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716B1 -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716B1
KR101479716B1 KR20130032300A KR20130032300A KR101479716B1 KR 101479716 B1 KR101479716 B1 KR 101479716B1 KR 20130032300 A KR20130032300 A KR 20130032300A KR 20130032300 A KR20130032300 A KR 20130032300A KR 101479716 B1 KR101479716 B1 KR 10147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adhesive
pipe
pipe inserting
inscri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181A (ko
Inventor
이우덕
Original Assignee
이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기 filed Critical 이문기
Priority to KR2013003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7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4Forming or attaching means for filling or dispensing contents, e.g. valves or spouts
    • B31B70/844Applying rigid valves, spouts, or fill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2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포대 내로 내용물을 주입한 후 상기 내용물이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작업이 손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이 혹은, 합성수지를 접어서 만들어지면서 하단은 밀봉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단은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파이프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부가 추가로 제공되어 이루어진 포장용 포대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상면은 전 부위를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 사이에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packing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장용 포대 내로 내용물을 주입한 후 상기 내용물이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작업이 손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포대는 시멘트나 쌀, 탄산칼슘 혹은, 밀가루 등 다양한 상태의 내용물을 단위 형태로 포장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포장용 포대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을 단일 혹은, 복수 겹의 낱장으로 제조하여 이를 말아 양측 끝단을 서로 붙임으로써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봉투 형태로 만든 후 상기 상측 및 하측의 개방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내부의 내용물이 원치않게 누설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측 및 하측 개방 부위에 대한 밀봉이 재봉을 통해 수행함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의 경우 분말 상태의 내용물을 상기 포장용 포대에 담는 과정에서 주위로 흩날림이 발생됨과 더불어 재봉 기기로의 운반 도중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최근에는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측 개방 부위 및 하측 개방 부위를 겹쳐 접은 후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밀봉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접착 방식을 이용한 포장용 포대의 상측 개방 부위에는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파이프가 수용되도록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주입파이프의 삽입을 통한 내용물의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주입파이프를 취출하고 추가적인 접착을 수행함으로써 밀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포장용 포대는 상기 내용물의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주입구의 밀봉을 위한 별도의 접착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작업상의 복잡함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일단은 포장용 포대(1)의 주입구(1a) 내에 안착시키고, 다른 일단은 상기 포장용 포대(1)의 내부 공간에 자유로운 상태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 별도의 연장부(2)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장부(2)로부터 주입파이프(10)의 취출시 상기 포장용 포대(1) 내의 내용물 압력에 의해 상기 연장부(2)의 끝단 부위가 스스로 닫히면서 주입구(1a)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연장부(2)의 추가적인 제공에도 불구하고 주입파이프를 상기 연장부(2)로부터 취출할 경우 상기 연장부(2)가 정확히 닫히지 못함에 따라 포장용 포대(1) 내의 내용물이 해당 연장부(2) 및 주입구(1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었던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되었다.
