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480B1 -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1480B1 KR101481480B1 KR1020140018820A KR20140018820A KR101481480B1 KR 101481480 B1 KR101481480 B1 KR 101481480B1 KR 1020140018820 A KR1020140018820 A KR 1020140018820A KR 20140018820 A KR20140018820 A KR 20140018820A KR 101481480 B1 KR101481480 B1 KR 101481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 checking
- hole
- holes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 E04C5/0656—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with lost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소정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에는 소정형상을 갖게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마개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주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성보강 및 절단부위에서 녹이 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를 일체로 절곡 성형하되,
상기 마개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외부에서 상태 확인용 통공이 보이지 않도록 덮어주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 또는 각도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판 또는 리브의 상면에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고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 중 특정부위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또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통해 육안으로 균열이나 크랙의 발생된 정확한 위치는 물론 그 정도를 포함하여 누수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데크플레이트의 강판만을 제거하고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위에 대한 보수 공사를 포함하여 방수공사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의 보수에 따른 보수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 공사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개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외부에서 상태 확인용 통공이 보이지 않도록 덮어주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 또는 각도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판 또는 리브의 상면에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고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 중 특정부위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또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통해 육안으로 균열이나 크랙의 발생된 정확한 위치는 물론 그 정도를 포함하여 누수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데크플레이트의 강판만을 제거하고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위에 대한 보수 공사를 포함하여 방수공사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의 보수에 따른 보수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 공사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판 데크플레이트에 소정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을 천공하되,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마개를 통해 막아두었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마개를 제거시켜 콘크리트에서 크랙 또는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통해 육안으로 누수 또는 크랙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고 슬래브의 누수 보수 공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 또는 재건축할 때, 철근콘크리트로 건축물의 바닥 및 벽체를 구성한다. 이런 철근콘크리트 작업은 철근을 배근하고 철근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에 양생한다.
철근콘크리트 방식은 강철의 특성과 콘크리트 특성을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건축물의 내진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철근콘크리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죽된 콘크리트를 성형하기 위해 소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일정 형상을 갖추고 복수의 데크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는 건축 구조물의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데크플레이트 중 최종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트러스 데크는 크게 트러스와 데크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트러스는 통상 상부근, 하부근, 래티스가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된 트러스는 통상 3개가 하나의 데크플레이트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 고정되게 된다.
또,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소정 면적을 갖는 바닥용 강판과, 상기 강판의 양측에서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갈고리형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강판에는 스폿용접의 편의를 위해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리브는 래티스의 풋트가 재치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트러스들을 구비한 트러스 데크의 데크플레이트들은 철골 구조물의 보와 보 사이에 설치하되, 강판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된 갈고리형 조인트부들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을 상호 연속해서 결합시키면서 슬래브 상에 설치하게 되며, 이렇게 데크플레이트들이 슬래브 상에 설치 완료되면 상기 트러스 데크의 상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거푸집의 가설 및 해체 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은 물론 슬래브 구조물의 축조작업과 마감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데크플레이트에는 누수나 크랙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콘크리트에서 균열이나 크랙 발생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어도 크랙의 정도를 포함한 누수지점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즉,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콘크리트에 균열이나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된 물은 균열된 틈새를 타고 하방향으로 스며들면서 내려가게 되나, 콘크리트 하단에 결합된 강판은 균열되어 있지 않으므로, 콘크리트가 균열된 하방향 위치에서 바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작 누수 지점과 영향이 없는 다른 위치에서 누수가 되어 누수지점을 정확히 측정 및 예측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누수에 관한 보수공사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누수 인출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가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74997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트러스보가 설치된 강판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강판 중앙에 인출홀을 형성하며, 상기 인출홀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를 상기 인출홀 방향으로 모을 수 있도록 상기 강판 상면에 집수수단을 형성한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인출홀에 나사형 캡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데크플레이트는 단순히 강판 중앙에 인출홀을 형성하여 나사형 캡의 형태를 갖는 개폐수단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개폐수단을 일일이 결합하거나 분리해야만 되는 불폄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소정 위치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어 누수될 경우 해당 데크플레이트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어느 위치에서 얼마만큼의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었는지를 육안을 통해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판으로 된 데크플레이트에 