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351B1 - 문지방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문지방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351B1
KR101480351B1 KR20130063925A KR20130063925A KR101480351B1 KR 101480351 B1 KR101480351 B1 KR 101480351B1 KR 20130063925 A KR20130063925 A KR 20130063925A KR 20130063925 A KR20130063925 A KR 20130063925A KR 101480351 B1 KR101480351 B1 KR 10148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flap portion
present
support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776A (ko
Inventor
이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Priority to KR2013006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지방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와 플랩부를 포함한다. 플랩부는 몸체부의 경사면에서 돌출되어 수직면을 넘어가도록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랩부의 끝단에는 부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문지방 옆에 설치될 때 플랩부가 문지방의 높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게 되어 별도의 보조수단 없이도 어떤 높이의 문지방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플랩부가 문지방과 몸체부 사이의 틈을 막아주므로 문지방과 문지방용 받침대 사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지방용 받침대 {Support for threshold}
본 발명은 문지방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의 경사면에서 돌출되어 수직면을 넘어가도록 형성된 플랩부를 구비하여, 문지방과 몸체부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으며 문지방의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문지방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사무실 등 사람이 거주하는 곳에는 필요에 따라 문을 설치한다. 문을 설치할 때는 일반적으로 문 밑의 두 문설주 사이에 바닥보다 조금 높게 가로로 댄 나무를 놓는다. 이를 문지방 또는 문턱이라고 한다. 이러한 문지방에 의해 문과 바닥 사이의 공간을 막아 외부 공기의 유입을 막고, 내부의 소리가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지방에 의해 아이들이나 노인들이 걸려 넘어지기도 하고, 휠체어 등의 이동에 불편이 있으며, 청소기나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장치가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본공개실용신안 제1995-34130호에서는, 도 1과 같은 문지방용 슬로프대를 제안하였다. 이에 따른 문지방용 슬로프대는 수직면(1a), 저면(2a), 경사면(3a)을 형성한다. 경사면(3a)은 수직면(1a)의 위쪽에서 전방을 향해 하강한다. 경사면(3a) 및 저면(2a)에는 홈, 돌조(4), 돌기, 매직 테이프 등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지방용 슬로프대는 문지방의 높이에 따라 수직면(1a)의 높이를 다르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지방과 슬로프대 사이의 틈에 먼지가 유입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물론 일본공개실용신안 제1995-34130호에서도 높이 조절을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슬릿(10)을 이용한다거나 보조판자(16)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이 불편하며, 문지방과 슬로프대 사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지방의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문지방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지방과 문지방용 받침대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문지방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는 몸체부 및 플랩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바닥면,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세워진 수직면, 수직면의 상단에서 바닥면을 향해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다. 플랩부는 경사면에서 돌출되어 끝단이 수직면을 넘어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는 끝단에 부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부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는 가로 방향으로 미세한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는 몸체부와 연결되어 플랩부를 몸체부 방향으로 당겨준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경사면에서 돌출되어 수직면을 넘어가도록 플랩부가 유연하게 형성되어, 문지방 옆에 설치할 때 플랩부가 문지방의 높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수단 없이도 어떤 높이의 문지방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지방 옆에 설치할 때 플랩부가 문지방과 몸체부 사이의 틈을 막아주므로 문지방과 문지방용 받침대 사이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지방용 슬로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문지방용 슬로프대가 높이 조절을 위한 보조 수단을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를 문지방 옆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문지방의 높이에 따라 플랩부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의 끝단에 부착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에 가로 방향으로 미세한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가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를 문지방 옆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문지방의 높이에 따라 플랩부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1000)는 몸체부(1100) 및 플랩부(120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0)와 플랩부(1200)는 압출로 제작할 수 있다.
몸체부(1100)는 바닥면(1110), 수직면(1120), 경사면(1130)을 구비한다. 몸체부(1100)를 설치되는 곳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닥면(1100)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접착테이프는 양면 테이프가 될 수 있다.
