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213B1 -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213B1
KR101480213B1 KR20130003821A KR20130003821A KR101480213B1 KR 101480213 B1 KR101480213 B1 KR 101480213B1 KR 20130003821 A KR20130003821 A KR 20130003821A KR 20130003821 A KR20130003821 A KR 20130003821A KR 101480213 B1 KR101480213 B1 KR 10148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resent
plant
bellflower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855A (ko
Inventor
우선희
김학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0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2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6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26Campanulace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4Suga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8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생장조절물질, 무기영양소, 탄소원, 비타민 및 교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부정근 유도용 배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를 이용하여 도라지 절편체를 배양할 경우, 기존 기본 조성물에 비해 높은 부정근 형성을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는 도라지를 대량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Medium composition for adventitous roots induction in platycodon grandiflorum}
본 발명은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생장조절물질, 무기영양소, 탄소원, 비타민 및 교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부정근 유도용 배지에 관한 것이다.
도라지 (Platycodi Radix)는 동아시아지역에 자생 혹은 재배되고 있는 초롱꽃과 (Campanulaceae) 도라지속(Platycodon)에 속하는 유일한 다년생 식물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의 뿌리를 일컫고 생약명으로는 길경 (桔梗)이라고 한다.
도라지의 함유 성분으로는 탄수화물(당)이 90 % 이상을 차지하고 단백질이 2.4 %, 지질 0.1 % 그리고 회분이 1.5 % 정도 존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 외에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triterpenoid saponin) [플라티코딘 (platycodin) A, C, D, D2, 폴리갈라신 (polygalacin) D, D2 등 24 종류가 보고되고 있음]이 약 2% 정도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사포닌 성분들은 도라지의 다양한 약리 효능의 유효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 밖에도 도라지에는 α-스피나스테롤 (α-spinasterol), Δ7-스티그마스테롤 (Δ7-stigmasterol), α-스피나스테릴-β-D-글루코사이드 (α-spinasteryl-β-D-glucoside) 등 스테로이드 (steroid) 화합물이 약 0.03 % 정도 함유되어 있다.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 설탕, 케스토스 등 이당류 혹은 삼당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눌린(inulin), 플라티코디닌 (platycodinin) (과당 10분자 정도의 다당류) 등의 다당류가 보고되고 있다.
한방에서 길경의 효능은 동의보감 (東醫寶鑑), 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 본초강목 (本草綱目), 천금익방 (天金翼方) 등 다수의 본초서 또는 한의학서에 나타난 길경의 약리작용 및 응용사례를 종합하여 보면 유소독 (有小毒), 혹무독 (或無毒), 이오등 (利五藤), 온중 (溫中), 보혈기 (補血氣), 하충독 (下蟲毒), 소담 (消痰), 배농 (排膿), 보허 (補虛), 양혈 (養血), 제사 (除邪), 하기 (下氣), 관흉 (寬胸), 이장 (利腸), 청폐 (淸肺), 지수 (止嗽), 청열 (淸熱), 통란 (通亂), 이무 (利霧) 등이 기재되어 있고, 복만장명 (腹滿腸鳴), 경계기 (驚悸氣), 흉협통 (胸脇痛), 한열 (寒熱), 풍비 (風痺), 해역 (咳逆), 심복통(心腹痛), 하리 (下痢), 전근 (轉筋), 소아열 (小兒熱), 폐기촉 (肺氣促), 담연 (淡筵), 오로칠상 (五勞七傷), 폐옹 (肺癰), 후비비 (喉痺鼻), 한구 (寒嘔), 구설창 (口舌瘡), 적목종통 (赤目腫痛), 흉폐체기 (胸肺滯氣), 탁타종농 (濁唾腫膿) 등의 증상에 활용하였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현대 의학적인 관점에서 연구된 도라지의 약리 효능으로는 뇌신경세포 보호효과 (문헌 [Yoo Ki-Yeon et al., Neurosci. lett. 444(1), 97-101 (2008)]참고), 항 비만효과 (문헌 [Zhao, H. L. et al., J. Food. Sci.73(8), H195-H200, (2008)]참고), 간기능 보호 효과 (문헌 [Lee, K.J.et al., Toxicol. Lett. 147, 271-282,(2004)]참고), 면역기능 조절 활성 (문헌 [Ahn, K.S. et al., Life Sci. 76, 2315-2328, (2005)] 참고) 및 세포 독성 (문헌 [Lee, Kyung Jin et al., Food Chem. Toxicol. 46(5), 1778-1785 (2008); Zhang, Lin et al.,Molecules 12(4), 832-841, (2007)]참고) 등이 보고되고 있다.
