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588B1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1588B1 KR101481588B1 KR20080040948A KR20080040948A KR101481588B1 KR 101481588 B1 KR101481588 B1 KR 101481588B1 KR 20080040948 A KR20080040948 A KR 20080040948A KR 20080040948 A KR20080040948 A KR 20080040948A KR 101481588 B1 KR101481588 B1 KR 101481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able
- unit
- button
-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에 설치되는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부와 버튼부 사이에 케이블은 결합함에 있어, 조립시 오차를 보정할 수 있고, 조립 후 상기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힘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어스위치어셈블리, 버튼부, 스위치부, 케이스, 슬릿, 고정체, 홀더.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에 설치되는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를 세탁, 건조 및 재생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의류를 투입한 후,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재생을 위한 운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에 의류를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이외에도 별도의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동안 외부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의류를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투입하고, 수거할 수 있도록 도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스위치가 설치된다.
다만, 종래의 도어스위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상태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스위치는 전기적인 제어를 통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바, 도어의 빈번한 개폐 등으로 인한 충격에 의하여 잔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스위치부분이 의류의 투입 및 수거를 위하여 빈번하게 개폐가 이루어지고, 이때 외부의 각종 환경 등에 노출되면서 외부요소에 의하여 손상되기 쉬운 전기적 회로 등이 고장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도어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장시간 동안 수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가압되는 힘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개선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의 양단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스위치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케이블에 변위가 발생하면서 상기 스위치부를 연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변위에 따라 회동운동을 수행하는 케이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레버는 회동이 이루어지는 축에 제1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는 탈거 방지를 위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레버는 상기 고정체가 끼움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기 위한 출구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체가 끼움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체가 끼움된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 레버의 회동방향으로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고정체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가 끼움되는 방향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고정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체가 안착되는 방향의 단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블 레버에 상기 고정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외측에는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며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피복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피복부의 양단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복부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슬릿 단부에는 상기 홀더가 결합되는 홀더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피복부의 단부에 소정 길이 끼움되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홀더의 끼움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조립시 발생하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간의 간격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부와 버튼부 사이에 케이블은 결합함에 있어, 조립시 오차를 보정할 수 있고, 조립 후 상기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힘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일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를 구비하는 모든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뿐 아니라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20); 그리고 상기 캐 비넷(2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운전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패널(30)은 조작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캐비넷(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넷(20)의 내측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0)은 세탁 또는 건조시 수용되는 의류가 고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40)의 전방에는 의류를 수납 및 수거하기 위한 도어(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50)는 상기 캐비넷(20)의 일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힌지(53) 등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힌지(53) 등에 의해 고정된 부분과 반대되는 측면이 상기 캐비넷(20)에 선택적으로 착탈 되면서, 도어(50)가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후벽에는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래치(5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53) 등에 의해 고정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도어(50)가 회동하면서 상기 래치(51)는 상기 캐비넷(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도어(5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넷(20)의 일측에는 도어(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도어(50)가 닫히는 경우에는 래치(51)와 체결되어 도어(50)를 고정시키 고, 도어(5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패널(30)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110)을 조작하여 상기 래치(51)와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100),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200), 상기 케이블(200)을 통재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면서 도어(50)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300), 상기 도어(5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계적을 연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상기 버튼부(100) 및 스위치부(3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부(100)를 통하여 가압되는 힘을 이용하여 일제히 연동이 이루어도록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도어(50)를 개방함에 있어 전자기력 등의 부가적인 힘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버튼부(100)에 가압되는 힘만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구적 구성을 이용하여 도어(5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바, 종래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50)를 개폐하는 것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더욱 정확한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을 참고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용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버튼부가 가압된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버튼부에 가압된 힘이 해제된 도 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100), 상기 버튼부(100)의 입력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50)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300);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5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잠금부(400)가 탈거된 형상을 도시하였고, 상기 잠금부(4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00)는 도어(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압된 힘을 상기 스위치부(300)로 전달하기 위하여 힘을 전달하는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30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재의 일 예로서 케이블(20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캐비넷(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버튼(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130) 및 상기 버튼(110)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슬라이더(130)로 전달할 수 있는 레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버튼(110)을 가압하면 슬라이더(130)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케이블(200)의 변위를 유도하고, 상기 케이블(200)의 타단 에 연결되는 스위치부(300)가 상기 변위에 의하여 연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버튼부(100)의 하측에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일측에 상기 도어(50)의 래치(51)가 삽입되는 삽입구(6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스위치부(300), 개폐감지부(500) 및 잠금부(400) 등을 구비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00)는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어(50)의 래치(51)가 삽입되는 삽입구(610)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레버(310), 로킹슬라이더(320), 샤프트(330) 및 회전캠(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레버(310)는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버튼부에 가하는 힘을 케이블(200)에 의하여 전달받는다. 