수직면(1120)은 바닥면(1110)에서 상측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수직면(1120)은 문지방용 받침대(1000)가 문지방(100) 옆에 설치될 때 문지방(100)과 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직면(1200)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문지방용 받침대(1000) 설치시 수직면(1120)이 문지방(100)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경사면(1130)은 수직면(1120)의 상단에서 바닥면(1110)을 향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1110), 수직면(1120), 경사면(1130)에 의해 몸체부(1100)의 측면이 삼각형 형상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랩부(1200)는 몸체부(1100)의 경사면(1130)에서 돌출되어 끝단(1210)이 수직면(1120)을 넘어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랩부(1200)의 측면은 경사면(1130)의 제1 지점(1131)에서 시작되는 제1 곡면(1220)과 제2 지점(1132)에서 시작되는 제2 곡면(1230)이 끝단(1210)에서 만나는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플랩부(1200)의 가로 방향 길이는 경사면(113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부(1200)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플랩부(1200)가 유연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연질을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플랩부(1200)의 측면이 제1 곡면(1220)과 제2 곡면(1230)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플랩부(1200)가 유연성을 갖도록 한다.
플랩부(1200)의 끝단(1210)이 수직면(1120)을 넘어가도록 형성되므로, 문지방용 받침대(1000)가 문지방(100) 옆에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부(1200)의 끝단(1210)이 문지방(100)의 상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문지방(100)과 문지방용 받침대(1000) 사이의 틈을 플랩부(1200)가 막아준다. 이로 인해 문지방(100)과 문지방용 받침대(1000)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들어가는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문지방용 받침대(10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1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100)의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플랩부(1200)가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능하다.
문지방(10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0)의 수직면(1120)을 넘어가도록 형성된 플랩부(1200)의 끝단이 자연스럽게 문지방(100)의 상측면과 접하게 된다. 문지방(1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부(1200)가 유연하게 움직여 문지방(100)의 높이를 맞추게 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1000)는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보조수단 없이도 어떤 높이의 문지방(100)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1000)는 문지방(100)의 높이에 따라 몸체부(1100)의 높이를 다르게 만들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의 끝단에 부착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2000)는 플랩부(2200)의 끝단에 부착면(2210)이 형성된다. 즉, 제1 곡면(2220)과 제2 곡면(2230)의 끝단이 하나의 점에서 만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부착면(2210)이 형성되면 문지방용 받침대(2000)가 문지방에 설치될 때 부착면(2210)이 문지방의 상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플랩부(2200)가 안정적으로 문지방과 접하게 되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도 플랩부(2200)가 덜 움직이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착면(2210)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문지방용 받침대(2000)가 문지방에 설치될 때 플랩부(2200)의 부착면(2210)이 문지방의 상측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도 플랩부(220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에 가로 방향으로 미세한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3000)는 플랩부(3200)에 가로 방향으로 미세한 구멍(3210)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미세한 구멍(3210)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문지방용 받침대(3000)가 문지방(100) 옆에 설치되면 플랩부(3200)가 문지방(100)과 몸체부(3100) 사이의 틈을 막으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플랩부(3200)를 밟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때 플랩부(3200)에 미세한 구멍(3210)을 관통하여 형성시키면, 미세한 구멍(3210)이 완충 역할을 하여 플랩부(3200)를 밟는 사람이 푹신한 느낌을 받게 된다. 또한 미세한 구멍(3210)은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충격이 문지방(100)이나 몸체부(3100)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준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세한 구멍(3210)의 양단을 막아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밀폐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랩부(3200)를 형성한 재질과는 다른 재질로 미세한 구멍(3210)을 채울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플랩부가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4000)의 플랩부(4200)는 탄성부(4210)를 구비한다. 탄성부(4210)는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된다. 탄성부(4210)는 플랩부(4200)와 몸체부(4100)를 연결하여, 플랩부(4200)를 몸체부(4100) 방향으로 당겨준다.
