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947Y1 -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 Google Patents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947Y1
KR200417947Y1 KR2020060000183U KR20060000183U KR200417947Y1 KR 200417947 Y1 KR200417947 Y1 KR 200417947Y1 KR 2020060000183 U KR2020060000183 U KR 2020060000183U KR 20060000183 U KR20060000183 U KR 20060000183U KR 200417947 Y1 KR200417947 Y1 KR 200417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mpact
noise
floor
uneve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동에너콤
김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동에너콤, 김윤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동에너콤
Priority to KR2020060000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9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는 일단부에 다른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요철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고, 방진, 방음, 단열 및 탄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방진, 방음 및 단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층건물의 바닥에 보일러 배관을 쉽고 빠르게 설치하며, 보일러 배관의 열을 바닥에 고르게 전달하고, 아래층에 충격 및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층간 바닥 충격·소음 방지장치.

Description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IMPACT NOISE BARRIER AND INSULATED HEATING FLOOR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의 플레이트 간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의 플레이트를 성형하기 위한 다중 전기열선 성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200, 300;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110, 210, 310; 플레이트 111; 제1 요철부
112; 제2 요철부 113, 213, 320, 420; 삽입부
113a, 213a, 321, 421; 홈 114; 돌기
120; 마감부재 130; 금속망
140; 방수불연성보드 150; 충진재
160; 보일러 배관 230; 와이어메쉬
240; 방열시멘트 11; 고정부재
311; 제1 요철부, 제2 요철부 312; 끼움홈
322; 끼움돌기 330; 덮개
331; 제3 요철부 412; 지지홈
422; 지지부
본 고안은 건물 바닥의 충격과 소음을 차단하고 단열 기능을 보강한, 온돌을 위한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연립식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바닥 슬라브는 주로 콘크리트로 형성되어있으며 그 슬라브의 표면에는 돌기 및 함몰 부분이 많이 형성될 수 밖에 없어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공동주택 등 주거용 다층 건축물의 난방 방식은 주로 온돌식 바닥 난방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주거용 다층 건축물에서 주로 사용한 종래 기술의 온돌 난방구조를 설명하면 표면이 고르지 못한 기초 바닥의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경량소음을 차단하거나 단열을 이루기 위하여 발포 폴리플로피렌 및 발포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얇은 차음 및 단열재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대개 액상의 기포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발포시켜 경화, 건조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경량의 기포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의 보일러 배관 등을 배열한 후 방열시멘트 등으로 도포하는 온돌식 바닥 난방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설치되는 바닥 온돌 난방 구조 중 우선 얇은 합성섬유 및 발포 플라스틱 단열 및 차음재 만으로는 경량의 소음은 다소 경감할 수 있을지 몰라 도, 어린아이들이 쿵쿵거리며 뛰어 놀거나 중량의 이삿짐이나 성인들의 이동 중에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소음을 차단하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얇은 합성섬유나 발포 플라스틱은 고르지 못한 콘크리트 표면 위에서 바닥의 표면을 고르게 만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 액상의 기포콘크리트가 단단하게 굳기 위하여서는 매우 장기적인 시간이 흘러야 단단한 바닥이 완성된다. 그러나, 건설 공정 단축 및 기타 이유로 기포콘크리트가 단단하게 굳기 전에 기포콘크리트 상부에 온수관 및 방열시멘트 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사가 끝나고 입주자가 입주한 후 주거도중 바닥에 균열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기포콘크리트 하부에 설치된 차음재는 보일러 배관의 열기가 차음재와 차음재의 틈새로 새어나가거나, 차음재가 얇기 때문에 열손실이 발생하였다.