이 때,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일단은 제1토션스프링(311)으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200)이 상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면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가압한 이후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311)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상기 케이블레버(310)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회동하는 일측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내측에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상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도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30)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와 연결되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일측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내측에 단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단공에 상기 샤프트(330)의 돌기가 끼움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샤프트(330)도 상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샤프트(330)로 하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캠(340)은 상기 삽입구(610)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41)은 상기 삽입구(6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캠(340)의 일단에는 제2토션스프링(34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캠(340)이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회전캠(340)은 회전축(341)의 반경방향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캠바디(3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41)은 상기 캠바디(343)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344,3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 크(344,345)는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구(610)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50)의 래치(51)가 상기 삽입구(610)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캠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캠(340)은 제1후크(344)와 제2후크(3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후크(344)는 상기 도어의 래치(5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래치(51)의 전단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회전캠(3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후크(345)는 제1후크(344)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공(52)에 끼워져 상기 래치(51)와 맞물리면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도어(50)의 래치(51)가 상기 삽입구(610)에 삽입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1)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캠(340)의 제1후크(344)는 상기 래치(51)의 전단에 의해 후측으로 밀리고, 제2후크(345)는 상기 회전캠(340)의 체결공(52)과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캠(340)이 삽입구(610)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축(34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토션스프링(342)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발생된다. 다만, 상기 도어(50)가 삽입되면 상기 캠바디(343)가 회전하면서 캠바디(343) 일측이 상기 샤프트(330)의 일단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위치가 구속된다.
이때, 상기 캠바디(343)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기 회전축(341)을 기준으로 원형을 형성하는 경우, 회전캠(340)의 모든 회전위치에서 상기 샤프트(330)와 캠바디(34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바, 상기 샤프트(330)가 캠바디(343)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만으로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부채꼴의 형상을 갖는 캠바디(343)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330)가 상기 캠바디(343)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캠(340)은 초기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회전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도어(50)는 래치(51)가 제2후크(345)와 맞물려 있는 상태로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캠바디(343)의 형상이 부채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 위치에 따라 샤프트(330)에 의해 회전위치가 구속될 수 있도록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캠바디(343)의 형상이 타원형 또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원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위치에 따라 다른 높이의 단차부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는 사용자가 도어(50)를 열기 위하여 상기 버튼부(100)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200)이 상측으로 끌려 올라가면서,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이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는 케이블레버(310)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상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레버(310)와 연결되는 로킹슬라이더(32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와 연결되는 샤프트(330)도 상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30)는 상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회전캠(340)은 캠바디(343) 일측이 상기 샤프트(330)의 일단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제2토션스프링(342)에 걸린 복원력을 이용하여 초기위치, 즉 도어(50)가 삽입되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후크(345)에 맞물려 있던 도어(50)의 래치(51)는 상기 회전캠(340)이 상기 샤프트(330)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도어(5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서는 도어(50)가 개방되고, 상기 버튼부에 가압된 힘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버튼부(100)를 통하여 상기 케이블(200)을 잡아당기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제1토션스프링(31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레버(310)는 하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200)은 다시 하측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도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330)도 하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캠바디(343)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캠바디(343)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캠바디(343)가 상기 삽입구(610)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캠바디(343)의 일측이 상기 샤프 트(330)의 단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캠(340)이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캠바디(343)도 상기 샤프트(33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30)가 하향으로 회동하더라도 도 2와 같이 수평인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고, 상기 캠바디(343)의 상측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330)는 상기 캠바디(343)의 상측에 안착한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330)의 일단이 케이스(600)의 내벽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331)에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331)와 연결되는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330)는 일단이 상기 제1탄성부재(331)에 고정되고 내측의 소정지점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단공에 삽입되면서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30)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탄성을 보유하지 않은 채로 상기 캠바디(343)의 일측과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에 비해, 상기 도어(50)가 개방된 후 상기 샤프트(330)가 회전캠(340)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331)가 상향으로 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 참조)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331)가 원형으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작용하는 바, 상기 샤프트(330)는 상기 회전캠(340)의 상측을 하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회전캠(340)의 위치를 구속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330)는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캠(340)의 일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상기 회전캠(340)의 상측을 가압하면서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330)가 제1탄성부재(331)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도어(50)가 닫힌 경우에도 내측에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30)는 상기 도어(50)가 걸려있는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바, 상기 도어를 바깥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회전캠(340)은 상기 샤프트(330) 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330)가 힌지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상기 회전캠(340)이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샤프트(330)가 제1탄성부재(331)에 연결되는 경우 제1탄성부재(331)의 변형을 이용하여 회전캠(340)이 상기 샤프트(330)로부터의 구속상태를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샤프트(330)는 로킹슬라이더(320)에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소정간격 수평방향의 회동도 가능한 바, 도어(50)의 내측에서 도어(50)를 가압하는 힘이 소정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캠(34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면서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측에 어린이가 갇힌 경우 상기 어린이가 자력으로 도어(50)를 가압하여 도어(50)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의할 경우 어린이 보호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은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케이블레버(310)의 회동으로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레버(310)는 상기 케이블(200)이 연결된 상태에서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버튼(110)을 가압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측으로 회동한 상태가 되지 않도록 결합해야 한다.