한편 식물조직배양기술은 식물의 세포 및 기관을 연중 균일하게 대량생산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Lee et al.,2008, Kor. J. Hort. Sci. Technol. 26:306-312). 그러므로 균일한 품질관리가 필요한 산업시장의 원료로 도라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생산하는 것이 수요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생산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약용식물의 세포(Lee et al, 2006, J. Plant Biol. 49:427-431), 체세포배(Shohael et al., 2008, Biochem. Eng. J. 38:270-273) 및 부정근(Jeong et al, 2009, Acta Physiol. Plant 31:219-222) 등의 식물조직에서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부정근을 이용한 배양은 배양체의 생장이 빠르고, 연속적인 증식과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상업적 대량화가 용이하다(Kim et al, 2004, J. Plant Biol. 47:356-36). 또한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기내배양의 경우 환경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연중 균일한 품질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Zhao et al., Biotechnol. Adv.23:283-333). 이를 이용한 방법을 엘리시테이션(elicitation)이라하며 생물적 엘리시터(elicitor) 또는 비생물적 엘리시터를 이용하여 미치광이풀(Scopolia parviflora) (Kang et al., 2004, Plant Sci. 166:745-751), 인삼(Panax ginseng) (Ali et al., 2005, Plant Sci. 169:83-92) 및 에키네시아(Echinacea purpurea) (Wu et al., 2007, J. Plant Biol. 50:636-643) 등 다양한 약용식물 부정근의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증가시키려는 실험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또한, 조직배양을 하는 식물은 생장에 필요한 대부분의 영양물질을 배지를 통하여 얻기 때문에 배지의 성분과 물리화학적 특성은 매우 중요하다. 배양에 필요한 영양분의 요구도는 식물의 종류배양조직 및 기관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다르므로 적정 배지의 성분은 많은 실험을 실시한 다음에 찾아내는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 도라지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는 배지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894323호 한국등록특허 제05059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라지의 엽절편, 절, 근을 이용하여 부정근의 유도조건을 확립하고 최적 배지조성을 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생장조절물질, 무기영양소, 탄소원, 비타민 및 교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부정근 유도용 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생장조절물질, 무기영양소, 탄소원, 비타민 및 교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은 식물생장조절물질 0.00001 ~ 0.00002%(w/v), 무기영양소 0.1 ~ 1%(w/v), 탄소원 3 ~ 7%(w/v), 비타민 0.001 ~ 0.005%(w/v) 및 교질재료인 아가(agar) 0.4 ~ 0.6%(w/v)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생장조절물질은 도라지의 엽절편인 경우 키네틴(kinetin)과 NAA(Naphthalene acetic acid)를 각각 0.3 ~ 0.7mg/l의 농도로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생장조절물질은 도라지의 절인 경우 키네틴(kinetin) 0.05 ~ 0.3mg/l 및 NAA(Naphthalene acetic acid) 0.3 ~ 0.7mg/l의 농도로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생장조절물질은 도라지의 근인 경우 NAA(Naphthalene acetic acid) 0.05 ~ 0.3mg/l의 농도로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영양소는 황산염류(sulfate), 질산염류(nitrate), 할로젠화물류(halide), 인산염류(phosphate) 또는 FeEDTA류를 배지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도라지의 엽절편 또는 근인 경우 4 ~ 7%(w/v)의 수크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도라지의 절인 경우 4 ~ 7%(w/v)의 프럭토오스(fructose)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를 이용하여 도라지 절편체를 배양할 경우, 기존 기본 조성물에 비해 높은 부정근 형성을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는 도라지를 대량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대조군 배지(MS 배지)와 본 발명에서 제조한 부정근 유도 배지에 도라지의 엽절편체를 1달간 배양한 사진이다.
도 2는 대조군 배지(MS 배지)와 본 발명에서 제조한 부정근 유도 배지에 도라지의 절을 1달간 배양한 사진이다.