또한, 공동생활 환경으로 형성된 주거용 다층건축물에서는 위층의 아이들이 뛰어 놀거나 짐 또는 사람들의 이동중 발생하는 중량의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함에 따라, 아래층에 주거하는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주며, 사생활 침해 및 공동생활의 공해의 문제로 떠오르며, 이로 인한 큰 분쟁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층건물의 실내 바닥을 쉽고 빠르게 형성하고, 보일러 배관의 열을 바닥에 고르게 전달하며, 아래층에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보온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일단부에 다른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요철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고, 방진, 방음, 단열 및 탄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방진, 방음 및 단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일단부에 상부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방진, 방음, 단열 및 탄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요철부와 다른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상부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제2 요철부에 끼워져 상기 플레이트들을 결합시키는 제4 요철부가 형성된 덮개;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방진, 방음 및 단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배관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구된 홈이 형성된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며, 방진, 방음 및 열전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불연성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방열시멘트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실내 바닥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삽입부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3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제4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다중 전기열선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플레이트는 동일한 구조와 형상의 플레이트가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대한 설명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 사용된 동일번호는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100')는 다수의 플레이트(110') 및 마감부재(1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대략 사각 판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110')의 일단부에는 제1 요철부(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요철부(111)에 대응하는 제2 요철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요철부(111)의 단면 형상은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요철부(111)의 단면 형상은 "┏┓"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제2 요철부(112)에, 다른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제1 요철부(111)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연결된다. 이에 따라, 양 플레이트(110') 간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 틈새로 실내의 온기가 실내 바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효과가 우수해 진다.
마감부재(120)는 대략 긴 직사각 판 형상이고, 실내 벽과 플레이트(110')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실내 바닥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이 실내 벽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마감부재(120)의 단면 형상은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감부재(120)의 일측의 일 영역이 플레이트(110')를 향해 돌출되어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어 마감부재(120)와 플레이트(110') 사이로 열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플레이트(110') 및/또는 마감부재(120)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EPE(Expanded Polyethylene), EPS(Expanded PolyStylene), XPS(expanded polystyr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EPP, EPE, EPS, X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포밀도를 달리하여 다층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10')의 하부를, 쿠션을 갖는 저밀도 EPP, EPE, EPS, X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고르지못한 실내 바닥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탁월하여 실내 바닥의 충격 및 소음을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는 플레이트(1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방진,방음 및 열전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하는 방수불연성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불연성보드(140)는 액상의 방열시멘트(240)와 접합성이 우수한 무기질 코팅 목재판, 산화 마그네슘 보드, 규산칼슘 무기질 보드 및 목재압축 시멘트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불연성보드(140)는 액상의 방열시멘트(240)와의 접합성이 우수하여, 방열시멘트(240)가 경화되면서 방수불연성보드(140)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강도 또한 증가한다.
그리고, 방수불연성보드(140)의 상면에 고정부재(11)를 이용하여 보일러 배관(160)을 고정한다. 그리고, 액상의 방열시멘트(240)를 부어 굳힌다. 이에 따라, 실내 바닥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온돌바닥으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100)는 다수의 플레이트(110) 및 마감부재(1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대략 사각 판 형상이고, 상단부에 보일러 배관(160)이 삽입고정되는 홈(113a)이 형성된 삽입부(113)가 마련된다.
