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598B1 -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 Google Patents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598B1
KR101436598B1 KR1020120121296A KR20120121296A KR101436598B1 KR 101436598 B1 KR101436598 B1 KR 101436598B1 KR 1020120121296 A KR1020120121296 A KR 1020120121296A KR 20120121296 A KR20120121296 A KR 20120121296A KR 101436598 B1 KR101436598 B1 KR 10143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ust
duct
water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043A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2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5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28Making use of vacuum or under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부터 비산되는 분진 및 가스를 흡입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집진기 사이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수봉덕트; 및 상기 수봉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덕트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의하면, 수봉덕트 하부에 설치되어 수봉덕트 내에서 범람한 액체를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범람한 액체가 집진기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기로 유입되기 전에 액체 배출 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수봉덕트 내의 액체가 집진기로 유입됨으로써 집진이 불가능해지는 사고를 방지하여 집진 불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봉덕트 내의 액체가 집진기 백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백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수명 또한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의 유지 관리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Dust collector and method for collecting dust therewith}
본 발명은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봉덕트 내에서 범람한 액체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원료로 하여 코크스 오븐에서 코크스를 생산할 때 코크스 오븐에서 건류가 완료된 적열 코크스는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어 이송카로 옮겨지게 된다. 이러한 적열 코크스를 압출하는 과정에서 압출기 주변에 미분의 코크스와 같은 각종 분진이 발생하게 되어 압출기 주변의 작업환경이 나빠지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각종 분진의 발생은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열 코크스를 압출할 때 작업 및 대기환경의 오염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백필터를 이용하여 집진 설비에서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종래의 압출기 집진 설비는 소형 집진기를 압출기 차상에 설치하여 압출기 측에서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는 형태로 근본적으로 풍량 확보에 한계가 있어 대부분의 코크스 공장에서 아주 열악한 성능을 가진다. 또한, 자체 중량에 의해 압출기 주행 시 편주행 문제가 있어 설치 후 취외 폐기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봉덕트 형태의 집진 설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압출기가 조업을 위해 코크스 오븐 끝단 쪽으로 이동 시 집진 설비 중 하나인 압출기에 고정 설치된 유튜브(U-Tube)가 수봉덕트의 침지부 내 액체에 잠긴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유튜브가 액체를 밀고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침지부 내 액체가 넘쳐서 수봉부로 범람하게 된다. 이때, 범람한 액체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로 유입되어 집진기 백필터의 눈막힘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집진기의 흡입풍량이 감소되어 집진 능력이 저하되며, 백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10335호에는 이동식 작업기계를 따라 일정구간을 이동하면서 이동식 작업기계로부터 방출되는 분진들을 포집하는 이동덕트와, 상기 이동덕트의 하단에 형성된 'U'자형 덕트와, 상기 이동덕트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그 내부에 상기 'U'자형 덕트의 단부가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유체가 담겨지는 침지부와 수면위로 노출된 상기 'U'자형 덕트의 단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수봉부가 구비되고 집진기 본체와 연결되는 수봉덕트와, 상기 침지부의 바닥에 쌓인 분진들을 배출하도록 상기 침지부의 바닥 양단에 각각 형성된 배출구와, 'U'자형 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U'자형 덕트가 이동할 때 상기 침지부의 바닥에 쌓인 분진들을 밀어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분진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가 개시되어 있다.
KR 10-1103335 B KR 10-1046554 B
본 발명은 수봉덕트 내에서 범람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집진기 백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집진 설비로서,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로부터 비산되는 분진 및 가스를 흡입하는 집진 유닛과,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집진기 사이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수봉덕트와, 상기 수봉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덕트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봉덕트는,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침지부와, 일단이 상기 침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기와 연결되며, 공간을 가지는 수봉부 및 상기 침지부 및 상기 수봉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수봉부는 바닥에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출홈이 구비되고,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홈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홈은 복수개로 마련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봉부는 상기 배출홈과 이격되어 바닥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홈에 연결되는 모음배관 및 상기 모음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실링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배관은 액체가 수용되는 'U'자 형상의 곡관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은, 상기 침지부로부터 상기 수봉부로 액체가 범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실링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실링배관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배관의 곡관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배관의 세정 시 상기 실링배관의 곡관부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1 밸브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배관의 곡관부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한다.