즉,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파이프를 통해 포장용 포대(1) 내에 주입되는 내용물이 상기 포장용 포대(1)의 상면과 상기 연장부(2)의 둘레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3)에도 주입됨에 따라 상기 주입파이프를 주입구(1a)로부터 취출한다 하더라도 상기 틈새(3)에 존재하는 내용물로 인해 상기 연장부(2)의 끝단 부위가 정확히 닫히지 못하고 벌어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벌어진 부위를 통해 포장용 포대(1) 내의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누출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용 포대(1) 역시 내용물의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주입구(1a)의 밀봉을 위한 별도의 접착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용 포대(1)는 연장부(2)를 이루는 끝단 부위가 쉽게 휘거나 접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연장부(2) 내로 주입파이프(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끝단 부위가 원활히 벌어지지 않아 상기 주입파이프(10)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물론, 공개특허공보 제10-2012-134736호에서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포장용 포대의 주입구 내에 상기 포장용 포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 체크밸브(연장부에 해당)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체크밸브의 고정부는 주입구에 접착 고정함과 더불어 절곡닫힘부는 포장용 포대 내부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로부터 주입파이프의 취출시 상기 포장용 포대 내의 내용물 압력에 의해 상기 절곡닫힘부가 접히면서 해당 체크밸브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 역시 체크밸브의 절곡닫힘부 둘레면과 포장용 포대의 내면 사이에 틈새(첨부된 도 2 및 도 3 참조)가 발생되고, 이 틈새로 인해 주입파이프(10)의 취출시 절곡닫힘부가 원활히 접히지 못하고 펼쳐진 상태를 이루게 되어 내용물의 누출에 따른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주입파이프(10)의 삽입시 절곡닫힘부가 원활히 펼쳐지지 못하였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 포대의 밀봉 부위에 대한 간단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주입파이프의 취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주입구가 정확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하며, 주입파이프의 삽입시 그 삽입 부위가 원활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 포대에 따르면 종이 혹은, 합성수지를 접어서 만들어지면서 하단은 밀봉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단은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파이프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부가 추가로 제공되어 이루어진 포장용 포대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상면은 전 부위를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 사이에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용 포대는 사각형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의 양 끝단을 서로 접합하여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 하단은 밀봉하여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양측 끝부위를 각각 내부로 접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한 쌍의 상부 내접부와,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몸체부 상단의 두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서로 겹쳐지게 접은 후 서로 간의 대향면이 접착되는 한 쌍의 상부 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의 상면 중 어느 한 상부 내접부의 상면에 얹히는 안착단과, 상기 안착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 내의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상면 전 부위가 상기 두 상부 접착부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삽입부는 한 겹 이상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를 이루는 고정단은 한 번 이상 겹쳐 접음으로써 자체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삽입부를 이루는 고정단의 각 겹쳐진 대향면 간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고정단의 각 겹침 부위가 정확한 겹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접착제의 응고에 따른 강성의 추가 제공을 통해 외력의 해제시 자체 복원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 포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사각형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의 양 끝단을 서로 접합하여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통체로 몸체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양측 끝부위를 각각 내부로 접어 삼각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상부 내접부 및 한 쌍의 상부 접착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 안착단과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삽입부를 준비하여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 중 어느 한 상부 내접부의 상면에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안착단을 얹는 제3단계; 어느 한 상부 접착부의 각 부위 중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전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부위 간을 서로 접착한 후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함께 상부 내접부가 위치된 측으로 접는 제4단계; 다른 한 상부 접착부의 각 부위 중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전 부위 및 상기 어느 한 상부 접착부와의 대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부위 간을 서로 접착한 후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함께 상기 어느 한 상부 접착부 상면을 덮도록 접는 제5단계;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상부 폐쇄부를 접착하여 상기 상부 폐쇄부가 두 상부 접착부의 겹쳐진 부위에 대한 틈새 및 상기 상부 접착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가 위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상부 내접부 간의 틈새를 폐쇄함과 더불어 상기 상부 접착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가 위치된 측의 상부 내접부 간의 틈새는 주입구를 이루도록 덮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어느 한 상부 내접부의 상면에 얹히는 파이프 삽입부의 고정단은 한 번 이상 겹쳐 접음과 더불어 상기 겹쳐 접히는 부위 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간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포장용 포대는 파이프 삽입부의 상면 전 부위를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인 한 쌍의 상부 접착부 저면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상기 상부 접착부 저면 사이에 틈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틈새에 내용물이 끼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부의 일그러짐 등 닫힘 불량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포대를 이루는 파이프 삽입부는 접착제로써 상부 접착부에 접착 고정함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응고에 의해 생성된 강성으로 인해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삽입부로부터 주입파이프가 취출될 경우 상기 