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04B1 - 집진 설비 - Google Patents

집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04B1
KR101421204B1 KR1020120099392A KR20120099392A KR101421204B1 KR 101421204 B1 KR101421204 B1 KR 101421204B1 KR 1020120099392 A KR1020120099392 A KR 1020120099392A KR 20120099392 A KR20120099392 A KR 20120099392A KR 101421204 B1 KR101421204 B1 KR 10142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dust
duct
dust collecting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734A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9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부터 비산되는 분진 및 가스를 흡입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 상기 집진 유닛과 집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 유닛의 부압을 억제하는 부압 억제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과잉 부압 발생 시 자동으로 부압을 억제하는 부압 억제 장치를 포함한다. 부압 억제 장치는 집진기의 전단에 설치되며, 과잉 부압 발생 시 장치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일정 부압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수봉 덕트 내의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범람함으로써 집진이 불가능해지는 사고를 방지하여 집진 불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집진기 백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수명 또한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의 유지 관리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 설비{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과잉 부압에 의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원료로 하여 코크스 오븐에서 코크스를 생산할 때 코크스 오븐에서 건류가 완료된 적열 코크스는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어 이송카로 옮겨지게 된다. 이러한 적열 코크스를 압출하는 과정에서 압출기 주변에 미분의 코크스와 같은 각종 분진이 발생하게 되어 압출기 주변의 작업환경이 나빠지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각종 분진의 발생은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열 코크스를 압출할 때 작업 및 대기환경의 오염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백필터를 이용하여 집진 설비에서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종래의 압출기 집진 설비는 소형 집진기를 압출기 차상에 설치하여 압출기 측에서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는 형태로 근본적으로 풍량 확보에 한계가 있어 대부분의 코크스 공장에서 아주 열악한 성능을 가지고 또한 자체 중량에 의해 압출기 구조물과 주행 시 편주행 문제 등으로 설치 후 취외 폐기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봉 덕트 형태의 집진 설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과잉 부압 발생 시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가스 덕트 측으로 범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집진이 불가능해지고, 다량의 수분이 집진기 백필터로 유입되어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0452호에는 일측이 적열 코크스의 압출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 후드와 연통되고, 타측이 백필터가 내장되는 백실과 연통되는 집진 덕트와, 집진 덕트에 설치되어 집진 덕트를 통과하여 백실에 인입되는 분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0452호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과잉 부압을 억제하는 집진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집진 설비로서,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부터 비산되는 분진 및 가스를 흡입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 상기 집진 유닛과 집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 유닛의 부압을 억제하는 부압 억제 장치를 포함한다.
일단이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기와 연결된 메인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부압 억제 장치는 상기 메인 덕트 상에 설치된다.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메인 덕트 사이에 위치하는 수봉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부압 억제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일단 및 타단이 개구되며, 개구된 일단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개구된 타단은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상기 승하강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부재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승하강한다.
상기 몸체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홀이 마련된다.
상기 몸체의 홀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홀의 크기가 크다.
일단이 상기 승하강 부재의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의 무게에 따라 승하강 부재의 하강 정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설비는 과잉 부압 발생 시 자동으로 부압을 억제하는 부압 억제 장치를 포함한다. 부압 억제 장치는 집진기의 전단에 설치되며, 과잉 부압 발생 시 장치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일정 부압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수봉 덕트 내의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범람함으로써 집진이 불가능해지는 사고를 방지하여 집진 불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봉 덕트 내의 액체가 집진기 백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수명 또한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의 유지 관리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압 억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압 억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수봉 덕트 내 액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압 억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압 억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수봉 덕트 내 액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은 내부공간에 코크스를 장입하여 가열하기 위한 저장실(100)과, 저장실(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저장실(100)의 양측 개구를 열고 닫는 오븐 도어(200)와, 저장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후진이 가능하며, 건류가 완료된 코크스 즉, 적열 코크스를 외부로 인출하는 압출기(300)와, 일단이 저장실(1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적열 코크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및 가스와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흡입하는 집진 설비(700)를 포함한다.
저장실(100)은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저장실(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가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저장실(100)의 양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저장실(100)의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에는 원료가 장입될 수 있도록 장입구(미도시)가 마련된다.
오븐 도어(200)는 저장실(100)의 양측 개구에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양측 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압출기(300)는 저장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류가 완료된 코크스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저장실(100) 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하고, 공정을 마치면 저장실(100) 입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후진하여 복귀한다.
