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779B1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779B1
KR101467779B1 KR1020080040946A KR20080040946A KR101467779B1 KR 101467779 B1 KR101467779 B1 KR 101467779B1 KR 1020080040946 A KR1020080040946 A KR 1020080040946A KR 20080040946 A KR20080040946 A KR 20080040946A KR 101467779 B1 KR101467779 B1 KR 101467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button
slider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019A (ko
Inventor
임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779B1/ko
Priority to DE102009019225.5A priority patent/DE102009019225B4/de
Priority to DE102009019224.7A priority patent/DE102009019224B4/de
Priority to US12/432,270 priority patent/US8132432B2/en
Priority to FR0952845A priority patent/FR2930953B1/fr
Priority to US12/432,242 priority patent/US8256249B2/en
Priority to FR0952846A priority patent/FR2930954B1/fr
Priority to CN2009101354962A priority patent/CN101570926B/zh
Priority to CN2009101379298A priority patent/CN101570927B/zh
Publication of KR2009011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에 설치되는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케이블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케이블의 변위를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기계적 연동을 제어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어스위치어셈블리, 버튼부, 로킹핀, 회전캠, 도어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Door-Switch Assembly of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에 설치되는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를 세탁, 건조 및 재생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의류를 투입한 후,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재생을 위한 운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에 의류를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이외에도 별도의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동안 외부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의류를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투입하고, 수거할 수 있도록 도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스위치가 설치된다.
다만, 종래의 도어스위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상태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스위치는 전기적인 제어를 통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바, 도어의 빈번한 개폐 등으로 인한 충격에 의하여 잔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스위치부분이 의류의 투입 및 수거를 위하여 빈번하게 개폐가 이루어지고, 이때 외부의 각종 환경 등에 노출되면서 외부요소에 의하여 손상되기 쉬운 전기적 회로 등이 고장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도어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장시간 동안 수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가압되는 힘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개선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케이블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케이블의 변위를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버튼; 및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를 매개로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는 상기 일측에 설치된 버튼이 가압되는 힘에 의해 직 선방향으로 운동하면,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타측에 연결되는 슬라이더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튼부는 상기 레버 및 슬라이더를 설치하기 위한 버튼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케이스는 상기 레버의 레버축이 고정되는 홈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의 후벽에는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는 적은 힘으로 상기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 전방의 하측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이 가압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 및 수용부는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탈거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만큼 상기 안착부에 수용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의 끼움홀에 끼움되는 끼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시에도 상기 끼움홀 내측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홀의 하측은 상기 끼움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홀의 상측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끼움부가 탈거되지 않도록 직선 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기계적 연동을 제어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일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를 구비하는 모든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뿐 아니라 개 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20); 그리고 상기 캐비넷(2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운전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패널(30)은 조작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캐비넷(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넷(20)의 내측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0)은 세탁 또는 건조시 수용되는 의류가 고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40)의 전방에는 의류를 수납 및 수거하기 위한 도어(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50)는 상기 캐비넷(20)의 일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힌지(53) 등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힌지(53) 등에 의해 고정된 부분과 반대되는 측면이 상기 캐비넷(20)에 선택적으로 착탈 되면서, 도어(50)가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후벽에는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래치(5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53) 등에 의해 고정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도어(50)가 회동하면서 상기 래치(51)는 상기 캐비넷(20)에 선택적으로 체결 되면서 상기 도어(5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넷(20)의 일측에는 도어(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도어(50)가 닫히는 경우에는 래치(51)와 체결되어 도어(50)를 고정시키고, 도어(5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패널(30)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110)을 조작하여 상기 래치(51)와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100), 상기 버튼부(100)의 입력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50)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300),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상태에 따라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5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계적을 연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상기 버튼부(100) 및 스위치부(3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부(100)를 통하여 가압되는 힘을 이용하여 일제히 연동이 이루어도록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도어(50)를 개방함에 있어 전자기력 등의 부가적인 힘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버튼부(100)에 가압되는 힘만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구적 구성을 이용하여 도어(5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바, 종래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50)를 개폐하는 것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더욱 정확한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버튼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 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버튼부의 일측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버튼부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버튼케이스에 장착되는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버튼부(10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부(300)가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100)는 상기 가압되는 힘을 이용하여 케이블(200)의 변위를 유도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버튼(110), 상기 버튼(110)에 의해 가압하면서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레버(120) 및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10)은 일면이 캐비넷(2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외측에서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110)의 후벽으로는 가압부(11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을 후측에 설치되는 레버(1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110)의 후벽에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120)는 버튼 케이스(150)의 홈에 수평방향으로 끼움되는 레버축(121)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120)는 상기 버튼(110)의 가압부(111)가 가압하면, 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120)의 후측에는 상기 레버(1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120)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1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버튼 케이스(150)의 내벽에 구비되는 가이드(140)의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140)가 형성하는 수직방향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버튼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버튼부(100)의 운동에 의해 상기 레버(120)가 레버축(121)을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슬라이더(13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힘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130)에 고정되는 바,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케이블(200)의 변위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20)는 후측으로 상기 슬라이더(130)에 끼움되기 위한 끼움부(123)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끼움부(123)를 수용하는 끼움홀(131)이 구비된다.