파이프 삽입부는 원활히 오므려지면서 닫힐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포장용 포대를 이루는 파이프 삽입부의 고정단은 여러 번 겹쳐 접은 합지의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이 겹쳐진 부위에도 접착제가 도포되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는 부위로 제공되면서 벌어짐 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력 해제시 빠르고 원활히 복원되면서 오므려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포장용 포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 일반적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의 외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를 벌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 내에 내용물을 주입한 후 주입파이프가 취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는 크게 몸체부(100)와, 한 쌍의 상부 내접부(210,220)와,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와, 파이프 삽입부(400), 그리고 상부 폐쇄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은 전 부위를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인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 저면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와 상기 상부 접착부(310,320) 저면 사이에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써, 사각형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의 양 끝단을 서로 접합하여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은 후술될 상부 내접부(210,220)와 상부 접착부(310,320) 및 상부 폐쇄부(500)로 인해 주입구(101)(첨부된 도 7 참조)를 제외한 부위가 밀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된 하단은 후술될 하부 내접부(610,620)와 하부 접착부(710,720) 및 하부 폐쇄부(도시는 생략됨)로 인해 전체가 밀봉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몸체부(100)는 홑겹 혹은, 둘 이상 복수 겹으로 형성되며, 이는 내용물의 종류나 무게 및 부피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내접부(210,220)는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양측 끝부위를 각각 내부로 수직하게 접음으로써 형성되며, 제1상부 내접부(210) 및 제2상부 내접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상부 내접부(210,22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어느 한 꼭지점이 외부를 향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상부 내접부(210,220)의 각 부위 중 몸체부(100) 내로 접힌 측의 양 끝단 부위 일부는 절개하여, 후술될 상부 접착부(310,320)의 접착 영역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접착부(310,3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 중 상기 두 상부 내접부(210,220)를 형성한 후 잔존하는 상기 몸체부(100) 상단의 두 내측 부위이며, 제1상부 접착부(310) 및 제2상부 접착부(320)로 구분된다.
상기 두 상부 접착부(310,320)는 서로 겹치도록 순차적으로 접은 후 서로 간의 대향면을 접착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 중 두 상부 내접부(210,220) 사이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두 상부 접착부(310,320)의 양 끝단과 두 상부 내접부(210,220) 간의 사이에는 틈새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두 틈새 중 제1상부 내접부(210)가 위치된 측의 틈새는 주입파이프(10)의 삽입을 위한 주입구(101)로 사용됨과 더불어 다른 한 틈새는 상부 폐쇄부(500)에 의해 폐쇄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는 주입구(101)를 통해 삽입되는 주입파이프(10)의 삽입 및 취출을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주입파이프(10)의 취출시 주입구(101)를 통한 몸체부(100) 내의 내용물이 누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는 한 겹 이상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안착단(410)과 고정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410)은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210,220)의 상면 중 주입구(101)가 형성되는 측인 제1상부 내접부(21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외부 둘레면이 상기 제1상부 내접부(210)의 상면 및 상기 각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에 접착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고정단(420)은 상기 안착단(410)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00) 내의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상면 전 부위가 상기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 고정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고정단(420)의 저면은 어느 곳에든 접착되지 않고 자유롭게 벌어질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삽입부(400)의 구성은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 전 부위가 두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 부위와 각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 사이에 틈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접착 구조에 의해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과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 사이에 몸체부(100) 내로 주입된 내용물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로부터 주입파이프(10)를 취출한다 하더라도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가 정확히 오므려지면서 주입구(10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를 이루는 고정단(420)은 한 번 이상 겹쳐 접음으로써 여타 부위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고정단(420)이 합지와 같은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고정단(420)의 양측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입파이프(10)를 주입구(101) 및 파이프 삽입부(400)에 삽입하는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작업자에 의한 가압력의 해제시 자체 복원력에 의해 빠르게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를 이루는 고정단(420)의 각 겹쳐진 대향면 간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고정단(420)의 겹침 부위 간을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접착제의 응고에 의해 상기 고정단(420)의 강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고정단(420) 양측의 가압력 해제시 더욱 빨리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폐쇄부(5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각종 틈새를 상기 주입구(101)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일괄 폐쇄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폐쇄부(500)는 상부 접착부(310,320)의 겹쳐진 부위에 대한 틈새 및 상기 상부 접착부(310,320)와 제2상부 내접부(220) 간의 틈새를 일괄적으로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종이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상부 접착부(310,320) 및 제2상부 내접부(220)의 상면에 접착제로써 부착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의 각 부위 중 몸체부(100)의 개방된 하단은 상기 상단의 밀봉 구조에서 파이프 삽입부(400)만 생략된 구조로 형성된다.