도 3은 대조군 배지(MS 배지)와 본 발명에서 제조한 부정근 유도 배지에 도라지의 근을 1달간 배양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도라지의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라지는 사포닌, 칼슘, 철분, 무기질, 단백질, 비타민 및 섬유질이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이며 예로부터 뱃속의 냉기는 물론 열을 없애주는 역할, 폐의 기능 활성, 인후의 보호작용 등 호흡기 질환에 좋은 약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들어 있는 도라지를 대량으로 얻기 위하여 노력하던 중 식물의 조직 배양에 포커스를 두었으며 특히 도라지 부정근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배지 조성을 최초로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도라지 부정근’이란 도라지의 뿌리 이외의 부분, 즉 줄기에서 2차적으로 발생하는 뿌리를 말한다.
‘식물의 조직배양’이란 식물체에서 다세포로된 식물의 기관, 조직 또는 세포들을 적출 분리해서 영양분이 들어 있는 기내에서 배양하여 캘러스나 원조직편에서 직접 분화시키는 일을 말한다. 조직배양이라고 하지만 실제 배양하는 재료 중에는 조직뿐만이 아니라 뿌리, 잎, 화뢰와 같은 기관을 배양할 수 있고, 식물의 배를 배양하는 배배양, 화분에서 반수성의 식물체를 유기시키는 목적이 있는 약배양 또는 원형질체 배양 등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재료별로 배양의 종류를 열거하면 기관배양, 조직배양, callus배양, 단세포배양, 생장점배양, 자방배양, 배주배양, 배배양, 약배양, 화분배양, 원형질체배양 등 10여 종류가 된다. 이 중에는 진정한 의미의 조직배양이 아닌 것도 있지만 넓은 의미로는 조직 배양이라 불려지고 있다.
1940년대까지 유전적 연구의 주된 재료는 식물이었으나 미생물의 세포 배양계가 확립되고 돌연변이의 분리와 유전적 재조합이 밝혀지면서 유전연구에 미생물이 많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미생물은 반수체가 많아 유용성이 높으며, 배양이 간편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한세대가 매우 짧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식물은 1 acre(4046.8m2)에서 104개체 정도를 생육할 수 있는데 비하여 미생물은 1mL의 배지에서 108개나 되는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식물은 미생물에 비해 유전적 체계 연구에서 미흡한 점이 많기는 하지만 식물의 세포 및 조직배양 기술이 발달하고 미분화 세포 덩어리인 캘러스로부터 완전한 식물체의 재분화가 가능해지면서 식물자원의 효과적 이용에 관한 연구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으며 특히 식물은 1차 생산자로서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의 식량이 되기 때문에 그의 개량이나 증산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식물조직배양용 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고 기타 기본 배지구성물질을 조절하여 도라지의 왕성한 부정근의 형성을 유도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식물생장조절물질, 무기영양소, 탄소원, 비타민 및 교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은 배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 0.00001 ~ 0.00002%(w/v), 무기영양소 0.1 ~ 1%(w/v), 탄소원 3 ~ 7%(w/v), 비타민 0.001 ~ 0.005%(w/v) 및 교질재료 0.4 ~ 0.6%(w/v)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식물생장조절물질’은 식물의 특정 생장반응을 조절하는 물질의 총칭으로 미량의 농도로도 활성이 있으며 촉진 작용하는 것과 저해작용을 하는 것이 있다.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하나인 옥신은 IAA, NAA, IBA,2,4-D가 있고, IAA는 자연에서 발생되는 옥신으로 배지조제 시 0.01 ~ 10mg정도 첨가된다. 하지만 인공적으로 생산된 2,4-D의 경우 특히 제초제로 사용할 만큼 활성이 크며 돌연변이를 유기할 수 있다. 따라서 주의 깊게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옥신의 기능은 세포의 신장, 조직의 비대, 세포분열, 부정아와 액아형성의 억제 및 배형성 유도에 사용되어진다. 사이토키닌은 핵산을 구성하는 유우린 염기중의 하나인 아데닌을 유도체로서 주로 세포분열을 자극하는 것으로 처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이토키닌의 효과는 세포의 분화상태에 따라 크게 다르다. 즉, 분열하지 않는 세포에서는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나 왕성하게 분열하는 생장점세포에서는 분열을 억제한다.
도라지의 어느 부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필요한 식물생장조절물질은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도라지의 엽절편을 재료로 한 경우에는 키네틴 0.3 ~ 0.7mg과 NAA를 0.3 ~ 0.7mg을 사용하며, 도라지 절의 경우는 키네틴 0.05 ~ 0.3mg과 NAA 0.3 ~ 0.7mg을 사용하고, 도라지 근은 NAA 0.05 ~ 0.3m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중 물은 배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93 ~ 97 중량%를 차지하며, 정제하여 순도를 높인 물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증류수를 사용한다.
