스크린을 클리닝 함으로써 자동으로 제2필터를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코크스 오븐 상승관의 리드(Lid) 씰링워터(Sealing Water) 공정도.
도 2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의 워터자켓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필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차단판이 이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의 차단판이 이동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른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담수 재활용 장치는 워터자켓(50)에 담겨진 담수(W)를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로, 제1필터(100), 제2필터(200), 저장탱크(400), 보충수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필터(100)는 필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형 필터로 일단이 워터자켓(50)에 연결된 제1파이프(310)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담수(W)로부터 고형물(상승관의 씰링(Sealing) 과정에서 생성되는 카본, 타르, 먼지, 슬러지 등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 메쉬망(120), 방지판(130)을 포함한다.
메쉬망(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310)의 타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파이프(310)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담수(W)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메쉬망(120)을 통과한 담수(W)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고, 메쉬망(120)을 통과하지 못한 고형물은 메쉬망(120)의 상부면에 남아있게 된다. 여기서, 메쉬망(120)의 상부면에 남아있는 고형물이 중력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메쉬망(120)은 하방향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쉬망(120)의 일단 하부에는 배출슈트(600)가 설치되어 고형물이 고형물 처리시설(미도시)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제1필터(100)는 워터자켓(50)에서 배출되는 담수(W)에서 고형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하우징(110)은 메쉬망(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메쉬망(120)을 통과한 담수(W)가 일시 저장되는 곳으로, 이러한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제2파이프(320)가 연결되어 후술할 제2필터(200)에 담수(W)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10)에 일시 저장된 담수(W)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2파이프(320)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판(130)은 담수(W)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메쉬망(120)으로 낙하한 담수(W)가 메쉬망(12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터링 과정에서 제1필터(100)의 외부가 담수(W)에 포함된 고형물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필터(200)는 제1필터(100)에 연결되어 제1필터(100)에서 분리되지 못한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240), 차단판(232), 실린더본체(250), 피스톤(251) 및 회전축(252)을 포함한다.
케이스(240)는 제1필터(100)로부터 공급되는 담수(W)가 이동하기 위한 내부공간(205)을 가지며, 이 내부공간(205)은 제1분리테(201) 및 제2분리테(202)에 의해서 제1공간(210), 제2공간(220) 및 제3공간(230)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제1분리테(201) 및 제2분리테(202)는 케이스(24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것으로 담수(W)가 제1공간(210), 제2공간(220) 및 제3공간(23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240)의 길이방향으로 제1이동홀(203) 및 제2이동홀(204)을 가진다.
제1공간(210)에 해당하는 케이스(240)의 일측면에는 상술한 제2파이프(320)가 연결되며 제1필터(100)로부터 공급되는 담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14)가 형성되며, 제1스크린(212)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1스크린(212)은 유입구(214)를 통해 유입된 담수(W)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여, 고형물이 분리된 담수(W)가 제2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제1스크린(212)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입체형으로 제2공간(220)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담수(W)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스크린(212)은 제1스크린(212)의 외부공간(즉, 제1공간 중에서 제1스크린(212)의 외부에 해당하는 공간)의 담수(W)가 제2공간(220)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분리테(210)의 외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스크린(212)의 외부공간에는 제1스크린(212)을 통과하지 못한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고형물이 제2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술할 제1배출구(224)를 통해 배출되는 담수(W)가 오염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제1스크린(212)은 워터자켓(50)에서 배출된 담수(W)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제2공간(220)에 해당하는 케이스(240)의 일측면에는 제2필터(200)에서 필터링된 담수(W)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224)가 형성되며, 제2스크린(222)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배출구(224)는 후술할 제3파이프(330)를 통해서 저장탱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스크린(222)은 제1스크린(212)에 연결되며, 제1스크린(212)을 통과한 담수(W)가 이동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입체형으로, 이 담수(W)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도록 외주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즉, 제2스크린(222)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 개방된 측면이 제1스크린(212)의 개방된 측면과 연결되어 제1스크린(212)을 통과한 담수(W)가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에 존재 가능한 고형물이 제2스크린(222)의 외부공간(즉, 제2공간 중에서 제2스크린(222)의 외부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스크린(212) 및 제2스크린(222)은 나사 결합 또는 용접으로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담수(W)는 제2스크린(222)에 의해서 필터링되며, 이렇게 필터링 된 담수(W)는 제2스크린(222)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제2스크린(222)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한 담수(W)는 제1배출구(224)를 통해서 저장탱크(40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2스크린(222)은 워터자켓(50)에서 배출된 담수(W)를 3차적으로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차단판(232)은 제3공간(230)에 설치되며, 케이스(2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3공간(230)의 내부를 이동 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232)은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의 압력에 의해서 제2공간(22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압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압력에 의해서 제2공간(22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차단판(232)이 제2공간(22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이동홀(204)을 개방하게 되고, 이 제2이동홀(204)을 통해서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에 존재 가능한 고형물이 제3공간(23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고형물은 제3공간(230)의 케이스(24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23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제1스크린(212)을 통과한 담수에 포함된 고형물이 제2스크린(222)에 의해 필터링 되는 과정에서, 고형물이 제2스크린(222)의 홀을 막게 되면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이 실린더 본체(250)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차단판(232)이 제2공간(22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단판(232)이 제2공간(22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단판(232)에 연결된 회전축(252)의 외주면에 연결된 클린바(254)가 제2스크린(222)의 내부면에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제2스크린(222)의 홀을 막고 있던 고형물이 제거되고 고형물이 제거됨에 따라서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의 압력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압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차단판(232)이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압력에 의해서 제2공간(22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스크린(222)의 내부공간뿐만 아니라 홈에 존재 가능한 고형물이 제2배출구(234)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제2필터(200)의 유입구(214)를 통해 유입된 담수에서 고형물이 분리 배출된다.
