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909B1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909B1
KR101479909B1 KR20140134204A KR20140134204A KR101479909B1 KR 101479909 B1 KR101479909 B1 KR 101479909B1 KR 20140134204 A KR20140134204 A KR 20140134204A KR 20140134204 A KR20140134204 A KR 20140134204A KR 101479909 B1 KR101479909 B1 KR 10147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concrete
lightweight foamed
steel wire
fixing clip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현
Original Assignee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filed Critical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2014013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배관고정클립을 서로 맞물린 구조로 하여 난방배관고정클립이 부력에 의해 철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줄눈접합부를 통해 상층부의 시멘트모르타르와 수분이 하층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하부에 위치된 완충패널에 의해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닥난방을 위한 난방배관고정클립(40)에 상부톱니(49a)(49b)와 하부톱니(42t)(43t)를 구비하여 상호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배관고정클립(45)을 수평회전시켜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닥난방을 위한 완충패널(30)을 가동판(32), 고무망(33) 및 베이스플레이트(31)로 구성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Floor heating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noise}
본 발명은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배관고정클립을 서로 맞물린 구조로 하여 난방배관고정클립이 부력에 의해 철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줄눈접합부를 통해 상층부의 시멘트모르타르와 수분이 하층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하부에 위치된 완충패널에 의해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건물로 이루어진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오피스텔이나 빌딩 등의 슬래브에는 단열과 바닥난방을 위해 슬래브 위에 발포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기포콘크리트를 습식 또는 건식공법으로 타설한 다음 난방배관을 포설한 후 마감층을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해서 타설하여 바닥공사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래브에는 어린이 등이 뛰거나 물건의 낙하, 집기 등의 이동, 운동기구의 사용 등으로 인해 바닥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에너지로 인한 진동이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이나 벽을 타고 주변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문제시 되었다.
또, 건식공법으로 설치되는 기포콘크리트는 그 접합부를 통해 마감층의 시멘트모르타르에 함유된 수분이 하층부로 누설되면서 하층부에 위치된 단열재나 차음재 등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경우 오염된 차음재는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제대로 된 차음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 기존에는 난방배관고정클립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철망에 난방배관고정클립을 단순히 끼워놓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포콘크리트 주입시 부력에 의해 난방배관고정클립이 철망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난방배관고정클립을 별도의 핀을 이용해서 고정하도록 된 경우에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철망을 기포콘크리트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띄워서 두께를 확보해야만 기포콘크리트의 표면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를 위해 철망 밑에 기포콘크리트와 동일한 재질로 된 작은 벽돌 형태의 철망받침을 이용해서 받치도록 되어 있었으나 고정이 불안정하여 기포콘크리트가 굳기전 부력이나 기포콘크리트의 유동에 의해 철망받이 이탈되어 철망이 밑으로 꺼지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 경우 내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철망 꺼짐을 발견하기 어려워서 제품불량으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층간차음재는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변형되기 위한 충분한 높이의 공간이 확보하여야 하므로, 층간차음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168834 B1 KR 10-1331495 B1 KR 10-0710715 B1 KR 10-0770004 B1 KR 10-0883183 B1 KR 10-0833656 B1 KR 10-0918595 B1 KR 10-2013-0094040 A KR 10-144646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멘트모르타르를 이용해서 최종마감층(방통미장층)을 타설할 때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접합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량기포콘크리트 성형시 철망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는 난방배관고정클립이 형틀에 주입되는 기포콘크리트의 부력에 의해 철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은 두께에서도 층간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에 설치된 난방배관고정클립을 위해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하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하판의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강선지지판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매립된 철망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가로강선을 삽입하기 위한 가로강선끼움홈을 강선지지판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걸리는 하부톱니를 강선지지판의 안쪽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상판에 배관고정클립을 형성하며, 십자모양의 단면을 갖는 하향돌출보스를 상판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향돌출보스 사이에 강선누름판을 형성하며, 철망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세로강선을 삽입하기 위한 세로강선끼움홈을 강선누름판의 중앙 하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고, 하부톱니에 맞물려 걸리는 상부톱니를 하향돌출보스의 벽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며, 강선지지판의 상단부에 걸리는 걸림턱을 하향돌출보스의 상측에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슬래브 위에 설치되는 완충패널을 위해 슬래브 위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치하며, 