액체가 수용된 침지부 및 상기 침지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수봉부로 이루어진 수봉덕트를 통과시켜 분진을 집진하는데 있어서, 상기 침지부의 액체가 상기 수봉부로 범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침지부의 액체가 범람하는 경우, 상기 수봉부로 범람한 액체를 상기 수봉덕트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액체 배출 과정은, 범람에 따라 상기 수봉부와 연결된 액체 배출 유닛의 개폐 밸브를 자동 동작시킨다.
소정 횟수 반복된 후, 상기 액체 배출 유닛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을 세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집진 설비는 수봉덕트 하부에 설치되어 수봉덕트 내에서 범람한 액체를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범람한 액체가 집진기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기로 유입되기 전에 액체 배출 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수봉덕트 내의 액체가 집진기로 유입됨으로써 집진이 불가능해지는 사고를 방지하여 집진 불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봉덕트 내의 액체가 집진기 백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백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수명 또한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의 유지 관리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봉덕트 및 액체 배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의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의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봉덕트 및 액체 배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의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의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은 내부공간에 원료를 장입하여 가열하기 위한 저장실(100)과, 저장실(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저장실(100)의 양측 개구를 열고 닫는 오븐 도어(200)와, 저장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후진이 가능하며, 건류가 완료된 원료(즉, 적열 코크스)를 외부로 인출하는 압출기(300)와, 일단이 저장실(100)과 연결되어, 적열 코크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및 가스와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흡입하는 집진 설비(800)를 포함한다.
저장실(100)은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저장실(100)이 폭 방향(이하 '주행방향')으로 병렬 형성된다. 하지만, 저장실(100)의 형상은 사각 박스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가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실(100)의 양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저장실(100)의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구가 형성된다. 상부에는 원료가 장입될 수 있도록 장입구(미도시)가 마련된다.
오븐 도어(200)는 저장실(100)의 양측 개구에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양측 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압출기(300)는 저장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류가 완료된 코크스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저장실(100) 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하고, 공정을 마치면 저장실(100) 입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후진하여 복귀한다. 그리고 압출기(300)는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한다.
집진 설비(800)는 일단이 저장실(100)과 연결되어 적열 코크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및 가스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이 저장실(100)의 외측 상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집진 유닛(400)과, 일단이 집진 유닛(400)과 연통되고 타단이 집진기(700)와 연결되는 수봉덕트(500)와, 수봉덕트(500)에 연결되어 수봉덕트(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배출 유닛(600) 및 일단이 상기 수봉덕트(500)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700)를 포함한다.
집진 유닛(400)은 저장실(100) 오븐 도어(200)의 외측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집진 후드(410)와, 일단이 집진 후드(410)와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 1 덕트(420)와, 일단이 제 1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이 수봉덕트(500)와 연결되는 제 2 덕트(430)를 포함한다.
집진 후드(410)는 저장실(100) 오븐 도어(200)의 외측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저장실(100)의 몸체와 오븐 도어(200) 사이로 비산되는 원료, 즉 적열코크스의 분진 및 가스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덕트(420)는 일단이 집진 후드(410)와 연결되며 압출기(300)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제 2 덕트(430)와 연통되어 집진 후드(410)에서 포집된 분진 및 가스 등을 흡입하며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덕트(430)는 일단이 제 1 덕트(420)와 연통되고 타단이 수봉덕트(500)와 연통되며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2 덕트(430)는 'U'자형 덕트로 형성된다.
수봉(水封)덕트(500)는 일단이 제 2 덕트(430)와 연통되고, 타단은 집진기(700)와 연결되며, 액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수봉덕트(500)의 내부 공간은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고, 제 2 덕트(430)의 단부가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침지부(510)와, 침지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수면 위로 노출된 제 2 덕트(430)의 단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수봉부(520)로 분할된다.