실린더 본체(250)는 일측이 개방된 입체형으로 케이스(2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체 또는 기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피스톤(251)은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면에 접하여 실린더 본체(2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피스톤(251)에 가해지는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공간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과의 차이에 의해서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공간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축(252)은 일단이 피스톤(251)에 연결되며, 타단은 케이스(240)의 제1공간(210) 또는 제2공간(220)에 위치한다. 이러한 회전축(252)은 회전축(252)의 외주면에 결합된 차단판(232)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케이스(240)의 내부공간을 이동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40)의 제3공간(230)에 설치된 차단판(232)이 제2스크린(222)의 내부압력에 의해서 제2공간(22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이 차단판(232)에 결합된 회전축(252)이 제2공간(22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본체(250)의 내부압력에 의해서 차단판(232)이 제2공간(220)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 차단판(232)에 결합된 회전축(252)이 제2공간(2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클린바(254)는 일단이 회전축(252)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2스크린(222)의 내부면에 접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클린바(254)는 차단판(232)이 케이스(2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제2공간(220)의 담수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서 제2스크린(222)의 내부면 또는 홈에 존재 가능한 고형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제거된 고형물은 담수의 흐름에 의해서 제2이동홀(204)을 경유하여 제2배출구(234)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부의 동력 없이도 담수의 흐름에 해서 제2스크린(222)의 내부면 또는 홈에 존재 가능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저장탱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파이프(330)를 통해서 제2필터(200)의 제1배출구(224)에 연결되며, 제1배출구(224)를 통해 배출되는 담수(W)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저장탱크(400)의 내부에는 저장탱크(400)에 저장된 담수(W)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700)로 전송하는 수위센서(410)가 설치된다.
또한, 저장탱크(400)는 제4파이프(340)를 통해서 워터자켓(50)에 연결되며, 이 제4파이프(342)에는 저장탱크(400)에 저장된 담수(W)를 워터자켓(5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342)가 설치된다.
보충수 공급부(500)는 제5파이프(350)를 통해서 저장탱크(400)에 연결되며, 후술할 제어부(700)로부터 담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이 담수량 정보에 해당하는 담수(W)를 저장탱크(400)에 공급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수위센서(410) 및 보충수 공급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위센서(410)가 측정한 수위를 수신하여, 수위센서(410)로부터 전송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수위와 기설정된 수위의 차이에 해당하는 담수(W)의 양을 계산한 담수량 정보를 보충수 공급부(500)에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장탱크(400)에 저장되는 담수(W)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1필터(100) 및 제2필터(200)를 통해 필터링 된 담수(W)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도, 워터자켓(50)에 충분한 담수(W)를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설치된 상승관의 상부에 위치한 워터실부에서 사용되어 고형물질이 함유된 담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담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필터(100)의 메쉬망(120)을 개방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제1필터(100)의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2필터(200)의 클린바(254)가 외부의 동력 없이도 제2스크린(222)을 클리닝 함으로써 자동으로 제2필터(200)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W:담수 10: 탄화실
11: 메인 상승관 13: 리드(Lid)
15: 미니 상승관 50: 워터자켓
100: 1차 필터 110: 하우징
120: 메쉬망 130: 방지판
200: 2차필터 201: 제1분리테
202: 제2분리테 203: 제1이동홀
204: 제2이동홀 205: 내부공간
210: 제1공간 212: 제1스크린
214: 유입구 220: 제2공간
222: 제2스크린 223: 관통홀
224: 제1배출구 230: 제3공간
232: 차단판 234: 제2배출구
236: 관통홀 240: 케이스
250: 실린더 본체 251: 피스톤
252: 회전축 254: 클린바
310: 제1파이프 312: 밸브
320: 제2파이프 330: 제3파이프
340: 제4파이프 342: 펌프
350: 제5파이프 400: 저장탱크
500: 보충수 공급부 600: 배출슈트
700: 제어부

Claims (8)

  1.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켓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로부터 제1고형물을 분리하는 메쉬망을 구비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2필터;
    상기 제2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및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담수를 상기 워터자켓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분리테에 의해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제1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담수로부터 상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상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제2스크린을 구비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하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는
    상기 메쉬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쉬망에서 분리된 상기 제1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슈트;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3. 삭제
  4.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켓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로부터 제1고형물을 분리하는 메쉬망을 구비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2필터;