즉, 한 쌍의 하부 내접부(610,620)에 한 쌍의 하부 접힘부(710,720)가 순차적으로 포개어진 상태로 접착되고, 이후 하부 폐쇄부(도시는 생략됨)를 추가로 덮음으로써 각 부위의 틈새가 모두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는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 전 부위를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인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 저면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와 상기 상부 접착부(310,320) 저면 사이에 틈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틈새에 내용물이 끼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부(400)의 원활한 오므려짐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포대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그 순서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각형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의 양 끝단을 서로 접합하여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통체로 몸체부(1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와 전후 및 좌우 폭은 포장 대상물 즉, 내용물의 종류나 용량에 따라 달리 결정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 양측 끝부위를 각각 내부로 접어 삼각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상부 내접부(210,220) 및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는 한 쌍의 상부 내접부(210,2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잔존하게 되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한 쌍의 내접부(210,220) 중 양측 일부는 절개하여 상기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의 일부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위(311,321)만큼의 접착 영역이 추가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상부 내접부(210)의 상면 중 파이프 삽입부(400)의 안착단(410)이 안착되는 부위 및 두 상부 접착부(310,320)의 각 부위 중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와 접촉되는 전 부위(도 10의 “A”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후, 안착단(410)과 고정단(420)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삽입부(400)를 준비하여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210,220) 중 제1상부 내접부(210)의 상면에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안착단(410)을 얹은 상태로 접착 고정한다. 이는, 첨부된 도 11과 같다.
이때,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고정단(420)은 한 번 이상 겹쳐 접음으로써 합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겹쳐 접히는 부위 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간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충분한 자체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물론, 상기 안착단(410) 역시 한 번 이상 겹쳐 접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5와 같이 상기 두 상부 접착부(310,320) 간의 사이(도 13 및 도 14의 “B”부위)에 접착제를 추가로 도포한 후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와 함께 각 상부 내접부(210,220)가 위치된 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는다.
이에 따라, 상기 두 상부 접착부(310,320)는 서로 포개진 상태로 접착 고정되며, 상기 두 상부 접착부(310,320)와 제1상부 내접부(210) 사이에는 주입구(101)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는 납작하게 눌리워진 통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5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인 상기 두 상부 접착부(310,320)가 포개진 부위를 따라 상부 폐쇄부(500)를 덮으면서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폐쇄부(500)는 두 상부 접착부(310,320)의 겹침 부위에 대한 틈새 및 상기 각 상부 접착부(310,320)와 제2상부 내접부(220) 간의 겹침 부위에 틈새를 모두 폐쇄하도록 접착 고정되며, 이로 인해 주입구(101)를 제외한 여타의 틈새들은 모두 밀봉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후, 접착제가 응고될 때까지 건조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해당 포장용 포대에 대한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포장용 포대에 내용물을 주입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같이 포장용 포대의 주입구(101)가 형성된 부위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첨부된 도 7 및 도 8과 같이 주입구(101)를 벌려 주입 파이프(10)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후 해당 주입구(101)에 상기 주입파이프(1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주입구(101)를 벌리는 과정은 해당 작업자가 주입구(101)가 형성된 부위의 양측을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눌리거나 혹은, 파이프 삽입부(400)의 고정단(420) 양측을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고정단(420)이 복수겹의 합지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각 겹침 부위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응고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 부위의 가압에 의해 원활한 벌어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주입구(101)를 통해 삽입되는 주입파이프(10)는 적어도 파이프 삽입부(400)가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삽입하거나 혹은,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를 관통할 때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한 작업이 완료되면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기계를 동작시켜 상기 주입파이프(10)를 통해 상기 포장용 포대 내로 내용물을 주입한다.