도 5는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정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고정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의 부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200)과 케이블레버(310)간의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하고, 조립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일단은 회동이 이루어지는 축에 제1토션스프링(311)이 설치되고, 상기 제1토션스프링(311)이 설치된 부분과 반대편에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이 수용되는 고정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큰 단면을 형성하는 추 모양의 고정체(2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체(230)는 상기 고정부(312)에 끼움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312)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200)이 연장되기 위한 출구단(31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12)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체(230)가 끼움되는 개구부(31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312b)는 상기 고정체(230)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체(230)의 끼움되는 단면보다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구부(312b)에 의해 끼움된 후 상기 출구단(312a)을 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구부(312b)가 상기 고정부(3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바,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시 상기 고정체(230)가 상기 고정부(312)의 내측에서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312)가 끼움된 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312)의 내측에 상기 케이블(2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안착되는 안착부(312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312c)는 상기 고정체(230)가 상기 안착되는 방향의 단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312b)에 끼움된 케이블(200)이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안착부(312c)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체(230)가 상기 안착부(312c)에 안착된 후에는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치부(300)의 연동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600)의 내측에 상기 스위치부(300)를 결합한 후, 상기 케이스(60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체(2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12)는 상기 케이스(600)의 전방 방향으로 개구부(312b)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고정부(312)에 상기 고정체(2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312)로부터 상기 케이블(20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릿(67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200)을 상기 케이스(600)의 외측으로부터 끼움 및 탈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20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설치 위치의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케이블(200)만을 탈거하여 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블(200)의 외측에는 상기 케이블(200)이 연장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피복부(2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200)은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등과 인접하여 설치되는바, 물 또는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20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200)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블(200)을 보호하며 연장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피복부(2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복부(210)의 양단은 상기 버튼부(100)의 버튼케이스(150)와 상기 케이스(600)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200)은 상기 버튼부(100)의 슬라이더(130)와 상기 케이스(600) 내측의 케이블레버(310)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복부(210)의 양단 또는 일단에는 상기 케이스(600) 또는 상기 버튼케이스(150)와 결합되는 홀더(220)가 구비되어, 케이스(600) 또는 버튼케이스(150)에 형성되는 홀더수용부(660)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케이스(600)의 상단에 홀더수용부(660)가 구비되어 상기 피복부(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홀더(220)가 끼움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홀더(220)는 상기 피복부(210)의 단부에 소정길이 끼움되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홀더(220)는 상기 피복부(210)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 끼움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조립시 케이스(600)와 상기 버튼부(100) 사이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홀더(220)가 상기 피복부(210)에 끼움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바 조립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5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사용자가 외부에 설치되는 버튼부(100)를 가압하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면서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의 도어(50) 개폐가 상기와 같은 기구적 구성에만 의존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50)가 개방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잠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400)는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기계적 제어 및 전기적 제어가 조합되는 도 어스위치어셈블리(10)를 제공하는 바, 내구성을 개선되는 효과를 갖음과 동시에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고려하여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된 경우는 잠금부(4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잠금상태가 자동 해제되는 바, 버튼부(100)를 가압하여 도어(50)를 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의류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측에 장기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잠금부(400)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이동 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로킹핀(4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킹핀(410)은 상기 잠금부(40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400)의 외측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상기 잠금부(400)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는 걸림부(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로킹핀(410)은 상기 잠금부(400)의 내측에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걸림부(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4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하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구동중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로킹슬라이 더(320)가 상기 로킹핀(41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면서 도어(50)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는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고하여 상기 잠금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잠금부(400)는 내측에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핀(4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핀(410)은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 상기 잠금부(400)의 전방케이스(미도시)에 형성되는 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도록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구동상태에 따라 도어(50)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다시 잠금부(400) 내측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연동 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400)는 상기 로킹핀(410)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위치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장치는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상기 로킹핀(4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장치로서 바이메탈을 이용한 리프터(420)를 구비할 수 있다. 