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976B1 -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 Google Patents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976B1
KR101834976B1 KR1020150108203A KR20150108203A KR101834976B1 KR 101834976 B1 KR101834976 B1 KR 101834976B1 KR 1020150108203 A KR1020150108203 A KR 1020150108203A KR 20150108203 A KR20150108203 A KR 20150108203A KR 101834976 B1 KR101834976 B1 KR 10183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le
magnet
slider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572A (ko
Inventor
최묵선
Original Assignee
최묵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묵선 filed Critical 최묵선
Priority to KR102015010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9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스윙도어의 하단의 틈새를 차단하거나 미닫이문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을 얻기 위한 것인 바,
문짝 하단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개방되며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에 좌우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N극과 S극 N극으로 배열된 상부 자석이 결합된 좌우 슬라이더;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상부 자석과 대칭되도록 S극과 N극 S극으로 이루어진 하부 자석이 결합된 상하 슬라이더; 상기 상하 슬라이더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개방되어 출입하면서 바닥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고무 팬스; 상기 좌우 슬라이더가 위치한 높이에 홈통이 돌출된 마개; 상기 마개의 홈통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 중 일측 단부는 상기 홈통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홈통을 출입하면서 문틀과 밀착되도록 둥근머리가 형성된 핀; 및 상기 홈통에 끼워지고 상기 핀에 걸린 상태로 압축되도록 형성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더는 하부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하부 자석을 밀착하도록 'ㄷ'형 고정핀으로 전후방을 고정하고, 측면은 고정턱이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탈착이 편리하도록 달성하였다.