경질층간차음재를 지지하는 가동판을 베이스플레이트와 서로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고무망을 베이스플레이트와 가동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시키며, 가장자리에 환형리브가 형성된 납작한 원판형태의 고무원판을 고무망의 교차부위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심에 원추형구멍이 형성된 원뿔기둥 형태의 완충기둥을 고무원판의 상하부 중심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하며, 완충기둥의 단부로부터 소정깊이로 절개된 형태의 분할홈을 형성하고, 원추형구멍에 삽입되는 원뿔기둥을 베이스플레이트와 가동판에 형성하며, 환형리브의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가압리브를 베이스플레이트와 가동판의 원뿔기둥 주변에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철망을 난방배관고정클립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띄워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철망으로부터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표면까지의 깊이를 일정하게 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표면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방배관고정클립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톱니에 상부톱니가 맞물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철망의 교차부위에 결합된 난방배관고정클립이 경량기포콘크리트 성형시 작용되는 부력에 의해 철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필요시 철망의 교차부위에 결합된 하판은 그대로 둔 채 배관고정클립과 하향돌출보스를 90도 회전시켜서 결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난방배관의 설치방향이 직각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경량기포콘크리트에 형성된 패킹삽입홈과 돌출리브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설치면의 굴곡이나 요철에 의해 균일한 높이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돌출리브가 패킹삽입홈에서 상하방향으로 간섭없이 움직이면서 경량기포콘크리트 접합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경량기포콘크리트 조립시 패킹에 형성된 리브삽입홈에 경량기포콘크리트에 형성된 돌출리브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접합부분에 크랙이 발생되어 시멘트모르타르 및 수분이 크랙을 통해 누설되더라도 패킹과 돌출리브에 의해 차단되면서 수분누설에 의한 하층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멘트모르타르층에 작용되는 충격을 중간층의 경질층간차음재 및 최하층의 완충패널을 통해 흡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층간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완충패널에 구비된 완충기둥이 원뿔기둥에 의해 수평방향인 반경방향으로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 대비 충격흡수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패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고정클립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로부터 배관고정클립을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돌출보스와 하부톱니의 구조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고정클립을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시공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고정클립이 철망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조립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20) 위에 설치되는 완충패널(30)의 상측에 경질층간차음재(22)를 설치하고, 상부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이 설치된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경질층간차음재(22)의 상측에 설치하며, 돌출리브(52)와 패킹삽입홈(54)을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전후좌우측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리브삽입홈(62)을 갖는 "U"자 단면의 패킹(60)을 옆으로 눕혀서 패킹삽입홈(54)의 안쪽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며, 돌출리브(52)를 리브삽입홈(62)으로 끼우고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위에 줄눈접착제(56)를 주입한다.
상기 난방배관고정클립(40)은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하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하판(41)의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강선지지판(42)(43)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50)에 매립된 철망(70)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가로강선(72)을 삽입하기 위한 가로강선끼움홈(42g)(43g)을 강선지지판(42)(43)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걸리는 하부톱니(42t)(43t)를 강선지지판(42)(43)의 안쪽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한다.
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은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상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상판(44)에 배관고정클립(45)을 형성하며, 십자모양의 단면을 갖는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를 상판(44)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 사이에 강선누름판(47a)(47b)을 형성하며, 철망(70)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세로강선(74)을 삽입하기 위한 세로강선끼움홈(48a)(48b)(48c)(48d)을 강선누름판(47a)(47b)의 중앙 하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고, 하부톱니(42t)(43t)에 맞물려 걸리는 상부톱니(49a)(49b)를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의 벽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며, 강선지지판(42)(43)의 상단부에 걸리는 걸림턱(44a)(44b)을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의 상측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완충패널(30)은 슬래브(20) 위에 베이스플레이트(31)를 설치하며, 경질층간차음재(22)를 지지하는 가동판(32)을 베이스플레이트(31)와 서로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고무망(33)을 베이스플레이트(31)와 가동판(3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시키며, 가장자리에 환형리브(34a)(34b)가 형성된 납작한 원판형태의 고무원판(34)을 고무망(33)의 교차부위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심에 원추형구멍(35h)(36h)이 형성된 원뿔기둥 형태의 완충기둥(35)(36)을 고무원판(34)의 상하부 중심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한다.