소정형상(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장방형, 사각 및 마름모 형상 등)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되,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마개로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막아두었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마개를 강제로 제거시켜 줌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 중 특정부위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통해 육안으로 균열이나 크랙의 발생된 정확한 위치는 물론 그 정도를 포함하여 누수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데크플레이트의 강판만을 제거하고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위에 대한 보수 공사를 포함하여 방수공사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의 보수에 따른 보수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 공사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소정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에는 소정형상을 갖게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마개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주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성보강 및 절단부위에서 녹이 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를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누수 배출공을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개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외부에서 상태 확인용 통공이 보이지 않도록 덮어주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 또는 각도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판 또는 상기 리브의 상면에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고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의 커버 저면에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을 막고 있는 마개 자체 또는 상기 마개의 커버만을 상태 확인용 통공으로부터 강제로 분리하기 위한 강제분리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 결합구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제분리수단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형 손가락 걸고리를 포함하여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용 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리수단 결합구는 상기 마개의 커버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와 걸림고리의 경계부에는 작업자가 상기 강제분리수단을 잡아당겼을 때, 복수의 걸림고리는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판 또는 상기 리브의 상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만 강제로 분리되도록 절단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여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을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성형할 경우, 가로 및 세로방향에 대해 교호로 엇갈리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에 의하면,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소정형상(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장방형, 사각 및 마름모 형상 등)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되,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마개로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막아두었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마개를 강제로 제거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 중 특정부위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또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을 통해 육안으로 균열이나 크랙의 발생된 정확한 위치는 물론 그 정도를 포함하여 누수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데크플레이트의 강판만을 제거하고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위에 대한 보수 공사를 포함하여 방수공사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의 보수에 따른 보수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 공사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시 강판에 천공된 상태 확인용 통공을 막아주는 마개를 커버와 복수의 걸림고리로 성형하되, 상기 마개의 커버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링형 손가락 걸고리 또는 손잡이용 띠 등을 포함하는 강제분리수단을 설치해 줌으로써 별도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강제분리수단을 간편히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상태 확인용 통공을 막고 있는 마개 자체 또는 마개의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어 마개의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 매우 양호함은 물론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 중 강제분리수단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마개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강제분리수단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면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플레이트 강판의 일부와 매개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a)~(d)는 본 발명에서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천공시킨 상태 확인용 통공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 중 강제분리수단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마개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강제분리수단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면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플레이트 강판의 일부와 매개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a)~(d)는 본 발명에서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천공시킨 상태 확인용 통공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 중 강제분리수단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마개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및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 중 강제분리수단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면 및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플레이트 강판의 일부와 매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a)~(d)는 본 발명에서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천공시킨 상태 확인용 통공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10)의 강판(11)에 소정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들에는 소정형상을 갖게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마개(2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내주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의 강성보강 및 절단부위에서 녹이 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13)를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13)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누수 배출공(14)을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개(20)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외부에서 상태 확인용 통공(12)이 보이지 않도록 덮어주는 커버(21)와;