침지부(510)는 공간을 가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 2 덕트(4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침지부(510)의 공간에는 침지부(510)에 삽입된 제 2 덕트(430)의 단부가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액체가 담겨진다. 이때, 침지부(510) 내부에 담겨지는 액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봉부(520)와 연결되는 침지부(510) 내측벽의 끝단에는 제 2 덕트(430) 내를 이동하는 포집된 분진 및 가스 등이 통과하여 집진기(7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침지부(510)와 수봉부(520)를 연통시키는 통로(511)가 마련된다.
수봉부(520)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침지부(51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침지부(510)와 상하방향으로 겹치도록 즉, 맞물도록 형성되어 침지부(510)의 수면 위로 노출된 제 2의 덕트(430)의 단부를 외부와 차단시킨다. 이러한 수봉부(520)의 공간에는 기체가 수용된다. 또한, 통로(511)에 인접한 위치의 바닥에는 침지부(510)에 마련된 통로로 범람한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홈(521)이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홈(521)이 두개 마련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수봉부(520)의 바닥면에는 통로(511)에 인접한 위치에서 배출홈(521)과 이격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침지부(510)에서 범람한 액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부(5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침지부(510) 및 수봉부(520)의 형상을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침지부(510) 및 수봉부(5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서로 맞물도록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액체 배출 유닛(600)은 수봉덕트(500) 하부에 마련되어 수봉덕트(500)의 침지부(510)에서 수봉부(520) 측으로 범람한 액체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액체 배출 유닛(600)은 수봉덕트(500)의 수봉부(520)에 마련된 배출홈(521)의 하부에 상기 배출홈(52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모음배관(610)과, 모음배관(6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모아진 액체를 외기와 차단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실링(sealing)배관(620)과, 실링배관(620)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621)와, 실링배관(620)과 연결되는 제 2 배관에 설치되는 제 3 밸브(623)와, 제 3 밸브(623)와 연결되어 유체가 상기 제 3 밸브(623)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밸브(622)와, 실링배관(620)과 연결되는 제 1 배관에 설치되어 필요 시 실링배관(620) 내부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제 1 밸브(624)를 포함한다.
모음배관(610)은 수봉덕트(500)의 수봉부(520)에 마련된 배출홈(521) 하부에 배출홈(52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출홈(521)으로부터 모아진 액체를 실링배관(620)으로 유도시킨다.
실시예에서는 배출홈(521)이 두개 형성되어 두개의 배출홈(521)에 모인 물을 각각 배출하기 위해 각 배출홈(521)과 연통되도록 모음배관이 'U'자 형상의 배관으로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홈(521)의 개수와 대응되어 연통되는 형상의 모음배관(610)이 설치될 수 있다.
실링배관(620)은 일단이 모음배관(6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모음배관(610)에서 배출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액체가 수용되는 'U'자 형상의 곡관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실링배관(620)은 배관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U'자 형상의 곡관부를 포함하는 누운 '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액체는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키고, 구부러진 실링배관(620) 내부에 액체를 담아둠으로써 즉, 수봉(水封)함으로써 관내로 외부 공기나 가스 및 이물질 등이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실링배관(620)의 수봉 원리는 예컨대, 세면대의 S트랩, P트랩 및 U트랩의 수봉 원리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링배관(620)의 형상이 누운 'S'자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가 수용되어 수봉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배관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링배관(620)의 높이는 집진기(700)에서 발생하는 최대 흡입압력에 실링배관(620) 내 수봉이 해제되지 않도록 압력을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밸브(621)는 실링배관(620)에 설치되며, 상기 침지부로부터 상기 수봉부로 액체가 범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연동하여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된다.
제 1 밸브(624)는 실링배관(620)의 곡관부와 연결된 제 1 배관(625)에 설치되고, 필요 시(예컨대, 청소 등) 실링배관(620) 곡관부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 2 밸브(623)는 실링배관(620)과 연결된 제 2 배관(626)에 설치되며, 제 1 밸브의 후단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물이 저장된 물탱크(미도시)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실링배관(620)의 곡관부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때 제 2 밸브(623)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여 청소할 수 있다.
