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120B1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9120B1 KR101569120B1 KR1020150001110A KR20150001110A KR101569120B1 KR 101569120 B1 KR101569120 B1 KR 101569120B1 KR 1020150001110 A KR1020150001110 A KR 1020150001110A KR 20150001110 A KR20150001110 A KR 20150001110A KR 101569120 B1 KR101569120 B1 KR 101569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plate
- concrete
- plate
- finishing
- de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시공 시 바닥면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있어 콘크리트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0)의 일측으로 개방홈(121)이 구비되어 지는 볼록부(120)가 구성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C) 타설시 상기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통해 콘크리트(C)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210)의 양측과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캡(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착탈이 용이한 마감재를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에 맞게 기성제품으로 가공한 후 필요한 수량만 현장에 반입해 작업하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요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0)의 일측으로 개방홈(121)이 구비되어 지는 볼록부(120)가 구성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C) 타설시 상기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통해 콘크리트(C)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210)의 양측과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캡(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착탈이 용이한 마감재를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에 맞게 기성제품으로 가공한 후 필요한 수량만 현장에 반입해 작업하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시공 시 바닥면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있어 콘크리트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착탈이 용이한 마감재를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에 맞게 기성제품으로 가공한 후 필요한 수량만 현장에 반입해 작업을 함으로써, 원가 절약 및 현장공기 단축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 마감재 내부로 일정한 양의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벽체, 교량 상판, 고층빌딩 등에 적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구조로서, 일반적인 건축구조물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근 구조물을 축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의 외면을 형성해 주는 거푸집(form)을 가설하고 거푸집상에 구조물 설계강도와 부합되도록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그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철근콘크리트작업은 철근을 배근하고 철근 둘레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에 양생한다. 철근콘크리트 방식은 강철의 특성과 콘크리트 특성을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건축물의 내진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
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합판 및 각재 등으로 거푸집을 가설하고 이에 철근 등의 배근작업을 수행하는 축조공사와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해체공사가 요구되므로 비교적 많은 공기가 소요되고, 특히
콘크리트 표면과 거푸집의 부착이 용이하여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 이를 분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구조물의 표면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별도의 표면마감공사가 요구되거나 거푸집 해체작업 시 거푸집 손상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자재 낭비는 물론, 폐자재에 의한 산업쓰레기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폐단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합판과 각재 등으로 가설되는데 거푸집 상에서 철근 배근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상당한 내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거푸집의 가설자체 및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의 제거에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의 사용 문제는 대략 두 가지 방향으로 개선방안이 진행되어 왔다. 한가지 방안은 거푸집 자체의 개선으로 용이한 가설이나 해체, 마감공사가 불필요한 미려한 표면형성, 큰 내구력에 의한 반복사용 등에 의한 개선이다. 또 한가지 방안으로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 즉 콘크리트의 외면 형성에 사용했던 구조물을 그대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무거푸집공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큰 굴곡단면을 가지는 데크플레이트(deck plate)를 사용해왔다.
이러한 방법은 데크플레이트를 보사이에 걸치는 것만으로 그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거푸집의 가설 및 해체작업이 필요 없고 하부의 굴곡에 전기·공고설비 등의 배선 및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며 표면 불량에 따른 별도의 마감공사가
필요없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전한 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작업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해 시공하는 방법을 요약하면, H빔으로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H빔 기둥에 가로 지지대를 H빔을 이용해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 지지대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단부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 단부는 통 플레이트를 용접해 마감처리를 해 콘크리트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통 플레이트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 단부를 마감처리 하면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워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물론 데크플레이트의 크기에 맞게 통 플레이트를 현장에서 제작하는 문제로 인해 많은 시간과 원자재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착탈이 용이한 마감재를 기성제품으로 대량 생산한 후 현장에 사용하는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에 맞게 필요한 수량만 현장에 반입해 원자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이미 제작된 마감재를 데크플레이트에 끼우는 작업으로 모든 시공이 완료되어 현장에서의 작업이 용이해 현장공기를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플에이트가 H빔에 걸치는 형태로 작업할 시 데크플레이트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요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0)의 일측으로 개방홈(121)이 구비되어지는 볼록부(120)가 구성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C) 타설시 상기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통해 콘크리트(C)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210)의 양측과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캡(200)을 구비하여서 되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00)은 내측에 수용부(231)가 형성되도록 차단판(210) 외측 전면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30)를 형성하여 데트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내측에 