정지상태에 있는 액체 속에서는 배양체가 살 수 없으므로 배지 속에 교질재료를 넣어 응고시킨 후 그 위에 조직을 접종함으로써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교질재료로는 한천(agar)이 가장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천의 농도는 배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8 중량%를 넣지만 도라지의 부정근 유도에 좋은 농도는 배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4 ~ 0.6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기영양분으로 ①MgSO4, MnSO4, ZnSO4, CuSO4의 황산염류(sulfate), ② NH4NO3, KNO3의 질산염류(nitrate), ③ CaCl2, KI 등의 할로젠화물류(halide), ④ KH2PO4, Na2MoO4 등의 인산염류(phosphate) 또는 ⑤ FeEDTA류를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탄소는 당분에 의해 공급되고 나머지는 무기염류로 배지에 첨가되는데 본 발명에서 탄소원은 배양된 조직에 탄수화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다. 식물조직 배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탄소원은 3% 수크로오스이나 도라지 부정근의 형성에 탄소의 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여 도라지의 엽절편 또는 근의 경우 5% 수크로오스를 첨가하였고, 도라지 절의 경우 5% 프럭토오스를 첨가하였다.
또한, 식물체는 생장과 발육에 필요한 비타민을 스스로 합성하지만 배양된 대부분의 식물세포는 합성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조직의 생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비타민을 첨가하여 주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기본 MS 배지 제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도라지의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MS배지를 제조하였다.
MS배지의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3003371877-pat00001
< 실시예 2>
도라지 엽절편을 재료로 부정근 유도배지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엽절편을 재료로 하여 도라지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는 배지를 제조하였으며, 그 성분 및 함량은 표 2와 같다.
Figure 112013003371877-pat00002

도라지 엽절편을 재료로 한 도라지의 부정근 유도배지를 제조한 결과, 대조군으로 제조된 MS배지와 비교하여 무기성분의 함량이 줄었으며 탄소원의 함량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도라지 절을 재료로 한 부정근 유도배지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절을 재료로 하여 도라지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는 배지를 제조하였으며, 그 성분 및 함량은 표 3과 같다.
Figure 112013003371877-pat00003

도라지 절을 재료로 한 도라지의 부정근 유도배지를 제조한 결과, 대조군으로 제조된 MS배지와 비교하여 무기염류와 교질재료의 함량은 줄었으며 탄소원의 함량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4>
도라지 근을 재료로 한 부정근 유도배지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근을 재료로 하여 도라지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는 배지를 제조하였으며, 그 성분 및 함량은 표 4와 같다.
Figure 112013003371877-pat00004

< 실험예 1>
본 발명 배지의 도라지 엽절편을 재료로 부정근 형성 효과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부정근 유도배지에 4주간 도라지의 엽절편을 배양한 결과 현재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조구(기본 MS배지)에 비해 부정근의 형성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 실험예 2>
본 발명 배지의 도라지 절을 재료로 부정근 형성 효과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부정근 유도배지에 4주간 도라지의 절을 배양한 결과 현재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조구(기본 MS배지)에 비해 많은 수의 부정근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 실험예 3>
본 발명 배지의 도라지 근을 재료로 부정근 형성 효과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부정근 유도배지에 4주간 도라지의 근을 배양한 결과 현재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조구(기본 MS배지)에 비해 부정근의 형성이 및 생장이 현저히 많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키네틴(kinetin) 0.3 ~ 0.7mg/l, NAA(Naphthalene acetic acid) 0.3 ~ 0.7mg/l, 무기영양소 0.1 ~ 1%(w/v), 수크로오스 4 ~ 7%(w/v), 비타민 0.001 ~ 0.005%(w/v) 및 교질재료인 아가(agar) 0.4 ~ 0.6%(w/v)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엽절편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영양소는 황산염류(sulfate), 질산염류(nitrate), 할로젠화물류(halide), 인산염류(phosphate) 또는 FeEDTA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엽절편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3. 키네틴(kinetin) 0.05 ~ 0.3mg/l, NAA(Naphthalene acetic acid) 0.3 ~ 0.7mg/l, 무기영양소 0.1 ~ 1%(w/v), 프럭토오스 4 ~ 7%(w/v), 비타민 0.001 ~ 0.005%(w/v) 및 교질재료인 아가(agar) 0.4 ~ 0.6%(w/v)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절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영양소는 황산염류(sulfate), 질산염류(nitrate), 할로젠화물류(halide), 인산염류(phosphate) 또는 FeEDTA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절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5. NAA(Naphthalene acetic acid) 0.05 ~ 0.3mg/l, 무기영양소 0.1 ~ 1%(w/v), 수크로오스 4 ~ 7%(w/v) 및 교질재료인 아가(agar) 0.4 ~ 0.6%(w/v)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근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영양소는 황산염류(sulfate), 질산염류(nitrate), 할로젠화물류(halide), 인산염류(phosphate) 또는 FeEDTA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근 부정근 유도용 배지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20130003821A 2013-01-14 2013-01-14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KR10148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821A KR101480213B1 (ko) 2013-01-14 2013-01-14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821A KR101480213B1 (ko) 2013-01-14 2013-01-14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55A KR20140091855A (ko) 2014-07-23