제 3 밸브(check valve)(622)는 제 2 밸브(623)와 함께 제 2 배관(626)에 설치되고, 제 2 밸브(623)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제 2 밸브(623)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집진기(700)는 수봉덕트(500)와 연결되며, 블로워(미도시)가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분진 및 공기 등을 흡입하고 백필터(bag filter)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홈(5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600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액체 배출 유닛(6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수봉부(520) 바닥의 끝단에 마련된 배출홈(521a)의 형태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배출홈(521a)이 형성되는 경우, 액체가 주입되는 폭이 넓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액체를 용이하게 모을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유닛(600)이 설치된 코크스 오븐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저장실(100)에 원료가 장입되면 일정시간 고온으로 건류시켜 적열 코크스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적열 코크스를 고로로 운반하기 위해 압출기(300)를 오븐 도어(2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후, 저장실(100)의 입구에 위치한 압출기(300)는 저장실(100)의 출구를 향해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크스가 저장실(100)의 출구 방향으로 밀려 코크스 이동 전차에 적재된다. 그런데, 압출기(300)가 코크스를 압출하고 복귀하는 과정에서 코크스의 분진 및 가스 등의 이물질이 비산된다. 이렇게 비산된 분진 및 가스는 집진 후드(410)에 의해 포집되어 제 1 덕트(420)와 제 2 덕트(430)를 지나고 수봉덕트(500)를 거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700)로 흡입된다.
그러나 압출기(300)가 조업을 위해 주행방향을 따라 코크스 오븐의 끝단으로 주행 시 압출기(300)에 고정 설치된 제 1 덕트(420)와 제 1 덕트(420)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덕트(430)가 함께 주행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덕트(430)가 수봉덕트(500)의 침지부(510) 내에 마련된 액체에 잠긴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제 2 덕트(430)가 액체를 밀고 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액체가 수봉부(520) 및 집진기(700) 측으로 범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봉덕트(500) 하부의 끝단에 액체 배출 유닛(600)이 설치된다. 액체 배출 유닛(600)은 수봉덕트(500)의 침지부(510)에서 수봉부(520) 측으로 범람한 액체를 신속하게 배출한다.
만약, 압출기(300) 및 제 2 덕트(430)가 주행하여 수봉덕트(500)의 침지부(510)에서 수봉부(520) 측으로 액체가 범람하게 되면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미도시)에 신호를 주고, 상기 신호를 받아 액체 배출 유닛(600)의 실링배관(620)에 설치된 개폐 밸브(621)가 열리게 된다. 이에, 범람한 액체가 통로(511)와 인접한 수봉부(520) 바닥면에 마련된 배출홈(521)에 모이게 된다. 이후 배출홈(521)의 하부에 상기 배출홈(521)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모음배관(610)을 통해 배출된 액체를 실링배관(620)으로 배출하고, 'U'자 형상의 곡관부를 포함하는(예컨대, 누운 'S'자 형상) 실링배관(620)을 통해 외기와 차단한 상태에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봉덕트(500)의 하부에 수봉덕트(500) 내에서 범람한 액체를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 유닛(600)을 설치함으로써, 범람한 액체가 집진기(700)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기(700)로 유입되기 전에 액체 배출 유닛(600)을 통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수봉덕트(500) 내의 액체가 집진기(700)로 유입됨으로써 집진이 불가능해지는 사고를 방지하여 집진 불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봉덕트(500) 내의 액체가 집진기(700) 백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백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수명 또한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의 유지 관리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저장실 200: 오븐 도어
300: 압출기 410: 집진 후드
420: 제 1 덕트 430: 제 2 덕트
500: 수봉덕트 610: 모음배관
620: 실링배관 621: 개폐 밸브
622: 제 2 밸브 623: 제 3 밸브
624: 제 1 밸브 700: 집진기

Claims (12)

  1.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부터 비산되는 분진 및 가스를 흡입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침지부, 일단이 상기 침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기와 연결되며, 공간을 가지는 수봉부, 및 상기 침지부 및 상기 수봉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집진기 사이에 설치되는 수봉덕트; 및
    상기 수봉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봉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집진 설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봉부는 바닥에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출홈이 구비되고,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홈에 연결되는 집진 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복수개로 마련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집진 설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봉부는 상기 배출홈과 이격되어 바닥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집진 설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홈에 연결되는 모음배관; 및
    상기 모음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실링배관을 포함하는 집진 설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링배관은 액체가 수용되는 'U'자 형상의 곡관부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은,
    상기 침지부로부터 상기 수봉부로 액체가 범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실링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실링배관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링배관의 곡관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배관의 세정 시 상기 실링배관의 곡관부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1 밸브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배관의 곡관부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10. 액체가 수용된 침지부 및 상기 침지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수봉부로 이루어진 수봉덕트를 통과시켜 분진을 집진하는데 있어서,
    상기 침지부의 액체가 상기 수봉부로 범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침지부의 액체가 범람하는 경우, 상기 수봉부로 범람한 액체를 상기 수봉덕트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집진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과정은,
    범람에 따라 상기 수봉부와 연결된 액체 배출 유닛의 개폐 밸브를 자동 동작시키는 집진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소정 횟수 반복된 후,
    상기 액체 배출 유닛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액체 배출 유닛을 세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집진 방법.