이때, 레버(12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130)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는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홀(131)의 상측 개구부는 상기 레버(120)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레버(120)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끼움부(123)가 상기 레버축(121)의 반경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끼움홀(131)의 하측 개구부는 외측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홀(131)은 상기 레버축(121)의 상측 방향으로만 이동을 하는 바 하측으로 탈거될 우려가 없고, 상기 끼움부(123)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10)의 후벽에는 상기 레버(120)를 가압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120)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11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가압부(111)는 상기 레버(120)의 전방 하측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레버축(12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을 가압할수록 힘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레버(120)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부(111)가 상기 수용부(122)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부(111)가 충분한 깊이까지 상기 수용부(12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레버(1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122)가 상기 레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울어지는 바, 수용되는 길이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작은 회전에도 탈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111)는 레버(120)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돌기부(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122)는 상기 돌기부(111)가 안착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안착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11)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탈거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만큼 상기 안착부(122)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버튼이 하나의 가압부(111)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111)의 단면적에 비하여 버튼(110)의 단면이 큰 경우 사용자의 조작시 버튼(1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111) 및 수용부(122)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여 가압시에도 상기 버튼(1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120)의 끼움부(123)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상기 슬라이더(130)의 이동 방향은 상기 가이드(140)가 형성하는 경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2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140)는 상기 버튼 케이스(15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버(120)가 상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30)가 전방 상측으로 연동하려는 성질을 갖는 바, 상기 가이드(140)는 상기 슬라이더(130)가 전후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41)를 구비하여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140)가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하방향의 이동방향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140)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양측에 구비되고, 나아가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드(140)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2)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1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132)가 상기 가이드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더(13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용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버튼부가 가압된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버튼부에 가압된 힘이 해제된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100), 상기 버튼부(100)의 입력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50)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300);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5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잠금부(400)가 탈거된 형상을 도시하였고, 상기 잠금부(400)의 구성에 대해 서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00)는 도어(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압된 힘을 상기 스위치부(300)로 전달하기 위하여 힘을 전달하는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30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재의 일 예로서 케이블(20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케이스(600)의 외측에 구비되는 버튼(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130) 및 상기 버튼(110)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슬라이더(130)로 전달할 수 있는 레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버튼(110)을 가압하면 슬라이더(130)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케이블(200)의 변위를 유도하고, 상기 케이블(200)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위치부(300)가 상기 변위에 의하여 연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00)는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어(50)의 래치(51)가 삽입되는 삽입구(610)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레버(310), 로킹슬라이더(320), 샤프트(330) 및 회전캠(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레버(310)는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버튼부에 가하는 힘을 케이블(200)에 의하여 전달받는다. 이 때,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일단은 제1토션스프링(311)으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가압하여 상 기 케이블(200)이 상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면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가압한 이후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311)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상기 케이블레버(310)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회동하는 일측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내측에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상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도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30)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와 연결되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일측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내측에 단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단공에 상기 샤프트(330)의 돌기가 끼움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샤프트(330)도 상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샤프트(330)로 하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캠(340)은 상기 삽입구(610)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41)은 상기 삽입구(6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캠(340)의 일단에는 제2토션스프링(34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캠(340)이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회전캠(340)은 회전축(341)의 반경방향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캠바디(3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41)은 상기 캠바디(343)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344,3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344,345)는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구(610)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50)의 래치(51)가 상기 삽입구(610)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캠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캠(340)은 제1후크(344)와 제2후크(3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후크(344)는 상기 도어의 래치(5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래치(51)의 전단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회전캠(3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후크(345)는 제1후크(344)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공(52)에 끼워져 상기 래치(51)와 맞물리면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도어(50)의 래치(51)가 상기 삽입구(610)에 삽입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1)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캠(340)의 제1후크(344)는 상기 래치(51)의 전단에 의해 후측으로 밀리고, 제2후크(345)는 상기 회전캠(340)의 체결공(52)과 맞물리면서 상기 회전캠(340)이 삽입구(610)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축(34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토션스프링(342)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발생된다. 다만, 상기 도어(50)가 삽입되면 상기 캠바디(343)가 회전하면서 캠바디(343) 일측이 상기 샤프트(330)의 일단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위치가 구속된다.