    상기 제2필터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및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담수를 상기 워터자켓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분리테 및 제2분리테에 의해 제1공간, 제2공간 및 제3공간으로 분리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제1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메쉬망을 통과한 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담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3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의 내부공간에 포함된 상기 제2고형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제2분리테에 상기 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이동홀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제3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공간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이동홀을 개폐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담수로부터 상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한 담수로부터 상기 제2고형물을 분리하는 제2스크린을 구비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3공간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공간의 압력과 상기 제2스크린의 내부공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공간을 이동하는 피스톤;및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차단판과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과 함께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2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크린의 내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클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담수(W)의 수위를 측정 및 전송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위와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차이에 해당하는 담수(W)의 양을 계산한 담수량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및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담수량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담수량 정보에 해당하는 담수(W)를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보충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워터자켓의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KR1020130079730A 2013-07-08 2013-07-08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KR10148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30A KR101481613B1 (ko) 2013-07-08 2013-07-08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30A KR101481613B1 (ko) 2013-07-08 2013-07-08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613B1 true KR101481613B1 (ko) 2015-01-12

Family

ID=5258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730A KR101481613B1 (ko) 2013-07-08 2013-07-08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82B1 (ko) * 2014-01-24 2015-07-22 주식회사 포스코 워터씰의 이물질 분리 장치
CN108865197A (zh) * 2018-06-26 2018-11-23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粉煤微波热解系统及产物分离方法
CN112397781A (zh) * 2020-11-17 2021-02-23 徐文忠 锂电车电解液添加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876A (ko) * 1997-12-24 1999-07-15 이구택 분코크스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장치
KR20000011758U (ko) * 1998-12-08 2000-07-05 이구택 씨오지 가스중의 타르제거장치
KR100325118B1 (ko) * 1997-12-19 2002-04-17 이구택 코크스오븐도어의 카본제거용 세척수 재활용장치
KR20070107856A (ko) *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118B1 (ko) * 1997-12-19 2002-04-17 이구택 코크스오븐도어의 카본제거용 세척수 재활용장치
KR19990053876A (ko) * 1997-12-24 1999-07-15 이구택 분코크스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장치
KR20000011758U (ko) * 1998-12-08 2000-07-05 이구택 씨오지 가스중의 타르제거장치
KR20070107856A (ko) *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82B1 (ko) * 2014-01-24 2015-07-22 주식회사 포스코 워터씰의 이물질 분리 장치
CN108865197A (zh) * 2018-06-26 2018-11-23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粉煤微波热解系统及产物分离方法
CN112397781A (zh) * 2020-11-17 2021-02-23 徐文忠 锂电车电解液添加剂
CN112397781B (zh) * 2020-11-17 2022-06-07 徐文忠 锂电车电解液添加剂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613B1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장치
KR101203650B1 (ko) 가스배관의 시일포트장치
EA019286B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отделе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ов от воды
KR101687660B1 (ko)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밀폐형 플라즈마 용융로
KR101436598B1 (ko)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CN113457248A (zh) 一种印染废水回收再利用设备
CN109353984B (zh) 一种沥青鹤管残液的收集和吹扫装置
KR101379013B1 (ko) 유기폐기물의 열분해 장치
KR20150124508A (ko) 유수 분리 장치
KR101259180B1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 실링워터 재활용 시스템
CN109483319A (zh) 一种用于过滤切削液的过滤装置
CN105399227A (zh) 一种气田压裂返排液回收处理装置及方法
JP5505239B2 (ja) 上昇管トップカバーの水封装置
KR20150002997U (ko) 수용성 절삭유 재활용 장치
KR200479084Y1 (ko) 유해가스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CN109357280B (zh) 日用油箱供油系统
KR101605756B1 (ko) 경로 개폐 장치
CN106669273A (zh) 自减压皮带式油水分离装置
KR1009174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매립지 가스 처리장치
CN117509816B (zh) 一种油水分离设备
KR101766549B1 (ko)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장입구 커버 장치
CN110733195A (zh) 石油回收装置
KR101442984B1 (ko) 가스 포집관 침전물 제거장치
CN214008858U (zh) 一种输油管道扫油回收装置
KR102190506B1 (ko) 고로용 수질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