바이메탈이란 열팽창 계수가 상이한 두 금속을 이용하여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고,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원형으로 복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420)는 상기 로킹핀(410)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421)들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리프터(420)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상측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리프터(420)의 온도가 감소하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420)의 상승 및 복귀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리프터(420)는 바이메탈의 특성상 전원이 인가되다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온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바, 상승한 로킹핀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데 소정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상기 구동이 종료된 이후에도 소정시간 동안 도어(50)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제어부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즉각적으로 로킹핀(410)을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킹핀(410)의 일측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선택적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솔레노이드(4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423)의 내측에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전체(424)가 구비되고, 상기 도전체(424)가 상승하면 연동구조에 의해 상측의 캠(425)을 소정간격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캠(425)은 회전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톱니(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캠(425)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킹핀(410)의 일측 돌출부가 상기 톱니에 걸리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리프터(420)의 온도가 하강하는 시간까지 기다리지 않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즉각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5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부(500)에서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강제로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610)에 일단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개폐감지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감지부(500)의 일단은 상기 삽입구(610)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6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5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폐감지부(500)의 일단이 상기 삽입구(610) 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도어(50)가 닫히면서 래치(51)가 상기 삽입구(610)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5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도어(5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방향, 즉 케이스(6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5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600) 내측은 리브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감지부(500) 가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610) 방향으로 노출되는 일단은 상기 도어(5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래치(51)에 의해 밀리면서 내측으로 슬라이딩이 될 수 있도록 래치(51)와 접촉하는 단면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폐감지부(500)에 의하여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구동을 강제로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정지 신호를 직접 메인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상기 강제 개방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잠금부(400)를 이용하여 이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상기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해제리브(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상기 개폐감지부(500)와 함께 도어(50)의 개폐여부에 따라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상기 도어(50)가 개방되면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되는 지점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다만, 도 2에서는 상기 잠금부(4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8에서는 로킹핀(410)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400)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는 도어(5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400)의 로킹핀(4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어(50)가 닫히면서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케이스(600)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상기 로킹핀(410)의 위치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로킹핀(41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 상태이다.
이때,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삽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도 슬라이딩 되어 상기 로킹핀(410)을 가압하는 바, 상기 로킹핀(410)은 상기 잠금부(400) 내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어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로킹핀(410)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의 잠금해제리브(520)에 의하여 강제로 잠금부(4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상기 로킹핀(410)을 가압하면서 하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로킹핀(410)을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로킹핀(410)의 상단으로부터 서서히 가압이 이루어지는바, 걸 림 현상 없이 상기 로킹핀(4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로킹핀(410)에 의한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함에 따라 상기 도어(50)가 개방된 사실을 상기 잠금부(40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부(400)는 상기 메인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강제적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구동 정지 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송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부(400)가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제되면 상기 차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상기 도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센서(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감지부(500)에 의하여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직접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른 잠금부 및 개폐감지부의 작용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잠금부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로킹핀이 상승하여 로킹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를 제한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운전 중에는 상기 로킹핀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연동 불가한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잠금부의 솔레노이드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로킹핀이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킹핀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로킹 슬라이드가 이동 가능한 바, 버튼을 가압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는 제2탄성부재의 복귀력에 의하여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다만, 상기 로킹핀이 이미 하강한 상태인 바, 상기 잠금해제리브는 상기 로킹핀을 가압하지 않는다.