이때, 상기 캠바디(343)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341)을 기준으로 원형을 형성하는 경우, 회전캠(340)의 모든 회전위치에서 상기 샤프트(330)와 캠바디(34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바, 상기 샤프트(330)가 캠바디(343)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만으로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부채꼴의 형상을 갖는 캠바디(343)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330)가 상기 캠바디(343)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캠(340)은 초기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회전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도어(50)는 래치(51)가 제2후크(345)와 맞물려 있는 상태로 상기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캠바디(343)의 형상이 부채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 위치에 따라 샤프트(330)에 의해 회전위치가 구속될 수 있도록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캠바디(343)의 형상이 타원형 또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된 원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위치에 따라 다른 높 이의 단차부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는 사용자가 도어(50)를 열기 위하여 상기 버튼부(100)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200)이 상측으로 끌려 올라가면서,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이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는 케이블레버(310)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레버(310)가 상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레버(310)와 연결되는 로킹슬라이더(32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와 연결되는 샤프트(330)도 상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30)는 상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회전캠(340)은 캠바디(343) 일측이 상기 샤프트(330)의 일단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제2토션스프링(342)에 걸린 복원력을 이용하여 초기위치, 즉 도어(50)가 삽입되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후크(345)에 맞물려 있던 도어(50)의 래치(51)는 상기 회전캠(340)이 상기 샤프트(330)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도어(5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서는 도어(50)가 개방되고, 상기 버튼부에 가압된 힘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버튼부(100)를 통하여 상기 케이블(200)을 잡아당기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레버(310)의 제1토션스프링(31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레 버(310)는 하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200)은 다시 하측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도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330)도 하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캠바디(343)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캠바디(343)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캠바디(343)가 상기 삽입구(610)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캠바디(343)의 일측이 상기 샤프트(330)의 단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캠(340)이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캠바디(343)도 상기 샤프트(33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30)가 하향으로 회동하더라도 도 5와 같이 수평인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고, 상기 캠바디(343)의 상측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330)는 상기 캠바디(343)의 상측에 안착한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330)의 일단이 케이스(600)의 내벽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331)에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331)와 연결되는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330)는 일단이 상기 제1탄성부재(331)에 고정되고 내측의 소정지점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단공에 삽입되면서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30)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탄성을 보유하지 않은 채로 상기 캠바디(343)의 일측과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비해, 상기 도어(50)가 개방된 후 상기 샤프트(330)가 회전캠(340)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331)가 상향으로 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7 참조)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331)가 원형으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작용하는 바, 상기 샤프트(330)는 상기 회전캠(340)의 상측을 하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회전캠(340)의 위치를 구속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330)는 상기 회전캠(34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캠(340)의 일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상기 회전캠(340)의 상측을 가압하면서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330)가 제1탄성부재(331)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도어(50)가 닫힌 경우에도 내측에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30)는 상기 도어(50)가 걸려있는 회전캠(340)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바, 상기 도어를 바깥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회전캠(340)은 상기 샤프트(330) 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330)가 힌지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상기 회전캠(340)이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샤프트(330)가 제1탄성부재(331)에 연결되는 경우 제1탄성부재(331)의 변형을 이용하여 회전캠(340)이 상기 샤프트(330)로부터의 구속상태를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샤프트(330)는 로킹슬라이더(320)에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소정간격 수평방향의 회동도 가능한 바, 도어(50)의 내측에서 도어(50)를 가압하는 힘이 소정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캠(34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면서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측에 어린이가 갇힌 경우 상기 어린이가 자력으로 도어(50)를 가압하여 도어(50)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의할 경우 어린이 보호기능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5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는, 사용자가 외부에 설치되는 버튼부(100)를 가압하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동하면서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의 도어(50) 개폐가 상기와 같은 기구적 구성에만 의존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50)가 개방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부(300)의 기계적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잠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400)는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기계적 제어 및 전기적 제어가 조합되는 도어스위치어셈블리(10)를 제공하는 바, 내구성을 개선되는 효과를 갖음과 동시에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고려하여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된 경우는 잠금부(4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잠금상태가 자동 해제되는 바, 버튼부(100)를 가압하여 도어(50)를 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의류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측에 장기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잠금부(400)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이동 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로킹핀(4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킹핀(410)은 상기 잠금부(40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400)의 외측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경로를 가로막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상기 잠금부(400)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는 걸림부(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로킹핀(410)은 상기 잠금부(400)의 내측에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걸림부(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4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하면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스위치부(300)의 연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구동중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상기 로킹핀(41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면서 도어(50)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잠금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잠금부(400)는 내측에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핀(4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핀(410)은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 상기 잠금부(400)의 전방케이스(미도시)에 형성되는 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상기 로킹슬라이더(320)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도록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구동상태에 따라 도어(50)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다시 잠금부(400) 내측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로킹슬라이더(320)가 연동 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400)는 상기 로킹핀(410)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위치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장치는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상기 로킹핀(4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장치로서 바이메탈을 이용한 리프터(420)를 구비할 수 있다. 