상기 차단판(210)이 강제 삽입되어 수용부(231)가 외측방향으로 향하며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부(230)의 바닥면(232) 전방에는 스토퍼(233)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234)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0)의 일측으로 개방홈(121)이 구비되어지는 볼록부(120)가 구성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C) 타설시 상기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통해 콘크리트(C)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210)의 양측과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캡(200)을 구비하여서 되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00)은 내측에 수용부(231)가 형성되도록 차단판(210) 외측 전면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30)를 형성하여 데트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내측에 상기 차단판(210)이 강제 삽입되어 수용부(231)가 외측방향으로 향하며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부(230)의 바닥면(232) 전방에는 스토퍼(233)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234)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를 제공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착탈이 용이한 마감재를 데크플레이트의 규격에 맞게 기성제품으로 가공한 후 필요한 수량만 현장에 반입해 작업을 함으로써, 원가 절약 및 현장공기 단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감재에 수용부를 형성해 그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삽입된 후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걸치는 형태로 작업할 시 데크플레이트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의 마감캡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의 마감캡 저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에 마감캡이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에 마감캡이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를 H빔에 거치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 및 11은 도 8의 마감캡을 데크플레이트에 체결하는 작업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12는 발명에 있어 또 다른 실시 예인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의 마감캡 저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에 마감캡이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에 마감캡이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를 H빔에 거치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 및 11은 도 8의 마감캡을 데크플레이트에 체결하는 작업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12는 발명에 있어 또 다른 실시 예인 마감캡이 끼워진 데크플레이트가 H빔에 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 시공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에 마감캡(200)을 체결해 데크플레이트(100)에 콘크리트(C)를 타설 시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홈(111)이 형성된 오목부(110)와 개방홈(121)이 형성된 볼록부(120)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건축 시공시 바닥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데크플레이트(100)를 H빔(H)에 거치한 후 그 상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해 기본적인 바닥면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데 있어 오목부(110)의 요홈(111)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동시에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으로 콘크리트(C)가 유입되어 아래로 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C)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의 통 플레이트를 데크플레이트(100) 단부에 용접 등을 통해 마감하거나 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서로 교차시키는 방법으로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는 것으로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를 마감처리 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 즉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감캡(200)을 별도로 구비해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에 끼우는 방식으로 마감처리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마감캡(200)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막기 위한 차단판(210)이 개방홈(121)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210)의 양측면과 상단에는 체결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220)에 의해 마감캡(200)이 볼록부(120)의 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220)의 구성은 차단판(210)의 양측과 상단에 형성되는 단턱(221)과, 상기 단턱(221)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평면(222)과, 상기 평면(222)에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면(223)과, 상기 절곡면(223)에 의해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홈(22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결부(220)가 볼록부(120) 단부에 체결되는 것은 첨부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판(210)이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커버하고 볼록부(120)의 단부 3개면은 체결부(220)의 체결홈(224)에 끼워져, 결과적으로 마감캡(200)이 볼록부(120) 단부에 체결된 상태가 되어 개방홈(121)이 차단되면서 콘크리트(C) 타설시 개방홈(121)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결부(220)에 의해 데크플레이트(100)의 내구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는 체결부(220)의 단턱(221)및 절곡면(223)에 의해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데크플레이트(100)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면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볼록부(120)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부(220)에 의해 마감캡(200)이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 외측에 체결되면서 콘크리트(C) 타설 시 강한 압력이 발생해도 마감캡(200)이 볼록부(120)의 개방홈(121)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해 건축 바닥면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H빔(H)으로 기둥 공사를 하고, 기둥 공사가 마무리되면 가로 지지대를 설치해 철골 골조공사를 한 후 바닥부에 설치되는 가로 지지대의 상면에 데코플레이트(100)를 거치하는데, 이때 상기 데코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개방홈(121)은 마감캡(200)에 의해 마감된 상태에서 데코플레이트(100)를 H빔(H)에 거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데코플레이트(100)를 거치한 후 별도의 마감 작업을 하지 않고 바로 콘크리트(C) 타설 시공을 할 수 있어 작업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여기서 H빔(H)에 데코플레이트(100)를 거치하는 데 있어 데코플레이트(100)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데코플레이트(100)를 거치할 수 있어 데코플레이트(100)의 원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데코플레이트(100)의 단부가 마감된 상태에서 H빔(H)에 거치 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해 바닥면 시공을 하게 되는데 이때 데코플레이트(100)의 단부는 마감캡(200)에 의해 처리되어 콘크리트(C)가 새는 것을 방지했지만 데코플레이트(100)의 최 외곽은 별도의 거푸집 형태의 차단부재가 구비되어 