한편, 운전 중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는 상기 로킹핀을 하강시키지 못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가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에 의해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잠금해제리브가 상기 로킹핀을 가압하여 강제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로킹핀이 강제로 하강되는 경우, 구동 정지 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차단부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버튼부가 가압된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도어가 열리고 버튼부에 가압된 힘이 해제된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정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고정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의 부위를 도시한 정면도,
도 7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잠금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2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스위치어셈블리 50 : 도어
100 : 버튼부 200 : 케이블
220 : 홀더 230 : 고정체
300 : 스위치부 312 : 고정부
320 : 로킹슬라이더 330 : 회전캠
400 : 잠금부 410 : 로킹핀
500 : 개폐감지부 600 : 케이스
670 : 슬릿
Claims (11)
-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 그리고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의 양단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스위치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케이블에 변위가 발생하면서 상기 스위치부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변위에 따라 회동운동을 수행하는 케이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 레버는 회동이 이루어지는 축에 제1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의 일단에는 탈거 방지를 위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레버는 상기 고정체가 끼움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기 위한 출구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체가 끼움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체가 끼움된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 레버의 회동방향으로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는 상기 고정체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가 끼움되는 방향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고정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체가 안착되는 방향의 단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블 레버에 상기 고정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케이블의 외측에는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며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피복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피복부의 양단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피복부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슬릿 단부에는 상기 홀더가 결합되는 홀더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홀더는 상기 피복부의 단부에 소정 길이 끼움되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홀더의 끼움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조립시 발생하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 간의 간격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40948A KR101481588B1 (ko) | 2008-04-30 | 2008-04-30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DE102009019224.7A DE102009019224B4 (de) | 2008-04-30 | 2009-04-28 | Maschine zum Behandeln von Textil- und Lederwaren |
DE102009019225.5A DE102009019225B4 (de) | 2008-04-30 | 2009-04-28 | Maschine zum Behandeln von Textil- und Lederwaren |
FR0952845A FR2930953B1 (fr) | 2008-04-30 | 2009-04-29 | Lave-linge |
US12/432,270 US8132432B2 (en) | 2008-04-30 | 2009-04-29 | Laundry machine |
US12/432,242 US8256249B2 (en) | 2008-04-30 | 2009-04-29 | Laundry machine |
FR0952846A FR2930954B1 (fr) | 2008-04-30 | 2009-04-29 | Lave-linge |
CN2009101354962A CN101570926B (zh) | 2008-04-30 | 2009-04-30 | 洗衣机 |
CN2009101379298A CN101570927B (zh) | 2008-04-30 | 2009-04-30 | 洗衣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40948A KR101481588B1 (ko) | 2008-04-30 | 2008-04-30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5021A KR20090115021A (ko) | 2009-11-04 |
KR101481588B1 true KR101481588B1 (ko) | 2015-01-12 |
Family
ID=4155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40948A KR101481588B1 (ko) | 2008-04-30 | 2008-04-30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158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8796B1 (ko) | 2003-11-05 | 2007-02-05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세탁기 |
KR20070036468A (ko) * | 2005-09-29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 |
KR101252166B1 (ko) | 2005-05-23 | 2013-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의 도어 |
-
2008
- 2008-04-30 KR KR20080040948A patent/KR1014815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8796B1 (ko) | 2003-11-05 | 2007-02-05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세탁기 |
KR101252166B1 (ko) | 2005-05-23 | 2013-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의 도어 |
KR20070036468A (ko) * | 2005-09-29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5021A (ko) | 2009-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7778B1 (ko)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
KR10105362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779158B1 (ko) |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 |
EP2159316B1 (en) | Laundry washing machine | |
EP2312041B1 (en) |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Machine | |
US8256249B2 (en) | Laundry machine | |
EP1486604A2 (en) | Door locking mechanism | |
CN111315927B (zh) | 抗污染的电器闩锁 | |
US10876735B2 (en) |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 |
KR101396927B1 (ko) |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 |
EP2808434B1 (en) |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 |
JP2008161549A (ja) | 洗濯機 | |
JP2013103055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101481588B1 (ko)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
KR101467779B1 (ko)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
KR101481587B1 (ko)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
JP4500368B1 (ja) | 蓋ロック装置および蓋ロック装置を備えた電気洗濯機 | |
JP2004329537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200352026Y1 (ko) | 모티스 록킹 장치 | |
KR101708678B1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JP3561707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6594244B2 (ja) | 家電製品用ドアロック装置 | |
KR102364088B1 (ko) | 가전기기 | |
KR100954076B1 (ko) | 잠금해제 버튼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럼세탁기 | |
JP5115486B2 (ja) | 壁取り付け型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