바이메탈이란 열팽창 계수가 상이한 두 금속을 이용하여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고,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원형으로 복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420)는 상기 로킹핀(410)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421)들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리프터(420)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상측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리프터(420)의 온도가 감소하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420)의 상승 및 복귀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리프터(420)는 바이메탈의 특성상 전원이 인가되다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온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바, 상승한 로킹핀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데 소정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상기 구동이 종료된 이후에도 소정시간 동안 도어(50)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제어부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즉각적으로 로킹핀(410)을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킹핀(410)의 일측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선택적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솔레노이드(4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423)의 내측에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전체(424)가 구비되고, 상기 도전체(424)가 상승하면 연동구조에 의해 상측의 캠(425)을 소정간격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캠(425)은 회전방향으로 하향경 사지는 톱니(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캠(425)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킹핀(410)의 일측 돌출부가 상기 톱니에 걸리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리프터(420)의 온도가 하강하는 시간까지 기다리지 않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즉각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5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부(500)에서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상태를 강제로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610)에 일단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개폐감지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감지부(500)의 일단은 상기 삽입구(610)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6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5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폐감지부(500)의 일단이 상기 삽입구(610) 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도어(50)가 닫히면서 래치(51)가 상기 삽입구(610)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5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도어(5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방향, 즉 케이스(6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5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600) 내측은 리브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610) 방향으로 노출되는 일단은 상기 도어(5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래치(51)에 의해 밀리면서 내측으로 슬라이딩이 될 수 있도록 래치(51)와 접촉하는 단면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폐감지부(500)에 의하여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구동을 강제로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정지 신호를 직접 메인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상기 강제 개방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잠금부(400)를 이용하여 이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상기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해제리브(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상기 개폐감지부(500)와 함께 도어(50)의 개 폐여부에 따라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상기 도어(50)가 개방되면 상기 로킹핀(410)이 상승되는 지점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5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다만, 도 5에서는 상기 잠금부(4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9에서는 로킹핀(410)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400)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5는 도어(5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400)의 로킹핀(4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어(50)가 닫히면서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케이스(600)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상기 로킹핀(410)의 위치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슬라이더(320)는 로킹핀(41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 상태이다.
이때,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삽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도 슬라이딩 되어 상기 로킹핀(410)을 가압하는 바, 상기 로킹핀(410)은 상기 잠금부(400) 내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어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로킹핀(410)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의 잠금해제리 브(520)에 의하여 강제로 잠금부(4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해제리브(520)는 상기 로킹핀(410)을 가압하면서 하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로킹핀(410)을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로킹핀(410)의 상단으로부터 서서히 가압이 이루어지는바, 걸림 현상 없이 상기 로킹핀(4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로킹핀(410)에 의한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함에 따라 상기 도어(50)가 개방된 사실을 상기 잠금부(40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부(400)는 상기 메인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강제적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구동 정지 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송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부(400)가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500)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제되면 상기 차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상기 개폐감지부(500)가 상기 도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센서(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감지부(500)에 의하여 도어(5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직접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른 잠금부 및 개폐감지부의 작용관 계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잠금부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로킹핀이 상승하여 로킹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를 제한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운전 중에는 상기 로킹핀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연동 불가한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잠금부의 솔레노이드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로킹핀이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킹핀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로킹 슬라이드가 이동 가능한 바, 버튼을 가압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는 제2탄성부재의 복귀력에 의하여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다만, 상기 로킹핀이 이미 하강한 상태인 바, 상기 잠금해제리브는 상기 로킹핀을 가압하지 않는다.