문지방용 받침대(4000)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100) 옆에 설치될 때 문지방(100)의 높이에 따라 플랩부(4200)가 몸체부(4100)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플랩부(4200)가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문지방(100)의 높이에 따라 플랩부(4200)가 문지방(100)에 완전히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플랩부(4200)가 문지방(100)과 완전히 접하지 않고 틈이 생기면, 그 틈으로 먼지 등이 들어갈 수 있다. 탄성부(4210)는 플랩부(4200)를 몸체부(4100)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설치시 플랩부(4200)를 문지방(100)에 완전히 접하도록 한다. 따라서 플랩부(4200)와 문지방(100)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용 받침대(5000)는 경사면(5130)이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제1 경사면(5130a)과 제2 경사면(5130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경사면(5130a)은 제2 경사면(5130b)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플랩부(5200)는 제1 경사면(5130a)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 경사면(5130a)과 제2 경사면(5130b)의 경계에서 돌출된다. 이 때 플랩부(5200)의 제2 곡면(5230)이 제2 경사면(5130b)과 경사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문지방용 받침대(5000)가 문지방 옆에 설치될 때 제2 경사면(5130b)과 플랩부(5200)의 경계에서 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지방용 받침대(6000)의 경사면(6130)에 플랩부(6200)가 돌출되는 플랩부 돌출면(6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경사면(6130)은 제1 경사면(6130a)과 제2 경사면(6130b)을 구비하는데, 제1 경사면(6130a)과 제2 경사면(6130b)은 경사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플랩부(6200)는 플랩부 돌출면(614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플랩부 돌출면(6140)과 제2 경사면(6130b)의 경계에서 돌출된다. 이 때 플랩부(6200)의 제2 곡면(6230)이 제2 경사면(6130b)과 경사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문지방용 받침대(6000)가 문지방 옆에 설치될 때 제2 경사면(6130b)과 플랩부(6200)의 경계에서 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문지방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 문지방용 지지대
1100, 2100, 3100, 4100, 5100, 6100 : 몸체부
1110: 바닥면 1120 : 수직면
1130, 5130, 6130 : 경사면 1131 : 제1 지점
1132 : 제2 지점
1200, 2200, 3200, 4200, 5200, 6200 : 플랩부
1210 : 끝단 1220 : 제1 곡면
1230 : 제2 곡면 2210 : 부착면
3210 : 구멍 4210 : 탄성부
5130a, 6130a : 제1 경사면 5130b, 6130b : 제2 경사면
6140 : 플랩부 돌출면

Claims (6)

  1.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세워진 수직면,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경사면에서 돌출되어 끝단이 상기 수직면을 넘어가도록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랩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랩부의 저면에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랩부를 몸체부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지방용 받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끝단에 부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지방용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지방용 받침대.
  5. 삭제
  6. 삭제
KR20130063925A 2013-06-04 2013-06-04 문지방용 받침대 KR10148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925A KR101480351B1 (ko) 2013-06-04 2013-06-04 문지방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925A KR101480351B1 (ko) 2013-06-04 2013-06-04 문지방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76A KR20140142776A (ko) 2014-12-15
KR101480351B1 true KR101480351B1 (ko) 2015-01-12

Family

ID=5246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925A KR101480351B1 (ko) 2013-06-04 2013-06-04 문지방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8367B (zh) * 2017-08-18 2019-06-07 陈烁 楼梯台阶间垫块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88U (ko) * 1979-07-05 1981-01-29
JPH0734130U (ja) * 1993-12-08 1995-06-23 学 早瀬 敷居用スロープ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88U (ko) * 1979-07-05 1981-01-29
JPH0734130U (ja) * 1993-12-08 1995-06-23 学 早瀬 敷居用スロープ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76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224366T4 (da) Samlingsbroslagningsorgan
KR101480351B1 (ko) 문지방용 받침대
US9376844B2 (en) Gliding doorstop
KR20130118136A (ko) 문턱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JP4246896B2 (ja) 天井見切縁
ATE245919T1 (de) Wandanschlussleiste
CA2505357A1 (en) Floor bracket
KR101602324B1 (ko) 걸레받이
KR100986118B1 (ko) 창문용 이탈방지기구
JP4321465B2 (ja) 外召し合せ框用振れ止め具
KR200204927Y1 (ko) 방충망 틀체 고정구
KR101834976B1 (ko)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KR102130424B1 (ko) 풍지판
KR101955653B1 (ko) 창문용 풍지판
JP2010071030A (ja) 階段のコーナ部材
JP2010070944A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KR200400794Y1 (ko) 승강문짝 하단의 방풍패킹
JP3182292U (ja) 高さ調整装置
JP2018139782A (ja) 主スロープ部材の接地補助部材又はかかり補助部材
KR20240065010A (ko) 위생적이면서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방풍 구조
JPH06146700A (ja) スライドドア構造
JPH11247547A (ja) すきまシャッター
JP2022014699A (ja) シャッタ板の風圧変形抑制具
JP2015128512A (ja) 車用カーテン押え
JP2020527204A (ja) ドロップダウン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