상기 커버(21)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 또는 각도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의 강판(11) 또는 상기 리브(13)의 상면에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고리(2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막고 있는 마개(20) 자체 또는 상기 마개(20)의 커버(21)만을 상태 확인용 통공(12)으로부터 강제로 분리하기 위한 강제분리수단(3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 결합구(23)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제분리수단(30)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형 손가락 걸고리(31)를 포함하여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용 띠(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리수단 결합구(23)는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21)와 걸림고리(22)의 경계부에는 작업자가 상기 강제분리수단(30)을 잡고 당겼을 때, 복수의 걸림고리(22)는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의 강판(11) 또는 상기 리브(13)의 상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21)만 강제로 분리되도록 절단홈(24)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여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성형할 경우, 가로 및 세로방향에 대해 교호로 엇갈리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는 상부근, 하부근, 래티스가 용접을 통해 하나의 단위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강판(1)의 상면에 용접 설치된 트러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건물의 슬래브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의 강판(11)에 소정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들에는 소정형상을 갖게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마개(2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은 도 1 및 도 5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을 포함하여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갖도록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성형하되, 이들 형상 중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성형되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경우는 도 5의 (a) 및 도 5의 (d)와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에 대해 교호로 엇갈리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데크플레이트(10)의 강판(11)에 성형해 줌에 따른 강판 자체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특정부위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또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들을 통해 육안으로 균열이나 크랙이 발생된 위치와 방향은 물론 그 정도를 포함하여 누수 위치 및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강판(1) 전체에 대해 다양한 형상과 방향으로 복 수개를 천공하여 줌으로써 소정 데크플레이트 중 어느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로 균열이나 크랙이 발생되었는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될 경우 그 위치 및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내주면에서 상방부를 향해 리브(13)를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에 대한 강판(11)의 강성을 크게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연도 강판에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천공함으로 인해 비록 도금이 벗겨졌다 하더라도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내주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내주면에서 상방부를 향해 일체로 절곡 성형된 리브(13)의 단부가 콘크리트에 매립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통공의 주변 즉, 절단부위에서 녹이 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판(11)의 상태 확인용 통공(12)에 단순히 리브(13)를 절곡 성형할 경우,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에 대한 강성 등을 크게 보강할 수는 있으나, 균열이나 크랙 등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기 리브(13)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브(13)에서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누수 배출공(14)을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의 특정부위에서 균열이나 크랙 등이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될 경우 상기 리브(13)와 무관하게 누수된 물이 리브(13)에 형성된 누수 배출공(14)들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되어 건물의 관리자가 언제든 누수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개(20)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형의 커버(21)의 상면에 복수의 걸림고리(2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커버(21)는 강판(11)에 천공된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은 물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성형함으로써 상기 마개(20)를 상태 확인용 통공(12)에 결합하였을 때 도 3의 (a)와 같이 상기 강판(11)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를 막아주는 형태를 갖는 상기 커버(21)에 의해 외부에서 상태 확인용 통공(12)이 보이지 않게 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는 물론 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물 등이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걸림고리(22)는 상기 커버(21)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 또는 각도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구성을 갖고 상기 마개(20)가 결합될 때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의 강판(11) 또는 상기 리브(13)의 상면에 걸려져 마개 자체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 분리수단 결합구(23)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상기 분리수단 결합구(23)에는 도 3의 (a)와 같이 링형 손가락 걸고리(31) 또는 도 4와 같이 손잡이용 띠(32) 등을 포함하는 강제분리수단(30)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분리수단 결합구(23)는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성형하여 주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21)와 걸림고리(22)의 경계부 양측에 절단홈(24)을 더 형성시켜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소정 건물의 슬래브에 대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막고 있는 마개(20) 자체 또는 상기 마개(20)의 커버(21)만을 상태 확인용 통공(12)으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성형한 분리수단 결합구(23)에 강제분리수단(30)으로 결합되어 있는 링형 손가락 걸고리(31)에 손가락을 끼워 도 3 (b)의 확대도와 같이 잡아당기거나, 상기 손잡이용 띠(32)를 손으로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커버(21)와 걸림고리(22)의 경계부 양측에 형성된 절단홈(24)을 중심으로 걸림고리(22)로부터 커버(21)만 강제로 쉽게 분리되고, 상기한 복수의 걸림고리(22)는 상태 확인용 통공(12) 주변의 강판(11) 또는 상기 리브(13)의 상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강제분리수단(3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 결합구(23)가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성형함은 물론 상기 커버(21)와 걸림고리(22)의 경계부 양측에 절단홈(24)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강제분리수단(30)을 작업자가 잡아당겼을 때, 상기 커버(21)가 복수의 걸림고리(22)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게 되면, 특정부위에서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또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건물의 슬래브 저부에서 비교적 큰 지름 또는 크기를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12)들을 통해 육안으로 균열이나 크랙의 발생된 정확한 위치는 물론 그 정도를 포함하여 누수 정도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데크플레이트의 강판만을 제거한 다음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된 부위에 대한 보수 공사를 포함하여 방수공사 등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슬래브의 보수에 따른 보수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수 공사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강판(11)에 천공된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막아주는 마개(20)를 커버(21)와 복수의 걸림고리(22)로 성형함은 물론 상기 마개(20)의 커버(21)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링형 손가락 걸고리(31) 또는 손잡이용 띠(32) 등을 포함하는 강제분리수단(30)을 설치해 줌으로써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강제분리수단(30)을 간편히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상태 확인용 통공(12)을 막고 있는 마개(20) 자체 또는 마개(20)의 커버(21)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마개(20)의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작업성이 좋고 인건비 등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데크플레이트