또, 완충패널(30)은 완충기둥(35)(36)의 단부로부터 소정깊이로 절개된 형태의 분할홈(35t)(36t)을 형성하고, 원추형구멍(35h)(36h)에 삽입되는 원뿔기둥(31a)(32a)을 베이스플레이트(31)와 가동판(32)에 형성하며, 환형리브(34a)(34b)의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가압리브(31r)(32r)를 베이스플레이트(31)와 가동판(32)의 원뿔기둥(31a)(32a) 주변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환형리브(34a)(34b)를 갖는 고무원판(34)과 원추형구멍(35h)(36h)을 갖는 완충기둥(35)(36)은 고무망(33)과 함께 일체로 성형하며, 고무망(33)은 예를 들어서 우레탄고무와 같은 합성고무를 이용해서 성형할 수 있고, 가동판(32)과 베이스플레이트(31)는 경질합성수지로 성형한다.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50)는 미리 성형되어 현장으로 이동한 다음 조립하는 것이며,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성형할 때 철망(70)은 내부에 매립되고, 난방배관고정클립(40)은 상판(44) 밑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50)에 매립되고 배관고정클립(45)은 경량기포콘크리트(50) 위로 노출되어 일체화 된다.
즉, 난방배관고정클립(40)을 구성하는 하판(41)은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형틀(도시생략) 바닥면에 지지되어 철망(70)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띄워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판(44)은 형틀에 주입되는 기포콘크리트의 높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50) 성형을 위해 형틀에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상판(44)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주입하여 양생시키게 되면, 난방배관고정클립(40)에 구비된 배관고정클립(45)을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상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경량기포콘크리트(50) 성형 후 경량기포콘크리트(50)에 형성된 패킹삽입홈(54)에 패킹(60)을 미리 삽입해 두면 현장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리 제작된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이용해서 슬래브(20) 위에 바닥난방층을 시공하는 순서는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와 단계 S12에서 슬래브(20) 위에 완충패널(30)과 경질층간차음재(22)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단계 S14에서 경질층간차음재(22)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조립하면서 돌출리브(52)가 패킹(60)의 리브삽입홈(62)으로 끼워지도록 한 후 줄눈접착제(56)를 이용해서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분 틈새를 메우게 되면,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단계 S16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50) 위로 노출된 배관고정클립(45)에 난방배관(10)을 끼워서 포설한 후 단계 S18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50) 위에 시멘트모르타르층(12)을 타설하게 되면, 난방배관(10)과 배관고정클립(45)이 시멘트모르타르층(12) 속에 매립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성형하는 과정은 철망(70)의 교차부위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을 조립한 다음 형틀(도시생략) 내부에 철망(70)을 넣게 되면, 철망(70)에 설치된 난방배관고정클립(40)에 의해 형틀 바닥면과 철망(70) 사이가 일정한 높이로 들뜨게 된다.
이후 난방배관고정클립(40)의 상판(44) 높이까지 기포콘크리트를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한 후 형틀을 분리하게 되면, 철망(70)이 경량기포콘크리트(50) 내부에 완전하게 매립되어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고, 난방배관고정클립(40)의 배관고정클립(45)이 상부로 노출된 채 나머지 난방배관고정클립(40)의 하측부는 경량기포콘크리트(50)에 매립된 채 경량기포콘크리트(50)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철망(70)의 교차부위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을 조립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형틀 바닥면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의 하판(41)을 올려놓고 철망(70)의 교차부위를 통과하는 가로강선(72)을 하판(41)에 형성된 강선지지판(42)(43)의 가로강선끼움홈(42g)(43g)에 끼우게 되면, 철망(70)이 강선지지판(42)(43)에 의해 지지되어 형틀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들뜨게 된다.