집진 설비(700)는 일단이 저장실(100)과 연통되어 적열 코크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및 가스와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이 저장실(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집진 유닛(400)과, 일단이 집진 유닛(400)과 연통되고 타단이 후술되는 메인 덕트(900)와 연통되는 수봉 덕트(800)와, 일단이 상기 수봉 덕트(800)와 연통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집진기와 연결되는 메인 덕트(900)와, 메인 덕트(900) 상에 설치되는 부압 억제 장치(500)와, 메인 덕트(900)의 타단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600)를 포함한다.
집진 유닛(400)은 저장실(100)로부터 비산된 분진 및 가스를 포집하는 플랩(410)과, 일단이 상기 플랩(410)과 연결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 1 차상 덕트(420)와, 제 1 차상 덕트(420)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댐퍼(430)와, 일단이 제 1 차상 덕트(420)와 연결되며 제 1 차상 덕트(420)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 2 차상 덕트(440)를 포함한다.
플랩(410)은 저장실(100) 오븐 도어(200) 외측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저장실(100)의 몸체와 오븐 도어(200) 사이로 비산되는 원료의 분진 및 가스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차상 덕트(420)는 일단이 플랩(410)과 연결되어 플랩(410)에서 포집된 분진 및 가스 등을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댐퍼(430)는 제 1 차상 덕트(4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제 2 차상 덕트(440)는 일단이 제 1 차상 덕트(420)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차상 덕트(440)의 타단은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절곡된 제 2 차상 덕트(440)의 타단은 후술되는 수봉 덕트(800) 내의 액면(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수봉(水封) 덕트(800)는 수봉(水封)을 이용하여 일단이 제 2 차상 덕트(440)와 연통되고 타단이 후술되는 메인 덕트(9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수봉 덕트(800)는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여 수봉 덕트(800)와 연통된 제 2 차상 덕트(440) 내에 공기나 가스가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봉 덕트(800)는 'U'자형 덕트와 상기 'U'자형 덕트와 대칭되는 형상의 덕트의 일부가 서로 맞물도록 형성되며 'U'자형 덕트의 일부에 액체를 마련하여 제 2 차상 덕트(440) 내로 공기나 가스가 유통되는 것을 차단한다.
메인 덕트(900)는 일단이 수봉 덕트(800)와 연통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집진기(600)와 연결되며, 집진기(600)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제 1 차상 덕트(420)에서 포집된 분진 및 가스 등의 이물질이 이동하게 된다.
부압 억제 장치(500)는 메인 덕트(900) 상에 설치되며, 과잉 부압 발생 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일정 설정 부압 이상 발생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로 인해, 수봉 덕트(800) 내의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이 넘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압 억제 장치(500)는 일단 및 타단이 개구되며, 개구된 일단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개구된 타단은 메인 덕트(900)와 연통되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 내부에서 하우징(510)의 내측벽과 이격 되도록 설치되어 메인 덕트(900)에서 발생된 부압 상태에 따라 승하강하는 구동 수단(520)과, 하우징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링 플레이트(530)와, 일단이 구동 수단(520)과 연결된 제 1 연결 부재(540)와, 일단이 제 1 연결 부재(540)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제 2 연결 부재(550)와, 제 2 연결 부재(550)의 타단에 연결되어 무게에 따라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무게추(560)와, 제 2 연결 부재(5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연결 부재(550)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 부재(570)를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구동 수단(5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및 타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일단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개구된 타단은 메인 덕트(900)와 연통된다. 하지만, 하우징(5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구동 수단(52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510)은 내부에 수용된 구동 수단(520)의 복수개의 홀(523)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메인 덕트(900) 측으로 유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는 하우징(520)의 일단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응성이 없는 유체 즉, 비활성 기체(불활성 기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의 일단 개구와 연통 되도록 유체가 저장된 유체 저장부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수단(520)은 하우징(510) 내부에서 하우징(510)의 내측벽과 이격 되도록 설치되어 메인 덕트(900) 내부에 발생된 부압 상태에 따라 승하강하며,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522)와, 몸체(522) 내부에 삽입되어 부압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 부재(521)를 포함한다.
부압은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의미하며, 대기압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600) 방향으로 가해진다.