KR1020120121296A 2012-10-30 2012-10-30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KR10143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96A KR101436598B1 (ko) 2012-10-30 2012-10-30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96A KR101436598B1 (ko) 2012-10-30 2012-10-30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43A KR20140055043A (ko) 2014-05-09
KR101436598B1 true KR101436598B1 (ko) 2014-09-02

Family

ID=5088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296A KR101436598B1 (ko) 2012-10-30 2012-10-30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65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라인의 곡관부 마모 방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74B1 (ko) * 2015-06-22 2017-01-1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장치
CN108815874A (zh) * 2018-08-30 2018-11-16 安徽顺恒信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精馏釜自流装置
CN115970988B (zh) * 2022-12-15 2024-02-09 苏州擎动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装置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052A (ja) 2008-03-06 2008-09-04 Kansai Coke & Chem Co Ltd 液封式接続ダクト
KR101046554B1 (ko) 2010-11-05 2011-07-05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코크스로의 가마입구 집진 장치용 덕트 접속 구조 및 이동 덕트
KR101103335B1 (ko) * 2010-05-14 2012-01-11 (주)지엔텍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052A (ja) 2008-03-06 2008-09-04 Kansai Coke & Chem Co Ltd 液封式接続ダクト
KR101103335B1 (ko) * 2010-05-14 2012-01-11 (주)지엔텍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
KR101046554B1 (ko) 2010-11-05 2011-07-05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코크스로의 가마입구 집진 장치용 덕트 접속 구조 및 이동 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65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라인의 곡관부 마모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43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598B1 (ko)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JP4722070B2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CA2832489C (en) Wet scrubber with a compact demister that requires less energy
CN102939416A (zh) 冷凝式洗涤物干燥装置的冷凝液容器,冷凝式洗涤物干燥装置及用于运行冷凝式洗涤物干燥装置的方法
KR102448367B1 (ko)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용 집수유닛 세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9530101A (ja) 廃水ポンプ輸送装置
JP4751902B2 (ja) 液封式接続ダクト
KR101103335B1 (ko)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
CN108693085B (zh) 粉尘检测用气体储存装置
CN112717485B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系统及方法
CN215996032U (zh) 水浴多管除尘器
CN114684946B (zh) 一种地埋式城市污水处理设备
JP5505239B2 (ja) 上昇管トップカバーの水封装置
CN1942555B (zh) 焦炉操作设备
JP4115234B2 (ja) 液封式接続ダクト
CN105578940A (zh) 清洁设备
CN212592017U (zh) 一种斜坡式鞋底清洗机和组合式斜坡鞋底清洗机
CN221153974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污水箱及清洁机
KR101421204B1 (ko) 집진 설비
KR100972203B1 (ko) 이물질 포집장치
CN221062014U (zh) 超声波清洗装置及滤芯清洗设备
CN220119170U (zh) 一种具有两个防泄漏装置的大排水量煤气排水器
KR102473516B1 (ko) 수질 계측센서 오염방지 구조를 갖는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운용시스템.
KR20050122783A (ko) 액봉식(液封式) 접속 덕트
CN219155430U (zh) 一种环卫车用一体式垃圾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