이후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4)에 형성된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를 강선지지판(42)(43) 사이로 끼우게 되면, 철망(70)의 교차부위를 통과하는 세로강선(74)이 강선누름판(47b)에 형성된 세로강선끼움홈(48b)(48d)에 삽입된다.
또,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에 형성된 상부톱니(49a)가 하부톱니(42t)(43t)에 맞물려서 이탈할 수 없게 되며, 걸림턱(44a)(44b)이 강선지지판(42)(43)의 상단부에 걸리면서 난방배관고정클립(40)이 철망(70)에 완전히 조립된다.
이때 배관고정클립(45)을 첨부도면 도 4의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도 수평 회전시켜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를 강선지지판(42)(43) 사이로 끼울 때 철망(70)의 세로강선(74)이 강선누름판(47a)에 형성된 세로강선끼움홈(48a)(48c)에 삽입된다.
위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미리 성형한 후 시공현장으로 이동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조립하기 전에 첨부도면 도 9의 단계 S10와 단계 S12에서 슬래브(20) 위에 완충패널(30)과 경질층간차음재(22)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도 9의 단계 S14에서 경질층간차음재(22)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조립하면서 돌출리브(52)가 패킹(60)의 리브삽입홈(62)으로 끼워지도록 한 후 줄눈접착제(56)를 이용해서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분 틈새를 메우게 되면,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도 9의 단계 S16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50) 위로 노출된 배관고정클립(45)에 난방배관(10)을 끼워서 포설한 후 단계 S18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50) 위에 시멘트모르타르층(12)을 타설하게 되면, 난방배관(10)과 배관고정클립(45)이 시멘트모르타르층(12) 속에 매립된다.
이때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분에 주입된 줄눈접착제(56)는 시멘트모르타르층(12)을 타설할 때 함유된 수분이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분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접합부 균열에 의해 수분이 누설되더라도 돌출리브(52)가 패킹(60)의 리브삽입홈(62)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누설된 수분이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통과하는 것이 차단된다.
또, 경량기포콘크리트(50)에 균열부가 존재하더라도 시멘트모르타르층(12)이 양생되고 나면 시멘트모르타르층(12)과 함께 굳어서 메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균열부는 자연적으로 해소된다.
한편, 실내에서 뛰는 동작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시멘트모르타르층(12)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에너지가 시멘트모르타르층(12)과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통과하면서 진동에너지로 일부 소멸되고, 강도와 탄성력 등 물리적 성질이 크게 다른 경질층간차음재(22)를 만나면서 경계면에서의 마찰에너지와 탄성에너지로 일부 소멸된다.
이후 경질층간차음재(22)를 통과한 나머지 충격에너지는 완충패널(30)을 통과하면서 대부분 흡수되는데, 이 과정에서 완충패널(30)로 전달된 충격에너지에 의해 완충패널(30)을 구성하고 있는 가동판(32)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게 되며, 가동판(32)과 베이스플레이트(31) 사이의 고무망(33)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둥(35)(36)의 원추형구멍(35h)(36h) 속에서 원뿔기둥(31a)(32a)이 진입과 후퇴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완충기둥(35)(36)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평방향인 반경방향으로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며, 완충기둥(35)(36)에 형성되어 있는 분할홈(35t)(36t)은 완충기둥(35)(36)이 확장될 때 탄성저항을 줄여주면서 완충기둥(35)(36)의 변형량을 크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분할홈(35t)(36t)은 원추형구멍(35h)(36h)에 잔류하는 공기가 안팎으로 자유롭게 출입하는 공기통로 역할도 하게 된다.