Description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SHUTTER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 스윙도어의 하단의 틈새를 차단하거나 미닫이문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 설치되는 출입문은 문짝과 문틀로 구성되는데, 최근 문틀은 바닥에 마루로 시공하기 때문에 턱이 생기지 않도록 좌우와 상단에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문짝을 닫았을 때 문틀의 턱이 문짝의 좌우단과 상단의 테두리에만 밀착되기 때문에 문짝의 하단과 바닥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통해 소리가 전달되는문제점과 에너지 손실이 있었다.
또한 미닫이문, 레일도어, 접이식 동어, 스윙도어 등에 생기는 틈새를 차단해주므로 외부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먼지 또는 벌레 등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방음단열셧터가 필요하였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10-2010-0050637(2010.05.14)
본 발명은 출입문의 도어와 문틀 또는 바닥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통해 소리가 전달되기 때문에 방음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와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 슬라이더는 하부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를 형성하고 탈부착이 편리하도록 'ㄷ'형 고정핀을 장착하여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문짝 하단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개방되며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에 좌우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N극과 S극 N극으로 배열된 상부 자석이 결합된 좌우 슬라이더;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상부 자석과 대칭되도록 S극과 N극 S극으로 이루어진 하부 자석이 결합된 상하 슬라이더; 상기 상하 슬라이더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개방되어 출입하면서 바닥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고무 팬스; 상기 좌우 슬라이더가 위치한 높이에 홈통이 돌출된 마개; 상기 마개의 홈통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 중 일측 단부는 상기 홈통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홈통을 출입하면서 문틀과 밀착되도록 둥근머리가 형성된 핀; 및 상기 홈통에 끼워지고 상기 핀에 걸린 상태로 압축되도록 형성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더는 하부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하부 자석을 밀착하도록 'ㄷ'형 고정핀으로 전후방을 고정하고, 측면은 고정턱이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탈착이 편리하도록 형성하여 달성하였으며, 바닦과 문짝 하단의 높낮이 조절이 필요없이 작동하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출입문용 방음장치에 의하면 출입문을 닫았을 때 문짝 하단으로부터 고무 팬스가 돌출되면서 바닥 사이에 틈을 막고, 문을 열면 상기 고무 팬스가 올라가 바닥 사이에 틈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방음이 뛰어나고 출입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출입문용 방음장치에 의하면 고무 팬스의 출입이 더욱 원활하고, 민첩하게 고무 팬스의 하단과 바닥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적용된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
도.
도 2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의 'ㄷ'형 고정핀의 장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이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의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의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도어 고정브라켓의 결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스윙도어, 미닫이도어, 레일 도어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문틀과 도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는 문짝 하단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개방되며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130)에 좌우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N극과 S극 N극으로 배열된 상부 석(110)이 결합된 좌우 슬라이더(120);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130)과 하부 걸림턱(14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상부 자석(110)과 대칭되도록 S극과 N극 S극으로 이루어진 하부 자석(150)이 결합된 상하 슬라이더(160); 상기 상하 슬라이더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개방되어 출입하면서 바닥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고무 팬스(170); 상기 좌우 슬라이더가 위치한 높이에 홈통이 돌출된 마개(180); 상기 마개의 홈통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 중 일측 단부는 상기 홈통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홈통을 출입하면서 문틀과 밀착되도록 둥근머리가 형성된 핀(190); 및 상기 홈통에 끼워지도록 형성한 스프링(200);으로 구성된 것을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더(160)는 하부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21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하부 자석을 밀착하도록 'ㄷ'형 고정핀(220)으로 전후방을 고정하고, 측면은 고정턱(230)이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탈착이 편리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N극과 S극 N극의 상부 자석와 S극과 N극 S극의 하부 자석을 배열하여 상기 상부 자석을 한쪽으로 이동시키면 같은 극 끼리는 서로 미는 척력과 다른 극끼리 달기는 인력을 이용하여 상하 슬라이더를 하부로 밀어내리거나 위로 당겨지도록 형성하였다. 즉 인력을 서로 다른 극으로 끌어주는 힘과 척력은 서로 같은 극으로 밀어내는 힘을 이용한 특징이 있습니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자석의 이탈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작시 탈착이 편리하도록 상기 상하 슬라이더(160)는 하부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21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하부 자석을 밀착하도록 'ㄷ'형 고정핀(220)으로 전후방을 고정하고, 측면은 고정턱(230)이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탈착이 편리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시에 관통구에 'ㄷ'형 고정핀(220)을 끼워서 결합한 특징이 있습니다. 상기 'ㄷ'형 고정핀(220)는 탄성이 있어 충격에도 쉽게 자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상하 슬라이더(160)의 상부에는 본체의 상부 걸림턱(13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마찰소음과 자석과 자석이 접착시 손상을 줄이도록 완충패드(280)가 상하 슬라이더(160)에 장착한 특징이 있다. 상기 완충패드(280)는 중앙에 공기층이 형성된 관통홀(240)과 상부에는 돌출된 상부 큰날개(250)와, 하부에는 작은 날개(260)를 형성하고 중앙의 하부면에는 가이드돌기(27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어에 레일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도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레일이 형성된 도어는 문틀과 틈새가 많이 발생되어 방음과 단열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바닦경사면에 밀착도가 떨어지고 대부분 평철형태의 스링링구조로 제작되어 평철스프링에 피로가 쌓여 끊어 모순된 구조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레일이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본체(100)는 레일에 사용할 수 있는 도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에 돌출된 레일공간 브라켓(300)이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는 미닫이 도어 또는 접이식 도어에 사용하여 소음을 차단하고 특히 틈새로 인한 먼지의 내부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단열을 높일 수 있도록 도어의 하부측면에 탈부착이 편리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본체(100)는 도어의 외부에 돌출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도어 고정브라켓(380)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고정브라켓은 상부끼움홈(310)과 측면키움홈(320)을 형성하고 내부면에는 피스장착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끼움홈과 측면키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상부돌기(340)와 측면돌기(350)가 형성되고 좌우측면에 장착구(360)가 형성된 측면커버(370)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외부에 장착이 편리하도록 본체의 상부에 도어 고정브라켓(380)을 형성하여 도어에 장착이 편리하고, 외부에서 쉽게 탈부착이 편리하도록 상부끼움홈(310)과 측면키움홈(320)을 형성하고 내부면에는 피스장착구(330)가 형성하였다. 상기 상부끼움홈과 측면키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상부돌기(340)와 측면돌기(350)가 형성되고 좌우측면에 장착구(360)가 형성된 측면커버(370)로 결합하였다.
100: 본체 110: 상부자석
120: 좌우슬라이더 130: 상부걸림턱
140: 하부걸림턱 150: 하부자석
160: 상하 슬라이더 170: 고무팬스
180: 마개 190: 핀
210: 관통구 220: 고정핀
230: 고정턱 300: 레일공간 브라켓
310: 상부 끼움홈 320: 측면 끼움홈
330: 고정피스구 340: 상부돌기
380: 도어 고정브라켓

Claims (5)