시공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마감캡(2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마감캡(200)은 내측에 수용부(231)가 형성되도록 차단판(210) 외측 전면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30)를 형성하여 데트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내측에 강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부(230)의 바닥면(232) 전방에는 스토퍼(233)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234)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감캡(200)을 데크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내측에 강제로 삽입해 콘크리트(C) 타설시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232)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233)는 마감캡(200)을 강제로 삽입하는 데 있어 볼록부(120) 내측으로 일정부분 삽입된 후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상면(234) 또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진 형태 즉 전방은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면(234)이 데크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내측으로 삽입되는 데 있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2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231)로는 콘크리트(C) 타설시 콘크리트(C)가 유입되어 지는데, 이로 인해 마감캡(200)의 수용부(231)에 콘크리트(C)가 유입되어 굳어지면서 마감캡(200)이 단순히 데크플레이트(C)의 마감재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데크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보강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첨부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0)가 H빔(H)에 걸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데 데크플레이트(100)의 끝단부를 마감캡(20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데크플레이트 110; 오목부
111; 요홈 120; 볼록부
121; 개방홈 C ; 콘크리트
H ; H빔 200; 마감캡
210; 차단판 220; 체결부
221; 단턱 222; 평면
223; 절곡면 224; 체결홈
230; 삽입부 231; 수용부
232; 바닥면 233; 스토퍼
234; 상면
111; 요홈 120; 볼록부
121; 개방홈 C ; 콘크리트
H ; H빔 200; 마감캡
210; 차단판 220; 체결부
221; 단턱 222; 평면
223; 절곡면 224; 체결홈
230; 삽입부 231; 수용부
232; 바닥면 233; 스토퍼
234; 상면
Claims (3)
- 삭제
- 삭제
- 요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0)의 일측으로 개방홈(121)이 구비되어지는 볼록부(120)가 구성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C) 타설시 상기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통해 콘크리트(C)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개방홈(121)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210)의 양측과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100) 볼록부(120)의 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캡(200)을 구비하여서 되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00)은 내측에 수용부(231)가 형성되도록 차단판(210) 외측 전면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30)를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100)의 볼록부(120) 내측에 상기 차단판(210)이 강제 삽입되어 수용부(231)가 외측방향으로 향하며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부(230)의 바닥면(232) 전방에는 스토퍼(233)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234)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110A KR101569120B1 (ko) | 2015-01-06 | 2015-01-06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110A KR101569120B1 (ko) | 2015-01-06 | 2015-01-06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9120B1 true KR101569120B1 (ko) | 2015-11-23 |
Family
ID=5484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1110A KR101569120B1 (ko) | 2015-01-06 | 2015-01-06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912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8190B2 (ja) * | 1995-07-11 | 2000-04-04 | 株式会社クラウン・パッケージ | 紙材製箱体 |
JP2001193208A (ja) | 2000-01-13 | 2001-07-17 | Fukuichi Itani | デッキプレーのコンクリート止め部材 |
KR101241658B1 (ko) | 2012-08-16 | 2013-03-11 | 정종호 | 데크플레이트용 커버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1110A patent/KR1015691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8190B2 (ja) * | 1995-07-11 | 2000-04-04 | 株式会社クラウン・パッケージ | 紙材製箱体 |
JP2001193208A (ja) | 2000-01-13 | 2001-07-17 | Fukuichi Itani | デッキプレーのコンクリート止め部材 |
KR101241658B1 (ko) | 2012-08-16 | 2013-03-11 | 정종호 | 데크플레이트용 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3719B1 (ko) |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 |
KR101893218B1 (ko) |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 |
KR20150002463U (ko) |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 |
KR100573515B1 (ko) |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 |
KR101508960B1 (ko) |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 |
KR101569120B1 (ko) | 데크플레이트용 단부 마감재 | |
KR102621195B1 (ko) | 생산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이중벽 구조물 | |
KR20170138603A (ko) | Pc 조인트 거푸집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및 거더 간 거푸집 설치공법 | |
US20160060885A1 (en) | Support bracket and method for temporary guard railing | |
KR200408443Y1 (ko) |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 |
KR102105771B1 (ko) | 거푸집 일체형 지수재 | |
US11105104B2 (en) |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vertical wall sections that include connection reinforcement elements for a floor | |
KR101396371B1 (ko) | 거푸집 부력방지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측구 거푸집구조,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 |
KR100612938B1 (ko) |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626326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 |
CN110861190A (zh) | 一种用于放置空调外机的构件及施工方法 | |
KR20140130808A (ko) |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 |
KR200439756Y1 (ko) | 거푸집의 폼지지콘 | |
KR101524725B1 (ko) | 취수 구조물 벽면 보수 방법 | |
KR101705264B1 (ko) |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 |
KR20180075447A (ko) | 건물의 외벽체 또는 바닥면 보수방법 | |
KR100673824B1 (ko) | 일측면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벽체거푸집 설치구조 및외벽체 시공방법 | |
KR102187755B1 (ko) | 층간조인트 크랙 방지 방법 | |
KR200353773Y1 (ko) |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시스템 | |
KR101413551B1 (ko) |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