KR101480213B1 true KR101480213B1 (ko) 2015-01-07

Family

ID=5173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3821A KR101480213B1 (ko) 2013-01-14 2013-01-14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2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21B1 (ko) 2004-11-29 2006-08-2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제초제 저항성 형질전환 도라지의 제조방법
KR101133101B1 (ko) 2008-08-29 2012-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초의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를 유도하는 배지
JP2012232907A (ja) * 2011-04-28 2012-11-2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不定根形成促進剤、該不定根形成促進剤を含有する発根用培地、および、該不定根形成促進剤を用いるクローン苗の生産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21B1 (ko) 2004-11-29 2006-08-2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제초제 저항성 형질전환 도라지의 제조방법
KR101133101B1 (ko) 2008-08-29 2012-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초의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를 유도하는 배지
JP2012232907A (ja) * 2011-04-28 2012-11-2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不定根形成促進剤、該不定根形成促進剤を含有する発根用培地、および、該不定根形成促進剤を用いるクローン苗の生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55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35903B (zh) 一种促进白及快速繁殖的方法
Chen et al. High-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from germinated zygotic embryos of Schisandra chinensis and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medium strength, sucrose, GA 3, and BA on somatic embryo development
Luo et al. Micropropagation of Dendrobium densiflorum Lindl. ex Wall. through protocorm-like bodies: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lanthanoids
CN101766122B (zh) 甜高粱组织培养的方法及其专用培养基
Nandagopal et al. Effectiveness of auxin induced in vitro root culture in chicory
Kaur et al. Optimization of potting mixture for hardening of in vitro raised plants of Tylophora indica to ensure high survival percentage
Yang et al. Callus induction and high-efficiency plant regeneration via somatic embryogenesis in Papaver nudicaule L., an ornamental medicinal plant
CN108739380B (zh) 一种白及组培苗一次性成苗的方法
Thaniarasu et al. Mass propagation of Plectranthus bourneae Gamble through indirect organogenesis from leaf and internode explants
CN102599064A (zh) 一种以叶原基为外植体的金钱松愈伤组织培养方法
Sangwan et al. In vitro culture of Phragmites tissues. Callus formation, organ differentiation and cell suspension culture
Nieves et al. Callus induction in cotyledons of Moringa oleifera Lam.
KR100506625B1 (ko) 조직 배양에 의한 산삼배양근의 대량 생산방법
CN102823491B (zh) 一种以山葵根为外植体的山葵愈伤组织培养方法
KR20140142447A (ko) 기내배양을 이용한 4배체 도라지의 배양 및 부정근 유도 방법
CN101138324A (zh) 甘薯丛生芽诱导的培养基
Kharde et al. Elicitation of bacoside content using plant growth regulators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Bacopa monnieri (L.) Wettst
Jaiphet et al. Micropropagation of a rare orchid Dendrobium gratiosissimum using thin cell layers
KR101480213B1 (ko) 도라지 부정근을 유도하는 배지 조성물
CN112154919B (zh) 一种诱导七叶一枝花愈伤组织直接成苗的培养基及方法
Haddad et al. In vitro propagation of ferns (Asplenium nidus) via spores culture
Nobakht et al. In vitro mass propagation of Typhonium flagelliforme as affected by plant growth regulators
Ebrahimi et al. Induction of callus and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 explants of Fagonia indica Burm.
Ahmed et al. In vitro regeneration and improving kaempferol accumulation in blackberry (Rubus fruticosus L.) callus and suspension cultures
Krishania et al. Effects of heavy metals on Eleusine coracana (L.) Gaert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