11 : 강판 12 : 상태 확인용 통공
13 : 리브 14 : 누수 배출공
15 : 트러스
20 : 마개
21 : 커버 22 : 걸림고리
23 : 분리수단 결합구 24 : 절단홈
30 : 강제분리수단
31 : 손가락 걸고리 32 : 손잡이용 띠
11 : 강판 12 : 상태 확인용 통공
13 : 리브 14 : 누수 배출공
15 : 트러스
20 : 마개
21 : 커버 22 : 걸림고리
23 : 분리수단 결합구 24 : 절단홈
30 : 강제분리수단
31 : 손가락 걸고리 32 : 손잡이용 띠
Claims (10)
- 데크플레이트의 강판에 소정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태 확인용 통공을 다양한 방향으로 천공하고,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들에는 소정형상을 갖게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마개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주면에서 상방부를 향해서는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성보강 및 절단부위에서 녹이 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를 일체로 절곡 성형하되,
상기 마개는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외부에서 상태 확인용 통공이 보이지 않도록 덮어주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 또는 각도를 두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판 또는 상기 리브의 상면에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고리;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마개의 커버 저면에는 분리수단 결합구를 더 돌출 성형하되, 상기 분리수단 결합구에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을 막고 있는 마개 자체 또는 상기 마개의 커버만을 상태 확인용 통공으로부터 강제로 분리하기 위한 강제분리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누수 배출공을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리수단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형 손가락 걸고리 또는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용 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 결합구는 상기 마개의 커버 저면에서 일측부로 치우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걸림고리의 경계부에는 작업자가 상기 강제분리수단을 잡아당겼을 때, 복수의 걸림고리는 상태 확인용 통공 주변의 강판 또는 상기 리브의 상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만 강제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단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의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여 타원형, 장방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용 통공을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성형할 경우,
가로 및 세로방향에 대해 교호로 엇갈리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8820A KR101481480B1 (ko) | 2014-02-19 | 2014-02-19 |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8820A KR101481480B1 (ko) | 2014-02-19 | 2014-02-19 |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1480B1 true KR101481480B1 (ko) | 2015-01-13 |
Family
ID=5258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8820A KR101481480B1 (ko) | 2014-02-19 | 2014-02-19 |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148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9896A (ko) | 2015-03-13 | 2016-09-21 | 임경상 | 매립형 데크플레이트 |
CN106049749A (zh) * | 2016-07-14 | 2016-10-26 | 周小平 | 一种加固防水型板材 |
CN108997910A (zh) * | 2018-06-28 | 2018-12-14 | 宁夏宁东瑞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使用智能渗漏检测设备检测建筑物渗漏点并处理的方法 |
KR20220091308A (ko) | 2020-12-23 | 2022-06-30 | 에스제이토건(주) | 지반굴착기의 굴착케이싱 가이드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4242A (ja) * | 1994-12-28 | 1996-07-16 | Inax Corp | 天井点検蓋固定構造 |
KR100768779B1 (ko) * | 2007-04-30 | 2007-10-1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구부가 형성된 조립식 데크플레이트 |
-
2014
- 2014-02-19 KR KR1020140018820A patent/KR101481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4242A (ja) * | 1994-12-28 | 1996-07-16 | Inax Corp | 天井点検蓋固定構造 |
KR100768779B1 (ko) * | 2007-04-30 | 2007-10-1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구부가 형성된 조립식 데크플레이트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9896A (ko) | 2015-03-13 | 2016-09-21 | 임경상 | 매립형 데크플레이트 |
CN106049749A (zh) * | 2016-07-14 | 2016-10-26 | 周小平 | 一种加固防水型板材 |
CN108997910A (zh) * | 2018-06-28 | 2018-12-14 | 宁夏宁东瑞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使用智能渗漏检测设备检测建筑物渗漏点并处理的方法 |
CN108997910B (zh) * | 2018-06-28 | 2020-09-04 | 宁夏宁东瑞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使用智能渗漏检测设备检测建筑物渗漏点并处理的方法 |
KR20220091308A (ko) | 2020-12-23 | 2022-06-30 | 에스제이토건(주) | 지반굴착기의 굴착케이싱 가이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1480B1 (ko) | 누수 및 크랙 위치 확인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 |
US9169662B1 (en) |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 |
CA2977565C (en) | Concrete form system | |
JP3753729B1 (ja) | トンネル防水構造 | |
US10626613B2 (en) | Set of components for tendon encapsulation process in active anchor plate in prestressed concrete | |
KR101658738B1 (ko) |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 |
KR100932299B1 (ko) |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부분 철거와 철근 연장을 위한 매설물 장치 | |
KR101426500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KR100768779B1 (ko) | 개구부가 형성된 조립식 데크플레이트 | |
JP6365551B2 (ja) | コンクリート床版の取替え工法および取替え構造 | |
KR20110020192A (ko) | 콘크리트 타설 차단막이 | |
KR101426497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KR200444865Y1 (ko) | 관통 슬리브 마감구 | |
KR101425511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JP6545974B2 (ja) | スラブ用スリーブ材 | |
KR101270511B1 (ko) |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 |
JP6067425B2 (ja) | 床版水抜き管及び該床版水抜き管を使用する橋面排水システム施工方法 | |
KR100915629B1 (ko) |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 |
KR200197237Y1 (ko) |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 |
KR200439756Y1 (ko) | 거푸집의 폼지지콘 | |
KR101569120B1 (ko)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 |
US20220364361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loor element on a beam and beam | |
JP7572665B2 (ja) | 養生蓋及び養生蓋の設置方法 | |
JP6277343B1 (ja) | 貫通孔用スリーブ固定具 | |
KR101137961B1 (ko) | 파일 안전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