이때, 상기 주입파이프(10)를 통해 포장용 포대의 몸체부 내로 내용물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첨부된 도 7과 같이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 전 부위는 각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 고정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과 각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 사이로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끼임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내용물이 설정 용량만큼 주입되면 상기 기계의 동작을 중단한 후 상기 주입파이프(10)를 주입구(101)로부터 취출한다.
상기와 같이 주입파이프(10)를 주입구(101)로부터 취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고정단(420)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스스로 닫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과 각 상부 접착부(310,320)의 저면 사이에는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끼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내용물의 끼임에 의한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복원시 일그러짐은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의 고정단(420)은 정확히 오므려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와 같은 주입파이프(10)의 취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포장용 포대 내에 주입된 내용물이 파이프 삽입부(400)를 상부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는 더욱 원활한 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주입파이프(10)의 취출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는 안정적인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에 대한 포장이 완료된 후에는 포장용 포대를 눕히거나 거꾸로 세운다 하더라도 파이프 삽입부(400)를 통해 포장용 포대 내의 내용물이 누출됨이 방지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포대는 파이프 삽입부(400)의 상면 전 부위를 상기 포장용 포대의 상단 저면인 한 쌍의 상부 접착부(310,320) 저면에 접착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와 상기 상부 접착부(310,320) 저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틈새에 내용물이 끼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부(400)의 일그러짐 등 닫힘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파이프 삽입부(400)는 접착제로써 상부 접착부에 접착 고정함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응고에 의해 생성된 강성으로 인해 소정의 복원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로부터 주입파이프(10)가 취출될 경우 상기 파이프 삽입부(400)는 원활히 오므려지면서 닫힐 수 있게 된다. 특히 파이프 삽입부(400)를 이루는 고정단(420)은 여러 번 겹쳐 접어 합지의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이 겹쳐진 부위 간의 사이에도 접착제가 도포되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는 부위로 제공되면서 벌어짐 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력 해제시 빠르고 원활히 복원되면서 오므려질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10. 주입파이프 100. 몸체부
101. 주입구 210. 제1상부 내접부
220. 제2상부 내접부 310. 제1상부 접착부
320. 제2상부 접착부 400. 파이프 삽입부
410. 안착단 420. 고정단
500. 상부 폐쇄부 610,620. 하부 내접부
710,720. 하부 접착부

Claims (6)

  1. 종이 또는 합성수지를 접어서 만들어고, 하단은 밀봉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은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양측 끝부위를 각각 내부로 접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한 쌍의 상부 내접부;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몸체부 상단의 두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서로 겹쳐지게 접은 후 서로 간의 대향면이 접착되는 한 쌍의 상부 접착부; 그리고
    상기 주입구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파이프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 삽입부는, 한 쌍의 상부 내접부의 상면 중 어느 한 상부 내접부의 상면에 얹히면서 접착 고정되는 안착단과, 상기 안착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 내의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상면 전 부위가 상기 두 상부 접착부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구성되고;
    파이프 삽입부의 전 부분이 몸체부의 상단 저면에 접착 고정되어, 파이프 삽입부와 몸체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는 한 겹 이상의 종이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를 이루는 고정단은 한 번 이상 겹쳐 접음으로써 자체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를 이루는 고정단의 각 겹쳐진 대향면 간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고정단의 각 겹침 부위가 정확한 겹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접착제의 응고에 따른 강성의 추가 제공을 통해 외력의 해제시 자체 복원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