한편, 운전 중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는 상기 로킹핀을 하강시키지 못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개폐감지부가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에 의해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잠금해제리브가 상기 로킹핀을 가압하여 강제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로킹핀이 강제로 하강되는 경우, 구동 정지 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차단부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위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버튼부의 일측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버튼부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상기 버튼케이스에 장착되는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버튼부가 가압된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도어가 열리고 버튼부에 가압된 힘이 해제된 상태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어스위치어셈블리의 잠금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5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스위치어셈블리 50 : 도어
100 : 버튼부 110 : 버튼
120 : 레버 130 : 슬라이더
140 : 가이드 200 : 케이블
300 : 스위치부 320 : 로킹슬라이더
330 : 회전캠 400 : 잠금부
410 : 로킹핀 500 : 개폐감지부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가압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케이블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도어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케이블의 변위를 유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는 레버;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압하는 버튼; 및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후벽에는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를 매개로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일측에 설치된 버튼이 가압되는 힘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면,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타측에 연결되는 슬라이더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레버 및 슬라이더를 설치하기 위한 버튼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케이스는 상기 레버의 레버축이 고정되는 홈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적은 힘으로 상기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 전방의 하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가압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 및 수용부는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탈거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만큼 상기 안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의 끼움홀에 끼움되는 끼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시에도 상기 끼움홀 내측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의 하측은 상기 끼움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의 상측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끼움부가 탈거되지 않도록 직선 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20080040946A 2008-04-30 2008-04-30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146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946A KR101467779B1 (ko) 2008-04-30 2008-04-30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DE102009019224.7A DE102009019224B4 (de) 2008-04-30 2009-04-28 Maschine zum Behandeln von Textil- und Lederwaren
DE102009019225.5A DE102009019225B4 (de) 2008-04-30 2009-04-28 Maschine zum Behandeln von Textil- und Lederwaren
FR0952845A FR2930953B1 (fr) 2008-04-30 2009-04-29 Lave-linge
US12/432,270 US8132432B2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US12/432,242 US8256249B2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FR0952846A FR2930954B1 (fr) 2008-04-30 2009-04-29 Lave-linge
CN2009101354962A CN101570926B (zh) 2008-04-30 2009-04-30 洗衣机
CN2009101379298A CN101570927B (zh) 2008-04-30 2009-04-30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946A KR101467779B1 (ko) 2008-04-30 2008-04-30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19A KR20090115019A (ko) 2009-11-04
KR101467779B1 true KR101467779B1 (ko) 2014-12-10

Family

ID=4155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946A KR101467779B1 (ko) 2008-04-30 2008-04-30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7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53A (ko) * 2001-07-12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20050043643A (ko) * 2003-11-05 2005-05-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KR20060089442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60120937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53A (ko) * 2001-07-12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20050043643A (ko) * 2003-11-05 2005-05-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KR20060089442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60120937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19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78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1053624B1 (ko) 의류처리장치
US7556033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n electric oven
US11859337B2 (en) Tamper resistant appliance latch
EP2159316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EP3091153B1 (en)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CN111270917B (zh) 烹饪电器
CN111315927A (zh) 抗污染的电器闩锁
KR101396927B1 (ko)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KR101467779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JP2009142516A (ja) 扉ロック機構
KR101481588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JP200432953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81587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4597029B2 (ja) ロッカーの施錠装置
KR102364088B1 (ko) 가전기기
JP356170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3742942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0633152B1 (ko) 제빵기
CN217565977U (zh) 门锁和洗涤设备
EP1564497B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ic oven
JP2000002030A (ja) ロッカの施解錠装置
JP2019180470A (ja) 洗濯機
JP2004041770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