몸체(522)는 하우징(510) 내부에서 상측에 하우징(510)의 내측벽과 이격 되도록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몸체(5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몸체(522)의 측부에는 복수개의 홀(523)이 마련되며, 홀(523)의 크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이는 몸체(522) 내부에서 후술되는 승하강 부재(521)가 승하강할 때 공기를 미량부터 다량까지 압력 편차가 적은 상태로 유입시켜 장치의 급격한 동작과 급격한 압력 변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승하강 부재(521)는 몸체(522)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압에 의해 승하강 작동한다. 하지만, 승하강 부재(5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522) 내부에서 부압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승하강 부재(521)의 승하강 운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덕트(900) 내부에서 발생된 부압 상태에 따라 승하강 부재(521)에 부압이 작용하여 승하강 부재(521)가 하부로 하강하며,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 이하로 하강하면 복수개의 홀(523)이 개방되므로 공기가 승하강 부재(521)의 상측으로 유입되어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을 통해 하우징(5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승하강 부재(521)의 하강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을 결정하게 된다.
링 플레이트(53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510) 상부에 부착 설치되어 장치가 폐쇄되면 승하강 부재(521)의 상부와 접촉하며,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연결 부재(540)는 일단이 승하강 부재(521)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되는 제 2 연결 부재(550)와 연결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 1 연결 부재(5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하강 부재(521)와 제 2 연결 부재(550)를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550)는 일단이 제 1 연결 부재(54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되는 무게추(560)와 연결되며 중심부가 힌지 결합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 2 연결 부재(5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연결 부재(540)와 무게추(560)를 연결시키며 중심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무게추(560)는 제 2 연결 부재(550)의 타단에 연결되며, 무게추(560)의 중량에 따라 승강 부재(521)의 하강 정도가 조절된다. 무게추(560)가 가벼우면 승하강 부재(521)가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이 더 많이 개방되도록 하강하여 공기가 다량 유입되고, 무게추(560)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승하강 부재(521)가 하강하는 정도가 적어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이 개방되는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공기가 미량 유입된다. 이에, 필요에 따라 무게추(560)를 가감시켜 원하는 부압을 유지시킨다.
집진기(600)는 집진 유닛(400)의 타단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켜 분진 및 공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며, 예컨대, 송풍기일 수 있다. 또한, 메인 덕트(900)와 집진기(600) 사이에는 예컨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백필터가 위치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부압 억제 장치(500)가 설치된 코크스 오븐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저장실(100)에 원료가 장입되면 일정시간 고온으로 건류시켜 적열 코크스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적열 코크스를 고로로 운반하기 위해 압출기(300)를 오븐 도어(2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후, 저장실(100)의 입구에 위치한 압출기(300)는 저장실(100)의 출구를 향해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크스가 저장실(100)의 출구 방향으로 밀려 코크스 이동 전차에 적재된다. 그런데, 압출기(300)가 코크스를 압출하고 복귀하는 과정에서 코크스의 분진 및 가스 등의 이물질이 비산된다. 이렇게 비산된 분진 및 가스는 플랩(410)에 의해 포집되어 제 1 차상 덕트(420)로 흡입된다. 이때, 제 1 차상 덕트(420)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댐퍼(430)가 개방되면 제 1 차상 덕트(420)에서 흡입된 분진 및 가스 등의 이물질은 제 2 차상 덕트(440)와 수봉 덕트(800)를 거쳐 타단이 집진기(600)와 연통된 메인 덕트(900)를 통해 집진기(600)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포집된 분진 및 가스 등의 이물질이 이동하여 집진기(600)로 흡입된다. 그러나 메인 덕트(900)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봉 덕트(800) 내의 액체가 메인 덕트(900) 측으로 범람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600) 전단의 메인 덕트(900) 상에 부압 억제 장치(500)가 설치된다. 부압 억제 장치(500)는 과잉 부압 발생 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메인 덕트(900) 내의 압력이 일정 설정 부압 이상 발생되는 것을 억제한다.