특히 완충기둥(35)(36)이 수직방향이 아닌 반경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판(32)과 베이스플레이트(31) 간의 간격이 좁아도 큰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동판(32)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될 때 가동판(32)과 베이스플레이트(31)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리브(31r)(32r)가 그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가압리브(31r)(32r)를 가압하게 되며, 환형리브(34a)(34b)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또한, 가동판(32)이 수평방향으로도 진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압리브(31r)(32r)와 환형리브(34a)(34b) 간의 마찰력에 의해 가압리브(31r)(32r)가 측방향으로 탄성변형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며, 완충기둥(35)(36)도 원뿔기둥(31a)(32a)에 의해 밀리면서 측방향으로 탄성변형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10 : 난방배관 12 : 시멘트모르타르층
20 : 슬래브 22 : 경질층간차음재
30 : 완충패널 31 : 베이스플레이트
32 : 가동판 31a,32a : 원뿔기둥
31r,32r : 가압리브 33 : 고무망
34 : 고무원판 34a,34b : 환형리브
35,36 : 완충기둥 35h,36h : 원추형구멍
35t,36t : 분할홈 40 : 난방배관고정클립
41 : 하판 42,43 : 강선지지판
42g,43g : 가로강선끼움홈 42t,43t : 하부톱니
44 : 상판 44a,44b : 걸림턱
45 : 배관고정클립 46a,46b,46c,46d : 하향돌출보스
47a,47b : 강선누름판 48a,48b,48c,48d : 세로강선끼움홈
49a,49b : 상부톱니 50 : 경량기포콘크리트
52 : 돌출리브 54 : 패킹삽입홈
56 : 줄눈접착제 60 : 패킹
62 : 리브삽입홈 70 : 철망
72 : 가로강선 74 : 세로강선

Claims (3)

  1. 삭제
  2. 슬래브(20) 위에 설치되는 완충패널(30)의 상측에 경질층간차음재(22)를 설치하고, 상부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이 설치된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경질층간차음재(22)의 상측에 설치하며, 돌출리브(52)와 패킹삽입홈(54)을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전후좌우측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리브삽입홈(62)을 갖는 "U"자 단면의 패킹(60)을 옆으로 눕혀서 패킹삽입홈(54)의 안쪽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며, 돌출리브(52)를 리브삽입홈(62)으로 끼우고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위에 줄눈접착제(56)를 주입하여 구성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난방배관고정클립(40)은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하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하판(41)의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강선지지판(42)(43)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50)에 매립된 철망(70)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가로강선(72)을 삽입하기 위한 가로강선끼움홈(42g)(43g)을 강선지지판(42)(43)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걸리는 하부톱니(42t)(43t)를 강선지지판(42)(43)의 안쪽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상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상판(44)에 배관고정클립(45)을 형성하며, 십자모양의 단면을 갖는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를 상판(44)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 사이에 강선누름판(47a)(47b)을 형성하며, 철망(70)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세로강선(74)을 삽입하기 위한 세로강선끼움홈(48a)(48b)(48c)(48d)을 강선누름판(47a)(47b)의 중앙 하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고, 하부톱니(42t)(43t)에 맞물려 걸리는 상부톱니(49a)(49b)를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의 벽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며, 강선지지판(42)(43)의 상단부에 걸리는 걸림턱(44a)(44b)을 하향돌출보스(46a)(46b)(46c)(46d)의 상측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3. 슬래브(20) 위에 설치되는 완충패널(30)의 상측에 경질층간차음재(22)를 설치하고, 상부에 난방배관고정클립(40)이 설치된 경량기포콘크리트(50)를 경질층간차음재(22)의 상측에 설치하며, 돌출리브(52)와 패킹삽입홈(54)을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전후좌우측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리브삽입홈(62)을 갖는 "U"자 단면의 패킹(60)을 옆으로 눕혀서 패킹삽입홈(54)의 안쪽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며, 돌출리브(52)를 리브삽입홈(62)으로 끼우고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접합부위에 줄눈접착제(56)를 주입하여 구성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널(30)은 슬래브(20) 위에 베이스플레이트(31)를 설치하며, 경질층간차음재(22)를 지지하는 가동판(32)을 베이스플레이트(31)와 서로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고무망(33)을 베이스플레이트(31)와 가동판(3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시키며, 가장자리에 환형리브(34a)(34b)가 형성된 납작한 원판형태의 고무원판(34)을 고무망(33)의 