여기서, 홈(113a)은, 보일러 배관(160)이 삽입되는 홈(113a)의 개구부가 홈(113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113)의 홈(113a)에 보일러 배관(160)을 설치할 때, 보일러 배관(160)이 홈(113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일러 배관(160)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편, 플레이트(110)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에 설명된 플레이트(110')의 제1 요철부(111)와 제1 요철부(111)에 대응하는 제2 요철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능과 효과는 제1 실시 예에 설명된 플레이트(11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 쿠션 기능을 갖는 다수의 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114)로 인하여 고르지못한 실내 바닥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마감부재(120)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에 설명된 마감부재(12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는 플레이트 (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부재는 금속망(130)과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판(미도시) 및 와이어메쉬(230)(도 5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망(130) 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판 위에 보일러 배관(160)이 밀착되어, 보일러 배관(160)의 열이 금속망(130) 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판에 전달됨으로써, 실내 바닥에 열기를 빠르고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는 플레이트(11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플레이트(110)와 실내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충진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유리섬유, 모래, 합성수지(EPP BEA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 바닥의 돌출 또는 함몰부위를 충진재(150)를 깔아서 건물바닥의 수평을 좀더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10)와 충진재(150) 사이에는 방수불연성보드(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재(150)가 설치된 후 그 위에 방수불연성보드(140)를 설치함으로써, 플레이트(110)를 좀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의 상단부 또는 금속망(130) 상부에 방진, 방음 및 열전달을 하는 방수불연성보드(14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실내 온돌 바닥이 바로 형성되고, 실내 바닥에 바닥장식재 등을 깔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더욱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진재, 금속망, 플레이트의 돌기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200)는 다수의 플레이트(210) 및 마감부재(1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0)는 대략 사각 판 형상이고, 상단부에 보일러 배관이 삽입고정되는 홈(213a)이 형성된 삽입부(213)가 상부로 돌출형성된다.
플레이트(210)는 삽입부(213)가 플레이트(210)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2 실시 예에 기재된 플레이트(11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삽입부(213)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면 형상이 대략 역삼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13)에 형성된 홈(213a)에 보일러 배관(160)을 삽입고정한 후, 플레이트(210) 상부에 액상의 방열시멘트(240)를 도포하면, 돌출된 삽입부(213)로 인하여 방열시멘트(240)가 유동하지않고, 안정적으로 경화된다. 또한, 보일러 배관(160)이 플레이트(210)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일러 배관(160)의 열이 실내 바닥으로 빠르고 고르게 전달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는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철침이 달린 와이어메쉬(230)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메쉬(230)의 철침을 가열하거나 일정한 힘을 가해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박아 설치한다. 여기에, 액상의 방열시멘트(240)를 도포하여 일정시간 경과시키면, 액상의 방열시멘트(240)가 경화되어 실내 바닥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보일러 배관(160)의 열이 와이어메쉬(230)에 전달되고, 와이어메쉬(230)에 전달받은 열은 실내 바닥으로 더욱 빠르고 고르게 전달된다. 또한, 경화된 방열시멘트(240)의 내부에 와이어메쉬(23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방열시멘트(240)의 강도도 증가한다.
마감부재(120)는 제1 실시 예에 설명된 마감부재(12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제2 실시 예에 설명된 플레이트(110)와 마감부재(120)를 제외한 구성은 전술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의 플레이트(310) 간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10)는 대략 사각 형태이고, 상부에 보일러 배관(160)(도 5 참조)이 삽입고정되는 홈(321)이 형성된 삽입부(3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좌측단부에 단면형상이 "┗┛"의 제1 요철부(311)가 형성되고, 우측단부에 제1 요철부(311)와 대칭하는 제2 요철부(311)가 형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트(310)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1)와 우측단부에 형성된 제2 요철부(311)는 형상만 대칭이고 기능이 같으므로, 이하 좌측단부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1)를 제2 요철부(311)로 통일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 플레이트(310)의 좌측면과 다른 플레이트(310)의 우측면을 맞댄 상에서, 플레이트(310)의 제2 요철부(311)와 다른 플레이트(310)의 제2 요철부(311)에 끼워져 플레이트(310)들을 결합하는 제3 요철부(331)가 형성된 덮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330)에 형성된 제3 요철부(331)의 단면은 플레이트(310)의 제3 요철부(31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310)의 제2 요철부(311)와 다른 플레이트(310)의 제2 요철부(311)에 덮개(330)에 형성된 제3 요철부(331)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플레이트(310)와 다른 플레이트(310) 틈 사이로 실내의 온기가 실내 바닥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플레이트(3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도 제2 요철부(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덮개(330)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내 바닥으로 새어 나가는 열을 더욱더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320)는 하단부에 삼각형태의 끼움돌기(322)를 형성하고, 플레이트(310)의 상단부에 끼움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20)는 삽입부(320)의 끼움돌기(322)를 플레이트(310)의 끼움홈(312)에 끼워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삽입부(320)는 탄성을 부여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플레이트 (310)는 삽입부(320)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을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혹은 그 반대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310)와 덮개(33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32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형성된 요철부는 플레이트의 양단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졌지만, 플레이트의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300)는 다수의 플레이트(410) 및 마감부재(1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410)는 대략 사각 형태이고, 플레이트(410) 상부에 삽입부(42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412)이 형성된다.