만약, 메인 덕트(900) 내부에 과잉 부압이 발생하면 부압에 의해 승하강 부재(521)가 몸체(522) 내부에서 자동으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몸체(522)는 복수개의 홀(523)을 포함하며, 홀(523)의 크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잉 부압이 발생하여 부압에 의해 승하강 부재(521)가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 복수개의 홀(523)이 개방되어 공기가 승하강 부재(521)의 상부 측으로 유입되고,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을 통해 메인 덕트(9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승하강 부재(521)의 하강 정도에 따라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이 개폐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승하강 부재(521)는 제 2 연결 부재(550)를 통해 무게추(560)와 연결되고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추(560)를 가감하며 승하강 부재(521)의 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무게추(560)가 가벼우면 승하강 부재(521)가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이 더 많이 개방되도록 하강하여 공기가 다량 유입되고, 무게추(560)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승하강 부재(521)가 하강하는 정도가 적어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이 개방되는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미량 유입된다. 이후, 하우징(510)은 몸체(522)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523)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메인 덕트(900) 측으로 유도시켜 과잉 부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 덕트(900)상에 부압 억제 장치(500)를 설치함으로써, 과잉 부압 발생 시 장치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일정 부압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수봉 덕트(800) 내의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수봉 덕트(800) 내의 액체가 범람함으로써 집진이 불가능해지는 사고를 방지하여 집진 불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봉 덕트(800) 내의 액체가 집진기(600) 백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수명 또한 연장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의 유지 관리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510: 하우징 520: 구동 수단
521: 승하강 부재 522: 몸체
530: 링 플레이트 560: 무게추

Claims (9)

  1. 원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부터 비산되는 분진 및 가스를 흡입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기;
    일단이 상기 집진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기와 연결된 메인 덕트;
    상기 집진 유닛과 상기 메인 덕트 사이에 위치하는 수봉 덕트; 및,
    상기 메인 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 유닛의 부압을 억제하는 부압 억제 장치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압 억제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일단 및 타단이 개구되며, 개구된 일단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개구된 타단은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집진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부재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집진 설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홀이 마련되는 집진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홀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홀의 크기가 큰 집진 설비.
  9. 청구항 4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승하강 부재의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의 무게에 따라 승하강 부재의 하강 정도를 조절하는 집진 설비.
KR1020120099392A 2012-09-07 2012-09-07 집진 설비 KR10142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392A KR101421204B1 (ko) 2012-09-07 2012-09-07 집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392A KR101421204B1 (ko) 2012-09-07 2012-09-07 집진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34A KR20140032734A (ko) 2014-03-17
KR101421204B1 true KR101421204B1 (ko) 2014-07-22

Family

ID=5064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392A KR101421204B1 (ko) 2012-09-07 2012-09-07 집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697B (zh) * 2021-07-09 2022-12-13 江苏蓝电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存储空间有限问题的环保型纺织用吸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334A (ja) * 1992-08-19 1994-03-08 Nakayama Steel Works Ltd コークス炉の黒煙排出防止方法
JP3172012B2 (ja) * 1993-10-20 2001-06-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炉内圧制御方法
KR20050005627A (ko) * 2003-07-07 2005-01-1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에서의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20050023886A (ko) * 2003-09-03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휴,송풍작업시 분진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334A (ja) * 1992-08-19 1994-03-08 Nakayama Steel Works Ltd コークス炉の黒煙排出防止方法
JP3172012B2 (ja) * 1993-10-20 2001-06-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炉内圧制御方法
KR20050005627A (ko) * 2003-07-07 2005-01-1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에서의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20050023886A (ko) * 2003-09-03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휴,송풍작업시 분진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34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66490U (zh) 一种散热防尘电力箱
CN108811453B (zh) 一种具有除尘散热功能的通信箱
KR101590990B1 (ko) 원료처리장치
KR101421204B1 (ko) 집진 설비
KR101436598B1 (ko) 집진 설비 및 집진 방법
CN1120531C (zh) 用于蓄电池的盖及与该盖配用的充电装置
CN216998286U (zh) 带机载除尘装置的除尘导烟车
CN106246555A (zh) 一种车用空压机
US4257849A (en) Coke guide fumes control system
CN216005904U (zh) 冲渣池和水蒸气循环利用系统
CN111151089B (zh) 焦炉除尘系统
US3897313A (en) Duct connecting device
CN213032222U (zh) 一种烧结砖用硫化物排放过滤装置
KR101328781B1 (ko) 선박 도장용 분진 포집장치
CN102813488A (zh) 具有碎泡结构的水过滤吸尘器尘杯
CN211753361U (zh) 刮板运输机防爆装置
CN210340772U (zh) 推焦机侧炉头烟尘处理装置
CN114214078B (zh) 带机载除尘装置的除尘导烟车
JPH07310075A (ja) コークス炉窯口集塵装置
CN220901268U (zh) 吹气除油装置
CN113637811B (zh) 冲渣池和水蒸气循环利用系统
CN209810887U (zh) 一种安全环保的通风柜
CN219376446U (zh) 一种环保型土壤研磨通风设备
CN217844214U (zh) 一种地源热泵空调用空气过滤装置
CN212719126U (zh) 一种具有油雾分离功能的润滑油油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