교차부위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심에 원추형구멍(35h)(36h)이 형성된 원뿔기둥 형태의 완충기둥(35)(36)을 고무원판(34)의 상하부 중심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하며, 완충기둥(35)(36)의 단부로부터 소정깊이로 절개된 형태의 분할홈(35t)(36t)을 형성하고, 원추형구멍(35h)(36h)에 삽입되는 원뿔기둥(31a)(32a)을 베이스플레이트(31)와 가동판(32)에 형성하며, 환형리브(34a)(34b)의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가압리브(31r)(32r)를 베이스플레이트(31)와 가동판(32)의 원뿔기둥(31a)(32a) 주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KR20140134204A 2014-10-06 2014-10-0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KR10147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4204A KR101479909B1 (ko) 2014-10-06 2014-10-0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4204A KR101479909B1 (ko) 2014-10-06 2014-10-0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909B1 true KR101479909B1 (ko) 2015-01-06

Family

ID=5258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4204A KR101479909B1 (ko) 2014-10-06 2014-10-06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9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2290A (zh) * 2020-10-23 2021-02-02 神州必晟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整体浇筑式隔声减振空腔地面结构及施工工法
CN112593653A (zh) * 2021-03-01 2021-04-02 北京天通慧智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拆装式石墨烯加热隔层楼板结构
KR102396749B1 (ko) 2021-09-29 2022-05-12 주식회사 공간기록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바닥난방 시공방법
KR102449005B1 (ko) 2021-06-28 2022-09-29 (주)포스코건설 공진저항 모듈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CN116336533A (zh) * 2023-03-27 2023-06-27 新疆维泰开发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盘管铺设固定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824A (ko) * 2006-04-24 2007-10-29 (주)정양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100833656B1 (ko) * 2007-08-16 2008-05-29 전용태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824A (ko) * 2006-04-24 2007-10-29 (주)정양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100833656B1 (ko) * 2007-08-16 2008-05-29 전용태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2290A (zh) * 2020-10-23 2021-02-02 神州必晟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整体浇筑式隔声减振空腔地面结构及施工工法
CN112593653A (zh) * 2021-03-01 2021-04-02 北京天通慧智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拆装式石墨烯加热隔层楼板结构
KR102449005B1 (ko) 2021-06-28 2022-09-29 (주)포스코건설 공진저항 모듈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2396749B1 (ko) 2021-09-29 2022-05-12 주식회사 공간기록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바닥난방 시공방법
CN116336533A (zh) * 2023-03-27 2023-06-27 新疆维泰开发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盘管铺设固定结构
CN116336533B (zh) * 2023-03-27 2024-02-09 新疆维泰开发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盘管铺设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909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난방 구조
KR102342880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방법
JP6567246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2118869B1 (ko) 충격 및 소음 방지 바닥구조
KR102061277B1 (ko)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3377A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17947Y1 (ko)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JP4902239B2 (ja) 建築物の壁面構造およびこの壁面構造に使用される制震パネル
KR20150026165A (ko) 에어 쿠션 층간 소음 방지 블록
KR101081958B1 (ko) 마루틀 고정장치
KR20150066951A (ko) 층간 진동 소음 흡수 블록
KR20170078506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KR100342138B1 (ko) 난방 시공용 판넬
KR100659514B1 (ko) 층간 차음구조체
KR200378497Y1 (ko) 콘크리트 바닥 방음재
KR200396355Y1 (ko) 층간 소음진동 저감부재
KR20150093924A (ko) 충격 진동 흡수 블록
KR20150093919A (ko) 충격 진동 흡수 블록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JP3831669B2 (ja) 免震支承用受け皿の施工方法
KR20090046158A (ko) 층간소음진동차단패널
KR20110002374A (ko) 천장용 층간 소음방지 패널
KR100659513B1 (ko) 층간 차음구조체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