  1. 문짝 하단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개방되며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130)에 좌우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N극과 S극 N극으로 배열된 상부 자석(110)이 결합된 좌우 슬라이더(120); 상기 본체의 상부 걸림턱(130)과 하부 걸림턱(14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상부 자석(110)과 대칭되도록 S극과 N극으로 이루어진 하부 자석(150)이 결합된 상하 슬라이더(160); 상기 상하 슬라이더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개방되어 출입하면서 바닥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고무 팬스(170); 상기 좌우 슬라이더가 위치한 높이에 홈통이 돌출된 마개(180); 상기 마개의 홈통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 중 일측 단부는 상기 홈통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 슬라이더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홈통을 출입하면서 문틀과 밀착되도록 둥근머리가 형성된 핀(190); 및 상기 홈통에 끼워지고 상기 둥근머리에 걸린 상태로 압축된 스프링(200);으로 구성된 것을 도어용 방음단열 셧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더(160)는 하부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21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하부 자석을 밀착하도록 'ㄷ'형 고정핀(220)으로 전후방을 고정하고, 측면은 고정턱(230)이 밀착하도록 고정하여 탈착이 편리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하 슬라이더(160)의 상부에는 본체의 상부 걸림턱(13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마찰소음과 자석과 자석이 접착시 손상을 줄이도록 형성하되 중앙에 공기층이 형성된 관통홀(240)과 상부에는 돌출된 상부 큰날개(250)와, 하부에는 작은 날개(260)를 형성하고 중앙의 하부면에는 가이드돌기(270)포함한 완충패드(2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레일에 사용할 수 있는 도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에 돌출된 레일공간 브라켓(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도어의 외부에 돌출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도어 고정브라켓(380)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고정브라켓은 상부끼움홈(310)과 측면키움홈(320)을 형성하고 내부면에는 피스장착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끼움홈과 측면키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상부돌기(340)와 측면돌기(350)가 형성되고 좌우측면에 장착구(360)가 형성된 측면커버(3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KR1020150108203A 2015-07-30 2015-07-30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KR10183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203A KR101834976B1 (ko) 2015-07-30 2015-07-30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203A KR101834976B1 (ko) 2015-07-30 2015-07-30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72A KR20170014572A (ko) 2017-02-08
KR101834976B1 true KR101834976B1 (ko) 2018-03-09

Family

ID=5815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203A KR101834976B1 (ko) 2015-07-30 2015-07-30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324A (zh) * 2019-01-11 2019-03-08 江苏赛迪乐节能科技有限公司 能防止百叶帘下溜的双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87Y1 (ko) 1999-03-13 2000-02-15 주식회사라미우드 자석판을 이용한 도어 하단부 차단장치
KR200230736Y1 (ko) 2001-02-14 2001-07-19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하부문틀이 없는 도어의 바닥면 밀폐장치
KR200302204Y1 (ko) 2002-10-18 2003-01-30 박주휘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KR200421506Y1 (ko) * 2006-04-21 2006-07-13 배식한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37A (ko) 2008-11-06 2010-05-14 최원겸 출입문용 방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87Y1 (ko) 1999-03-13 2000-02-15 주식회사라미우드 자석판을 이용한 도어 하단부 차단장치
KR200230736Y1 (ko) 2001-02-14 2001-07-19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하부문틀이 없는 도어의 바닥면 밀폐장치
KR200302204Y1 (ko) 2002-10-18 2003-01-30 박주휘 출입문의 바닥 및 문틀 틈새 차폐장치
KR200421506Y1 (ko) * 2006-04-21 2006-07-13 배식한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72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559B1 (ko) 창문의 밀폐장치
KR101055107B1 (ko) 포켓 도어
KR101834976B1 (ko) 도어용 방음단열 바텀셧터
KR20190041628A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200473772Y1 (ko) 도어의 틈새 기밀유지장치
KR200459265Y1 (ko) 방충망 개폐장치
KR10148466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 부재
KR20130118136A (ko) 문턱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WO201420789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
KR10123535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KR101722060B1 (ko) 미닫이 창호의 레일 방풍장치
KR101055632B1 (ko) 창문 연결 장치
KR20220000287U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101904636B1 (ko) 도어용 보조잠금장치
KR20100050637A (ko) 출입문용 방음장치
KR101236979B1 (ko)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200382025Y1 (ko) 도어의 안전부재
KR101464606B1 (ko) 창호의 승강식 기밀장치
KR101955653B1 (ko) 창문용 풍지판
KR101488975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톱퍼
JP2571205Y2 (ja) 開口枠と建具との気密装置
KR100737575B1 (ko) 차량용 쿼터글래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