삽입부(420)는 대략 역 "T"자 형으로 형성되고, 삽입부(420)의 상부에 보일러 배관(160)이 삽입고정되는 홈(421)이 관통형성되며, 하단부에 플레이트(410)의 지지홈(412)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422)가 형성된다. 여기서, 보일러 배관(160)이 삽입고정되는 홈(421)은 열선 성형장치(62)의 전기열선(67)으로 삽입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성형할 수 있다.(도 10 참조)
한편,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410)에서, 플레이트(410)의 지지홈(4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술한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31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덮개(33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덮개(33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방수불연성보드(14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수불연성보드(140)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10)와 덮개(330)를 결합한 후 삽입부(420)의 지지부(422)를 플레이트(410)의 지지홈(412)에 결합한다. 그리고, 삽입부(420)와 삽입부(420) 사이에 방수불연성보드(140)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방수불연성보드(140)가 삽입부(420)의 지지부(422)를 눌러줌으로써, 삽입부(420)가 플에이트(4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방수불연성보드(140)의 자중으로 인해 플레이트(410)가 눌려짐으로써, 실내 바닥의 수평이 용이하게 맞춰진다.
여기에, 보일러 배관(160)을 삽입부(420)의 홈(421)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액상의 방열시멘트(240)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온돌바닥을 형성한다.
여기서, 전술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진재(150), 금속망(130) 또는 와이어메쉬(230)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중 전기열선 성형기를 이용한 본 고안의 플레이트의 제작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중 전기열선 성형기는 컴퓨터(60)와 열선 성형장치(62) 및 전원장치(61)로 구성된다. 열선 성형장치(62)는 양측에 가이드레일(64)이 형성되고 중앙에 플레이트블록이 안치될 테이블(65)이 장착된 베이스(63), 상기 베이스(63)의 가이드레일(64)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성형기 프레임(66), 성형기 프레임(66)의 내측에 형성되고 성형기 프레임(66)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전기열선(67) 및 성형기 프레임(66)과 전기열선(67)을 작동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테이블(65)에 플레이트블록을 안치하면 컴퓨터가 열선 성형장치에 신호를 보내고 열선 제어장치의 제어부가 성형기 프레임의 직선 이동 및 전기열선의 상하이동을 제어하여 플레이트블록을 평판형, 코너형, 'T'자 또는 'C'자형 등의 자유로운 형상의 플레이트로 절단 또는 가공한다. 특히 탈형의 문제때문에 금형방식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역삼각형의 지지홈 등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영역의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일러 배관을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삽입고정이 가능함으로써, 보일러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하는 EPP, EPE, EPS, XPS 등의 재질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다층건물의 실내 바닥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 온기가 바닥으로 누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에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요철부가 형성된 별도의 덮개로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여,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로 실내 온기가 바닥으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단열성이 더욱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 상부에 액상의 방열시멘트를 부어 경화시킬 때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로 인하여 방열시멘트의 유동을 막아주어 방열시멘트가 안정적으로 굳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 와이어메쉬를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방열시멘트의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망 등을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보일러 배관의 열을 실내 바닥으로 빠르고 고르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또,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탄성돌기 또는 플레이트 하부에 충진재를 설치하여 고르지 못한 단열층 바닥의 수평을 맞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 전기열선 성형기를 이용하여 금형에서 제작하기 힘든 플레이트의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플레이트 상부에 목재압축 시멘트 보드 등을 설치하고 목재압축 시멘트 보드 상부에 바닥장식재를 설치하여 실내 바닥을 곧바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목재압축 시멘트 보드를 사용함으로써, 액상의 방열시멘트와 목재압축 시멘트 보드와의 접합성이 우수하여, 방열시멘트의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일단부에, 다른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요철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고, 방진, 방음, 단열 및 탄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방진, 방음 및 단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2. 일단부에 상부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방진, 방음, 단열 및 탄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요철부와 다른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상부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제2 요철부에 끼워져 상기 플레이트들을 결합시키는 제3 요철부가 형성된 덮개;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방진, 방음 및 단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배관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구된 홈이 형성된 삽입 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배관이 삽입되는 상부가 개구된 홈이 형성된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며, 방진, 방음 및 열전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불연성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7.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방열시멘트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실내 바닥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9.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10.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11.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12.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제3 요철부는 단면형상이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1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다중 전기열선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음차단 및 단열보강 바닥장치.