  5. 사각형의 종이 또는 합성수지의 양 끝단을 서로 접합하여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통체로 몸체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양측 끝부위를 각각 내부로 접어 삼각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상부 내접부 및 한 쌍의 상부 접착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
    안착단과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삽입부를 준비하여 상기 한 쌍의 상부 내접부 중 어느 한 상부 내접부의 상면에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안착단을 얹는 제3단계;
    어느 한 상부 접착부의 각 부위 중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전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부위 간을 서로 접착한 후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함께 상부 내접부가 위치된 측으로 접는 제4단계;
    다른 한 상부 접착부의 각 부위 중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전 부위 및 상기 어느 한 상부 접착부와의 대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겹쳐지는 부위 간을 서로 접착한 후 상기 파이프 삽입부와 함께 상기 어느 한 상부 접착부 상면을 덮도록 접는 제5단계;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상부 폐쇄부를 접착하여 상기 상부 폐쇄부가 두 상부 접착부의 겹쳐진 부위에 대한 틈새 및 상기 상부 접착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가 위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상부 내접부 간의 틈새를 폐쇄함과 더불어 상기 상부 접착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가 위치된 측의 상부 내접부 간의 틈새는 주입구를 이루도록 덮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어느 한 상부 내접부의 상면에 얹히는 파이프 삽입부의 고정단은 한 번 이상 겹쳐 접음과 더불어 상기 겹쳐 접히는 부위 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간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의 제조 방법.
KR20130032300A 2013-03-26 2013-03-26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300A KR101479716B1 (ko) 2013-03-26 2013-03-26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2300A KR101479716B1 (ko) 2013-03-26 2013-03-26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81A KR20140117181A (ko) 2014-10-07
KR101479716B1 true KR101479716B1 (ko) 2015-01-06

Family

ID=5199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2300A KR101479716B1 (ko) 2013-03-26 2013-03-26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7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35U (ja) * 1991-09-06 1993-03-30 有限会社高松製作所 包装紙袋
JP2003160144A (ja) 2001-11-21 2003-06-03 Shikoo Kk 内弁バルブ付きの紙袋
KR20120134736A (ko) * 2011-06-03 2012-12-12 (주)금풍 체크밸브를 구비한 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35U (ja) * 1991-09-06 1993-03-30 有限会社高松製作所 包装紙袋
JP2003160144A (ja) 2001-11-21 2003-06-03 Shikoo Kk 内弁バルブ付きの紙袋
KR20120134736A (ko) * 2011-06-03 2012-12-12 (주)금풍 체크밸브를 구비한 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81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766B1 (ko) 강화부를 갖는 공기밀봉체 및 그 제작방법
JP4937880B2 (ja) 多段挟持式空気密封体
WO2012099197A1 (ja) 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包装袋
KR100971604B1 (ko)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한 공기밀봉체의 공기주입장치와그 공기주입방법
CN105109826A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TWI749183B (zh) 軟性包裝材料容器用中間材料的製造方法、軟性包裝材料容器的製造方法以及軟性包裝材料容器包裝體的製造方法
KR20080112912A (ko)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CN104936869B (zh) 烟品的包装及相关的包装方法
JP2005035556A (ja) 空気封入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1362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WO2014069209A1 (ja) 空気クッション材
KR101479716B1 (ko) 포장용 포대 및 그 제조 방법
JP6121774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JP6581818B2 (ja) 紙袋
TWI538855B (zh) A seamless ba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848692B (zh) 软香烟包装
US11492186B2 (en) Container bag made of sheet material
JP7368820B2 (ja) 多層紙袋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多層紙袋
KR101242644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한 포대
JP5930632B2 (ja) 脱気構造を有する防湿袋
JPS62111730A (ja) 角形袋端部の成形方法
CN220010625U (zh) 一种具有袋口密封机构的包装礼品纸袋
JP7199548B2 (ja) 袋および関連方法
JP5474446B2 (ja) ジッパー付袋及びその製法
US20170283121A1 (en) Easy open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