KR2020060000183U 2006-01-04 2006-01-04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KR200417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83U KR200417947Y1 (ko) 2006-01-04 2006-01-04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83U KR200417947Y1 (ko) 2006-01-04 2006-01-04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461 Division 2005-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947Y1 true KR200417947Y1 (ko) 2006-06-07

Family

ID=4176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183U KR200417947Y1 (ko) 2006-01-04 2006-01-04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94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99B1 (ko) * 2009-01-12 2009-08-18 주식회사 광성테크 다층으로 중첩형성한 실내장식용 마그네슘패널
KR100917236B1 (ko) * 2008-12-22 2009-09-16 (주)삼정씨엔아이 건축물의 온돌시스템
KR102581736B1 (ko) * 2023-04-04 2023-09-21 황영규 건축물의 바닥 난방 구조
KR102581738B1 (ko) * 2023-04-04 2023-09-21 황영규 건축물의 리모델링 바닥 난방 시공방법
KR102581737B1 (ko) * 2023-04-04 2023-09-21 황영규 층간 소음 및 난방 효율 개선을 위한 건축물의 리모델링 바닥 난방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36B1 (ko) * 2008-12-22 2009-09-16 (주)삼정씨엔아이 건축물의 온돌시스템
KR100912799B1 (ko) * 2009-01-12 2009-08-18 주식회사 광성테크 다층으로 중첩형성한 실내장식용 마그네슘패널
KR102581736B1 (ko) * 2023-04-04 2023-09-21 황영규 건축물의 바닥 난방 구조
KR102581738B1 (ko) * 2023-04-04 2023-09-21 황영규 건축물의 리모델링 바닥 난방 시공방법
KR102581737B1 (ko) * 2023-04-04 2023-09-21 황영규 층간 소음 및 난방 효율 개선을 위한 건축물의 리모델링 바닥 난방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947Y1 (ko) 충격·소음방지 및 단열보강 온돌바닥장치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7476B1 (ko)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및 그 제조방법
KR200399318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온돌설치용 굽돌이 부재
KR100491188B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100766335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01183908B1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200151940Y1 (ko) 조립식 난방배관용 방음온돌패널
KR100810502B1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0705415B1 (ko) 단열패널을 이용한 난방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84515B1 (ko) 기능성 패널형 바닥재 및 그 패널형 바닥재를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61332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1827852B1 (ko) 반건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KR10232634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친환경 방진용 패널 시공 방법
KR102319581B1 (ko)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KR101074772B1 (ko) 조립식 바닥 구조체
KR20090046158A (ko) 층간소음진동차단패널
KR200358860Y1 (ko) 건축 구조물의 바닥층 형성구조
KR100663693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20040075524A (ko) 주거용 건물의 층간 충격음을 방지하기 위한 온돌공법 및그 온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